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기스스탄 프리미어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르기스스탄 프리미어리그는 키르기스스탄의 최상위 축구 리그로, 1934년 소련 시대에 시작되어 1992년 키르기스스탄 독립 이후 현재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알가 비슈케크, 도르도이 비슈케크, 알라이 오시 등 여러 팀들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최근에는 압디쉬-아타 칸트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에는 8개 팀이 참가하며, 외국인 선수들의 유입과 함께 리그 수준이 향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르기스스탄의 축구 리그 - 키르기스스탄 축구 연맹
키르기스스탄 축구 연맹은 키르기스스탄의 축구를 관장하며, 다양한 리그와 컵 대회를 운영하고 여러 국가대표팀을 지원하며, 카나트 마마토프 회장과 임원진이 키르기스스탄 축구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기관이다. - 키르기스스탄 축구에 관한 - FC 알라이
FC 알라이는 키르기스스탄의 축구 클럽으로, 1960년 창단 후 디나모 오시와 합병 및 재창단을 거쳐 키르기스스탄 프리미어리그 4회 우승, 키르기스스탄 컵 2회 우승, 키르기스스탄 슈퍼컵 3회 우승을 기록하며 AFC 컵에도 참가하는 팀이다. - 키르기스스탄 축구에 관한 - FC 도르도이 비슈케크
FC 도르도이 비슈케크는 1997년 창단하여 키르기스스탄 리그에서 13회 우승, 컵 대회에서 10회 우승, 슈퍼컵에서 6회 우승을 기록하고 AFC 프레지던트컵에서 2회 우승한 키르기스스탄의 프로 축구 클럽이다. - 199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199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J1리그
J1리그는 1965년 일본 사커 리그로 시작하여 1993년 프로 리그로 출범한 일본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며, 2024년 기준 20개 팀이 참가하고, 상위 팀은 AFC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며 하위 팀은 J2리그로 강등된다.
키르기스스탄 프리미어리그 | |
---|---|
기본 정보 | |
이름 | 키르기스 프리미어 리그 |
현지 이름 | 키르기스 프레미에르 리가시 |
![]() | |
창설 | 1992년 |
주최 | 키르기스 프로 축구 리그 (KPFL) |
참가 팀 수 | 10 |
리그 레벨 | 1 |
국가 | 키르기스스탄 |
강등 | 키르기스스탄 리그 세컨드 레벨 |
대륙 연맹 | AFC |
대륙 컵 | AFC 챌린지 리그 |
국내 컵 | 키르기스스탄 컵 키르기스스탄 슈퍼컵 |
최근 우승팀 | 압디시-아타 칸트 (3회 우승) |
시즌 | 2024 |
최다 우승 클럽 | 도르도이 비슈케크 (13회 우승) |
최다 득점자 | 알마즈베크 미르잘리예프 (142골) |
TV 중계 | 키르기스 스포츠 TV |
웹사이트 | kpfl.kg |
현재 시즌 | 2024 키르기스 프리미어 리그 |
2. 역사
2. 1. 소련 시대 (1934-1991)
