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이우 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이우 대학교는 1632년 설립된 키예프-모힐라 아카데미를 전신으로 하는 우크라이나의 국립 대학교이다. 1834년 제국 성 블라디미르 대학교로 시작하여, 1939년 우크라이나의 민족 시인 타라스 셰우첸코의 이름을 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4개의 학부와 여러 연구소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하며, 400개 이상의 대학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한국의 원광대학교와도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정치, 학문, 문화 예술 분야에서 많은 저명 인사를 배출했으며, QS 세계 대학 랭킹 등에서 우크라이나 최상위권 대학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이우의 대학교 - 키이우 음악원
    키이우 음악원은 1913년 설립되어 라흐마니노프와 글라주노프의 주도로 발전, 1940년 차이콥스키의 이름을 따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1995년 국립 아카데미로 승격된 우크라이나의 주요 음악 교육 기관으로, 탈러시아화 논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 우크라이나의 국립 대학 - 하르키우 대학교
    하르키우 대학교는 1805년 바실리 카라진 주도로 설립된 우크라이나의 국립 대학교로, 러시아 제국 남부에서 두 번째로 오래되었으며, 학문 발전에 기여하고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침공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 우크라이나의 국립 대학 - 루한스크 대학교
    루한스크 대학교는 1921년 교사 연수 과정으로 시작되어 돈바스 지역 최초의 고등 교육 기관으로 발전했으며, 1939년 타라스 셰우첸코의 이름을 얻고 국립 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돈바스 전쟁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두 차례 대피했으며, 여러 올림픽 챔피언과 메달리스트를 배출했다.
  • 1834년 개교 - 툴레인 대학교
    툴레인 대학교는 1834년 루이지애나 의과대학으로 시작하여 1884년 사립 대학으로 재편된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소재의 연구 중심 대학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교육과 연구를 제공하며 지역 사회 봉사 학습을 강조한다.
  • 1834년 개교 - 뉴캐슬 대학교 (잉글랜드)
    1834년 설립되어 1963년 독립된 잉글랜드 뉴캐슬어폰타인 소재의 연구 중심 공립 대학인 뉴캐슬 대학교는 러셀 그룹 회원으로 세계적인 교육과 연구를 제공하며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 해외 캠퍼스를 운영한다.
키이우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키이우 대학교 붉은 건물
키이우 대학교 붉은 건물
모토"Utilitas honor et gloria" (라틴어)
모토 (한국어)유용, 명예 그리고 영광
설립일1833년 11월 8일
유형공립
총장Бугров Володимир Анатолійович
학생 수30,000명 미만
위치키이우
국가우크라이나
캠퍼스도시
소속IAU, EUA
색상검정색, 빨간색
키이우 대학교 로고
키이우 대학교 로고
웹사이트키이우 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명칭
공식 명칭 (우크라이나어)Київський національний університет імені Тараса Шевченка
로마자 표기Kyivskyi natsionalnyi universytet imeni Tarasa Shevchenka
한국어 명칭타라스 셰우첸코 국립 키이우 대학교
기타 명칭키이우 국립 대학교

2. 역사

1632년 키예프-모힐라 아카데미가 설립된 이후, 1834년 62명의 학생과 함께 제국 성 블라디미르 대학교(Император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вятого Владимираru)라는 이름으로 키이우 대학교가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철학부만 있었고, 역사·문헌학과와 물리·수학과가 있었다. 1835년1847년에 법학부와 의학부가 추가되었고, 철학부는 역사·문헌학부와 자연과학부로 나뉘었다. 1920년대까지 새로운 학부는 추가되지 않았다.

1917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전쟁에서 많은 재학생들이 볼셰비키 군과 싸우다 목숨을 잃었으며, 특히 1918년 크루티 역 전투에서 학생 부대의 비극은 현재까지도 추모되고 있다.

