템스 터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템스 터널은 19세기 초 템스강 양쪽을 연결하기 위해 건설된 세계 최초의 수저 터널이다. 1799년의 시도를 포함한 초기 실패를 딛고, 마크 브루넬이 개발한 쉴드 공법을 통해 1825년에 착공하여 1843년 일반에 개방되었다. 보행자 전용으로 사용되다 1865년 이스트 런던선에 편입되어 철도 터널로 전환되었으며, 2007년 이스트 런던선 연장 공사로 런던 오버그라운드의 일부가 되었다. 템스 터널은 토목 공학적 기술적 의의를 인정받아 국제 역사 토목 공학 랜드마크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브루넬 박물관과 함께 런던의 명소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템스 터널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템스 터널 |
종류 | 터널 |
위치 | 영국 런던 |
개통 | 1843년 3월 25일 |
길이 | 약 1,300 ft (약 396 m) |
폭 | 35 ft (11 m) |
높이 | 20 ft (6.1 m) |
깊이 | 75 ft (23 m) |
건설 기간 | 1825년 ~ 1843년 |
역사 | |
설계자 | 마크 이잠바르 브루넬과 아이잠바드 킹덤 브루넬 |
원래 용도 | 마차 통행 |
현재 용도 | 철도 (런던 지하철) |
중요 사건 | 세계 최초의 강 밑 터널 중 하나}} |
관련 박물관 | 브루넬 박물관 |
추가 정보 | |
참고 | 로더하이트와 워핑 연결 |
관련 링크 | 브루넬 박물관 - 템스 터널 |
2. 역사적 배경 및 건설
19세기 초, 템스강 양쪽의 부두가 확장되면서 강 북쪽과 남쪽을 잇는 새로운 육상 연결의 필요성이 커졌다. 1799년 랄프 도드가 그레이브센드와 틸버리 사이 터널 건설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3]
1805년부터 1809년까지 리처드 트레비딕을 포함한 콘월 광부들이 로더하이드와 와핑/라임하우스 사이 터널을 시도했지만, 부드러운 점토와 유사 (모래) 지반에 적응하지 못해 실패했다. 템스 아치웨이 프로젝트는 약 304.80m 굴착 후 파일럿 터널이 두 번 침수되면서 중단되었다.[4] 이 터널은 약 0.61m x 약 1.52m 크기로, 더 큰 터널의 배수구 역할을 할 예정이었다.[8] 이 실패로 엔지니어들은 지하 터널 건설은 불가능하다고 결론 내렸다.[5]
마크 브루넬은 1814년 러시아 제국의 알렉산드르 1세에게 네바강 아래 터널 건설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 그러나 1818년 1월, 토마스 코크란과 함께 혁신적인 터널 실드 공법 특허를 취득했다.[22] 이 공법은 굴착 시 붕괴 위험을 줄이는 기술이었다.[24]
1823년, 브루넬은 이 공법으로 로더하이드와 와핑 사이 터널 계획을 발표했다. 1824년 아서 웰즐리, 초대 웰링턴 공작 등의 투자로 템스 터널 회사가 설립되었고, 1825년 2월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4]
첫 단계는 로더하이드 남쪽 둑에 직경 약 15.24m의 수직갱을 건설하는 것이었다. 철제 링 위에 벽돌 벽을 쌓고 증기 기관을 설치한 후, 링 아래 흙을 제거해 갱을 가라앉혔다. 흙의 압력으로 갱이 멈추자, 추가 무게를 더하고 갱 하단을 넓게 만들어 해결했다. 1825년 11월, 수직갱이 완성되고 터널 굴착이 시작되었다.[4]
헨리 모들레이의 램버스 작업장에서 제작된 터널 실드는 12개 프레임과 36개 셀로 구성되어, 각 셀에서 작업자가 흙을 파내고 보드를 전진시키는 방식이었다. 벽돌공들은 뒤에서 벽을 만들었다.[6]
터널 작업은 주당 약 2.44m씩 느리게 진행되었고, 하수와 메탄 가스 누출 등으로 많은 작업자들이 병에 걸렸다. 1826년 4월, 존 암스트롱 (엔지니어)이 병에 걸리자 이삼바드 킹덤 브루넬이 20세 나이로 인계받았다. 1827년 5월 18일, 약 167.34m 지점에서 터널이 침수되었으나, 이삼바드 킹덤 브루넬이 잠수종으로 구멍을 수리하고 배수했다. 1828년 1월 12일, 다시 침수되어 6명이 사망했지만, 이삼바드 킹덤 브루넬은 살아남았다.[7]