1934년 프룬제 시 팀이 첫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2] 1935년에는 디나모 프룬제가 우승을 차지했다.[2] 1936년 부레베스트니크 프룬제가 우승했고,[2] 1937년에는 스파르타크 프룬제가 춘계 리그, 부레베스트니크 프룬제가 추계 리그에서 우승했다.[2] 1938년에는 디나모 프룬제가 춘계 리그와 추계 리그에서 모두 우승했다.[2] 1939년부터 1944년까지는 리그가 개최되지 않았다.[2]1945년 프룬제 시 팀이 다시 우승을 차지했고,[2] 이후 스파르타크 프룬제가 1946년부터 1948년까지 3년 연속 우승했다.[2] 1949년에는 부레베스트니크 프룬제가 다시 우승을 차지했으며,[2] 1950년에는 스파르타크 프룬제가 우승했다.[2] 1951년 프룬제 시 팀이 우승했고,[2] 1952년에는 디나모 프룬제가 우승했다.[2] 1953년에는 오시주 팀이 우승을 차지했다.[2]
이후 프룬제 시 팀(1954~1956),[2] 프룬제 지역 팀(1957),[2] 토르페도 프룬제(1958, 1959),[2] SKIF 프룬제(1960),[2] 마일리사이 시 팀(1961)이[2] 차례로 우승했다. 알가 칼리닌스코예는 1962년부터 1963년, 1965년, 1967년에 우승했다.[2] 셀마셰베츠 프룬제는 1964년, 1966년, 1968년, 1970년, 1972년, 1973년, 1977년, 1979년, 1986년부터 1991년까지 여러 차례 우승했다.[2] 인스트루멘탈시크 프룬제는 1969년, 1975년, 1978년, 1980년부터 1984년까지 우승했다.[2] 1971년에는 일렉트릭 프룬제,[2] 1974년에는 텍스틸시크 오시,[2] 1976년에는 스트로이텔 자랄-아바드가[2] 우승했다. 1985년에는 리그가 개최되지 않았다.[2]
로토르 비슈케크는 총 16회로 가장 많은 우승을 기록했으며, 인스트루멘탈시크 비슈케크가 8회, 비슈케크 시 팀이 6회, 스파르타크 프룬제가 5회, 디나모 MVD 비슈케크와 키르기즈알틴이 각각 4회 우승으로 그 뒤를 이었다.
2. 2. 독립 이후 (1992-현재)
1992년 키르기스스탄이 독립한 후, 첫 리그가 시작되었다. 알가 비슈케크가 첫 시즌 우승을 차지했으며,[2] SKA 도스투크 소쿨루크가 준우승을 기록했다.[3] 알라이 오시는 3위를 차지했다.[4] SKA 도스투크 소쿨루크의 이고르 세르게예프는 26골로 최다 득점자에 올랐다.[2]1993년에는 알가-RIIF 비슈케크가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고,[2] 스파르타크 토크마크가 준우승,[3] 알라이 오시가 3위를 기록했다.[4] 디나모 알라이 오시 소속의 다브론 바바예프는 38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2]
1994년과 1995년에는 칸트-오일 칸트가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2] 칸트-오일 칸트의 알렉산드르 메르즐리킨은 각각 25골과 27골을 기록하며 2년 연속 최다 득점자에 올랐다.[2]
1996년에는 메탈루르그 카담자이가 우승을,[2] AiK 비슈케크가 준우승을 차지했다.[3] AiK 비슈케크의 알렉산드르 메르즐리킨은 17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2]
1997년부터 1999년까지는 디나모 비슈케크가 3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강팀으로 부상했다.[2]
2000년에는 SKA-PVO 비슈케크가 다시 우승을 차지했고,[2] 디나모 비슈케크는 준우승에 머물렀다.[3] SKA-PVO 비슈케크의 발레리 베레조프스키는 32골로 득점왕에 올랐다.[2]
2001년부터 2003 시즌까지 자스티크 악 알틴 카라-수우가 우승한 후,[4] 도르도이-디나모 나린 (현 도르도이 비슈케크)은 2004 시즌부터 2009 시즌까지 6년 연속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키르기스스탄 리그를 지배했다.[4] 이 기간 동안 자미르베크 주마굴로프,[4] 다니엘 타고[4], 막심 크레토프[4] 등 뛰어난 선수들이 도르도이 비슈케크에서 활약했다. 2010 시즌에는 네프치 코치코르-아타에게 우승을 내주었지만,[4] 2011 시즌과 2012 시즌에 다시 우승을 차지하며[4] 강팀의 면모를 과시했다.
