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통제영학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제영학당은 19세기 말 대한제국 고종이 근대식 해군 양성을 위해 설립한 한국 최초의 근대식 해군사관학교이다. 1893년 3월 22일 칙령으로 설립이 공포되었으며, 같은 해 5월 인천 강화도 갑곶나루 근처에 학교 건물을 짓기 시작했다. 영국인 교관 윌리엄 콜웰과 제임스 커티스가 영어, 군사학, 항해학, 포술학 등을 가르쳤으나, 동학농민운동과 청일전쟁의 발발, 일본의 압력으로 인해 1894년 11월 폐교되었다. 이후 통제영학당 터는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9호로 지정되었고, 2009년에는 표지석이 건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수군 - 통영 삼도수군통제영
    통영 삼도수군통제영은 임진왜란 중 설치된 삼도수군통제사의 본영으로, 이순신의 한산진영에서 시작하여 통영시 두룡포로 이전, 약 292년간 존속하다 폐영되었으나, 세병관을 비롯한 유구가 남아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어 통영시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해군사관학교 - 미국 해군사관학교
    미국 해군사관학교는 1845년 메릴랜드주 애너폴리스에 설립되어 4년제 교육 과정으로 해군 장교를 양성하며, 역사적 발전과 주요 전쟁에서의 역할, 높은 경쟁률, 'Ex Scientia Tridens' 모토, 엄격한 명예 규범을 특징으로 한다.
  • 해군사관학교 - 사관후보생
    대한민국 국군의 장교 양성 과정에 있는 사관후보생은 병역법상 무관후보생으로 분류되며, 사관학교, 학군사관후보생(ROTC), 학사사관 등을 통해 양성되고, 과거 대한민국에 존재했던 사관후보생 제도는 현재 폐지되었으나 세계 여러 나라에서 유사한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 1893년 설립 - 스탠퍼드 법학대학원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1893년에 설립된 스탠퍼드 대학교의 법학 전문 대학원으로, 낮은 학생 대 교수 비율과 실무 중심의 교육 과정을 통해 샌드라 데이 오코너와 윌리엄 렌퀴스트 등 법조인을 배출하며, 2023년 캘리포니아 변호사 시험에서 높은 합격률을 기록했다.
  • 1893년 설립 -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은 존스 홉킨스 병원과 함께 존스 홉킨스 의학 시스템을 이루는 미국의 명문 의과대학으로, 개교 당시 여성에게도 입학 기회를 제공했으며 "빅 4" 창립 의사들의 기여와 많은 노벨상 수상자 배출, 그리고 《U.S. News & World Report》의 최상위권 평가로 미국 의학교육의 모델로 여겨진다.
통제영학당 - [대학]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학교 이름통제영학당
개교1893년 10월
폐교1895년
위치인천광역시 강화도 갑곶진
설립 비용1000 원
통제영학당
규모
학생 수사관 50명, 수병 300명
교수진W.D. Hutchison, W. H. Callwell, J. W. Curtis
학부
학과군사학, 항해학, 포술학

2. 역사

1893년 2월 고종은 기존 수군 편제를 근대식 해군 체제로 개편하고, 청주에 있던 통어영을 남양으로 옮겼다. 이어 3월 22일 해군 사관 및 하사관 양성을 위한 근대적 사관학교인 통제영학당 설립에 관한 칙령을 공포했다.[2] 5월에는 군사적 요충지인 인천 강화도 갑곶나루 근처에 학교 건물을 새로 짓기 시작했으며, 설립 예산 1000USD은 청나라에서 빌려온 차관으로 조달했다.[2]

1894년 동학 농민 운동과 청일 전쟁이 발발하여 통제영학당의 교육은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 정부에 압력을 행사하여 영국 교관들의 해고를 요청했고, 결국 11월 통제영학당은 폐교되었다.

