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머스 커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커티스는 1896년 아테네 올림픽에 참가한 미국의 육상 선수이다.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전자공학 전공 학생이자 보스턴 육상 경기 협회 회원이었던 그는 100m 예선에서 결승에 진출했으나 110m 허들 출전을 위해 기권했다. 110m 허들 결승에서 영국 선수 그랜틀리 골딩과 대결하여 17.6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은퇴 후에는 전자 공학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194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그리스계 해운업 거물의 아들로 MIT 미디어랩 공동 설립자이자 소장을 역임한 컴퓨터 과학자 니콜라스 네그로폰테는 "건축 기계" 개념 구상,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연구 선도, "데일리 미" 개념 제시, 『디지털의 미래』 저술, OLPC 프로젝트 주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나, MIT 미디어랩의 제프리 엡스타인 기금 수령 관련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 MIT 미디어 랩
    MIT 미디어 랩은 니콜라스 네그로폰테와 제롬 위즈너가 설립한 MIT 내 학제간 연구소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인공지능, 교육, 예술,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레고 마인드스톰,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언어 등 다양한 결과물을 배출했지만 제프리 엡스타인 스캔들과 같은 논란도 있었다.
  • 미국의 남자 허들 선수 - 데릭 애드킨스
    데릭 애드킨스는 400m 허들에서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금메달, 유니버시아드 2회 우승, 미국 육상 선수권 2회 우승을 차지한 미국의 육상 선수이다.
  • 미국의 남자 허들 선수 - 앨런 존슨
    앨런 존슨은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활동한 미국의 110m 허들 육상 선수로,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금메달과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4회 우승 등 세계적인 기록을 보유했으며, 은퇴 후 코치로 활동했다.
  • 1896년 하계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에드윈 플랙
    1896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800m와 1500m 금메달을 획득한 호주 육상 선수 에드윈 플랙은 회계사로도 활동하며 오스트레일리아 올림픽 위원회 활동에도 참여했고 그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사업이 진행되는 등 호주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896년 하계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프랑츠 레셸
    프랑츠 레셸은 프랑스의 스포츠 선수, 행정가, 언론인으로서, 육상 챔피언십 우승, 올림픽 럭비 금메달 획득, 프랑스 권투 연맹 및 국제 하키 연맹 설립 기여, 파리 올림픽 조직위원회 주도, 국제 스포츠 언론 협회 공동 설립 및 초대 회장 역임, 그리고 윌버 라이트 비행 최초 취재 등 다방면에서 활약했다.
토머스 커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토머스 펠햄 "톰" 커티스
원어 이름Thomas Pelham "Tom" Curtis
출생일1873년 1월 9일
출생지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미국
사망일1944년 5월 23일
사망지나한트, 매사추세츠, 미국
5 피트 9 인치
몸무게146 파운드
국적미국
스포츠 정보
종목단거리
세부 종목100m, 110m 허들
메달 정보
메달 템플릿
}}

금메달1896 아테네 남자 110m 허들
기타 정보

2. 1896년 아테네 올림픽

1896년 아테네 올림픽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하던 중 보스턴 육상 경기 협회 회원으로서 참가했다.[1] 커티스는 100m 달리기와 110m 허들 경기에 출전하여, 100m 경기에서는 예선을 통과했지만 110m 허들 경기에 집중하기 위해 결승을 기권했다. 110m 허들에서는 영국의 그랜트리 골딩과의 일대일 경기에서 접전 끝에 금메달을 획득했다.[1]

2. 1. 100m 달리기

커티스는 100m 예선 2조에 출전하여 12.2초의 기록으로 결승 진출을 확정지었다.[1] 그러나 같은 날 예정된 주 종목인 110m 허들 경기에 집중하기 위해 결승을 기권했다.[1]

2. 2. 110m 허들

110m 허들은 예선을 통과한 2명의 선수에 의해 진행될 예정이었지만, 프랑스의 프란츠 리페르가 동료의 마라톤 경기 보조를 위해 기권했고, 미국의 웰스 호이트가 장대높이뛰기 출전 준비를 위해 기권했다.[1] 이로 인해 영국의 그랜트리 골딩과의 일대일 승부가 성사되었다.[1] 경기는 시작 직후부터 커티스가 근소하게 앞서 나갔지만, 첫 번째 허들에서 골딩이 따라붙었고, 마지막 허들을 넘을 때는 골딩이 앞서 있었다.[1] 그러나 커티스가 몸을 던져 겨우 5cm 차이로 우승을 거머쥐며 17.6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1]

3. 생애

1896년 하계 올림픽 첫날, 커티스는 100m 예선에서 12.2초로 결승에 진출했으나, 주 종목인 110m 허들에 집중하기 위해 기권했다.[1] 110m 허들 결승은 프랑스의 프란츠 리페르(Franz Riffel)와 미국웰스 호이트(Wells Hoyt)가 기권하면서 영국의 그랜트리 골딩(Grantley Golding)과의 일대일 경기로 진행되었다.[1] 경기 초반에는 커티스가 앞섰으나, 골딩이 따라붙어 마지막 허들에서는 골딩이 앞섰다. 그러나 커티스가 몸을 던져 5cm 차이로 우승, 17.6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1]

3. 1. 선수 경력 이전

커티스는 1896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하던 중 보스턴 육상 경기 협회(Boston Athletic Association) 회원으로서 아테네 올림픽에 참가했다.[1]

3. 2. 선수 경력 이후

커티스는 은퇴 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전공한 전자 공학 분야에서 활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44년 5월 23일,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Olympics Statistics: Thomas Curtis https://web.archive.[...] 2012-10-04
[2] 웹사이트 Thomas Curtis Olympic Results https://web.archive.[...] 2012-10-04
[3] 웹사이트 Massachusetts Militia Soldier was an Olympic pioneer https://www.national[...] 2019-06-09
[4] 서적 Catalogue of the Officers and Students of Columbia College, for the Year ... https://books.google[...] D. Van Nostrand 1889
[5] 웹사이트 Ivies in Athens Recap (1896) https://ivyleague.co[...] 2022-06-12
[6] 웹사이트 COLUMBIA'S OLYMPIC HISTORY https://gocolumbiali[...] 2022-06-12
[7] 웹사이트 Thomas Curtis https://www.olympedi[...] 2020-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