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톨미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톨미데스는 톨마이오스의 아들로, 기원전 455년부터 기원전 447년까지 활동한 아테네의 군사 지도자이다. 기원전 455년 펠로폰네소스 원정을 이끌어 기테이온을 공격하고, 자킨토스와 케파레니아를 우방으로 삼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기원전 453년에는 에우보이아섬과 낙소스 섬을 점령하여 아테네 시민에게 토지를 분배했으며, 기원전 447년 보이오티아 침공 중 코로네이아 전투에서 패배하여 전사했다. 코로네이아 전투의 패배는 아테네의 보이오티아 지배권을 상실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47년 사망 - 채후 제
    채후 제는 채나라의 마지막 군주로 채 원후의 뒤를 이었으나 초나라 혜왕의 침략으로 채나라가 멸망하며 초나라 영윤 자발에 의해 포로로 잡혀 죽었고, 그의 죽음으로 채나라는 멸망했다.
  • 아테나이의 제독 - 테미스토클레스
    테미스토클레스는 기원전 5세기 아테나이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살라미스 해전의 승리를 통해 페르시아 전쟁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아테나이 해군력 강화에 기여했으나, 도편추방 후 페르시아로 망명하여 생을 마감한 논쟁적인 인물이다.
  • 아테나이의 제독 - 키몬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장군이자 정치가인 키몬은 살라미스 해전에서의 활약과 델로스 동맹의 지휘로 페르시아 세력 축출에 기여했으며, 도편 추방 후 복귀하여 스파르타와의 휴전 성사 및 키프로스 원정 중 사망, 그의 업적은 아테네 재건에 공헌했다.
  • 아테나이의 장군 - 알키비아데스
    알키비아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활약한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뛰어난 능력과 파란만장한 생애로 인해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아테나이의 장군 - 투키디데스
    투키디데스는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역사가이자 장군으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집필을 위해 망명 생활을 했으며, 그의 책은 객관적인 서술과 정치적 통찰력으로 후대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톨미데스
기본 정보
이름톨미데스
로마자 표기Tolmides
그리스어Τολμίδης
생몰년도기원전 5세기
활동 시기기원전 450년대
군사 경력
소속 국가아테네
복무아테네 해군
계급장군
주요 전투제1차 펠로폰네소스 전쟁
에우보이아 원정
보이오티아 원정

2. 생애

톨미데스는 톨마이오스의 아들로, 기원전 455년경부터 기원전 447년까지 주로 활동하였다. 그는 펠로폰네소스반도 원정과 에우보이아 및 낙소스 섬 원정을 이끌었으며, 코로네이아 전투에서 전사했다.

2. 1. 펠로폰네소스 원정 (기원전 455년)

기원전 455년, 톨미데스는 아테네인들에게 펠로폰네소스반도를 일주하며 약탈할 것을 제안했고, 이는 받아들여졌다. 그는 4000명의 중장보병을 50척의 삼단노선에 태우고 출항했다. 톨미데스는 메시니아에 있는 메테네를 점령하려 했으나, 스파르타 군의 도착으로 물러나야 했다.[17] 스파르타의 주요 외항 귀테이온 항구를 기습하여 조선소를 불태웠고,[18] 카루키스, 보이아이, 키테라섬을 차례로 점령했다. 시키온에 상륙하여 맞서 온 시키온 군을 격파하고 시내로 몰아넣었으며,[19] 이오니아해에 있는 섬인 자퀸토스와 케파레니아를 우방으로 삼고, 나우파크토스를 점령하여 스파르타에 반란을 일으켰지만 패했던 메세니아 사람들을 살게 했다. 이러한 성과를 올린 후 톨미데스는 아테네로 돌아갔다.

2. 2. 에우보이아 및 낙소스 원정 (기원전 453년)

기원전 453년, 톨미데스는 에우보이아섬과 낙소스 섬을 탈환하고 아테네 시민 1000명에게 토지를 분배했다.[17]

2. 3. 보이오티아 원정과 코로네이아 전투 (기원전 447년)

기원전 447년, 보이오티아가 아테네에 반란을 일으키자 톨미데스는 아테네 군 1000명과 동맹군을 이끌고 보이오티아를 침공했다.[17] 그는 카이로네이아를 함락시켰지만, 코로네이아에서 보이오티아, 로크리스, 에우보이아 연합군의 습격을 받아 패배하고 전사했다.[17]코로네이아 전투의 패배로 아테네는 보이오티아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했다.[17]

참조

[1] 서적 The Classical Greeks Guild Publishing London 1989
[2] 간행물 Diodorus xi. 84
[3] 간행물 Pausanias 1.27.5
[4] 간행물 Diodorus xi. 84
[5] 간행물 Thucydides 1.108.5
[6] 간행물 Diodorus xi. 84
[7] 간행물 Pausanias 1.27.5
[8] 간행물 Pausanias 1.27.5
[9] 간행물 Pausanias 1.27.5
[10] 간행물 トゥキュディデス, I. 108
[11] 간행물 ディオドロス, XI. 84
[12] 간행물 パウサニアス, I. 27. 5
[13] 간행물 ディオドロス, XI. 88
[14] 간행물 トゥキュディデス, I. 113
[15] 간행물 ディオドロス, XII. 6
[16] 서적 The Classical Greeks Guild Publishing London 1989
[17] 간행물 디오도로스, xi. 84
[18] 간행물 파우사니아스, 1.27.5
[19] 간행물 파우사니아스, 1.27.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