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확대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상확대법은 1962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관세 인하 및 철폐를 위해 제정된 법으로,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의 케네디 라운드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법은 기존 관세의 50% 삭감, 5% 이하 관세 철폐, 80% 품목 관세 철폐 등을 골자로 했지만, 프랑스의 반대로 80% 품목 철폐 조항은 유명무실해졌다. 이후 이 법의 232조를 근거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에 대한 관세를 부과했으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수입에 대한 조사도 진행했다. 232조는 상무부가 특정 제품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대통령에게 조치 권고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며, 트럼프 행정부에서 이 조항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2년 국제 관계 - 쿠바 미사일 위기
쿠바 미사일 위기는 1962년 10월 소련이 쿠바에 핵미사일을 배치하려 하자 미국과 소련 간에 벌어진 군사적 대립 사건으로, 핵전쟁 직전까지 긴장이 고조되었으나 소련의 미사일 철수와 미국의 터키 미사일 철수 합의로 해소되었으며 냉전 시대 가장 위험한 순간 중 하나로 기록되어 미소 간 군비 통제 협상에 영향을 미쳤다. - 1962년 국제 관계 - 1962년 알제리 독립 국민투표
1962년 알제리 독립 국민투표는 알제리가 프랑스와의 협상 끝에 독립국이 되기를 원하는지 묻는 투표였으며, 99.72%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알제리가 독립을 쟁취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1962년 10월 - 제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57년 제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조국전선의 압승으로 끝났으며, 특히 조선로동당이 압도적인 의석을 확보했고 김일성의 출마는 체제 유지를 위한 정치적 상징으로 해석된다. - 1962년 10월 - 쿠바 미사일 위기
쿠바 미사일 위기는 1962년 10월 소련이 쿠바에 핵미사일을 배치하려 하자 미국과 소련 간에 벌어진 군사적 대립 사건으로, 핵전쟁 직전까지 긴장이 고조되었으나 소련의 미사일 철수와 미국의 터키 미사일 철수 합의로 해소되었으며 냉전 시대 가장 위험한 순간 중 하나로 기록되어 미소 간 군비 통제 협상에 영향을 미쳤다. - 존 F. 케네디 행정부 -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은 1955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벌어진 냉전 시대의 대리전으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간의 갈등에 소련, 중국, 미국 등이 개입하여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하고 반전 운동을 촉발하며 북베트남의 승리로 끝났다. - 존 F. 케네디 행정부 - 나는 베를린 사람입니다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이 1963년 서베를린에서 "나는 베를린 사람입니다"라는 구절을 사용하여 서베를린 시민들과 연대하고 자유와 민주주의를 옹호한 이 연설은 냉전 시대 베를린의 역사적 맥락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기념되고 있다.
통상확대법 | |
---|---|
법률 개요 | |
명칭 | 통상확대법 (Trade Expansion Act) |
제정 | 미국 의회 |
발효 | 1962년 10월 11일 |
서명 | 존 F. 케네디 |
법률 상세 | |
약칭 | TEA |
미국 법전 | http://uscode.house.gov/view.xhtml?req=granuleid%3AUSC-prelim-title19-chapter7&edition=prelim |
미국 통계 법률 | 76 Stat. 872 |
법률 번호 | Public Law 87-794 |
입법 과정 | |
상원 통과 | 1962년 9월 19일 (78–8) |
하원 통과 | 1962년 6월 28일 (298–125) |
관련 위원회 | |
하원 | 미국 하원 세입위원회 |
상원 | 미국 상원 재정위원회 |
2. 역사
1962년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은 연두교서에서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의 제6차 다자간 무역 협상(케네디 라운드)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협상 권한을 의회에서 대통령에게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통상확대법 제정을 추진하였다.[4] 이 법은 1962년 10월 11일에 제정되었다.