1939년부터 키이우 대학교는 우크라이나의 위대한 예술가이자 시인인 타라스 셰우첸코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키이우 대학교는 우크라이나를 대표하는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 1. 키예프-모힐라 아카데미 (1632년)

1632년 우크라이나 코사크 전성 시대에 키예프-모힐라 아카데미가 설립되었으며, 이는 키이우 대학교의 전신이다.[6]

2. 2. 성 블라디미르 제국 대학교 (1834년-1920년)

니콜라이 1세1834년 키이우에 성 블라디미르 제국 대학교를 설립했다. 이 대학교의 이름은 키예프 루스의 통치자였던 블라디미르 대공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러시아 제국동방 정교회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키이우가 동방 기독교의 발상지라는 점을 반영하여 이 이름을 선택했다.

1831년 폐쇄된 후 키이우 대학교의 도서관과 초기 교수진이 배출된 크레메네츠 리세의 본관


이 대학교는 1830년 11월 봉기 이후 폐쇄된 빌뉴스 대학교와 크레메네츠 리세의 자산을 이전받았다.[6] 1834년, 처음에는 62명의 학생이 철학부에서 공부를 시작했다. 철학부는 역사 및 문헌학과와 물리학 및 수학과로 나뉘어 있었다. 1835년에는 법학부가, 1847년에는 의학부가 추가되었다. 이후 철학부는 역사 및 문헌학과와 자연 과학부로 분리되었다. 1920년대까지는 더 이상 학부가 추가되지 않았다.

키이우의 성 블라디미르 대학교를 묘사한 20세기 초 러시아 엽서


본관 건물은 붉은색으로 칠해져 있고, 기둥의 상단과 하단은 검은색으로 칠해져 있다. 우크라이나 작곡가 미콜라 레온토비치의 "셰드릭"은 1916년 12월 26일 키이우 대학교에서 올렉산드르 코시츠가 지휘하는 대학교 합창단에 의해 처음으로 공연되었다.[7]

2. 3. 미하일로 드라호마노프 대학교 (1920년-1932년)

1920년, 성 블라디미르 대학교는 미하일로 드라호마노프 대학교로 개칭되었다.

2. 4. 타라스 셰우첸코 대학교 (1939년-현재)

1939년, 키이우 대학교는 1845년과 1846년 사이에 잠시 이 대학에서 근무했던 우크라이나의 민족 시인 타라스 셰우첸코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8]

독소 전쟁 동안, 이 대학은 카자흐스탄키질로르다 시로 대피했으며, 그곳에서 하르키우 국립 대학교와 합병하여 통합 우크라이나 국립 대학교를 설립했다. 1943년 키이우 해방 이후, 대학교는 키이우로 돌아왔다. 학생과 강사들은 인문학 및 화학 건물을 재건했으며, 1944년 1월 15일까지는 상급생을 위한 수업이, 2월 1일부터는 1학년을 위한 수업이 재개되었다.[8]

1960년 첫 국제 학생이 입학한 이후, 2만 명이 넘는 고도로 숙련된 전문가가 120개국을 위해 타라스 셰브첸코 대학교에서 훈련을 받았다. 타라스 셰브첸코 대학교의 첫 외국인 학생들은 쿠바, 기니, 인도네시아, 가나, 토고, 나이지리아, 카메룬, 베냉, 잔지바르, 예멘, 알제리, 아프가니스탄 출신이었다. 그들은 각자 조국에서 의사, 엔지니어, 농업 기술자, 외교관, 경제학자, 정치가가 되었다.[9]

소련 시대 동안, 타라스 셰브첸코 대학교는 레닌 훈장 1개(1959년)와 10월 혁명 훈장 1개(1984년)를 받았다. 또한, 2002년에는 소행성 4868 크누셰비아가 키이우 타라스 셰브첸코 대학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2024년 11월 3일 러시아 드론 공격으로 대학의 국제 관계 연구소와 언론학 연구소 건물 여러 채가 피해를 입었다.[10]

3. 캠퍼스

키이우 대학교는 여러 캠퍼스로 구성되어 있다. 설립 초기에는 페체르스크의 사설 건물에 위치했으며, 성 볼로디미르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현재 본관(붉은색 건물)은 볼로디미르스카 거리 60번지에 있고, 여러 인문학과는 셰우첸코 대로 14번지(노란색 건물)에 있다.

