클리프 윌리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리프 윌리엄스는 1949년 12월 14일에 태어난 영국의 베이시스트이다. 그는 1970년 밴드 Home을 결성하여 활동했고, 1977년 AC/DC에 합류하여 2016년까지 베이시스트로 활동했다. 윌리엄스는 2016년 은퇴를 발표했지만, 2018년 AC/DC에 복귀하여 2023년까지 활동했다. 그는 AC/DC의 앨범 Powerage와 Back in Black을 가장 좋아하며, 밴드의 음악에서 꾸준하고 기본적인 베이스 라인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록 베이스 기타 연주자 - 로저 워터스
로저 워터스는 핑크 플로이드의 핵심 멤버로서 전쟁과 사회 불의를 주제로 음악을 만들고 솔로 아티스트로도 활동하며 사회·정치적 이슈에 대해 발언하는 영국의 뮤지션, 작사가, 영화 제작자, 사회 운동가이다. - 영국의 록 베이스 기타 연주자 - 앤디 벨 (1970년)
앤디 벨은 라이드의 기타리스트로 데뷔하여 슈게이징 장르에서 활동한 영국의 음악가로, 허리케인 No. 1, 오아시스, 비디 아이를 거쳐 솔로 활동과 다양한 프로젝트 밴드 활동을 병행하며 프로듀서로도 활동하고 있다. - AC/DC의 일원 - 앵거스 영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호주로 이민 간 앵거스 영은 형 맬컴 영과 AC/DC를 결성, 교복과 깁슨 SG 기타를 트레이드마크로 블루스 기반의 파워풀한 기타 연주와 폭발적인 무대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세계적인 록 밴드로 성장하는 데 기여한 기타리스트이다. - AC/DC의 일원 - 피터 클라크
피터 클라크에 대한 정보는 아직 위키백과에 작성되지 않았으며, 추후 더불어민주당과 뜻을 함께하는 편집자에 의해 제공될 예정이다. - 잉글랜드의 록 베이스 기타 연주자 - 피터 훅
피터 훅은 1956년 영국에서 태어난 베이시스트, 작곡가, 작가로, 조이 디비전과 뉴 오더의 멤버로서 1980년대 영국 음악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뉴 오더 해체 후에도 다양한 활동과 저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잉글랜드의 록 베이스 기타 연주자 - 로저 워터스
로저 워터스는 핑크 플로이드의 핵심 멤버로서 전쟁과 사회 불의를 주제로 음악을 만들고 솔로 아티스트로도 활동하며 사회·정치적 이슈에 대해 발언하는 영국의 뮤지션, 작사가, 영화 제작자, 사회 운동가이다.
클리프 윌리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클리퍼드 윌리엄스 |
출생일 | 1949년 12월 14일 |
출생지 | 롬퍼드, 에식스, 잉글랜드 |
출신지 | 호이레이크, 머지사이드, 잉글랜드 |
활동 기간 | 1966년–2016년, 2018년–현재 |
관련 그룹 | AC/DC Home 알 스튜어트 Bandit 알렉시스 코너 Sugar Stars |
웹사이트 | AC/DC 공식 웹사이트 |
음악 스타일 | |
장르 | 하드 록 헤비 메탈 블루스 록 록앤롤 프로그레시브 록 |
직업 | 음악가 가수 |
악기 | 베이스 보컬 |
레이블 | 컬럼비아 |
현재 소속 그룹 | AC/DC The Juice |
과거 소속 그룹 | Home Sugar |
2. 초기 생애
클리프 윌리엄스는 1949년 12월 14일, 에식스주 로퍼드에서 태어났다.[3] 1961년, 그는 가족과 함께 머지사이드주 호일레이크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지역 머지비트 운동의 영향을 받아 음악가가 되기로 결심했다.[3] 13세에 그는 친구들과 밴드를 결성했다.[3] 그는 롤링 스톤스, 더 후, 더 킹크스, 그리고 블루스 음악가인 보 디들리를 자신의 음악적 영향으로 꼽았으며, 인근 리버풀에서 전문 베이시스트에게 몇 번 레슨을 받은 것을 제외하고는 "레코드를 듣고 음을 따면서" 베이스 연주를 배웠다.[4] 그는 16세에 학교를 그만두고 낮에는 엔지니어로, 밤에는 음악가로 일했다.[3]
1970년, 윌리엄스는 첫 번째 밴드인 홈을 결성했다. 프로그레시브 록의 영향을 받은 그들의 음악은 곧 에픽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고, 1971년에는 데뷔 앨범 『''Pause For A Hoarse Horse''』가 발매되었다. 홈은 1971년 11월 웸블리 엠파이어 풀에서 열린 레드 제플린의 "일렉트릭 매직 쇼"에서 오프닝 밴드를 맡았다.