통상확대법은 1962년 7월 1일부터 1967년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다음과 같은 내용을 한도로 외국과의 통상 협정을 체결하여 관세 인하 및 철폐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4]
# 기존 관세를 50% 삭감(제201조)
# 기존 관세율이 5% 이하인 경우, 철폐(제202조)
# 미국과 유럽 경제 공동체(EEC)가 전 세계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품목(80% 품목)의 관세를 철폐
당시 80% 품목에는 자동차, 항공기, 철도 차량, 금속 가공 기계, 농업 기계, 유기 화학 제품, 사무용 기계, 전기 기계 장치 등 26개 품목[18]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19]되었으나, 샤를 드 골 프랑스 대통령의 거부로 영국의 EEC 가입이 무산되면서[20], 80% 품목 철폐 조항은 그 대상이 1, 2개 품목으로 한정되어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21]
한편, 이 법에는 의회의 보호주의적 움직임으로부터 국가 안보를 이유로 관세 인상 등을 인정하는 제232조[22][23]와 같은 규정도 포함되었다.
케네디 라운드는 1962년 통상확대법의 기한 만료 직전인 1967년 6월 30일에 타결되었다.[4]
2017년 4월 2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962년 무역확대법에 따라 알루미늄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위협에 대한 검토를 명령했다.[5][6][7][8][9] 2018년 3월 8일, 트럼프 대통령은 이 법의 제232조에 의거,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부과 명령에 서명했다.[10]
2018년 5월 23일, 트럼프 대통령은 윌버 로스 상무부 장관에게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수입이 미국의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 제232조에 따른 조사를 시작하도록 지시했다.[11][12][13][14]
2019년 2월 중순, 윌버 로스 상무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외국산 자동차 수입에 대한 높은 관세 부과의 법적 근거가 있다는 내용을 담은 기밀 보고서를 제출했다.[15][16] 이 보고서는 철강 및 알루미늄과 마찬가지로 외국산 자동차 수입이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결론 내렸다. 2019년 3월 20일자 ''Politico'' 기사에 따르면, 제안된 관세는 최대 25%에 달할 수 있다.[15][16] ''Politico''는 또한 미국 상원 재무위원회 위원장인 척 그래슬리가 기밀 보고서 사본 열람을 거부당했다고 보도했다.[15]
상무부는 2017년 4월 20일에 철강, 그리고 같은 달 27일에 알루미늄 조사를 시작했다.[24] 상무부는 각각 철강에 대해서는 2018년 1월 11일, 알루미늄에 대해서는 같은 달 17일에 대통령에게 보고서를 송부했으며, 양쪽 모두 2월 16일에 공표되었다.[24] 철강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세계 최대의 철강 수입국이며, 2017년 10월까지의 철강 수입은 미국 소비량의 30%에 해당한다.[24] 2000년 이후, 과도한 수입으로 인해 미국 철강 산업은 가동률 저하, 실업, 적자 운영 등에 직면했다.[24] 또한 국제 철강 시장은 중국의 과잉 생산 능력에 의해 악영향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이유로 철강 수입은 미국 철강 산업을 약화시키고 미국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결론내렸다.[24]
알루미늄 보고서 역시 철강 보고서와 유사하게, 알루미늄 자재의 안보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최근의 수입 증가 추세와 중국을 중심으로 한 과잉 생산 능력으로 미국 알루미늄 산업이 피해를 입고 있으며, 미국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밝혔다.[24]
이러한 보고를 바탕으로 2018년 3월 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캐나다산, 멕시코산을 제외하고, 철강 제품에는 25%, 알루미늄 제품에는 10%의 관세 인상을 실시하는 대통령 포고[27][28]에 서명하여 3월 23일부터 시행했다. 이후 캐나다, 멕시코 외에도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EU, 대한민국이 잠정적으로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2. 1. 케네디 행정부의 무역확대법 제정 (1962년)
1962년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은 연두교서에서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의 제6차 다자간 무역 협상(케네디 라운드)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협상 권한을 의회에서 대통령에게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통상확대법 제정을 추진하였다.[4] 이 법은 1962년 10월 11일에 제정되었다.통상확대법은 1962년 7월 1일부터 1967년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다음과 같은 내용을 한도로 외국과의 통상 협정을 체결하여 관세 인하 및 철폐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4]
# 기존 관세를 50% 삭감(제201조)
# 기존 관세율이 5% 이하인 경우, 철폐(제202조)
# 미국과 유럽 경제 공동체(EEC)가 전 세계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품목(80% 품목)의 관세를 철폐
당시 80% 품목에는 자동차, 항공기, 철도 차량, 금속 가공 기계, 농업 기계, 유기 화학 제품, 사무용 기계, 전기 기계 장치 등 26개 품목[18]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19]되었으나, 샤를 드 골 프랑스 대통령의 거부로 영국의 EEC 가입이 무산되면서[20], 80% 품목 철폐 조항은 그 대상이 1, 2개 품목으로 한정되어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21]
한편, 이 법에는 의회의 보호주의적 움직임으로부터 국가 안보를 이유로 관세 인상 등을 인정하는 제232조[22][23]와 같은 규정도 포함되었다.
