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비아스 아서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비아스 아서르(Tobias Michael Carel Asser, 1838–1913)는 네덜란드의 법학자이자 국제법 분야의 선구자였다. 그는 암스테르담 대학교 법학 교수였으며, 국제법 및 비교법률 평론을 공동 창간하고 국제법 연구소를 공동 설립했다. 아서르는 헤이그 국제사법 회의(HCCH)의 제1차 외교 회의를 소집하고 의장으로 활동하며, 헤이그 협약 개발에 기여했다. 또한, 1899년과 1907년 헤이그 평화 회의에 네덜란드 대표로 참석하여 상설 중재 재판소 설립에 기여했으며, 1911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그의 이름을 딴 T.M.C. 아서르 연구소가 헤이그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국제법학자 - 후고 그로티우스
    후고 그로티우스는 국제법의 아버지로 불리며, 자연법에 기초한 국제법을 주창하고 《전쟁과 평화의 법》 등의 저서를 통해 전쟁의 정당한 이유와 바다의 자유로운 이용을 주장했다.
  • 네덜란드의 법학자 - 드리스 판 아흐트
    드리스 판 아흐트는 네덜란드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1977년부터 1982년까지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했으며, 법학 박사 학위 취득 후 변호사, 정부 관료, 하원 의원, 법무장관, 부총리, 기독교민주당 대표, 노르트브라반트 주지사, 유럽 연합 대사를 역임했고, 정계 은퇴 후에는 중동 문제 비판적 활동을 하다 2024년 사망했다.
  • 네덜란드의 법학자 - 피터르 슈르츠 헤르브란디
    피터르 슈르츠 헤르브란디는 네덜란드의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 정부의 총리를 지냈으며, 법조인 출신으로 반혁명당 소속 지방 의회 의원과 법무부 장관을 거쳐 망명 정부에서 총리, 법무부 장관, 식민부 장관을 겸임하며 연합국의 일원으로 대독일전에 참여했고, 전후 네덜란드 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다 은퇴 후 국무장관이 되었다.
  • 유대계 네덜란드인 - 바뤼흐 스피노자
    바뤼흐 스피노자는 네덜란드의 철학자로, 일원론적 범신론, 코나투스 개념, 심신평행론을 특징으로 하는 철학을 펼쳤으며 《에티카》, 《신학정치론》 등의 저서를 통해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유대계 네덜란드인 - 마르고트 프랑크
    마르고트 프랑크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출신의 유대인으로, 나치의 박해를 피해 암스테르담으로 이주하여 은신 생활을 하다 발각되어 강제 수용소에서 티푸스로 사망했으며, 홀로코스트의 비극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토비아스 아서르
기본 정보
1911년의 토비아스 아서르
1911년의 토비아스 아서르
출생 이름토비아스 미헬 카럴 아서르
출생일1838년 4월 28일
출생지암스테르담, 네덜란드
사망일1913년 7월 29일
사망지덴・하흐, 네덜란드
국적네덜란드
배우자1864년 요하나 에르네스티나 아서르와 결혼
부모아버지 카럴 다니ël 아서르 시니어, 어머니 로세테 고데프로이
학력
모교암스테르담 대학교, 레이던 대학교 (철학 박사)
박사 학위 논문 제목네덜란드 외교 관계 행정에 관한 네덜란드 국가 권리 원칙의 역사
박사 학위 논문 연도1860년
지도 교수시몬 비세링
경력
직업변호사, 학자
근무지암스테르담 대학교
알려진 업적상설중재재판소 설립자
수상
수상 내역노벨 평화상 (1911년)
학문 분야
분야국제 공법, 국제 사법

2. 생애

토비아스 미하엘 카렐 아서르는 1838년 4월 28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2] 그는 카렐 다니엘 아서르(1813–1885)의 아들이자 카렐 아서르 (1780–1836)의 손자였다. 암스테르담 대학교와 라이덴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며, 이후 암스테르담 대학교의 법학 교수가 되었다.

2. 1. 학문적 업적

아서르는 존 웨스트레이크, 구스타브 롤린-자케민스와 함께 ''국제법 및 비교법률 평론''을 공동 창간했다. 그는 1873년에 국제법 연구소를[3] 공동 설립했고, 1880년에는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4]

3. 헤이그 국제사법 회의

아세르는 1893년 국제사법 분야의 세계적인 기구인 헤이그 국제사법 회의(HCCH)의 제1차 외교 회의를 소집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벨기에,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러시아, 스페인, 스위스가 참여했다. 아세르는 이 회의의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이후 1894년, 1900년, 1904년에 열린 회의에서도 의장을 맡았다.