1972년, 밴드는 동명의 앨범 『홈』을 발매했으며, 이 앨범에서 싱글 컷된 밴드의 유일한 히트곡인 "Dreamer"가 11월에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영국 앨범 차트에서 41위까지 올랐다. 1973년의 앨범 『''The Alchemist''』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1974년 3월, 영국의 포크 계열 싱어송라이터 알 스튜어트는 홈에게 미국 투어의 백 밴드를 맡아줄 것을 제안했다. 밴드는 "알 스튜어트 밴드"가 되었으나, 오래가지 못했고, 윌리엄스는 곧 탈퇴하여 1974년 안에 밴디트를 결성했다.
밴디트는 아리스타 레코드와 즉시 계약을 맺었고, 1977년에 동명의 앨범 『밴디트』를 발매했다.
3. 경력
3. 1. 초기 경력
1966년, 윌리엄스는 런던으로 이주하여 철거 현장과 슈퍼마켓에서 일하면서 여러 단명한 밴드에서 활동했다.[3][5] 그는 기타리스트 로리 와이즈필드 (나중에 Wishbone Ash의 멤버가 됨)를 만나, 둘은 곧 해체된 Sugar라는 밴드의 멤버가 되었다.[5][6] 1970년, 윌리엄스와 와이즈필드는 싱어 믹 스텁스, 키보디스트 클라이브 존, 드러머 믹 쿡과 함께 프로그레시브 록 그룹 Home을 결성했다.[5] 이 밴드는 Epic Records와 음반 계약을 맺고 1971년에 데뷔 LP ''Pause for a Hoarse Horse''를 발매했다.[6] Home은 제프 벡, Mott the Hoople, The Faces, 레드 제플린의 오프닝 밴드로 활동했다.[5] 1971년 11월 웸블리 엠파이어 풀에서 열린 레드 제플린의 "일렉트릭 매직 쇼"에서 오프닝 밴드를 맡기도 했다.
1972년, 짐 앤더슨이 존을 대신하여 키보드를 맡았고, Home은 동명의 앨범을 발매, 이 앨범에서 싱글 컷된 "Dreamer"가 UK 앨범 차트에서 41위에 올랐다.[5] 그들의 다음 앨범인 ''The Alchemist''는 1973년에 발매되었지만 차트에서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1974년 3월, 영국의 포크 싱어송라이터 알 스튜어트가 그의 첫 미국 투어에서 Home이 그를 백업할 것을 제안하자, 믹 스텁스가 그룹을 떠났다. 나머지 멤버들은 Al Stewart Band가 되었지만 투어 후 해체되었다.[5][6] 윌리엄스는 잠시 미국 밴드 Stars에서 활동하다가 1974년에 Bandit를 결성했다.[5] Bandit의 라인업에는 보컬리스트 짐 다이아몬드와 드러머 그레이엄 브로드 (나중에 Bucks Fizz와 로저 워터스의 밴드에서 활동)가 포함되었다. 이 그룹은 Arista Records와 계약을 맺고 1977년에 동명의 앨범을 발매했다. Bandit은 또한 1977년 Alexis Korner의 백킹 밴드로 활동하며 ''The Lost Album''에 참여했지만 그 해 말에 해체되었다.[5][7]
3. 2. AC/DC
right