1828년 8월부터 1834년까지 재정 문제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1834년 12월 재무부 대출로 재개되었다.[4] 1836년 3월, 개선된 새 실드가 설치되었고, 이후 홍수, 화재, 가스 누출에도 불구하고[8] 1841년 11월에 터널이 완공되었다. 1841~1842년 조명, 도로, 나선형 계단이 설치되었고, 1843년 3월 25일 공개되었다.[4]
2. 1. 초기 시도와 실패
19세기 초, 템스강 양쪽의 부두가 확장되면서 강 북쪽과 남쪽을 잇는 새로운 육상 연결의 필요성이 커졌다. 1799년 엔지니어 랄프 도드는 그레이브센드와 틸버리 사이 터널 건설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3]1805년부터 1809년까지 리처드 트레비딕을 포함한 콘월 광부들이 로더하이드와 와핑/라임하우스 사이의 강 상류에 터널을 뚫으려 했지만, 지반 조건이 좋지 않아 실패했다. 콘월 광부들은 단단한 암석 굴착에는 익숙했지만, 부드러운 점토와 유사 (모래)에 맞게 방법을 바꾸지 않았다. 이 템스 아치웨이 프로젝트는 약 304.80m 굴착했을 때 파일럿 터널(‘드리프트웨이’)이 두 번 침수되면서 중단되었다.[4] 터널 크기는 약 0.61m x 약 1.52m에 불과했으며, 더 큰 터널의 배수구 역할을 할 예정이었다.[8] 템스 아치웨이 프로젝트 실패로 엔지니어들은 "지하 터널은 실행 불가능하다"고 결론 내렸다.[5]
2. 2. 마크 브루넬의 등장과 쉴드 공법
마크 브루넬은 영국의 공학자로, 템스강 아래 터널 건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바꾸고자 했다. 1814년 러시아 제국의 알렉산드르 1세에게 상트페테르부르크 네바강 아래에 터널을 건설하는 계획을 제안했지만 거절당했다. 그러나 브루넬은 새로운 터널 공법 개발을 계속했다.[3]1818년 1월, 브루넬은 토마스 코크란과 함께 혁신적인 터널 실드 공법 특허를 취득했다.[22] 이 공법은 굴착 시 붕괴 위험을 줄이기 위해 아직 복공으로 덮이지 않은 전방 및 주변 지면을 지지하는 혁신적인 기술이었다.[24] 1823년, 브루넬은 이 공법을 사용하여 로더하이드와 와핑 사이를 연결하는 터널 계획을 발표했다. 아서 웰즐리, 초대 웰링턴 공작 등 개인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확보해 1824년 템스 터널 회사가 설립되었고, 1825년 2월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4]
2. 3. 템스 터널 건설 과정 (1825-1843)
19세기 초, 템스강 양쪽에서 발달하고 있던 부두를 연결하기 위해 강 북쪽과 남쪽을 잇는 새로운 교통 수단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1799년 엔지니어 랄프 도드는 그레이브센드와 틸버리를 잇는 터널 건설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3]1805년부터 1809년까지 리처드 트레비딕을 포함한 콘월 출신 광부들이 로더하이드와 와핑/라임하우스 사이의 강 상류에 터널을 뚫으려 했지만, 지반 조건이 어려워 실패했다. 콘월 광부들은 단단한 암석에 익숙했기 때문에 부드러운 점토와 유사(모래)에 맞게 방법을 수정하지 않았다. 이 템스 아치웨이 프로젝트는 약 0.30m 중 약 0.30m가 굴착되었을 때 파일럿 터널(‘드리프트웨이’)이 두 번이나 침수되면서 포기되었다.[4] 터널의 크기는 약 0.61m by 약 1.52m에 불과했으며, 승객용으로 더 큰 터널의 배수구 역할을 할 예정이었다.[8] 템스 아치웨이 프로젝트의 실패로 엔지니어들은 "지하 터널은 실행 불가능하다"고 결론 내렸다.[5]
영국-프랑스 엔지니어 마크 브루넬은 이러한 결론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1814년 그는 러시아 제국의 알렉산드르 1세에게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네바강 아래에 터널을 건설하는 계획을 제안했지만 거절되었고(대신 다리가 건설됨), 브루넬은 새로운 터널링 방법을 계속 개발했다.[3]
