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텔레마 사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레마 사원은 알레이스터 크롤리가 이탈리아 시칠리아에 설립한 공동체로, 프랑수아 라블레의 소설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에 등장하는 텔레마 수도원에서 이름을 따왔다. 크롤리는 이곳을 유토피아적 공동체이자 마법 학교로 만들고자 했으며, 학생들에게 자신의 진정한 의지를 발견하고 실현하도록 가르쳤다. 1923년 텔레마 사원에서 라울 러브데이의 사망 사건이 발생하면서 비윤리적인 활동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고, 베니토 무솔리니 정부는 크롤리에게 이탈리아를 떠날 것을 요구했다. 이후 텔레마 사원은 버려졌으며, 덴마크 예술가 요아킴 쾨스터의 작품에 영감을 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레르모도 - 우스티카
    우스티카는 물 공급이 제한적이고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는 섬으로, 바위 해안과 동굴이 특징이며 양봉꿀벌이 서식한다.
  • 이탈리아의 비밀결사 - 청년 이탈리아당
    주세페 마치니가 1831년 창설한 청년 이탈리아당은 이탈리아 통일과 공화정 수립을 목표로 민족주의와 공화주의를 결합한 사상으로 청년층의 지지를 얻었으며, 이후 이탈리아 공화당 형성에 영향을 주고 유럽 각국 및 아시아, 아프리카의 해방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
텔레마 사원
기본 정보
텔레마 사원, 2017년
텔레마 사원, 2017년
전체 이름체팔루에 있는 텔레마 사원
수도회A∴A∴
설립1920년
해체1923년
모원A∴A∴
봉헌 대상누이트
교회에클레시아 그노스티카 카톨리카
설립자알리스터 크롤리
위치체팔루, 이탈리아
잔존 유적교회당, 형제 및 의무실 일부
대중 접근가능
관련 인물
관련 인물알리스터 크롤리

2. 명칭

텔레마 사원의 명칭은 프랑수아 라블레의 풍자 소설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에서 차용되었다.[4][1] 소설 속 텔레마 수도원(Abbaye de Thélème)은 주민들이 "법, 규정, 규칙이 아닌, 그들 자신의 자유 의지와 즐거움에 따라" 사는 "반(反) 수도원"으로 묘사된다.[5][2] 알레이스터 크롤리는 이 이름을 붙이기 전에는 이 집을 빌라 산타 바르바라(Villa Santa Barbara)라고 불렀다.[6][1] '텔레마'는 그리스어 θέλημα(텔레마)에서 유래했으며, '의지'를 뜻하며 특히 텔레마에서는 신의 의지를 의미한다.

3. 목표

크롤리는 텔레마 사원을 이상적인 유토피아 공동체의 모델이자, "Collegium ad Spiritum Sanctum"(성령을 향한 대학)이라는 마법 학교로 만들고자 했다. 교육 과정은 A∴A∴의 훈련 과정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매일 태양 숭배, 크롤리의 저작 연구, 정기적인 요가 및 의식 수행, 가사 노동 등을 포함했다. 목표는 학생들이 자신의 진정한 의지를 발견하고 실현하는 위대한 작업에 헌신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크롤리는 텔레마 수도원을 통해 마법 훈련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수업료를 받고, 텔레마를 전 세계에 알리고 자신의 원고를 출판할 자금을 마련하려 했다.

4. 거주자

1923년 수도원에서 사망한 라울 러브데이(Raoul Loveday)


1923년, 옥스퍼드 학부생 라울 러브데이(Raoul Loveday, 또는 프레데릭 찰스 러브데이, Frederick Charles Loveday)가 텔레마 수도원에서 사망했다.[7] 그의 아내 베티 메이는 러브데이의 죽음을 크롤리의 의식(희생된 고양이의 피를 마시는 것을 포함했다는 주장) 탓으로 돌리거나, 오염된 샘물을 마셔 급성 장티푸스에 걸린 탓으로 보았다.[7] 그러나 로렌스 수틴과 리처드 카친스키 등의 크롤리 전기 작가들은 크롤리가 러브데이 부부에게 샘물을 마시지 말라고 경고했다고 주장한다.[7]

베티 메이는 런던으로 돌아가 타블로이드 신문인 《선데이 익스프레스》와 인터뷰를 통해 크롤리를 맹렬히 비난했다.[7] 이러한 소문과 텔레마 수도원에서의 비윤리적인 활동에 대한 의혹이 확산되면서, 베니토 무솔리니 정부는 1923년 크롤리에게 이탈리아를 떠날 것을 요구했다.[7] 크롤리가 떠난 후, 텔레마 수도원은 버려졌고, 지역 주민들은 크롤리의 벽화를 흰색으로 덧칠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러브데이의 죽음을 텔레마 수도원의 비윤리성과 위험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간주하며, 크롤리의 사상과 행적을 강하게 비판한다.

