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머스 블라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블라이는 1685년 태어난 영국의 군인으로, 중장 계급까지 진급했다. 그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멜레 전투 등 여러 전투에 참여했으며, 1758년 73세의 나이로 프랑스 해안 강습 작전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셰르부르 습격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그러나 생 카스 전투에서 병력의 많은 사상자를 낸 후 귀국하여 조지 2세의 냉대와 비판에 직면했다. 그의 군사적 업적과 생 카스 전투에서의 결과, 귀국 후의 대우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 육군 중장 - 헨리 클린턴 (1771년)
    헨리 클린턴은 해군 장교 후보생으로 시작해 육군으로 전향, 나폴레옹 전쟁과 반도 전쟁에서 공을 세우고 워털루 전투에서 제2사단을 지휘했으며, 보로브릿지 선거구의 의회 의원을 역임하고 더 버프스 연대의 대령을 맡은 영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다.
  • 영국 육군 중장 - 골웨이 백작 앙리 드 마스
    골웨이 백작 앙리 드 마스는 프랑스 출신으로 잉글랜드와 아일랜드에서 활동한 군인이자 외교관으로, 찰스 2세와의 협상, 윌리엄 3세 휘하 복무, 아일랜드 최고 사령관 역임 등의 활동을 했으며 오그림 전투 공훈으로 작위를 받았으나 알만사 전투 패배는 오점으로 남았다.
  • 미스주 출신 - 피어스 브로스넌
    피어스 브로스넌은 《레밍턴 스틸》의 주연으로 인지도를 얻고 5대 제임스 본드로 활약한 아일랜드-미국 배우이자 영화 제작자로, 유니세프 친선대사이자 환경 보호 운동가로도 활동한다.
  • 미스주 출신 - 올리버 플런켓
    올리버 플런켓은 17세기 아일랜드의 아르마 대주교이자 가톨릭 성인으로, 아일랜드 가톨릭 공동체 재건에 헌신했으나 구교도 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억울하게 처형당한 후 시성되었다.
  • 1775년 사망 - 존 해리슨
    존 해리슨은 영국의 시계 제작자로, 해상용 크로노미터(H4)를 발명하여 경도 문제 해결에 기여했으며,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장기간의 연구 끝에 정확한 경도 측정을 가능하게 했으나, 당시 과학계의 반대와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 1775년 사망 - 효의순황후
    효의순황후는 건륭제의 총애를 받은 후궁으로, 황귀비까지 올라 황후의 역할을 대행하며 가경제의 생모로서 사후 황후로 추존되었으나, 권력욕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있다.
토머스 블라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일1685년
사망일1775년
매장지애스보이, 미스, 아일랜드
군 복무
소속영국
복무 기간1740년-1758년
참전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멜레 전투
7년 전쟁
셰르부르 습격
생카스트 전투

2. 생애

블라이는 1685년 아일랜드 정치가인 토머스 블라이와 그의 아내 엘리자베스 니 네이피어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영국 군대에서 복무하며 중장까지 진급했고,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셰르부르 습격, 생 카스트 전투 등에 참전했다.[7] 귀국 후에는 조지 2세에게 냉대를 받는 등 많은 비판을 받았다.[5] 그는 아일랜드 래스모어 교회에 묻혔다.

2. 1. 군 경력

토머스 블라이는 영국 군대에서 오랜 기간 복무하며 중장 계급까지 진급했다.[2] 1745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당시 준장으로서 멜레 전투에서 연합군 지휘를 맡아 패잔병들을 안전하게 이끌었다.[7] 그는 데팅겐, 발, 퐁트네이, 멜 등지에서 전투에 참여했다.[2][3]

1758년, 73세의 나이로 프랑스 해안 강습 작전 지휘관에 임명되었다.[4]

2. 1. 1. 셰르부르 습격

1758년 8월, 블라이는 셰르부르 습격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도시의 요새를 점령하고 파괴했다.[7]

2. 1. 2. 생 카스트 전투

셰르부르 습격 이후, 블라이는 생말로로 이동했으나, 악천후와 브레스트에서 급히 추격해 온 프랑스군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 시점에 블라이는 병력의 일부만 승선시킨 상태였고,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병력을 배에 태우기 위해 후위 부대 작전을 펼쳐 시간을 벌어야 했다.[7] 생 카스트 전투에서 750명에서 1,000명에 달하는 사상자가 발생한 후에야 마침내 병력을 다시 배에 태울 수 있었다.[7] 이후 그들은 영국으로 귀환했다.[7]