윌리엄스는 밴디트의 해체 후 음악계를 은퇴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그룹의 기타리스트 중 한 명인 지미 리더랜드가 1977년 스튜디오 앨범인 ''Let There Be Rock''을 녹음한 직후 마크 에반스를 해고한 후 베이시스트를 찾고 있던 호주 그룹 AC/DC의 오디션을 보라고 설득했다.[8][9] AC/DC는 1973년 호주에서 결성되었으며 1977년 중반까지 말콤 영이 리듬 기타와 백 보컬을 맡았고, 그의 형제 앵거스 영이 리드 기타를, 필 러드가 드럼을, 본 스콧이 보컬을 맡았다.[5][10] 윌리엄스는 밴드 오디션을 보기로 결정한 직후 ''Top of the Pops''에서 AC/DC를 보고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3] 그들을 "터무니없는" 밴드라고 묘사했다.[11]
오디션을 위해 윌리엄스는 밴드와 함께 4번의 잼 세션을 가졌으며,[11] 1977년 5월 27일 공식적으로 AC/DC에 합류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앵거스는 베이시스트의 좋은 외모가 밴드의 콘서트에 더 많은 여성들을 끌어들이기를 바랐기 때문에 이 결정의 부분적인 동기가 되었다고 선언했다. 윌리엄스가 호주 음악가를 대체했기 때문에, 호주 입국을 위한 취업 비자를 얻는 데 문제가 발생했다. AC/DC와의 첫 공연은 호주에서 ''Let There Be Rock'' 앨범을 지원하는 공연이었으며, 시드니의 라이프세이버에서 두 번의 비밀 공연을 가졌다.[12] 밴다 & 영이 프로듀싱한 앨범 ''Powerage''(1978)는 윌리엄스의 스튜디오 데뷔를 알렸다.[5][10][13]
윌리엄스는 그 이후 2016년까지 AC/DC에 남아 있었으며,[14][10] 1991년 일시적으로 신장 감염으로 Razors Edge World Tour의 일부 북미 콘서트에서 폴 그렉이 베이스를 연주해야 했던 때를 제외하고는 그러했다. AC/DC의 베이시스트로서의 역할 외에도 윌리엄스는 백 보컬에도 기여했다. 그는 밴드와 함께 한 가장 좋아하는 앨범이 ''Powerage''와 ''Back in Black''이라고 말했다.[15]
2016년 7월, 잇따른 멤버 교체로 활동 의욕을 잃었고, 또한 자신의 건강 상태도 좋지 않아 투어 종료와 함께 밴드를 떠나 음악계에서도 은퇴할 것을 표명했다[38]。 하지만 2018년, 브라이언 존슨, 필 러드가 AC/DC에 복귀하게 되자 은퇴를 철회하고, 존슨, 러드와 함께 밴드에 복귀했다.
2016년 7월 7일, 윌리엄스는 AC/DC의 Rock or Bust World Tour 이후 음악 업계를 은퇴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AC/DC가 최근 몇몇 핵심 밴드 멤버들이 떠나면서 "변화된 동물"이 되었다는 의견을 언급했다. 말콤 영은 치매로 인해 더 이상 참여할 수 없었고, 필 러드는 가택 연금으로 인해 투어를 할 수 없었으며, 브라이언 존슨은 청력 문제로 인해 은퇴를 강요받았다.[14] 2016년 9월, 필라델피아의 웰스 파고 센터에서 AC/DC와 함께 한 마지막 공연에서 윌리엄스는 앵거스 영에 의해 무대 앞으로 나와 "For Those About to Rock (We Salute You)"의 중간 부분에서 인사를 받았다.[16] 2020년 9월 30일, AC/DC는 윌리엄스가 동료 밴드 멤버 브라이언 존슨 및 필 러드와 함께 밴드에 재합류했음을 공식적으로 확인했다.[17] 그는 2023년 10월 파워 트립 페스티벌에서 밴드와 함께 공연했지만, 윌리엄스는 현재 Chris Chaney가 대신 공연하는 Power Up Tour에서 AC/DC와 함께 투어를 하고 있지 않다.