2. 1. 설립 배경

19세기 말 조선 고종은 근대식 군대 양성을 위해 신식군대인 별기군을 창설하고 연무공원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고종은 왕실 비자금으로 증기선을 구입하고자 영국, 독일, 일본 등과 여러 차례 교섭하기도 했다. 유길준, 박영효 등 개화사상가들은 "개항장에 수영(水營)을 설치하고 외국 교관을 초빙하여 군사를 철저히 훈련시켜야만 바다를 견고히 막을 수 있다"고 상소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한국 최초의 근대식 해군사관학교인 통제영학당이 설립되었다.[2]

1893년 2월 고종은 기존 수군 편제를 근대식 해군 체제로 개편하고, 청주에 있던 통어영을 남양으로 옮겼다. 이어 3월 22일 해군 사관 및 하사관 양성을 위한 근대적 사관학교인 통제영학당 설립에 관한 칙령을 공포했다. 같은 해 5월 군사적 요충지인 인천 강화도 갑곶나루 근처에 학교 건물을 새로 짓기 시작했다. 설립 예산 1000KRW은 청나라에서 빌려온 차관으로 조달했다.[2]

2. 2. 설립 과정

1893년 2월, 고종은 기존의 수군 편제를 근대식 해군 체제로 개편하고, 청주에 있던 통어영을 남양으로 옮겼다. 뒤이어 3월 22일, 해군 사관 및 하사관 양성을 위한 근대적 사관학교인 통제영학당 설립에 관한 칙령을 공포했다.[2]

같은 해 5월, 군사적 요충지인 인천 강화도 갑곶나루 근처에 학교 건물을 새로 짓기 시작했다. 설립 예산 1000USD은 청나라에서 빌려온 차관으로 조달했다. 마침내 1893년 10월, 사관생도 50명과 수병 300명을 모집하여 통제영학당이 정식 개교했다.[2]

2. 3. 운영

통제영학당의 교관은 영국의 해군 장교인 윌리엄 콜웰(William H. Callwell)과 하사관 제임스 커티스(James Curtis)였다. 교육 과목으로는 영어, 군사학, 항해학, 포술학 등이 있었다. 콜웰은 40대 후반의 영국 대위로서 군사학과 항해학을 가르쳤고, 커티스는 포술학을 담당했다. 통제영학당의 생도는 18세에서 26세까지의 양반 자제들로 구성되었다. 당시 교관들은 교육생에 대해 "그들은 상당히 총명해 보였고, 교련도 아주 빠르게 향상되었다"고 평가했다. 영국인 교관들은 오늘날 인천광역시 강화도 관청리 250번지에 관사를 짓고 살았는데, 당시의 한옥 건물이 지금도 보존되어 있다.

통제영학당이 설립되어 근대적 해군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이 시작되자 일본은 이를 경계하여 정탐 보고서를 작성했다. 1894년 3월 일본의 해군 대위 미나미 요시요야(南義親)는 강화도 해군관청과 통제영학당을 시찰하고 첩보 문서를 작성하여 일본에 보고했다. 보고서에는 통제영학당의 규모, 위치, 생도 교육 등 상세한 내용이 포함되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통제영학당은 한옥 1동과 민가 2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본관 구역은 교사당(敎師堂)과 생도 기숙사로 구성되어 있고, 언덕 위에는 갑호 생도의 기숙사와 영어를 가르친 영경교당(英經敎堂)이 있었다고 한다. (미나미 요시요야의 첩보 문서는 현재 일본 방위성 사료관에 보관되어 있다.)

2. 4. 폐교

1894년 2월 동학 농민 운동과 7월 청일 전쟁이 발발하여 통제영학당의 교육은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 정부에 압력을 행사하여 영국 교관들의 해고를 요청했다. 뒤이어 일본은 조선의 고위 관리들로 하여금 통제영학당을 해체하도록 하여, 결국 11월 통제영학당은 폐교되었다. 사관 후보생 중 일부는 영어 교사였던 윌리엄 듀플론 허치슨(W. du Flon Hutchison)을 따라 한성영어학교로 옮겨갔고, 나머지 대부분의 생도들은 육군으로 옮겨갔다. 1896년 5월 영국군 교관들이 영국으로 귀국하면서, 최초의 근대적 해군사관학교였던 통제영학당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1]