케네디 라운드는 1962년 통상확대법의 기한 만료 직전인 1967년 6월 30일에 타결되었다.[4]
2. 2.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확대법 232조 적용 (2017-2019년)
2017년 4월 2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962년 무역확대법에 따라 알루미늄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위협에 대한 검토를 명령했다.[5][6][7][8][9] 2018년 3월 8일, 트럼프 대통령은 이 법의 제232조에 의거,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부과 명령에 서명했다.[10]2018년 5월 23일, 트럼프 대통령은 윌버 로스 상무부 장관에게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수입이 미국의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 제232조에 따른 조사를 시작하도록 지시했다.[11][12][13][14]
2019년 2월 중순, 윌버 로스 상무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외국산 자동차 수입에 대한 높은 관세 부과의 법적 근거가 있다는 내용을 담은 기밀 보고서를 제출했다.[15][16] 이 보고서는 철강 및 알루미늄과 마찬가지로 외국산 자동차 수입이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결론 내렸다. 2019년 3월 20일자 ''Politico'' 기사에 따르면, 제안된 관세는 최대 25%에 달할 수 있다.[15][16] ''Politico''는 또한 미국 상원 재무위원회 위원장인 척 그래슬리가 기밀 보고서 사본 열람을 거부당했다고 보도했다.[15]
상무부는 2017년 4월 20일에 철강, 그리고 같은 달 27일에 알루미늄 조사를 시작했다.[24] 상무부는 각각 철강에 대해서는 2018년 1월 11일, 알루미늄에 대해서는 같은 달 17일에 대통령에게 보고서를 송부했으며, 양쪽 모두 2월 16일에 공표되었다.[24] 철강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세계 최대의 철강 수입국이며, 2017년 10월까지의 철강 수입은 미국 소비량의 30%에 해당한다.[24] 2000년 이후, 과도한 수입으로 인해 미국 철강 산업은 가동률 저하, 실업, 적자 운영 등에 직면했다.[24] 또한 국제 철강 시장은 중국의 과잉 생산 능력에 의해 악영향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이유로 철강 수입은 미국 철강 산업을 약화시키고 미국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결론내렸다.[24]
알루미늄 보고서 역시 철강 보고서와 유사하게, 알루미늄 자재의 안보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최근의 수입 증가 추세와 중국을 중심으로 한 과잉 생산 능력으로 미국 알루미늄 산업이 피해를 입고 있으며, 미국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밝혔다.[24]
이러한 보고를 바탕으로 2018년 3월 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캐나다산, 멕시코산을 제외하고, 철강 제품에는 25%, 알루미늄 제품에는 10%의 관세 인상을 실시하는 대통령 포고[27][28]에 서명하여 3월 23일부터 시행했다. 이후 캐나다, 멕시코 외에도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EU, 대한민국이 잠정적으로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3. 1962년 무역확대법 232조
통상확대법 232조는 상무부가 직권, 타 부처 장관의 요청, 또는 이해관계자의 신청에 따라 특정 제품의 수입이 미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조치 발동 여부 및 적절한 조치 내용을 대통령에게 권고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24] 상무부는 조사 개시 후 270일 이내에 대통령에게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대통령은 보고서 수령 후 90일 이내에 조치 여부를 결정한다.[24]
232조 제정 이후 2001년까지 26건의 조사가 진행되었으나, 대통령이 국가 안보 위협을 인정한 경우는 9건, 그 중 조치 발동 명령은 5건에 불과했다.[25] 조치 발동이 보류된 4건 중 3건은 석유였는데, 이는 수입 규제가 석유 제품 비용을 상승시켜 장기적으로 미국의 안보를 저해할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었다.[26] 1983년 공작 기계의 경우, 일본, 서독, 대만, 스위스와의 대미 수출 자율 규제(VER)를 통해 232조 발동을 피했다. 2001년 철광석 및 철강 반제품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국가 안보 위협을 인정하지 않았다.[24]