브루넬은 1818년 1월에 터널링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인 터널 실드의 특허를 받았다. 1823년 브루넬은 로더하이드와 와핑 사이의 터널 계획을 발표했는데, 이는 그의 새로운 실드를 사용하여 굴착될 예정이었다. 아서 웰즐리, 초대 웰링턴 공작을 포함한 개인 투자자들로부터 곧 자금이 확보되었고, 1824년에 템스 터널 회사가 설립되었으며, 프로젝트는 1825년 2월에 시작되었다.[4]
첫 번째 단계는 강둑에서 약 45.72m 떨어진 로더하이드의 남쪽 둑에 큰 수직갱을 건설하는 것이었다. 갱은 지상에서 직경 약 15.24m의 철제 링을 조립하여 굴착되었다. 이 링 위에 높이 약 12.19m에 두께 약 0.91m의 벽돌 벽이 건설되었으며, 굴착의 펌프를 구동하기 위해 강력한 증기 기관이 위에 설치되었다. 전체 장치의 무게는 약 1000톤으로 추정되었다.[3] 브루넬의 작업자들이 링의 날카로운 하단 가장자리 아래의 흙을 수동으로 제거했다. 따라서 전체 수직갱은 자체 무게에 의해 점차 가라앉아 부드러운 땅을 페이스트리 커터처럼 잘랐다.[4]
수직갱은 가라앉는 동안 한 지점에서 멈췄는데, 그 이유는 주변의 흙의 압력이 갱을 제자리에 단단히 고정했기 때문이었다. 갱의 하강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무게가 필요했다. 임시 무게로 50,000개의 벽돌이 추가되었다. 문제의 원인이 수직갱의 측면이 평행했기 때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몇 년 후 와핑 수직갱이 건설되었을 때, 갱의 바닥이 상단보다 약간 더 넓었다. 이 원통형이 아닌 테이퍼진 디자인은 갱이 멈추지 않도록 했다. 1825년 11월까지 로더하이드 수직갱이 제자리에 위치했고, 터널링 작업이 시작될 수 있었다.[4]
헨리 모들레이의 램버스 작업장에서 건설되어 로더하이드 수직갱에서 조립된 터널 실드는 브루넬의 템스 터널 건설의 핵심이었다.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는 그 작동 방식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이 거대한 굴착이 이루어진 방식은 실드라고 불리는 강력한 장치를 사용한 것이었다. 이 장치는 서가에 있는 책처럼 서로 가깝게 놓인 12개의 큰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 개의 층 또는 층으로 나뉘어 36개의 챔버 또는 셀을 제공하며, 각각 한 명의 작업자를 위한 공간이고 뒤쪽은 열려 있지만 앞쪽은 이동 가능한 보드로 닫혀 있다. 앞쪽은 제거할 흙에 대고, 작업자는 보드 하나를 제거한 후 그 뒤의 흙을 지시된 깊이까지 굴착하여 보드를 노출된 새로운 표면에 놓았다. 그런 다음 보드는 셀보다 앞서 있었고 지지대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었다. 이렇게 모든 보드로 진행한 후, 각 셀은 완성된 벽돌에 기대어 회전하여 빈 공간으로 밀어 넣는 두 개의 나사(하나는 머리에, 다른 하나는 발에 있음)에 의해 전진했다. 그런 다음 다른 세트의 분할이 전진했다. 광부들이 셀의 한쪽 끝에서 작업하는 동안, 벽돌공들은 다른 쪽에서 상단, 측면 및 하단을 형성했다.[6]
실드의 12개 프레임 각각의 무게는 7lt가 넘었다.[8] 터널 실드의 핵심 혁신은 붕괴 위험을 줄이기 위해 실드 앞과 주변의 비라이닝 지반을 지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브루넬 자신을 포함한 많은 작업자들이 상류의 강에서 스며드는 더러운 하수 처리된 물로 인해 발생한 열악한 조건으로 인해 곧 병에 걸렸다. 이 하수는 광부들의 오일 램프에 의해 점화된 메탄 가스를 방출했다. 주 거주 엔지니어인 존 암스트롱 (엔지니어)이 1826년 4월에 병에 걸리자 마크의 아들 이삼바드 킹덤 브루넬이 20세의 나이로 인계받았다.