아카데미카 글루슈코바 거리와 바실키우스카 거리에도 학과가 있다. 대학교 행정 부서는 볼로디미르스카 거리 58–64번 건물에 위치하며, 막시모비치 도서관(볼로디미르스카 거리 58번지)은 1939–1940년에 건축되었다.

A.V. 포민 식물원(알렉산드르 V. 포민의 이름을 따서 명명)은 1839년에 설립되었으며, 약 5.22ha의 면적에 10,000종이 넘는 식물 종을 보유하고 있다.[23] 1977년 재건축된 정원의 온실 높이는 약 33m로 세계에서 가장 크다.[23]

키이우 대학교 천문대는 옵세르바토르나 거리 3번지에 있으며, 1845년에 설립되었다.[23]

3. 1. 붉은색 건물

1837년부터 1843년까지 이탈리아계 러시아 건축가 빈센트 I. 베레티가 러시아 후기 고전주의 양식으로 지었다. 건물은 안뜰을 둘러싼 거대한 사각형을 형성하며, 정면의 길이는 145.68m이다. 건물의 벽은 핏빛 빨간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현관 기둥의 머리 부분과 받침대는 검은색인데, 이는 키이우 대학교가 이 훈장의 이름을 사용했던 1782년에 설립된 성 블라디미르 훈장의 리본 색상과 일치한다. 이 훈장의 모토인 "이익, 명예, 영광" (Польза, честь и слава|Pol'za Chest' i Slavaru)은 이후 키이우 대학교의 모토가 되었다. 현지 관광 가이드들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학생 징병 반대 시위에 대응하여 차르 니콜라이 1세가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흘린 피를 학생들에게 상기시키기 위해 건물 전체를 붉은색으로 칠하도록 명령했다고 종종 말한다. 그러나 이 전설은 건물이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 전인 1842년에 붉은색으로 칠해졌다는 역사적 사실과 맞지 않는다. 러시아의 니콜라이 1세 (1825–1855)는 제1차 세계 대전 훨씬 전에 사망했다. 언덕 꼭대기에 지어진 이 건물은 19세기에 키이우의 건축 레이아웃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3. 2. 노란색 건물과 막시모비치 도서관

키이우 대학교 도서관, 시내 캠퍼스 일부


인문학 건물 또는 대학교의 "노란색" 건물은 셰우첸코 대로 14번지에 있다. 1850-1852년에 건축되었으며, 대학교 본관("붉은색") 건물의 건축가인 V. 베레티의 아들 알렉산드르 비켄티예비치 베레티(1816–95)가 고전 양식으로 설계했다.[1] 이 건물은 원래 제1체육관으로, M. 베를린과 M. 코스토마로프가 가르쳤고, 화가 니콜라이 게, V. 레반도브스키, 역사학자 M. 자크레브스키, 경제학자 M. 붕게, 시인 M. 허벨, 조각가 P. 이사벨라, 작가 불가코프, K. 파우스토프스키, 미래 학자 E. 타를레, A. 보고몰레츠, A. 루나차르스키 등이 학생으로 있었다.[1] 1919년에는 우크라이나 과학 아카데미의 초대 회장인 학자 베르나츠키가 건물의 일부에 거주했다.[1] 1959년부터 이 건물은 키이우 국립 대학교의 일부가 되었다.[1]