1911년, 아세르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1911년 12월 10일 시상식 연설에서, 노벨 위원회 의장 요르겐 군나르손 뢰브란은 아세르가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이유로 국제사법 분야에서의 업적과 HCCH 설립에 기여한 점을 강조하며, 아세르를 "17세기에 네덜란드가 국제법 분야에서 이룩한 선구적인 업적의 계승자 또는 부활자", 즉 당시의 휴고 그로티우스라고 묘사했다.

3. 1. 헤이그 협약

아세르는 국제사법 분야의 선구적인 법학자였으며, 국경을 넘나드는 사적 관계를 규율하는 건전한 법적 틀이 평화와 안정을 증진할 것이라고 굳게 믿었다. 1893년, 아세르는 국제사법 분야의 세계적인 기구인 헤이그 국제사법 회의(HCCH)의 제1차 외교 회의를 소집했다. 참여 국가는 오스트리아-헝가리, 벨기에,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러시아, 스페인, 스위스였다. 아세르는 이 회의의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1894년, 1900년, 1904년에 각각 열린 제2차부터 제4차 회의에서도 재선출되었다. 그의 지도 아래, HCCH는 결혼 (1902년), 이혼 (1902년), 후견 (1902년), 민사 소송 (1905년), 결혼의 효력 (1905년), 시민권 박탈 (1905년) 분야에서 국제사법 규칙을 통일하는 여러 다자 조약인 헤이그 협약을 개발했다.

4. 헤이그 평화 회의

그는 1899년과 1907년 두 차례의 헤이그 평화 회의에 네덜란드 대표로 참석하여, 경제 분야에 강제 중재 원칙을 도입할 것을 촉구했으며[6], 국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최초의 국제 기구인 상설 중재 재판소 설립에 기여했다.[3]

5. 상설 중재 재판소

그는 1899년과 1907년 두 차례의 헤이그 평화 회의에 네덜란드 대표로 참석하여 경제 분야에 강제 중재 원칙을 도입할 것을 촉구했으며[6], 국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최초의 국제 기구인 상설 중재 재판소 설립에 기여했다.[3]

1902년, 그는 헤이그 평화 회의 (1899년)의 결과로 설립된 상설 중재 재판소의 후원 하에 두 국가가 제기한 국제 분쟁을 심리하는 최초의 중재 위원회에 참여했다. ( 캘리포니아의 경건 기금 사건[7])

6. 노벨 평화상

1911년, 아세르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1911년 12월 10일 시상식 연설에서, 노벨 위원회 의장 요르겐 군나르손 뢰브란은 아세르가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이유로, 특히 국제사법 분야에서의 업적과 헤이그 국제사법 회의(HCCH) 설립에 기여한 점을 강조하며, 아세르를 "17세기에 네덜란드가 국제법 분야에서 이룩한 선구적인 업적의 계승자 또는 부활자", 즉 당시의 휴고 그로티우스라고 묘사했다.

7. 사망과 유산

1902년, 그는 헤이그 평화 회의 (1899년)의 결과로 설립된 상설 중재 재판소의 후원 하에 두 국가가 제기한 국제 분쟁을 심리하는 최초의 중재 위원회에 참여했다. ( 캘리포니아의 경건 기금 사건[7]). 그는 또한 1923년에 설립된 헤이그 국제법 아카데미의 설립에도 관여했지만, 이를 직접 보지는 못했다.[3]

아서르는 1913년 7월 29일 헤이그에서 사망했다.

사법 및 공법, 유럽법 및 국제 상업 중재 분야의 연구소는 토비아스 미하엘 카렐 아서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곳은 네덜란드 헤이그에 위치한 T.M.C. 아서르 연구소(T.M.C. Asser Instituut)이다.

참조

[1] 간행물 In quest of liberty, justice, and peace: a new biography on Asser’s private and public life https://www.asser.nl[...] Asser Institute 2023-07-22
[2] 웹사이트 Asser, Tobias Michel Karel (1838–1913) http://www.inghist.n[...] 2015-05-05
[3] 논문 In Memoriam: T. M. C. Asser 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1914-04
[4] 웹사이트 Tobias Michaël Carel Asser (1838–1913)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07-26
[5] 웹사이트 Tobias Asser – Facts https://www.nobelpri[...] 2017-11-03
[6] 웹사이트 Busts {{!}} PCA-CPA https://pca-cpa.org/[...] 2024-12-13
[7] 웹사이트 Cases {{!}} PCA-CPA https://pca-cpa.org/[...] 2024-12-13
[8] 웹사이트 Tobias M.C. Asser https://www.asser.nl[...] 2022-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