작업은 느리게 진행되어 주당 약 2.44m밖에 진행되지 않았다. 터널에서 수입을 얻기 위해 회사의 이사들은 구경꾼들이 작동 중인 실드를 볼 수 있도록 허용했다. 그들은 구경에 대한 요금으로 1실링을 받았고 매일 약 600~800명의 방문객이 이 기회를 이용했다.
굴착은 위험했다. 1827년 5월 18일, 약 167.34m가 굴착된 후 터널이 갑자기 침수되었다.[4] 이삼바드 킹덤 브루넬은 보트에서 잠수종을 내려 강 바닥의 구멍을 수리하고, 터널 지붕의 구멍에 흙으로 채워진 자루를 던졌다. 수리 및 터널 배수 후 그는 터널 내부에서 연회를 열었다.
1828년 1월 12일, 터널이 다시 침수되면서 6명이 사망했다. 이는 동 미겔이 방문한 지 불과 4일 만의 일이었으며, 그는 곧 포르투갈 섭정이 되었다. 이사바드 킹덤 브루넬은 침수 사고에서 살아남은 것이 매우 운이 좋았다. 6명의 사망자들은 비상구는 잠겨 있다는 것을 알고 주 계단으로 향했다. 이사바드는 대신 잠긴 비상구로 향했다. 비미시라는 계약자가 그를 발견하고 문을 부쉈고, 의식을 잃은 이사바드는 밖으로 끌려 나와 소생되었다.[7] 그는 회복을 위해 브리스틀 인근의 브리스링턴으로 보내졌다. 그곳에서 그는 클리프턴 현수교 건설 경쟁에 대한 소식을 들었다.
재정 문제로 인해 1828년 8월부터 1834년까지 공사가 중단되었다.
1834년 12월, 마크 브루넬은 건설을 계속하기 위해 재무부로부터 247000GBP의 대출을 포함하여 충분한 자금을 모으는 데 성공했다.[4]
1835년 8월부터 녹슨 오래된 실드가 해체되고 제거되었다. 1836년 3월까지 개선되고 더 무거워진 새로운 실드가 제자리에 조립되었고 굴착이 재개되었다.[8]
1837년 8월 23일과 11월 3일, 1838년 3월 20일, 1840년 4월 3일에 있었던 추가적인 홍수[8], 화재, 메탄, 황화 수소 가스 누출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지만, 나머지 터널 공사는 5년 반이 더 걸려 1841년 11월에 완료되었다. 광범위한 지연과 반복되는 홍수로 인해 터널은 도시 유머의 대상이 되었다.
1841~1842년 동안 조명, 도로 및 나선형 계단이 설치되었다. 현재 브루넬 박물관이 있는 로더하이드 쪽의 엔진 하우스도 터널의 배수를 위한 기계를 수용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터널은 마침내 1843년 3월 25일에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었다.[4]
2. 4. 보행자 터널 시대 (1843-1865)
템스 터널은 개통 후 '세계 8대 불가사의'로 불릴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10] 매년 약 200만 명의 사람들이 1페니의 통행료를 내고 터널을 방문했으며, 대중가요의 소재로도 사용되었다.[10] 터널 내부는 상점, 오락 시설 등으로 꾸며져 있었으나, 매춘과 범죄가 발생하기도 했다.[11]미국의 여행가 윌리엄 앨런 드루는 터널을 "세계 8대 불가사의"라고 칭송했다.[10] 반면, 미국의 작가 너새니얼 호손은 1855년에 "가스등이 어둡게 비추는 끝없이 긴 아치형 복도"라고 묘사하며, "현재의 사용에 관한 한, 터널은 완전히 실패했다"라고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11]
2. 5. 철도 터널 시대 (1865-현재)
1865년 9월, 템스 터널은 이스트 런던선에 인수되었다. 이 회사는 와핑(이후 리버풀 스트리트 역)과 South London Line|사우스 런던선|영어 사이를 여객 및 화물 운송으로 연결하는 철도를 건설하기 위해 터널을 활용하려는 6개의 간선 철도 회사 컨소시엄이었다. 처음 설계 당시 마차 통과를 고려하여 넉넉하게 만들어진 터널 단면의 높이는 철도 차량을 통과시키기에도 충분한 차량 한계를 확보할 수 있었다.1869년 12월 7일, 터널을 통과하는 첫 번째 열차가 운행되었다.[22] 1884년에는 북쪽 기슭의 사용하지 않던 건설용 수직갱이 Wapping railway station|와핑역|영어으로 활용되었다.