막시모비치 도서관(볼로디미르스카 거리 58번지)은 1939–1940년에 건축되었으며, 건축가 V. A. 오스마카와 P. 알료신이 대학교 인문학 건물로 설계한 신고전주의 건물이다.[1] 현재 이 도서관은 약 350만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어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큰 연구 도서관 중 하나이다.[1] 막시모비치 도서관은 우크라이나 국립 도서관 제1 분관(볼로디미르스카 거리 62번지, 1929–1930년에 같은 건축가들이 설계)과 함께 대학교의 본관("붉은색") 건물과 더불어 오늘날 키이우의 중요하고 인상적인 건축 앙상블을 형성한다.[1]

3. 3. 기타 시설

A.V. 포민 식물원(알렉산드르 V. 포민 (1869–1935)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은 1839년에 설립되었으며 건축가 V. 베레티와 식물학자 R. E. 트라우트페터롬에 의해 설계되었다. 정원의 총 면적은 약 5.22ha이며, 10,000종이 넘는 식물 종, 형태 및 품종을 수집하고 있다.[23] 1977년 재건축된 정원의 온실 높이는 약 33m로 세계에서 가장 크다. 대학의 첫 번째 오렌지 온실은 열대 및 아열대 식물 컬렉션을 위해 1846-49년에 지어졌다. 이 컬렉션은 현재 2,000개 이상의 품목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럽에서 가장 큰 컬렉션 중 하나이다. 정원은 붉은 건물 뒤 시내 중심 캠퍼스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은 우니베르시테트역이다.

식물원 온실


키이우 대학교 천문대는 옵세르바토르나 거리 3번지에 위치해 있으며, 1845년에 설립되었다. 처음에는 대학교 본관에 천문대를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붉은 건물에 대한 기존의 건축 설계에서 알 수 있듯이), 나중에 천문대 건물을 별도로 짓기로 결정했다. 이 작업은 다시 빈센티 베레타에게 맡겨졌으며, 1841년부터 1845년까지 건설되어 1845년 2월 7일에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23]

4. 학문 및 연구

타라스 셰우첸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키이우 대학교는 우크라이나 문학과 예술의 주요 인물인 타라스 셰우첸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대학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고 연구를 수행한다.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권위 있는 대학교[4]이자 선진 학습과 진보적 사고의 주요 중심지[5]로 여겨지며, 학생 수는 약 30,000명에 달한다.[2]

키이우 대학교의 사이버네틱스 학부, 비스타코비치 첸트르에 위치.


키이우 대학교는 학습과 연구의 주요 중심지이자 중요한 문화 중심지이며 다음과 같은 부속 시설들을 운영하고 있다.

  • 타라스 셰우첸코 대학교 천문대[23]
  • 우크라이나 인문 고등학교[24]
  • 우크라이나학 연구 센터[25]
  • 타라스 셰우첸코 대학교 정보 및 컴퓨터 센터[26]
  • 타라스 셰우첸코 대학교 카니우 자연 보호 구역[27]
  • KNU 오픈 대학교 –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28]
  • 막시모비치 과학 도서관[29]
  • 지역 시스코 네트워킹 아카데미[30]
  • 키이우 타라스 셰우첸코 대학교 과학 공원[31]
  • 타라스 셰우첸코 대학교 과학 연구 부서[32]
  • 우크라이나 물리 수학 고등학교[33]
  • 학술원 O. 포민의 이름을 딴 대학교 식물원
  • 드니프로 합창단

4. 1. 조직 및 교육 체계

타라스 셰우첸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키이우 대학교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고 연구를 수행하는 우크라이나 최고 명문 대학이다.[4] 선진 학습과 진보적 사고의 중심지로,[5] 약 30,0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2]

키이우 대학교는 14개의 학부와 여러 연구소로 구성되어 있다.

학부연구소


4. 2. 학부

생물학부, 화학부, 사이버네틱스학부, 지리학부, 지질학부, 경제학부, 역사학부, 법학부, 역학・수학부, 철학부, 물리학부, 방사물리학부, 사회학・심리학부, 진학 준비 학부 등 14개의 학부가 있다.[4]

4. 3. 연구소

키이우 대학교에는 법학 연구소[22], 어문학 연구소, 저널리즘 연구소, 국제 관계 연구소, 군사 연구소, 대학원 교육 연구소, 첨단 기술 연구소, 생물학 및 의학 연구소가 있다.