3. 3. 사이드 프로젝트
1984년, 윌리엄스는 애덤 봄의 앨범 ''Fatal Attraction''에 수록된 "I Want My Heavy Metal"에서 베이스와 백 보컬을 연주했다.[18] 2000년대 AC/DC가 활동을 중단했을 때, 윌리엄스는 보스니아 출신 음악가 에미르 부코비차의 밴드 Emir & Frozen Camels에 합류했다. 이 그룹은 2002년에 앨범 ''San''을 녹음하고 몇몇 유럽 클럽에서 공연했다.[19] 2005년, 윌리엄스는 AC/DC의 보컬 존슨과 함께 존 엔트위슬 재단이 주최한 플로리다의 허리케인 구호 행사에 참여했다. 이 행사에서 윌리엄스는 재단 회장이자 존 엔트위슬 밴드의 전 멤버였던 드러머 스티브 루옹고를 만났다. 루옹고는 이후 윌리엄스, 존슨, 그리고 기타리스트 마크 히트를 데려와 Classic Rock Cares 자선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들은 2007년 스튜디오에서 10곡을 작곡하고 녹음했으며, 재단 기금 마련을 위한 투어를 진행했다.[15][20][21] 2011년에는 마크 파너가 주최한 자선 콘서트에서 연주했다.[27][22] 윌리엄스는 또한 포트 마이어스 출신의 리듬 앤 블루스 밴드 The Juice와도 가끔 공연을 한다고 언급했다.[4]
4. 수상 경력
윌리엄스가 밴드에 합류한 이후, AC/DC는 오스트레일리아 음반 산업 협회(ARIA)의 명예의 전당(1988년)과[23] 로큰롤 명예의 전당(2003년)에 헌액되었다.[24] 1982년, 윌리엄스는 잡지 ''케랑!''(Kerrang!)의 투표에서 "올해의 베이시스트"로 선정되었다.
5. 사생활
윌리엄스는 1980년 미국인 아내 조지앤과 결혼하여 에린 루카스(1984년 출생)[25]와 루크(1986년 출생) 두 자녀를 두었다.[26] 이들 부부는 처음에는 하와이에 정착했지만,[9] 너무 고립된 느낌과 교육 시스템 부족을 이유로 1986년 AC/DC 밴드 동료 브라이언 존슨의 제안에 따라 플로리다주 포트마이어스로 이사했다.[8] 윌리엄스는 엑상프로방스에서도 시간을 보낸다. 그의 취미는 낚시,[27] 비행,[11] 와인이다.[28]
6. 연주 스타일
윌리엄스는 AC/DC에서 주로 말콤 영의 리듬 기타를 따르는 꾸준하고 기본적인 베이스 라인을 제공하는 역할을 맡았다.[30] 그의 베이스 라인은 8분 음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곡 과정에서 말콤과 앵거스 영이 쓰기도 하고, 윌리엄스가 다른 악기 트랙을 기반으로 개발하기도 했다.[30] 윌리엄스는 "중요한 것은 [베이스] 라인이 아니라 '느낌'"이라며,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AC/DC 곡은 'Down Payment Blues'인데, 이는 매우 단순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11] 그는 노래 전체에서 네 음을 연주하지만, '전체'적인 것을 즐긴다고 덧붙였다.[11]
그는 또한 "대부분의 곡에서 똑같은 것을 연주한다 [...] AC/DC의 음악에서는 어떤 개인의 역할보다 곡이 더 중요하다"라고 말했다.[31] 그는 "복잡한 [베이스] 라인은 [AC/DC]와 같은 기타 중심 밴드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그는] [AC/DC] 멤버들이 위에서 하는 일을 추진하는 하층부를 만들려고 노력한다"라고 설명했다.[11] 윌리엄스는 밴드 내에서 조용히 활동하는 것에 대해 "나는 단순하게 연주하는 것을 즐기기 때문에, 이렇게 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화가 나거나 갇혀 있다는 느낌을 전혀 받지 않는다"라고 말했다.[30]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Satellite Blues"와 같은 일부 곡에서 가끔 더 멜로디컬한 라인과 통과 음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의 연주 기법은 주로 다운 피킹에 집중되어 있으며, 가끔 핑거 피킹을 사용하여 현을 뮤트하는데, 그는 이것이 "더 많은 정의를 추가하고 음을 조여주며, 사운드의 지속성을 줄여준다"라고 말한다.[11]