이스트 런던 철도는 이후 런던 오버그라운드에 흡수되어 이스트 런던선이 되었다. 1962년까지 화물 운송도 이루어졌다. 지하철로 운행되던 당시 템스 터널은 지하철 구조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었다.
1995년, 이스트 런던선과 주빌리선 연장 구간 사이에 Canada Water station|캐나다 워터역|영어에서 교차로를 건설하기 위해 이스트 런던선을 일시 정지하고 터널의 장기 보수를 진행하게 되었다. 제안된 보수 공법은 누수 방지를 위해 Shotcrete|숏크리트|영어를 사용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원래 터널의 외관을 완전히 손상시키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작업을 저렴하고 빠르게 완료하려는 당국과 터널의 외관 보존을 원하는 건축 관계자들 사이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결국 1995년 3월 24일, 터널이 2등급 등록 건축물로 지정되면서 보존을 원하는 측이 승리했다.[29][30][31]
터널의 한쪽 끝 짧은 구간은 보수하지 않고, 나머지 구간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보수 공사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보수 공사는 예정보다 늦어진 1998년에 완료되어 사용이 재개되었다. 2007년 12월 23일, 이스트 런던선 연장 공사를 위해 다시 운행이 중단되었고, 선로 부설 및 신호 개선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연장 공사로 터널은 런던 오버그라운드의 일부가 되었다. 2010년 4월 27일, 운행이 재개되면서 다시 본선 열차가 다니게 되었다.
3. 기술적 의의와 영향
템스 터널 건설은 많은 기술자들이 지하 터널, 특히 수중 터널 건설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완수함으로써 수중 터널 건설이 가능하다는 것을 실제로 증명해 보였다.[4] 이는 이후 수십 년 동안 영국에서 런던의 타워 서브웨이, 세번 강 아래의 세번 터널, 머지 강 아래의 머지 철도 터널 등 여러 수중 터널이 건설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17]
마크 브루넬의 터널 쉴드(Tunnel Shield)는 제임스 헨리 그레이트헤드에 의해 더욱 개선되어 쉴드 공법 발전에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17]
1991년, 템스 터널은 미국 토목 기사 협회와 영국 토목 기사 협회에 의해 국제 역사 토목 공학 랜드마크로 지정되었다.[17] 또한, 1995년에는 건축학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II등급*으로 등재되었다.[4][15]
3. 1. 쉴드 공법의 발전
템스 터널 건설은 많은 엔지니어들이 지하 터널 건설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중 터널 건설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 그 후 수십 년 동안 영국에서는 런던의 타워 서브웨이, 세번 강 아래의 세번 터널, 머지 강 아래의 머지 철도 터널 등 여러 수중 터널이 건설되었다.[17]
마크 브루넬의 터널 쉴드는 제임스 헨리 그레이트헤드에 의해 더욱 개선되었으며, 그는 쉴드 공법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7]
1991년, 템스 터널은 미국 토목 기사 협회와 영국 토목 기사 협회에 의해 국제 역사 토목 공학 랜드마크로 지정되었다.[17]
3. 2. 국제적 영향 및 유산
1991년, 템스 터널은 미국 토목 기사 협회와 영국 토목 기사 협회에 의해 국제 역사 토목 공학 랜드마크로 지정되었다.[17] 1995년에는 건축학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II등급*으로 등재되었다.[4][15]템스 터널 건설은 이전의 회의론에도 불구하고 수중 터널 건설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후 영국에서는 런던의 타워 서브웨이, 세번 강 아래의 세번 터널, 머지 강 아래의 머지 철도 터널 등 여러 수중 터널이 건설되었다. 브루넬의 터널 쉴드는 제임스 헨리 그레이트헤드에 의해 더욱 개량되었다.