4. 4. 국제 협력

키이우 대학교는 400개가 넘는 협력 대학과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일부 경우에는 40개국 대학과의 학생 교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21] 여기에는 소련의 일부 구 공화국과 1991년 독립 이전 70년 동안 우크라이나가 공식적인 양자 관계를 맺지 않았던 다른 국가들이 포함된다.

국가대학교국가대학교
아르메니아예레반 국립 대학교그리스아테네 국립 기술 대학교
아제르바이잔바쿠 국립 대학교이탈리아피렌체 대학교
벨라루스벨라루스 국립 대학교일본류코쿠 대학교
벨기에리에주 대학교대한민국원광대학교
캐나다매니토바 대학교폴란드바르샤바 대학교
중국베이징 대학교러시아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체코카렐 대학교스페인발렌시아 대학교
프랑스파리 2대학영국리즈 대학교
독일뮌헨 대학교미국럿거스 대학교



그 외 Carinthia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리투아니아 교육 과학 대학교, 비제메 응용 과학 대학교, ADA 대학교 등이 있다.

4. 5. 랭킹

QS 세계 대학 랭킹과 THE 세계 대학 랭킹 등에서 우크라이나 최상위권 대학으로 평가받고 있다.[2][11] 2014년과 2017년 사이에는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세계 650위권 안에 들었다.[13] 2009년 잡지 ''델로보이''는 키이우 대학교를 우크라이나 최고의 대학으로 선정했는데, 이는 가장 많은 학문 분야에서 전국적으로 가장 강력한 대학으로 평가받았기 때문이다.[14] ''콤파스''가 실시한 우크라이나 228개 대학의 독립적인 순위에 따르면, 키이우 대학교는 졸업생의 우크라이나 노동 시장 적합성과 관련하여 우크라이나에서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15]

Scopus(2009)에 따르면, 키이우 대학교는 우크라이나 대학 중 가장 많은 연구 논문을 발표했으며, 총 논문 인용 횟수를 기준으로 평가하여 최고의 연구 생산 기관이기도 하다.[16][17] 웹ometrics 세계 대학 랭킹(2010)에서는 세계 8,000개 대학 중 1,110위,[18] 중앙 및 동유럽 상위 100개 대학 중 63위,[19] 우크라이나 최고의 학술 기관으로 꼽힌다.[20]

5. 저명한 동문

키이우 대학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5. 1. 정치 및 국제기구

레오니드 크라우추크는 독립 이후 초대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역임했다(1991–1994).[1] 페트로 포로셴코는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역임했다(2014–2019).[1] 미헤일 사카슈빌리조지아 대통령 (2004–2008, 2008–2013) 및 장미 혁명 지도자를 역임했다.[1] 헨나디 우도벤코는 유엔 총회 의장을 역임했다(1997–1998).[1]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는 현 우크라이나 대통령이다.[2] 드미트로 쿨레바는 우크라이나 외무 장관이다.[3]

국가/정부이름직위
우크라이나레오니드 크라우추크독립 이후 초대 우크라이나 대통령 (1991–1994)
우크라이나페트로 포로셴코우크라이나 대통령 (2014–2019)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미하일로 흐루셰우스키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중앙 라다 의장 (1917–1918)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볼로디미르 비니첸코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초대 총리 (1917–1918) 및 우크라이나 디렉토리 초대 의장 (1918–1919)
조지아미헤일 사카슈빌리조지아 대통령 (2004–2008, 2008–2013) 및 장미 혁명 지도자
리투아니아안타나스 메르키스독립 리투아니아 마지막 총리 (1939-1940)
이스라엘이츠하크 벤-츠비제2대 이스라엘 대통령 (1952–1963)
벨로루시 SSR야코프 가마르니크벨로루시 공산당 제1 서기 (1928–1929)
우크라이나 SSR발렌티나 셰브첸코우크라이나 SSR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 (1985–1990)
UN헨나디 우도벤코유엔 총회 의장 (1997–1998)
러시아 제국니콜라이 분게각료 회의 의장 (1887–1895)
케냐아미나 모하메드유엔 환경 계획 부총재, 케냐 외무부 장관 (2013–2018)