3. 기념물

1987년 해군사관학교 장학근 교수가 "조선시대 해양방어사연구"라는 논문에서 잊혀졌던 통제영학당을 언급했고, 한국해양대학교 김재승 교수가 외국 사료를 통해 그 존재를 입증했다.[3]

1999년 6월 대한민국 해군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청에 통제영학당 터의 문화재 지정을 요청, 2001년 4월 2일 강화 통제영학당지(江華統制營學堂址)가 인천기념물 제49호로 지정되었다. 위치는 구 강화대교와 신 강화대교 사이이며, 터만 남고 건물은 사라졌지만 영국인 교관들이 거주했던 한옥이 남아있다. 면적은 6381m2이다.[4]

2009년 4월 13일 해군참모총장이 옛터에 표지석을 세웠고, 4월 29일 최윤희 해군사관학교장 등 120여 명의 해군/해병대 장병, 학회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막식을 가졌다.[5] 해군은 사진, 기록 등 자료를 모아 관계기관 및 학회와 협력, 건물 복원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3. 1. 재조명

1987년 해군사관학교 장학근 교수가 "조선시대 해양방어사연구"라는 논문에서 그동안 잊혀졌던 통제영학당에 대해 서술했다. 뒤이어 한국해양대학교 김재승 교수가 통제영학당에 관련된 외국의 사료들을 찾아서 그 존재를 입증했다.[3]

1999년 6월 대한민국 해군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청에 통제영학당 터를 문화재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2001년 4월 2일 인천광역시는 통제영학당이 있었던 자리인 강화 통제영학당지(江華統制營學堂址)를 인천기념물 제49호로 지정하였다. 위치는 구 강화대교와 신 강화대교 사이에 있다. 학교 건물은 사라지고 터만 남아 있으며, 영국인 교관들이 거주했던 한옥이 있다. 통제영학당지의 면적은 6381m2이다.[4]

2009년 4월 13일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은 통제영학당 옛터에 표지석을 세웠다. 2009년 4월 29일에는 최윤희 해군사관학교 교장 등 약 120명의 해군과 해병대 장병 및 학회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표지석 제막식을 거행했다.[5] 대한민국 해군은 당시 사진, 기록 등 국내외 자료를 취합한 후 관계기관 및 학회와 협조하여 통제영학당 건물 복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3. 2. 문화재 지정

1999년 6월 대한민국 해군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청에 통제영학당 터를 문화재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4] 2001년 4월 2일 인천광역시는 통제영학당이 있었던 자리인 강화 통제영학당지(江華統制營學堂址)를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9호로 지정하였다.[4] 위치는 구 강화대교와 신 강화대교 사이에 있다.[4] 학교 건물은 사라지고 터만 남아 있으며, 영국인 교관들이 거주했던 한옥이 있다.[4] 통제영학당지의 면적은 6381m2이다.[4]

3. 3. 표지석 건립

2009년 4월 13일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은 통제영학당 옛터에 표지석을 세웠다.[5]

> 〈개화〉와 〈쇄국〉의 혼란스런 시대 상황을 겪으며

> 오로지 조국의 바다를 지킬 구국의 인재를 양성하고자

> 최초의 근대식 해군사관학교인 〈통제영학당〉이

> 이터에 뿌리내렸다.

> 바야흐로 빛나는 대한민국해군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여기 표지석을 세운다.

>

>               2009년 4월 13일

>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2009년 4월 29일에는 최윤희 해군사관학교장 등 약 120명의 해군과 해병대 장병 및 학회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표지석 제막식을 거행했다.[5] 대한민국 해군은 당시 사진, 기록 등 국내외 자료를 취합한 후 관계기관 및 학회와 협조하여 통제영학당 건물 복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참조

[1] 설명
[2] 웹사이트 강화 통제영학당지(江華 統制營學堂址) http://www.heritage.[...]
[3] 블로그 갑곶진에 통제영학당 복원 추진 http://blog.daum.net[...] 2009-04-29
[4] 웹사이트 강화 통제영학당지 http://www.doopedia.[...]
[5] 뉴스 해사 전신 `통제영학당'터 표지석 제막 https://news.naver.c[...] 2009-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