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네신 동위 원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네신의 동위 원소는 원자 번호 117인 테네신(Ts)의 다양한 핵종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291Ts, 292Ts, 293Ts, 294Ts의 네 가지 동위 원소가 발견되었으며, 293Ts와 294Ts는 각각 14ms와 78ms의 반감기를 갖는다. 테네신 동위 원소는 핵합성을 통해 생성되며, 알파 붕괴를 통해 붕괴한다. 이론적 계산에 따르면 테네신 동위 원소(289–303Ts)의 알파 붕괴 반감기는 약 0.1~40ms로 예측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탄소 동위 원소
탄소 동위원소는 양성자 수는 6개로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다른 탄소의 여러 형태로, 자연계에는 안정 동위원소인 탄소-12, 탄소-13과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가 존재하며, 각각 원자 질량 단위 기준, 핵자기 공명 분광법,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등에 활용되고 비율 분석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과거 환경 연구에 사용된다.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베릴륨 동위 원소
베릴륨 동위 원소는 자연계에 주로 존재하는 안정 동위원소 베릴륨-9와 방사성 동위원소로 구성되며, 베릴륨-7과 베릴륨-10은 우주선에 의해 생성되어 연구에 활용되고, 베릴륨은 안정 동위원소가 하나뿐인 특이한 원소이다.
테네신 동위 원소 | |
---|---|
동위 원소 정보 | |
원소 기호 | Ts |
NUBASE2020 참고 | 예 |
동위 원소 | mn: 293 sym: Ts ref: na: synth_link hl: 25ms dm1: a_link perc1: link1: moscovium-289 pn1: 289 ps1: Mc mn: 294 sym: Ts ref: na: synth hl: 51ms dm1: α perc1: link1: moscovium-290 pn1: 290 ps1: Mc |
자식 | no |
2. 동위 원소
테네신은 원자 번호 117번의 초악티늄족 원소로, 현재까지 293Ts와 294Ts 두 가지 동위 원소가 알려져 있다.[12] 이 두 동위 원소는 모두 매우 짧은 반감기를 가지며, 알파 붕괴를 통해 모스코븀 동위 원소로 붕괴한다.
2. 1. 핵종별 특성
핵종 | Z(p) | N(n) | 동위 원소 질량 (u) | 반감기 | 붕괴 방식 | 붕괴 생성물 | 핵 스핀 |
---|---|---|---|---|---|---|---|
291Ts | 117 | 174 | 291.20656(95)# | 0.97 ns | |||
292Ts | 117 | 175 | 292.20755(101)# | 1.0021 ns | |||
293Ts | 117 | 176 | 293.20824(89)# | 14 (+11, -4) ms[12] | α | 289Mc | |
294Ts | 117 | 177 | 294.21046(74)# | 78 (+370, -36) ms[12] | α | 290Mc |
2. 2. 발견 연표
동위 원소 | 발견 연도 | 반응 |
---|---|---|
294Ts | 2009 | 249Bk(48Ca, 3n) |
293Ts | 2009 | 249Bk(48Ca, 4n) |
이론적으로 다양한 표적-발사체 조합을 통해 테네신 동위 원소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표는 여러 조합에 대한 중성자 증발 채널에서의 단면적 수율 추정치를 나타내며, 예상 수율이 가장 높은 채널이 제시되어 있다.[7][8]
3. 핵합성
표적 발사체 CN 채널 (생성물) σmax 209Bi 82Se 291Ts 1n (290Ts) 15fb 209Bi 79Se 288Ts 1n (287Ts) 0.2pb 232Th 59Co 291Ts 2n (289Ts) 0.1pb 238U 55Mn 293Ts 2-3n (291Ts,290Ts) 70fb 244Pu 51V 295Ts 3n (292Ts) 0.6pb 248Cm 45Sc 293Ts 4n (289Ts) 2.9pb 246Cm 45Sc 291Ts 4n (287Ts) 1pb 249Bk 48Ca 297Ts 3n (294Ts) 2.1pb ; 3pb 247Bk 48Ca 295Ts 3n (292Ts) 0.8pb, 0.9pb
양자 터널링 모델을 사용한 이론적 계산과 거시적-미시적 모델의 질량 추정에 따르면, 테네신 동위 원소(289–303Ts)의 알파 붕괴 반감기는 약 0.1~40ms로 예측된다.[12]