5. 2. 학계

키이우 대학교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 과학 및 공학
  • 유전학 및 진화 생물학: 테오도시우스 도브잔스키
  • 수학: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 역학: I. 라흐마니노프, H. 수슬로프, P. 보로네츠
  • 물리학: M. 아베나리우스, M. 쉴러, Y. 코소호노프, E. 라슈카리요프
  • 화학: A. 밥코, A. 홀루브, A. 키프리아코프, S. 레포르마트스키
  • 지질학: K. 페오필락토프, V. 치르빈스키, M. 안드루소프, P. 투트코프스키
  • 식물학: I. 슈말하우젠, S. 나바신, K. 푸리에비치, O. 포민, M. 홀로드니, 에른스트 루돌프 폰 트라우트페터
  • 동물학: K. 케슬러, O. 코발레프스키, O. 세베르초프, O. 코로트네프
  • 생화학: O. 팔라딘
  • 생태학: 아나스타시야 치불리아크
  • 대기 과학: 겐나디 밀리네프스키

  • 인문학 및 사회과학
  • 역사학: M. 막시모비치, M. 코스토마로프, V. 안토노비치, I. 루치츠키, M. 드라호마노프, V. 페레츠, O. 벨레츠키, A. 크림스키, 예. 타르레
  • 철학: M. 막시모비치, M. 코스토마로프, M. 드라호마노프, 솔로미야 파블리치코
  • 법학: K. 네볼린, M. 이바니셰프, M. 블라디미르스키-부다노프, O. 키스탸코프스키
  • 경제학: M. 지베르
  • 문학 평론: 솔로미야 파블리치코, 테티아나 야코벤코, 레오니드 비셰슬라브스키
  • 민속학: 리디야 두나예프스카
  • 음악학: 유리 체칸

  • 예술
  • 문학:
  • 시: 막심 릴스키, 야로스와프 이바슈키에비치, 옥사나 자부슈코, 보리스 올리이닉 (시인), 레오니드 비셰슬라브스키, 테티아나 야코벤코, 유리 립친스키, 테티아나 지우바, 할리나 하이
  • 소설: 옥사나 자부슈코, 이고르 네베를리
  • 번역: 보리스 올리이닉 (시인), 레오니드 비셰슬라브스키, 솔로미야 파블리치코
  • 작곡: 미콜라 린센코
  • 미술: 올레나 골루브, 지나이다 쿠바르, 발렌티나 다비덴코
  • 작가: 타마라 두다, 유시프 바지르 차만자민리, 유리 무슈케티크

  • 언론: 이리나 베케쉬키나, 나탈리야 구메뉴크, 소냐 코슈키나, 유리 볼로디미로비치 마카로프, 스베틀라나 예레멘코, 유리 무슈케티크

  • 정치 및 행정:
  •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드미트로 쿨레바, 올렉산드르 트카첸코, 안드리 코제먀킨, 보리스 올리이닉 (시인)
  • 아제르바이잔: 유시프 바지르 차만자민리 , 가잔파르 무사베코프
  • 베트남: 레 티 투옛 마이

  • 사회 운동: 조피아 사라 시르킨-빈스테이노바, 스비틀라나 키리첸코, 올렉산드라 마트비이추크

  • 의학: V. 베츠, M. 스클리포소프스키, F. 야노프스키, V. 오브라초프, M. 스트라제슈코

5. 3. 문화 및 예술

옥사나 자부즈코는 1960년에 출생한 시인이자 소설가이다.[1] 미콜라 리센코는 작곡가이다.[2]