4. 현대의 템스 터널
1869년 이스트 런던 철도 회사에 인수되기 전까지 템스 터널은 보행자 통행로이자 관광 명소로 활용되었다. 연간 2백만 명의 사람들이 1페니를 내고 터널을 건넜으며, 대중가요의 소재로도 사용되었다.[10] 미국의 여행가 윌리엄 앨런 드루는 템스 터널을 "세계 8대 불가사의"라고 칭송하기도 했다.[10]
드루는 터널 내부를 지하 시장에 비유하며 가판대, 회전식 문, 대리석 계단, 가스등, 기념품 등을 상세히 묘사했다.[10] 그러나 터널은 매춘과 범죄의 온상으로 여겨지기도 했다.[11] 너새니얼 호손은 터널을 "완전히 실패"한 것으로 평가하기도 했다.[11]
1860년대에 철도 운행이 시작된 후, 터널의 수직 갱은 환기구로 사용되었고 계단은 철거되었다. 2011년에는 콘크리트 기초가 설치되었고 갱도 꼭대기에는 옥상 정원과 바(bar)가 건설되었다.[18] 2016년에는 갱도 접근 계단이 설치되어 150년 만에 처음으로 전시 공간으로 개방되었다.[19]
오늘날 로더하이데에 있는 브루넬 엔진 하우스는 브루넬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템스 터널은 보수 공사 등으로 인해 노선이 폐쇄될 때를 제외하고는 도보 통행이 불가능하다.[32][33][34]
4. 1. 브루넬 박물관
가까운 로더하이데에 있는 브루넬의 엔진 하우스(배수 펌프를 설치하기 위해 건설됨)는 브루넬 박물관으로 방문객에게 공개되어 있다.[18]원래 터널의 배수 펌프를 수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이 기계실은 현재 복원되어 enBrunel Museum|브루넬 박물관영어으로 운영되고 있다. 2007년 이스트 런던선이 대규모 개수 공사로 휴지되기 전까지는 박물관에서 터널을 통과하는 열차 투어를 실시했었다.
4. 2. 접근성과 활용
템스 터널은 훌륭한 토목 공학 기술을 보여줬지만, 재정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 터널 건설에는 초기 예상 비용을 훨씬 넘는 454000GBP가 들었고, 추가 설비에 180000GBP가 더 소요되었다.[3] 바퀴 달린 차량이 다닐 수 있도록 입구를 넓히는 계획은 비용 문제로 실패했고, 결국 보행자만 터널을 이용할 수 있었다.하지만 템스 터널은 연간 약 2백만 명이 방문하고, 1인당 1페니의 통행료를 받는 주요 관광 명소가 되었다.[10] 또한 대중가요의 소재로도 사용되었다.[10] 미국의 여행가 윌리엄 앨런 드루는 "터널을 방문하지 않고 런던에 가는 사람은 없다"고 말하며, 템스 터널을 "세계 8대 불가사의"라고 묘사했다.[10]

드루는 1851년에 터널을 직접 방문했을 때 "다소 실망했다"고 말했지만, 터널 내부를 지하 시장처럼 생생하게 묘사했다. 그는 와핑(Wapping) 건물 사이에 있는 팔각형 건물에서 시작하여, 지름 50피트의 원형 홀, 파란색과 흰색 대리석 모자이크 바닥, 신문, 팸플릿, 책, 과자, 맥주 등을 판매하는 가판대, 1페니를 내고 들어가는 황동 회전식 문, 긴 대리석 계단, 그림과 특이한 물건이 걸린 둥근 벽, 오르간 소리, 80피트 아래 템스 터널까지의 여정을 상세히 기록했다.[10] 특히 터널 내부는 가스등으로 밝게 빛나고, 두 개의 아름다운 아치, 14피트 폭과 22피트 높이의 도로, 3피트 폭의 보행자 통로, 50여 개의 가로 아치, 화려한 잡화점, 미소 짓는 여성 판매원, "템스 터널에서 구입"이라는 문구가 적힌 기념품 등으로 묘사했다.[10]
하지만 터널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있었다. 일부 사람들은 터널을 매춘부와 "터널 도둑"의 소굴로 여겼다.[11] 미국의 작가 너새니얼 호손은 1855년에 터널을 방문한 후, 가스등으로 희미하게 비춰지는 끝없이 긴 아치형 복도, 햇빛을 거의 보지 못하는 사람들, 잡다한 엉터리 상품을 파는 여성들을 언급하며 터널을 "완전히 실패"한 것으로 묘사했다.