3. 1. 이론적 계산
이론적 계산에 따르면, 다양한 표적-발사체 조합을 통해 테네신 동위 원소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표는 여러 조합에 대한 중성자 증발 채널에서의 단면적 수율 추정치를 나타낸다. 예상 수율이 가장 높은 채널이 제시되어 있다.[7][8]
표적 | 발사체 | CN | 채널 (생성물) | σmax |
---|---|---|---|---|
209Bi | 82Se | 291Ts | 1n (290Ts) | 15fb |
209Bi | 79Se | 288Ts | 1n (287Ts) | 0.2pb |
232Th | 59Co | 291Ts | 2n (289Ts) | 0.1pb |
238U | 55Mn | 293Ts | 2-3n (291Ts,290Ts) | 70fb |
244Pu | 51V | 295Ts | 3n (292Ts) | 0.6pb |
248Cm | 45Sc | 293Ts | 4n (289Ts) | 2.9pb |
246Cm | 45Sc | 291Ts | 4n (287Ts) | 1pb |
249Bk | 48Ca | 297Ts | 3n (294Ts) | 2.1pb ; 3pb |
247Bk | 48Ca | 295Ts | 3n (292Ts) | 0.8pb, 0.9pb |
양자 터널링 모델을 사용한 이론적 계산과 거시적-미시적 모델의 질량 추정에 따르면, 테네신 동위 원소(289–303Ts)의 알파 붕괴 반감기는 약 0.1~40ms로 예측된다.[12]
3. 1. 1. 증발 잔류 단면적
다음 표는 다양한 표적-발사체 조합을 통해 계산된 중성자 증발 채널에서의 단면적 수율 추정치를 나타낸다. 예상 수율이 가장 높은 채널이 제시되어 있다.DNS = 이핵 시스템; σ = 단면적
3. 1. 2. 붕괴 특성
양자 터널링 모델을 사용한 이론적 계산과 거시적-미시적 모델의 질량 추정을 통해 테네신 동위 원소(289–303Ts)의 알파 붕괴 반감기는 약 0.1~40ms로 예측된다.[12]핵종 기호 | Z(p) | N(n) | 동위 원소 질량 (u) | 반감기 | 붕괴 방식 | 붕괴 생성물 | 핵 스핀 |
---|---|---|---|---|---|---|---|
293Ts | 117 | 176 | 293.20824(89)# | 14 (+11, -4) ms | α | 289Mc | |
294Ts | 117 | 177 | 294.21046(74)# | 78 (+370, -36) ms | α | 290Mc |
참조
[1]
논문
"48Ca+249Bk Fusion Reaction Leading to Element Z=117: Long-Lived α-Decaying 270Db and Discovery of 266Lr"
http://journals.aps.[...]
[2]
논문
Experimental studies of the 249Bk + 48Ca reaction including decay properties and excitation function for isotopes of element 117, and discovery of the new isotope 277Mt
[3]
웹사이트
Tennessine – the 117th element
http://www.atominfo.[...]
[4]
웹사이트
Experiment setting on synthesis of superheavy nuclei in fusion-evaporation reactions. Preparation to synthesis of new element with Z=117
http://159.93.28.88/[...]
2009-07-07
[5]
웹사이트
Recommendations: 31st meeting, PAC for Nuclear Physics
http://www.jinr.ru/i[...]
2010-04-14
[6]
간행물
Walter Grenier: Recommendations
http://ftp.jinr.ru/S[...]
[7]
논문
Possible Way to Synthesize Superheavy Element Z = 117
[8]
논문
Production of heavy and superheavy nuclei in massive fusion reactions
[9]
논문
Predictions of alpha decay half lives of heavy and superheavy elements
[10]
논문
Search for long lived heaviest nuclei beyond the valley of stability
[11]
논문
"Nuclear half-lives for α -radioactivity of elements with 100 ≤ Z ≤ 130"
[12]
논문
Synthesis of a New Element with Atomic Number Z=117
http://prl.aps.org/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