2017년, 트럼프 행정부는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조사를 개시했다. 상무부는 2018년 1월,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이 미국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결론 내리고, 국내 산업 가동률 80%를 목표로 수입 제한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대통령에게 제출했다.[24] 보고서는 철강 및 알루미늄이 전투 능력 전개와 중요 인프라에 필수적이며, 최근 수입 증가와 중국의 과잉 생산 능력으로 인해 미국 산업이 피해를 입고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3월 8일,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 제품에 10%의 관세 인상을 실시하는 대통령 포고에 서명했다.[27][28] 이 조치는 3월 23일부터 시행되었으며, 캐나다, 멕시코,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EU, 대한민국은 잠정적으로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3. 1. 232조의 내용과 절차
통상확대법 232조는 상무부가 직권, 타 부처 장관의 요청, 또는 이해관계자의 신청에 따라 특정 제품의 수입이 미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조치 발동 여부 및 적절한 조치 내용을 대통령에게 권고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24] 상무부는 조사 개시 후 270일 이내에 대통령에게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대통령은 보고서 수령 후 90일 이내에 조치 여부를 결정한다.[24]232조 제정 이후 2001년까지 26건의 조사가 진행되었으나, 대통령이 국가 안보 위협을 인정한 경우는 9건, 그 중 조치 발동 명령은 5건에 불과했다.[25] 조치 발동이 보류된 4건 중 3건은 석유였는데, 이는 수입 규제가 석유 제품 비용을 상승시켜 장기적으로 미국의 안보를 저해할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었다.[26] 1983년 공작 기계의 경우, 일본, 서독, 대만, 스위스와의 대미 수출 자율 규제(VER)를 통해 232조 발동을 피했다. 2001년 철광석 및 철강 반제품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국가 안보 위협을 인정하지 않았다.[24]
2017년, 트럼프 행정부는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조사를 개시했다. 상무부는 2018년 1월,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이 미국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결론 내리고, 국내 산업 가동률 80%를 목표로 수입 제한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대통령에게 제출했다.[24] 보고서는 철강 및 알루미늄이 전투 능력 전개와 중요 인프라에 필수적이며, 최근 수입 증가와 중국의 과잉 생산 능력으로 인해 미국 산업이 피해를 입고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3월 8일,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 제품에 10%의 관세 인상을 실시하는 대통령 포고에 서명했다.[27][28] 이 조치는 3월 23일부터 시행되었으며, 캐나다, 멕시코,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EU, 대한민국은 잠정적으로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3. 2. 232조 발동 사례
통상확대법 232조는 제정 이후 2001년까지 26건의 조사가 진행되었으나, 대통령이 국가 안보 위협을 인정한 경우는 9건에 불과했고, 실제 조치가 발동된 것은 5건이었다.[25] 이 중 2건은 석유 수입 제한 조치였으나, 이후 철회되었다.[26] 1983년 공작 기계의 경우, 일본, 서독, 대만, 스위스와의 대미 수출 자율 규제(VER)를 통해 232조 발동을 피했다.[26] 2001년 철광석 및 철강 반제품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국가 안보 위협을 인정하지 않았다.[26]2001년 이후 16년간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다가, 2017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조사가 시작되었다.[24] 상무부는 2018년 1월,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이 미국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결론 내리고, 국내 산업 가동률 80%를 목표로 수입 제한 조치를 제안하는 보고서를 대통령에게 제출했다.[24]
상무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세계 최대 철강 수입국으로, 2017년 철강 수입량은 미국 소비량의 30%에 달했다. 보고서는 특히 중국의 과잉 생산 능력이 국제 철강 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 철강 산업이 약화되어 미국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지적했다.[24] 알루미늄 보고서 역시 유사한 논리로, 수입 증가와 중국의 과잉 생산 능력을 문제 삼았다.[24]
보고서를 검토한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3월 8일,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대통령 포고에 서명했다.[27][28] 이 조치는 3월 23일부터 시행되었으며, 초기에는 캐나다, 멕시코,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EU, 대한민국이 제외 대상이었으나, 이후 협상 결과에 따라 변경되었다.