이 전투에서 블라이의 결정은 논란을 야기했다. 귀국 후 블라이는 조지 2세에게 면담을 거부당하는 등 냉대를 받았으며, 모든 방면에서 격렬한 비판을 받았다.[8] 젊은 웨일스 공(훗날의 조지 3세) 등 극소수만이 블라이를 옹호했다.[9]

2. 2. 귀국 후

생 카스트 전투 이후 귀국한 블라이는 혹독한 비판에 직면했다.[5][8] 조지 2세는 블라이와의 면담을 거부하며 냉대했으며, 이는 당시 큰 모욕으로 여겨졌다.[5][8]

블라이를 옹호한 이는 젊은 웨일스 공(훗날의 조지 3세) 등 극소수였다.[6][9] 웨일스 공은 뉴캐슬 공작 수상과 그의 동맹인 윌리엄 피트가 블라이를 변호하지 않은 것을 질책하기도 했다.[6][9]

3. 평가

블라이의 군사적 업적과 리더십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셰르부르 습격의 성공은 인정받지만, 생 카스트 전투에서의 대규모 사상자 발생은 비판의 대상이 된다.[7][4] 셰르부르 습격에서 요새를 점령하고 파괴하는 성과를 올렸으나, 생 카스트 전투에서는 750명에서 1,000명에 달하는 사상자를 냈다.[7][4]

귀국 후 블라이는 조지 2세에게 냉대를 받았고, 각계의 비판에 직면해야 했다.[8][5] 조지 2세는 블라이와의 면담을 거부하며 그에게 큰 모욕을 주었다.[5] 이러한 상황에서 블라이를 옹호한 인물은 훗날 조지 3세가 되는 젊은 웨일스 공 등 극소수였다.[9][6] 웨일스 공뉴캐슬 공작 수상과 윌리엄 피트가 블라이를 변호하지 않은 것을 질책하기도 했다.[9][6]

당시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블라이에 대한 평가가 더욱 박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4. 참고 문헌


  • 프레드 앤더슨, ''전쟁의 도가니: 7년 전쟁과 영국 북아메리카 제국의 운명, 1754–1766'' (페이버 앤 페이버, 2001)
  • Anderson, Fred. ''Crucible of War: The Seven Years' War and the Fate of Empire in British North America, 1754-1766'' (Faber and Faber, 2001)

참조

[1] 웹사이트 Vol. 7: The peerage of England : containing a genealogical and historical account of all the peers of that kingdom, now existing, either by tenure, summons, or creation, their descents and collateral lines, their births, marriages and issues, famous actions both in war and peaces, religious and charitable donations, deaths, places of burial, monuments, epitaphs, and many valuable memoirs never before printed : also their paternal coats of arms, crests, supporters and mottoes, curiously engraved on copper-plates / collected from records, old wills, authentic manuscripts, our most approved historians, and other authorities, which are cited by Arthur Collins, esq.; in eight volumes http://archive.org/d[...] Printed for W. Strahan, J.F. and C. Rivington, J. Hinton, T. Payne, W. Owen, S. Crowder, T. Caslon, T. Longman, C. Rivington, C. Dilly, J. Robson, T. Lowndes, G. Robinson, T. Cadell, H.L. Gardner, W. Davis, J. Nichols, T. Evans, J. Bew, R. Baldwin, J. Almon, J. Murray, W. Fox, J. White, Fielding and Walker, T. Beecroft, J. Donaldson, M. Folingsby 1779-02-05
[2] 웹사이트 The Peerage of Ireland, Or, A Genealogical History of the Present Nobility of that Kingdom: With Their Paternal Coats of Arms, Engraven on Copper : Collected from the Publick Records; Authentic Manuscripts; Approved Historians; Well-attested Pedigrees; and Personal Information https://books.google[...] William Johnston, bookseller, in St. Paul's Church-Yard 1754-02-05
[3] 웹사이트 Rathmore (Meath) – Topographical Dictionary of Ireland (1837) https://www.libraryi[...]
[4] 문서 Anderson p.302-03
[5] 문서 Anderson p.304
[6] 문서 Anderson p.477
[7] 문서 Anderson p.302-03
[8] 문서 Anderson p.304
[9] 문서 Anderson p.4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