7. 사용 장비
클리프 윌리엄스는 1977년 AC/DC 첫 출연 당시 "Let There Be Rock" 뮤직 비디오에서만 깁슨 리퍼(Gibson Ripper)를 사용했다.[32] 대표적인 악기는 스팅레이(Music Man StingRay)와 뮤직맨(Music Man)의 다른 베이스이다.[3][33] 스튜디오에서는 Ernie Ball(.045, .065, .085, .105) 플랫 와운드 현을 사용하고, 콘서트에서는 동일 게이지의 다다리오(D'Addario) 라운드 와운드 XL 현을 사용한다.[32][33] 2020년 10월, Ernie Ball Music Man은 그의 1979년 뮤직맨 스팅레이 베이스의 진정한 복제품인 [https://instaofbass.com/new-ac-dc-tour-new-cliff-williams-signature-bass/ 클리프 윌리엄스 시그니처 베이스]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3]
1995년 볼 브레이커 이후 윌리엄스는 뮤직맨 스팅레이에 다다리오의 플랫 와운드 현을 장착하여 메인 베이스로 사용하고 있다.[3] AC/DC에 참가했을 당시에는 펜더 프레시전 베이스(Fender Precision Bass)를 주로 사용했지만,[11] 라이브에서는 펜더 재즈 베이스(Fender Jazz Bass)를 사용하기도 했다.[34] 1980년 백 인 블랙에서는 논 리버스 깁슨 썬더버드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39] 1981년 악마의 초대장에서는 펜더 프리시전 베이스를 사용했다. 1983년 정복자와 이어진 투어에서는 스타인버거(Steinberger) L-시리즈가 사용되었다.[35][40]
윌리엄스는 1980년대 내내 주로 프리시전 베이스를 사용했지만, 예외적으로 1985년 플라이 온 더 월에서는 깁슨 SG 베이스(깁슨 EB-3(Gibson EB-3)의 재발행판)를 사용했다. 1980년대 초반에는 픽업, 컨트롤 노브를 증설한 프리시전 베이스 바디에 뮤직 맨 스팅레이의 넥을 이식한 개체를 사용하기도 했다. 1990년 레이저스 엣지에서는 펜더 재즈 베이스가 사용되었다.
그 외에도 펜더 프레시전 베이스,[11] 깁슨 썬더버드(Gibson Thunderbird) 논-리버스, 펜더 재즈 베이스,[34] 스타인버거 L-시리즈,[35] 깁슨 EB-3와 적어도 두 대의 LAG 커스텀(LAG Custom) 베이스를 사용했다.[3] 윌리엄스는 2대의 SVT-4PRO 헤드와 3개의 앰프(Ampeg) SVT-810E 캐비닛을 사용했지만, 무선 시스템에 간섭이 있을 경우 라이브 공연에서는 케이블을 사용했다.[33] 윌리엄스는 앰프의 앰프를 오랫동안 사용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C/DC's Cliff Williams Returns to Action with Covers Band
https://ultimateclas[...]
2019-12-06
[2]
웹사이트
Is Cliff Williams Back With AC/DC?
https://loudwire.com[...]
2019-02-11
[3]
웹사이트
Video Interview: Cliff Williams of AC/DC
http://www.bassfront[...]
2010-10-30
[4]
간행물
The High Voltage bass power of AC/DC's Cliff Williams
1995-03
[5]
웹사이트
AC/DC
http://hem.passagen.[...]