4.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부과 (2018년)
트럼프 행정부의 상무부는 2018년 1월 11일 철강, 1월 17일 알루미늄 수입이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대통령에게 제출했다.[24] 이 보고서들은 2월 16일에 공개되었다.[24]
보고서에 따르면, "안보"는 전투 능력의 전 세계적 전개 및 중요 인프라를 포함하며, 이를 위한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의 국내 생산은 필수적이다.[24] 최근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량은 자국 수출량의 4배에 달하며, 수입품 가격은 국산품보다 상당히 낮다.[24] 2000년 이후 과도한 수입은 미국 철강 산업의 가동률 저하, 실업, 적자 운영 등을 초래했으며, 국제 철강 시장은 특히 중국의 과잉 생산 능력에 의해 악영향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24]
상무부는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이 미국의 관련 산업을 약화시키고, 미국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결론 내렸다.[24] 따라서, 국내 산업의 가동률을 80% 수준으로 회복하기 위해 수입 제한 조치를 제안했다.[24] 구체적인 조치로는 수량 제한, 일률적·무차별적인 관세 인상, 또는 특정 국가 그룹별 관세 인상 등이 제시되었다.[24]
이 보고서를 바탕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3월 8일,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대통령 포고에 서명했다.[27][28] 이 조치는 3월 23일부터 시행되었으며, 초기에는 캐나다, 멕시코,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EU, 대한민국이 제외 대상에서 제외되었다.[27][28]
4. 1. 상무부 보고서 내용
트럼프 행정부의 상무부는 2018년 1월 11일 철강, 1월 17일 알루미늄 수입이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대통령에게 제출했다.[24] 이 보고서들은 2월 16일에 공개되었다.[24]보고서에 따르면, "안보"는 전투 능력의 전 세계적 전개 및 중요 인프라를 포함하며, 이를 위한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의 국내 생산은 필수적이다.[24] 최근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량은 자국 수출량의 4배에 달하며, 수입품 가격은 국산품보다 상당히 낮다.[24] 2000년 이후 과도한 수입은 미국 철강 산업의 가동률 저하, 실업, 적자 운영 등을 초래했으며, 국제 철강 시장은 특히 중국의 과잉 생산 능력에 의해 악영향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24]
상무부는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이 미국의 관련 산업을 약화시키고, 미국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결론 내렸다.[24] 따라서, 국내 산업의 가동률을 80% 수준으로 회복하기 위해 수입 제한 조치를 제안했다.[24] 구체적인 조치로는 수량 제한, 일률적·무차별적인 관세 인상, 또는 특정 국가 그룹별 관세 인상 등이 제시되었다.[24]
이 보고서를 바탕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3월 8일,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대통령 포고에 서명했다.[27][28] 이 조치는 3월 23일부터 시행되었으며, 초기에는 캐나다, 멕시코,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EU, 대한민국이 제외 대상에서 제외되었다.[27][28]
4. 2. 대통령 포고와 관세 부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18년 3월 8일, 통상확대법 232조에 의거하여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 수입이 미국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 각각 25%와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대통령 포고에 서명했다.[27][28] 이는 상무부의 조사 결과에 따른 것으로, 상무부는 2017년 4월부터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여 2018년 1월 대통령에게 보고서를 제출했다.[24] 보고서는 철강 및 알루미늄의 수입 증가와 중국을 중심으로 한 과잉 생산 능력으로 인해 미국 산업이 피해를 입고 있으며, 이는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결론 내렸다.트럼프 대통령의 포고는 2018년 3월 23일부터 시행되었으며, 초기에는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은 제외되었다.[27][28] 이후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EU, 대한민국도 잠정적으로 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나, 이는 면제 협상 진행에 따른 것이었다.
통상확대법 232조는 제정 이후 2001년까지 26건의 조사가 진행되었지만, 대통령이 국가 안보 위협을 인정한 경우는 9건, 실제 조치가 발동된 경우는 5건에 불과했다.[25][26] 2001년 이후 16년간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다가 2017년에 철강과 알루미늄 조사가 재개되었다.
