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버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버들은 '키+버들' 형태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키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되었다. 암수딴그루이며 6월에 종자가 익고, 개화 시기는 3~4월이다. 이 나무의 껍질을 벗겨 키를 만들었으며, 고리짝을 만드는 데서 유래된 고리버들이라는 이름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1년 기재된 식물 - 로즈애플
    로즈애플은 말레이 반도와 동인도 제도가 원산지인 도금양과의 교목 또는 관목으로, 장미 향이 나는 식용 열매로 유명하나,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되어 생태계를 위협하기도 한다.
  • 1931년 기재된 식물 - 조릿대속
    조릿대속은 벼과에 속하며 조릿대(S. borealis)를 비롯한 여러 종을 포함하고 동아시아, 특히 한국,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자생하는 속이다.
  • 버드나무속 - 수양버들
    수양버들은 아래로 처지는 가지와 가늘고 긴 잎이 특징인 버드나무속 낙엽활엽 교목으로, 잎은 가축 사료로, 목재는 건축 및 공예 재료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이별, 신성함, 생명력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버드나무속 - 갯버들
    갯버들은 이른 봄에 잎보다 먼저 꽃을 피우는 낙엽활엽 관목으로, 하천이나 제방의 방수림 또는 정원수로 이용되며 꽃꽂이 재료로도 사용된다.
  • 한국의 나무 - 밤나무
    밤나무는 한국과 일본 원산의 참나무과 낙엽성 교목으로, 밤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목재와 조경용으로도 이용되고, 타원형 잎과 향기로운 꽃, 가시 밤송이가 특징이며,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식량, 건축, 공예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어 왔다.
  • 한국의 나무 - 호두나무
    호두나무는 낙엽 교목으로 식용 견과인 호두를 생산하며, 은회색 수피와 깃꼴겹잎을 가지고, 가을에 녹색 껍질에 싸인 열매를 맺으며, 주글론을 함유하여 다른 식물에 영향을 미치고 목재, 염료 등으로 이용된다.
키버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1931)
이명Salix purpurea var. japonica Nakai
참고 문헌궁금할 때 바로 찾는 우리나무 도감 (허북구, 박석근, 2008년 5월 3일, 중앙생활사)
키버들
키버들
특징
높이약 4m

2. 생태

암수딴그루이며 종자는 6월에 익는다. 꽃은 3~4월에 핀다.

3. 유래

키버들은 ‘키+버들’ 형태의 이름이다. 키는 곡식 따위를 까불러 고르는 그릇인데, 이 나무의 껍질을 벗겨낸 다음 키를 만드는 재료로 이용한 데서 유래된 것이다. 이 나무로 고리짝을 만드는 데서 유래된 고리버들이라는 이름도 있다.[1]

고리버들로 만든 고리짝과 둥근 그릇 등을 통칭하여 ‘고리’라고 불렀으며, 둥글게 만들어 마지막에 매듭을 짓기 때문에 둥근고리 또는 매듭고리라는 뜻으로도 쓰인다.[1]

참조

[1] 간행물 # or other appropriate type based on what POWO is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2023-05-30
[2] 웹사이트 'Salix koriyanagi Rubikins' https://www.bluestem[...] 2018-05-08
[3] 서적 궁금할 때 바로 찾는 우리나무 도감 중앙생활사 2008-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