2013년 알라이 오시는 도르도이 비슈케크를 제치고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2][3][4] 도르도이 비슈케크는 2014년에 다시 우승을 탈환했지만,[5] 알라이 오시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6] 특히, 2016년과 2017년에는 알라이 소속의 Alia SyllaGUI가 각각 21골과 12골로 최다 득점자에 오르기도 했다.[6] 이 기간 동안 알라이 오시와 도르도이 비슈케크는 치열한 우승 경쟁을 벌이며 키르기스스탄 리그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2018년 도르도이 비슈케크가 다시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예전의 명성을 되찾기 시작했다.[7] 2019년에도 도르도이 비슈케크는 와히트 오라즈사헤도프의 활약에 힘입어 11번째 우승을 달성했다.[8] 2020년, 2021년에도 연속 우승하며 도르도이는 리그 최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압디쉬-아타 칸트가 2022년, 2023년, 2024년에 연속 우승을 하면서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9] 특히 2024년에는 도르도이 비슈케크를 제치고 우승하며 리그 판도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최근 키르기스스탄 프리미어리그는 외국인 선수들의 유입이 늘어나면서 리그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가나,조엘 코조/Joel Kojo영어[7], 투르크메니스탄[8] 등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이 활약하며 리그 경쟁을 심화시키고 있다.
2. 2. 1. 초기 (1992-2000)
1992년 키르기스스탄이 독립한 후, 첫 리그가 시작되었다. 알가 비슈케크가 첫 시즌 우승을 차지했으며,[2] SKA 도스투크 소쿨루크가 준우승을 기록했다.[3] 알라이 오시는 3위를 차지했다.[4] SKA 도스투크 소쿨루크의 이고르 세르게예프는 26골로 최다 득점자에 올랐다.[2]1993년에는 알가-RIIF 비슈케크가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고,[2] 스파르타크 토크마크가 준우승,[3] 알라이 오시가 3위를 기록했다.[4] 디나모 알라이 오시 소속의 다브론 바바예프는 38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2]
1994년과 1995년에는 칸트-오일 칸트가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2] 칸트-오일 칸트의 알렉산드르 메르즐리킨은 각각 25골과 27골을 기록하며 2년 연속 최다 득점자에 올랐다.[2]
1996년에는 메탈루르그 카담자이가 우승을,[2] AiK 비슈케크가 준우승을 차지했다.[3] AiK 비슈케크의 알렉산드르 메르즐리킨은 17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2]
1997년부터 1999년까지는 디나모 비슈케크가 3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강팀으로 부상했다.[2]
2000년에는 SKA-PVO 비슈케크가 다시 우승을 차지했고,[2] 디나모 비슈케크는 준우승에 머물렀다.[3] SKA-PVO 비슈케크의 발레리 베레조프스키는 32골로 득점왕에 올랐다.[2]
2. 2. 2. 도르도이 비슈케크의 강세 (2001-2012)
2003 시즌까지 자스티크 악 알틴 카라-수우가 우승한 후,[4] 도르도이-디나모 나린 (현 도르도이 비슈케크)은 2004 시즌부터 2009 시즌까지 6년 연속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키르기스스탄 리그를 지배했다.[4] 이 기간 동안 자미르베크 주마굴로프,[4] 다니엘 타고[4], 막심 크레토프[4] 등 뛰어난 선수들이 도르도이 비슈케크에서 활약했다. 2010 시즌에는 네프치 코치코르-아타에게 우승을 내주었지만,[4] 2011 시즌과 2012 시즌에 다시 우승을 차지하며[4] 강팀의 면모를 과시했다.2. 2. 3. 알라이 오시의 도전과 경쟁 (2013-2017)
2013년 알라이 오시는 도르도이 비슈케크를 제치고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2][3][4] 도르도이 비슈케크는 2014년에 다시 우승을 탈환했지만,[5] 알라이 오시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6] 특히, 2016년과 2017년에는 알라이 소속의 Alia SyllaGUI가 각각 21골과 12골로 최다 득점자에 오르기도 했다.[6] 이 기간 동안 알라이 오시와 도르도이 비슈케크는 치열한 우승 경쟁을 벌이며 키르기스스탄 리그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2. 2. 4. 최근 동향 (2018-현재)
2018년 도르도이 비슈케크가 다시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예전의 명성을 되찾기 시작했다.[7] 2019년에도 도르도이 비슈케크는 와히트 오라즈사헤도프의 활약에 힘입어 11번째 우승을 달성했다.[8] 2020년, 2021년에도 연속 우승하며 도르도이는 리그 최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하지만 압디쉬-아타 칸트가 2022년, 2023년, 2024년에 연속 우승을 하면서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9] 특히 2024년에는 도르도이 비슈케크를 제치고 우승하며 리그 판도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최근 키르기스스탄 프리미어리그는 외국인 선수들의 유입이 늘어나면서 리그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가나,조엘 코조/Joel Kojo영어[7], 투르크메니스탄[8] 등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이 활약하며 리그 경쟁을 심화시키고 있다.