1860년대에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을 때, 수직구(立坑)는 환기를 위해 사용되었다. 계단은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철거되었다. 2011년에 노선 개선 공사를 위해 폐쇄된 동안 콘크리트 기초가 수직구 바닥 부근, 선로 위쪽에 구축되었다. 이 공간은 증기 기관차에서 뿜어져 나온 매연으로 벽이 검게 그을렸지만, 현재는 좁은 입구와 발판을 통해 들어갈 수 있으며, 콘서트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수직구 꼭대기 부근에는 옥상 정원과 바(bar)가 건설되었다.[18] 2016년에는 입구 홀이 전시 공간으로 개장되었고, 150년 만에 처음으로 갱도 접근 계단이 설치되었다.[19]
오늘날에는 로더하이즈 근처의 브루넬 엔진 하우스(배수 펌프 설치를 위해 건설됨)가 en으로 개방되어 방문객을 맞이하고 있다.
템스 터널은 보수 공사 등으로 인해 노선이 폐쇄될 때를 제외하고는 도보 통행이 불가능하다.[32][33][34]
참조
[1]
웹사이트
The Thames Tunnel
http://www.brunel-mu[...]
Brunel Museum
2012-11-26
[2]
웹사이트
Tunnel Drilling, Old as Babylon, Now Becomes Safer
https://www.nytimes.[...]
2017-02-18
[3]
서적
Stories of Inventors and Discoverers in Science and the Useful Arts
Kent
1860
[4]
서적
London and the Thames Valley
Thomas Telford
2001
[5]
서적
Construction: Building the Impossible
The Oliver Press, Inc.
1999
[6]
뉴스
Illustrated London News
1843-03-25
[7]
서적
Isambard Kingdom Brunel: The Life of an Engineering Genius
Amberley Publishing
[8]
문서
"The Brunels' Tunnel"
2006
[9]
서적
Canti
1835
[10]
간행물
Glimpses and Gatherings During a Voyage and Visit to London and the Great Exhibition in the Summer of 1851
Homan & Manley
1852
[11]
간행물
The Cambridge Companion to Virginia Woolf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2]
뉴스
Railway And Other Companies, East London
1869-09-02
[13]
서적
Sir John Hawkshaw 1811-1891
http://www.lyrs.org.[...]
The Lancashire & Yorkshire Railway Society
2017-05-05
[14]
뉴스
The Great Bore in its time – a forgotten gem in ours
https://www.independ[...]
2017-09-15
[15]
웹사이트
Thames Tunnel
2009-08-08
[16]
학술
Last minute listing for Thames Tunnel
http://booksc.org/bo[...]
[17]
컨퍼런스
I. K. Brunel (1806-1859) and His Extensive British Civil Engineering Contributions: Video of the Life of Brunel
2012-04-26
[18]
웹사이트
Inside Brunel's Thames Tunnel Shaft
http://blogs.nature.[...]
2021-07-28
[19]
뉴스
Brunel's Thames tunnel (and accidental brothel) becomes new arts space
https://www.theguard[...]
2016-04-15
[20]
웹사이트
The Thames Tunnel
http://www.brunel-mu[...]
Brunel Museum
2012-11-26
[21]
서적
Stories of Inventors and Discoverers in Science and the Useful Arts
Kent
1860
[22]
서적
London and the Thames Valley
Thomas Telford
2001
[23]
서적
Construction: Building the Impossible
The Oliver Press, Inc.
1999
[24]
뉴스
Illustrated London News
1843-03-25
[25]
서적
図説日本と世界の土木遺産
秀和システム
[26]
문서
"The Brunels' Tunnel"
2006
[27]
간행물
Glimpses and Gatherings During a Voyage and Visit to London and the Great Exhibition in the Summer of 1851
Homan & Manley
1852
[28]
간행물
The Cambridge Companion to Virginia Woolf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9]
뉴스
The Great Bore in its time – a forgotten gem in ours
http://www.independe[...]
1995-03-22
[30]
웹사이트
2020-02-20
[31]
학술
Last minute listing for Thames Tunnel
http://booksc.org/bo[...]
[32]
웹사이트
The guide – things to do in London this weekend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3-12
[33]
웹사이트
Thames Tunnel Walkthrough and Fancy Fair
http://www.visitlond[...]
Visit London
2010-03-12
[34]
웹사이트
The Thames Tunnel Reopens!
http://www.creativeb[...]
Creative Boom London
2010-03-12
[35]
Londonist
Inside The Brunel Tunnel Shaft
http://londonist.com[...]
[36]
블로그
Inside Brunel’s Thames Tunnel Shaft : London Blog
http://blogs.nat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