제인 울프는 알레이스터 크롤리의 세팔리에서 3년 동안 텔레마 훈련을 받으며, 크롤리의 시련을 견뎌내고 일정 경지에 도달했다. 텔레마 수도원에 머무는 동안 울프는 크롤리에 의해 A∴A∴에 입회하여 '소로르 에스타이'라는 마법명을 받았다. 그녀는 요가, 다라나, 프라나야마 등 다양한 수련을 하였고, 그 기록을 상세히 남겼다. 이 기록은 나중에 북캘리포니아 텔레마 대학에서 ''체팔루 일기''로 출판되었다. 울프는 이후 런던파리에서 크롤리의 개인 대리인으로 활동했다.

4. 1. 라울 러브데이

1923년, 옥스퍼드 학부생 라울 러브데이(Raoul Loveday, 또는 프레데릭 찰스 러브데이, Frederick Charles Loveday)가 텔레마 수도원에서 사망했다.[7] 그의 아내 베티 메이(Betty May)는 러브데이의 죽음을 크롤리의 의식(희생된 고양이의 피를 마시는 것을 포함했다는 주장) 탓으로 돌리거나, 오염된 샘물을 마셔 급성 장티푸스(enteric fever)에 걸린 탓으로 보았다.[7] 그러나 로렌스 수틴(Lawrence Sutin)과 리처드 카친스키(Richard Kaczynski) 등의 크롤리 전기 작가들은 크롤리가 러브데이 부부에게 샘물을 마시지 말라고 경고했다고 주장한다.[7]

베티 메이는 런던으로 돌아가 타블로이드 신문인 《선데이 익스프레스》(The Sunday Express)와 인터뷰를 통해 크롤리를 맹렬히 비난했다.[7] 이러한 소문과 텔레마 수도원에서의 비윤리적인 활동에 대한 의혹이 확산되면서, 베니토 무솔리니 정부는 1923년 크롤리에게 이탈리아를 떠날 것을 요구했다.[7] 크롤리가 떠난 후, 텔레마 수도원은 버려졌고, 지역 주민들은 크롤리의 벽화를 흰색으로 덧칠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러브데이의 죽음을 텔레마 수도원의 비윤리성과 위험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간주하며, 크롤리의 사상과 행적을 강하게 비판한다.

4. 2. 제인 울프

제인 울프는 알레이스터 크롤리의 세팔리에서 3년 동안 텔레마 훈련을 받으며, 크롤리의 시련을 견뎌내고 일정 경지에 도달했다. 텔레마 수도원에 머무는 동안 울프는 크롤리에 의해 A∴A∴에 입회하여 '소로르 에스타이'라는 마법명을 받았다. 그녀는 요가, 다라나, 프라나야마 등 다양한 수련을 하였고, 그 기록을 상세히 남겼다. 이 기록은 나중에 북캘리포니아 텔레마 대학에서 ''체팔루 일기''로 출판되었다. 울프는 이후 런던파리에서 크롤리의 개인 대리인으로 활동했다.

5. 대중문화

덴마크 예술가 요아킴 쾨스터는 텔레마 수도원을 촬영한 5개의 컬러 사진과 5개의 흑백 사진을 제작했으며, 이 사진들은 그의 작품 ''마법사들의 아침''(2005)을 구성한다.[3][8]

6. 갤러리



참조

[1] 서적 Aleister Crowley: The Nature of the Beast Aeon Books 2005
[2] 서적 La vie très horrifique du grand Gargantua, père de Pantagruel 1534
[3] 웹사이트 Joachim Koester - MoMA http://www.moma.org/[...]
[4] 서적 Nature of the Beast
[5] 서적 Gargantua and Pantagruel
[6] 간행물 Five Years' https://wehrhahn-ver[...] Wehrhahn Verlag 2011
[7] 문서 Magical Diaries of Aleister Crowley
[8] 웹인용 Joachim Koester - MoMA http://www.moma.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