5. 대한민국의 대응
참조
[1]
논문
Making ideas actionable in institutionalism: the case of trade liberalization in Kennedy's foreign economic policy
2022
[2]
웹사이트
America Trades Down: The Legal Consequences of President Trump's Tariffs
https://www.lawfarem[...]
2018-03-13
[3]
뉴스
Trump's extraordinary tariffs
https://www.reuters.[...]
Reuters
2018-03-05
[4]
논문
Developments in the law and institutions of international economic relations: the Kennedy Round of Trade Negotiations
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1968-04
[5]
뉴스
Presidential Memorandum on the Aluminum Imports and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under the Trade Expansion Act of 1962
https://www.whitehou[...]
White House
2017-04-27
[6]
뉴스
Ordering national security investigation, Trump could block aluminum imports
https://www.usatoday[...]
Gannett Company
2017-04-27
[7]
뉴스
U.S. launches national security probe into aluminum imports
https://www.reuters.[...]
Thomson Reuters
2017-04-27
[8]
뉴스
Trump to order aluminum imports investigation
https://abcnews.go.c[...]
ABC
2017-04-27
[9]
뉴스
Trump puts aluminum imports in 'national security' crosshairs
http://www.politico.[...]
Capitol News Company
2017-04-27
[10]
뉴스
Trump Formally Orders Tariffs on Steel, Aluminum Imports
https://www.npr.org/[...]
All Things Considered
2018-03-08
[11]
웹사이트
Statement from the President on Potential National Security Investigation into Automobile Imports
https://trumpwhiteho[...]
2018-05-23
[12]
웹사이트
Commerce Secretary Wilbur Ross is tied up in major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https://www.vox.com/[...]
2018-06-20
[13]
뉴스
Lies, China And Putin: Solving The Mystery Of Wilbur Ross' Missing Fortune
https://www.forbes.c[...]
2018-06-18
[14]
뉴스
Forbes published the results in a June 18, 2018 article in which they expressed concerns about Wilbur Ross' financial conflicts, for example in regards to the Section 232 tariffs and the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that Ross had created by "merging several formerly separate automotive interior companies". Forbes said that it was problematic that Trump's "instructions" to "Secretary Ross to consider initiating a Section 232 investigation into imports of automobiles, including trucks, and automotive parts to determine their effects on America's national security" were problematic because the U.S. imposition of "new taxes on imports of foreign cars and car parts" would "obviously...have a direct bearing on the fortunes of Ross's car parts company."
Forbes
2018-06-18
[15]
뉴스
Trump administration withholds report justifying 'shock' auto tariffs
https://politi.co/2W[...]
2019-03-20
[16]
뉴스
Trump's "allies" said that he "wants to impose a "ring tax" around U.S. borders to protect the country from foreign imports."
Politico
2019-03-20
[17]
법령
USStatute
[18]
문서
品目数はSITC3桁ベース
[19]
뉴스
1962年 年次世界経済報告第2部 各論 第1章 アメリカ 3. 国際収支をめぐる問題とその対策(3) 輸出の拡大 1)通商拡大法
https://www5.cao.go.[...]
経済企画庁
1962-12-18
[20]
문서
イギリスのEEC加盟は、ドゴール退任後の1973年である。
[21]
뉴스
1963年 年次世界経済報告第1部 総論 第2章 成長過程にあらわれた諸問題 3. ガット交渉とEECにおける諸問題 (1) ブラッセル交渉中断の波紋
https://www5.cao.go.[...]
経済企画庁
1963-12-13
[22]
법령
July 1, 1954, ch. 445, §1, 68 Stat. 360
[23]
법령
June 21, 1955, ch. 169, §2, 69 Stat. 162
[24]
뉴스
鉄鋼・アルミニウム輸入に対する米国1962年通商拡大法232条の発動
https://www.rieti.go[...]
経済産業研究所
2018-03-29
[25]
문서
内1件は、提訴者の取下げで終了。
[26]
웹사이트
フラッシュ416
http://www.iti.or.jp[...]
[27]
법령
鉄鋼製品について、Proclamation 9705 of March 8, 2018, 83 FR 11625 Thursday, March 15, 2018
[28]
법령
アルミニウム製品について、Proclamation 9704 of March 8, 2018, 83 FR 11619 Thursday, March 15,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