Magnus Holmgren
[6]
웹사이트
Band Member Profiles: Laurie Wisefield – Guitar/Vocals
http://www.wishbonea[...]
Wishbone Ash Official Website
[7]
웹사이트
Alexis Korner 'The Lost Album'
http://alexis-korner[...]
[8]
간행물
Conversation: "It's Like Razor Blades Out There"
http://www.gulfshore[...]
2007-04
[9]
웹사이트
Let There Be Rock: AC/DC @ the 'Dillo
http://www.austinchr[...]
2008-08-29
[10]
웹사이트
Encyclopedia entry for 'AC/DC'
http://www.whammo.co[...]
[11]
간행물
Cliff Williams of AC/DC: Let There Be Bass
Miller Freeman
1996-05
[12]
웹사이트
AC/DC
http://www.milesago.[...]
Ice Productions
[13]
웹사이트
Interview with Mark Eans
http://www.buoy.com/[...]
1998-08
[14]
웹사이트
Still Rockin' in Southwest Florida
http://www.gulfshore[...]
2016-07
[15]
웹사이트
Interview: Cliff Williams—Classic Rock Cares
http://www.rockmusic[...]
2009-10-04
[16]
간행물
Watch AC/DC Salute Cliff Williams at Bassist's Final Show
https://www.rollings[...]
2016-09-21
[17]
웹사이트
AC/DC confirm comeback and return of Brian Johnson, Phil Rudd and Cliff Williams
https://www.nme.com/[...]
NME
2020-09-30
[18]
웹사이트
Adam Bomb
http://www.jimmycres[...]
Jimmy Crespo
[19]
웹사이트
Bio
http://www.emir-froz[...]
Emir & Frozen Camels
[20]
웹사이트
Classic Rock Cares
http://www.johnentwi[...]
The John Entwistle Foundation
[21]
웹사이트
SteveLuongoArt.com / Bio
http://www.steveluon[...]
[22]
웹사이트
Roger Daltrey and Mark Farner Rock for Jesse
http://www.markfarne[...]
2011-01-11
[23]
웹사이트
ARIA Icons: Hall of Fame
http://www.aria.com.[...]
[24]
웹사이트
Inductees: AC/DC
http://rockhall.com/[...]
Rock and Roll Hall of Fame
[25]
뉴스
Pulling Back The Curtain on 'The City's' Erin
http://blogs.nypost.[...]
2009-09-24
[26]
간행물
Scene & Heard
https://gulfshorelif[...]
2007-05
[27]
Youtube
AC/DC Talks Tour Success in 2010, Plans for 2011
https://www.youtube.[...]
Artisan News Service
2011-01-20
[28]
문서
Q&A: Cliff Williams, AC/DC
http://www.wine-sear[...]
wine-searcher.com
2013-02-27
[29]
CD
Powerage
Epic Records
[30]
간행물
Cliff Williams: The Cool Power
1996-12
[31]
간행물
AC/DC and the Gospel of Rock & Roll
https://www.rollings[...]
Wenner Media LLC
2008-11-13
[32]
문서
https://acdcwillie.t[...]
[33]
웹사이트
High Voltage: AC/DC's High Powered Rig
http://guitar.com/cd[...]
[34]
웹사이트
AC/DC Info Base
http://www.buoy.com/[...]
[35]
웹사이트
Hard Rock Memorabilia: Cliff Williams – AC/DC – Steinberger bass
http://memorabilia.h[...]
Hard Rock Cafe
[36]
웹사이트
AC/DC biography at NME.com
http://www.nme.com/a[...]
2008-12-03
[37]
뉴스
Pulling Back The Curtain on 'The City's' Erin
http://blogs.nypost.[...]
NYPost
2009-01
[38]
뉴스
AC/DCのベーシストのクリフ・ウィリアムズ、現在のツアーを最後に引退を宣言 | NME Japan
http://nme-jp.com/ne[...]
NME Japan
[39]
Youtube
http://www.youtube.c[...]
[40]
Youtube
http://www.youtub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