3. 리그 구성
2024 시즌에는 도르도이 비슈케크, 압디쉬아타 칸트, 아카데미자 오시, 알라이 오시, 알가 비슈케크, 일비르스 비슈케크, FK 카라발타, FC 네프치 코치코르아타가 참가한다.
클럽 | 연고지 | 홈 경기장 | 수용 인원 |
---|---|---|---|
압디시 아타 칸트 | 칸트 | 압디시 아타 스포츠 콤플렉스 | 3,000 |
아카데미야 오슈 | 오시 | 수윤바예프 스타디움 | 11,200 |
알라이 오슈 | 오시 | 수윤바예프 스타디움 | 11,200 |
알가 비슈케크 | 비슈케크 | 돌렌 오무르자코프 스타디움 | 23,000 |
도르도이 비슈케크 | 비슈케크 | 돌렌 오무르자코프 스타디움 | 23,000 |
이르비스 비슈케크 | 비슈케크 | FC FFKR 스타디움 | 1,000 |
카라발타 | 카라발타 | 마나스 스타디움 | 4,000 |
네프치 코치코르아타 | 코치코르아타 | 네프차니크 코치코르아타 스타디움 | 5,000 |
3. 1. 2024 시즌 참가팀
도르도이 비슈케크, 압디쉬아타 칸트, 아카데미자 오시, 알라이 오시, 알가 비슈케크, 일비르스 비슈케크, FK 카라발타, FC 네프치 코치코르아타가 2024 시즌에 참가한다.팀 | 위치 | 경기장 | 수용 인원 |
---|---|---|---|
압디시-아타 칸트 | 칸트 | 니트로 아레나 | 1,200 |
알라이 오시 | 오시 | 수욤바예프 스타디움 | 11,200 |
알가 비슈케크 | 비슈케크 | KGAFKiS | 1,000 |
도르도이 비슈케크 | 비슈케크 | SC 도르도이 | 850 |
일비르스 비슈케크 | 비슈케크 | 풋볼 센터 | 200 |
키르기질틴 | 카라-발타 | 마나스 스타디움 | 4,000 |
무라스 유나이티드 | 잘랄아바트 | 쿠르만베크 스타디움 | 4,500 |
네프치 | 코치코르-아타 | 스타디온 네프탸니크 코치코르-아타 | 5,000 |
오슈SU 알디에르 | 오시 | 수욤바예프 스타디움 | 4,000 |
탈란트 | 베쉬-귕고이 | 베쉬-귕고이 스타디움 | 알 수 없음 |
3. 2. 역대 참가 클럽
2024년 기준으로 키르기스스탄 프리미어리그에는 총 64개의 클럽이 참가했다.'''30''' 시즌: 알가 비슈케크
'''26''' 시즌: 알라이, 도르도이 비슈케크
'''23''' 시즌: 키르기잘틴
'''22''' 시즌: 압디시-아타 칸트
'''20''' 시즌: 네프치 코치코르-아타
'''13''' 시즌: 자쉬티크-아크-알틴 카라-수
'''11''' 시즌: 잘랄-아바드, 샤흐툐르 키질-키야
'''10''' 시즌: 디나모 MVD 비슈케크
'''9''' 시즌: 디나모-UVD 오시, 루오르-과르디아 비슈케크
'''7''' 시즌: 일비르스 비슈케크
'''6''' 시즌: 알라-토 나린, 이시크-쿨 카라콜, SKA-알라이 오시
'''5''' 시즌: 디나모-마나스-스키프 비슈케크, 카가나트, 로토르 비슈케크, 셰르 비슈케크
'''4''' 시즌: 아크-마랄 토크목, 아크-졸, 칸트-오일, 오르토-누르 소쿨루크
'''3''' 시즌: 알디예르 쿠르샤브, 칸트, 카라-쇼로 우즈겐, KG United, 폴리옷 비슈케크, 탈란트, 탈라스
'''2''' 시즌: 압디시-아타-99, 알라-부카, 도르도이-플라자, 에네르게티크 카라콜, 인스트루멘탈쉬크 비슈케크, 무라스 유나이티드, 오시SU-알디에르, 샤흐툐르 타쉬코묜, 쇼로 비슈케크, 팀 키르기스스탄 U-21, 우취쿤 카라-수