5. 4.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Структура Власності Компанії: Київський Національний Університет Імені Тараса Шевченка https://opendatabot.[...] 2023-02-16
[2] 웹사이트 Taras Shevchenko National University of Kyiv https://www.topunive[...]
[3] 웹사이트 To the University's 175th Anniversary http://www.univ.kiev[...] 2022-02-13
[4] 뉴스 200 of the best higher education schools in Ukraine http://www.dt.ua/pro[...] 2007-03-30
[5] 웹사이트 Decree of the President of Ukraine about Taras Shevchenko University http://www.univ.kiev[...] Press office of Taras Shevchenko University 2008-05-05
[6] 간행물 The Clash of Nationalities at the University of Vilnius http://www.lituanus.[...] 1981-Summer
[7] 문서 Monthly Newsletter of the Tylchyn Centralized Library System http://tulchlb.vn.ua[...]
[8] 웹사이트 KNU-history - Open University of Taras Shevchenko National University of Kyiv https://knu.edu.eu/k[...] 2022-05-17
[9] 문서 The history of Preparatory Faculty http://www.pfku.univ[...]
[10] 웹사이트 UPDATED: Buildings of Ukraine's largest university damaged in Russian drone attack on Kyiv https://kyivindepend[...] 2024-11-03
[11] 웹사이트 Taras Shevchenko National University of Kyiv https://www.timeshig[...] 2021-08-10
[12]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Emerging Europe & Central Asia https://www.topunive[...] 2023-01-15
[13] 웹사이트 Taras Shevchenko National University of Kyiv https://www.topunive[...]
[14] 웹사이트 Delovoy from 26.03.2009. University ranking 2009 http://www.dengi.ua/[...] 2010-05-06
[15] 웹사이트 Ranking by Compas http://www.yourcompa[...] 2010-05-06
[16] 웹사이트 Ranking by Scopus http://api.ning.com/[...] 2010-05-06
[17] 웹사이트 Новина тижня: Рейтинг Вищих навчальних закладів України та установ НАНУ http://uascientist.n[...] Ukrainian Scientists Worldwide 2010-05-06
[18] 문서 Top 6000 Universities // Webometrics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www.webometri[...]
[19] 웹사이트 Top Eastern Europe http://www.webometri[...] 2010-05-05
[20] 문서 University Ranking in Ukraine // Webometrics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www.webometri[...]
[21] 웹사이트 Подготовительное отделение http://www.pfku.univ[...] 2015-07-07
[22] 웹사이트 Створено Інститут права http://law.knu.ua/ua[...]
[23] 웹사이트 Astronomical Observatory of Kyiv National University named after Taras Shevchenko http://www.observ.un[...] 2015-07-07
[24] 웹사이트 Український гуманітарний ліцей http://www.uhl-edu.k[...] 2015-07-07
[25] 웹사이트 ЦЕНТР УКРАИНОВЕДЕНИЯ http://uaznavstvo.un[...] 2015-07-07
[26] 웹사이트 ICC http://icc.univ.kiev[...] 2015-07-07
[27] 웹사이트 Канівський природний заповідник http://kanivbiosfera[...] 2015-07-07
[28] 웹사이트 KNU OU http://univ.kiev.ua/[...] 2017-04-07
[29] 웹사이트 Maksymovych Scientific Library http://www.library.u[...] 2015-07-07
[30] 웹사이트 Мережева Академія Cisco :: Новини http://www.netacad.k[...] 2015-07-07
[31] 웹사이트 Science Park Kyiv National Taras Shevchenko University http://scp.univ.kiev[...] 2015-07-07
[32] 웹사이트 Науково-дослідна частина Київського університету http://science.univ.[...] 2015-07-07
[33] 웹사이트 Український фізико-математичний ліцей КНУ ім. Т. Шевченка http://www.upml.univ[...] 2015-07-07
[34] 문서 Відзнаки та нагороди http://www.kyivproe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