'''1''' 시즌: 아크-부라 오시, 알라무둔, 알가-2 비슈케크, 아타-스포르 비슈케크, 바키트 마일루-수, 바자르-코르곤-바부르, 벨로보드스코예, 디나모-추이 UVD, 디나모 칸트, 에콜로그 비슈케크, 에네르게티크 비슈케크, 켈레체크 오시, 콜로스 니즈네추이스코예, 로코모티프 잘랄-아바드, 메탈루르그 카담자이, 무라스-스포츠 비슈케크, 누카트, 누르-바트켄, 올림피아-85 비슈케크, 팀 키르기스스탄 U-17, 체멘트니크 칸트, 자쉬티크 오시
4. 기록 및 통계
4. 1. 역대 우승팀
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최다 득점자 | 올해의 선수 |
---|---|---|---|---|---|
1992 | 알가 비슈케크 | 알가-RIIF 비슈케크 | 악-마랄 토크목 | ||
1993 | 알가 비슈케크 | 스파르타크 토크모크 | 알가-RIIF 비슈케크 | ||
1994 | 칸트오일 칸트 | SKA 비슈케크 | 아크-마랄 토크모크 | ||
1995 | 칸트오일 칸트 | SKA 비슈케크 | 셈테이 키질키야 | ||
1996 | 메탈루르그 카담자이 | 아이굴 키질키야 | 디나모 비슈케크 | ||
1997 | 디나모 비슈케크 | 알가-PVO 비슈케크 | 알가-2 비슈케크 | ||
1998 | CAG-디나모-MVD 비슈케크 | SKA-PVO 비슈케크 | 자슈티크 카라수 | ||
1999 | CAG-디나모 비슈케크 | SKA-PVO 비슈케크 | 자슈티크 카라수 | ||
2000 | SKA-PVO 비슈케크 | 디나모 비슈케크 | 폴리옷 비슈케크 | ||
2001 | SKA-PVO 비슈케크 | 자슈티크 카라수 | SKA-PVO-2 비슈케크 | ||
2002 | SKA-PVO 비슈케크 | 자슈티크 카라수 | 샤흐툐르 키질키야 | ||
2003 | 자슈티크아크알틴 카라수 | SKA-PVO 비슈케크 | 디나모-UVD 오시 | ||
2004 | 도르도이-디나모 나린 | SKA-쇼로 비슈케크 | 자슈티크-아크-알틴 카라수 | ||
2005 | 도르도이-디나모 나린 | SKA-쇼로 비슈케크 | 자슈티크-아크-알틴 카라수 | ||
2006 | 도르도이-디나모 나린 | 압디쉬-아타 칸트 | 자슈티크-아크-알틴 카라수 | ||
2007 | 도르도이-디나모 나린 | 압디쉬-아타 칸트 | 자슈티크-아크-알틴 카라수 | ||
2008 | 도르도이-디나모 나린 | 압디쉬-아타 칸트 | 알라이 오시 | ||
2009 | 도르도이-디나모 나린 | 압디쉬-아타 칸트 | 알라이 오시 | ||
2010 | FC 네프치 코치코르아타 | 도르도이-디나모 나린 | 압디쉬-아타 칸트 | ||
2011 | FC 도르도이 비슈케크 | FC 네프치 코치코르아타 | 압디쉬-아타 칸트 | ||
2012 | FC 도르도이 비슈케크 | 알가 비슈케크 | 알라이 오시 | ||
2013 | 알라이 오시 | FC 도르도이 비슈케크 | 압디쉬-아타 칸트 | ||
2014 | FC 도르도이 비슈케크 | 압디쉬-아타 칸트 | 알가 비슈케크 | ||
2015 | 알라이 오시 | FC 도르도이 비슈케크 | 압디쉬-아타 칸트 | ||
2016 | 알라이 오시 | FC 도르도이 비슈케크 | 알가 비슈케크 | ||
2017 | 알라이 오시 | 압디쉬-아타 칸트 | FC 도르도이 비슈케크 | ||
2018 | FC 도르도이 비슈케크 | 알라이 오시 | 네프치 코치코르아타 | ||
2019 | FC 도르도이 비슈케크 | 알라이 오시 | 알가 비슈케크 | ||
2020 | FC 도르도이 비슈케크 | 알가 비슈케크 | FC 네프치 코치코르아타 | ||
2021 | FC 도르도이 비슈케크 | 압디쉬-아타 칸트 | 알가 비슈케크 |
아시아의 축구 1부 리그는 AFC에서 주관한다.
4. 2.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 | 우승 | 준우승 | 3위 | 우승 연도 |
---|---|---|---|---|
도르도이 비슈케크 | 13 | 5 | 0 |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1, 2012, 2014, 2018, 2019, 2020, 2021 |
알가 비슈케크 | 5 | 8 | 5 | 1992, 1993, 2000, 2001, 2002 |
알라이 오시 | 4 | 4 | 1 | 2013, 2015, 2016, 2017 |
압디쉬-아타 칸트 | 1 | 7 | 5 | 2022 |
디나모 비슈케크 | 3 | 1 | 0 | 1997, 1998, 1999 |
칸트-오일 | 2 | 0 | 0 | 1994, 1995 |
자쉬틱-악-알틴 카라-수 | 1 | 2 | 0 | 2003 |
네프치 코치코르-아타 | 1 | 1 | 1 | 2010 |
메탈루르크 카담자이 | 1 | 0 | 0 | 1996 |
RUOR-과르디아 비슈케크 | 0 | 2 | 2 | |
악-마랄 토크목 | 0 | 1 | 1 | |
샤흐트요르 키질-키야 | 0 | 1 | 1 | |
오르토-누르 소쿨루크 | 0 | 1 | 0 | |
디나모-UVD 오시 | 0 | 0 | 1 | |
폴리옷 비슈케크 | 0 | 0 | 1 |
4. 3. 역대 최다 득점자
시즌 | 국적 | 선수 | 소속 클럽 | 득점 |
---|---|---|---|---|
1992 | 이고르 세르게예프 | SKA 도스투크 소쿠루크 | 26 | |
1993 | 다브론 바바예프 | 디나모 알라이 오쉬 | 38 | |
1994 | 알렉산드르 메르즈리킨 | 칸트 오일 | 25 | |
1995 | 알렉산드르 메르즈리킨 | 칸트 오일 | 27 | |
1996 | 알렉산드르 메르즈리킨 | AiK 비슈케크 | 17 | |
1997 | 파르하트 하이트바예프 | KVT 디나모 카라발타 | 17 | |
1998 | 세르게이 가이지토디노프 | 세메테이 크즐 키야 | 23 | |
1999 | 이스마일 마리코프 | 자슈투크 악 알툰 카라스 | 16 | |
2000 | 발레리 베레조프스키 | SKA-PVO 비슈케크 | 32 | |
2001 | 누를란 라자발리에프 | 자슈투크 악 알툰 카라스 | 28 | |
2002 | 예브게니 볼디긴 | 자슈투크 악 알툰 카라스 | 19 | |
2003 | 로만 코르니로프 | SKA-PVO 비슈케크 | 39 | |
2004 | 자밀베크 주마그로프 | 도르도이 디나모 나린 | 28 | |
2005 | 예브게니 볼디긴 | 자슈치크 AK 알틴 카라스우 | 23 | |
2006 | 뱌체슬라프 프랴니시니코프 | 압디슈 아타 칸트 | 24 | |
2007 | 알마즈베크 미르자리예프 | 압디슈 아타 칸트 | 21 | |
2008 | | 후르시트 루트후라예프 데이비드 테테 | 압디슈 아타 칸트 도르도이 디나모 나린 | 13 |
2009 | 막심 클레토프 | 도르도이 디나모 나린 | 21 | |
2010 | 타라이베크 주마타예프 | FK 네프치 코치콜아타 | 15 | |
2011 | 블라디미르 베레프킨 | FK 알가 비슈케크 | 12 | |
2012 | 카윰잔 샤리포프 | FC 도르도이 비슈케크 | 17 | |
2013 | 알마즈베크 미르자리예프 | 압디슈아타 칸트 | 20 | |
2014 | 카림 울라 칸 | 도르도이 비슈케크 | 18 | |
2015 | 아리아 시라 | 알라이 오쉬 | 17 | |
2016 | 아리아 시라 | 알라이 오쉬 | 21 | |
2017 | 아리아 시라 | 알라이 오쉬 | 12 | |
2018 | 조엘 코조 | 알라이 오쉬 | 26 |
5. 대한민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Кыргызская Премьер-лига: новый сезон – новый формат
http://ffkr.kg/kyrgy[...]
Football Federation of Kyrgyz Republic
2019-04-05
[2]
웹사이트
Kyrgyzstan – List of Champions
https://www.rsssf.or[...]
2011-08-20
[3]
웹사이트
Champions Kyrgyzstan
https://web.archive.[...]
ffkr.kg
2008
[4]
웹사이트
Лучшие бомбардиры Чемпионатов Кыргызстана
https://web.archive.[...]
2015-11-25
[5]
웹사이트
kalimulla-luchshij-igrok-topligi-po-versii-flk
http://www.fc-dordoi[...]
FC Dordoi Bishkek
2014-11-21
[6]
웹사이트
Алиа Силла повторил рекорд 21-летней давности
https://web.archive.[...]
FLK
2017-12-03
[7]
웹사이트
Жоел Кожо из Ганы — лучший бомбардир чемпионата Кыргызстана по футболу (список)
https://sport.akipre[...]
Aki Press
2018-11-07
[8]
웹사이트
Вахит Оразсахедов: «В целом "Дордой" провел довольно успешный сезон»
https://turkmenporta[...]
Turkmenportal
2019-11-06
[9]
웹사이트
Эммануэль Ягр - Лучший Бомбардир БК ОЛИМП - Премьер Лиги 2022
https://kpfl.kg/ru/n[...]
2022-11-16
[10]
웹사이트
List of champions
http://www.rsssf.com[...]
[11]
웹사이트
Champion Kyrgyzstan
http://ffkr.kg/chem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