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반은 용자리에 있는 별로,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용자리 알파로 표기된다. 아랍어 단어에서 유래된 '투반'은 '뱀'을 의미하며, 과거에는 천구 북극에 가장 가까운 별이었다. 세차 운동으로 인해 기원전 3942년부터 기원전 1793년까지 북극성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적위 , 적경 에 위치한다. 투반은 단선분광쌍성이며, 식쌍성으로 분류된다. 분광형은 A0 III로, 백색 거성으로 진화했으며, 지구에서 약 300 광년 떨어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극성 - 데네브
데네브는 백조자리의 알파별로, 아랍어로 꼬리를 뜻하며,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별의 고유 명칭이며, 여름철 대삼각형을 이루는 청색 초거성으로 약 2,600광년 거리에 있고, 밝기가 변하며 수백만 년 안에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 북극성 - 베가
베가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푸른색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훨씬 크며, 빠르게 자전하는 특징과 별 주위의 먼지 원반, 그리고 동아시아의 직녀성으로 알려져 있다. - A형 거성 - 아셀라
아셀라는 궁수자리에 있는 겉보기 등급 +2.59의 쌍성계 별로, '겨드랑이'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찻주전자 별자리의 일부이고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 승인된 명칭이다. - A형 거성 - 황소자리 세타
황소자리 세타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명명된 황소자리의 이중성계로, 밝은 주성분은 델타 방패자리형 변광성인 백색 A형 거성 Aa와 동반성 Ab로, 어두운 구성 요소는 주황색 K형 거성 Ba와 동반성 Bb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야 신화에서 "Chamukuy"로, 중국 천문학에서 필수육(畢宿六)으로 불린다. - 용자리 - 스트루베 2398
스트루베 2398은 HD 173739(스트루베 2398 A, 글리제 725 A)와 HD 173740(스트루베 2398 B, 글리제 725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입니다. - 용자리 - 엘타닌
엘타닌은 용자리에 있는 분광형 K5 III의 거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반지름이 크며 다른 별을 분류하는 기준점으로 사용되어 왔고, 광행차 현상 발견과 자코비니 유성군 복사점 위치와 관련이 있으며,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미국 해군 함선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투반 | |
---|---|
개요 | |
![]() | |
별자리 | 용자리 |
다른 이름 | 용자리 알파 (Alpha Dra, α Dra) 용자리 11 (11 Dra) HD 123299 HIP 68756 HR 5291 SAO 16273 GSC 04174-01262 2MASS J14042335+6422331 F 11 Dra AG +64° 666 PLX 3209 TYC 4174-1262-1 BD +65° 978 FK5 521 PPM 18861 GC 19019 IRAS 14030+6436 |
관측 정보 | |
시대 | J2000 |
겉보기 등급 | 3.67 |
별자리 | 용자리 |
특징 | |
분광형 | A0IV + A1V |
B-V 색지수 | -0.049 ± 0.005 |
U-B 색지수 | -0.08 |
변광성 | 마이아 변광성 의심 |
운동 정보 | |
시선 속도 | -13.0 km/s |
고유 운동 (적경) | -56.34 mas/년 |
고유 운동 (적위) | 17.21 mas/년 |
은하 좌표 (b) | +50.9588° |
은하 좌표 (l) | 110.5237° |
연주 시차 | 10.76 ± 0.17 mas |
절대 등급 | -1.20 |
궤도 요소 | |
공전 주기 | 51.417350 일 |
근점 통과 시각 | JD 2453498.8 |
궤도 이심률 | 0.43 |
근점 인자 | 22.4° |
승교점 경도 | 252.6° |
궤도 경사 | 85.4° |
궤도 장반축 | 5.52 mas |
속도 진폭 (k1) | 48.512 km/s |
속도 진폭 (k2) | 63.58 km/s |
물리적 특성 | |
질량 (A) | 3.186 태양 질량 |
반지름 (A) | 4.932 태양 반지름 |
표면 중력 (A) | 3.555 log g |
표면 온도 (A) | 10225 K |
광도 (A) | 240 태양 광도 |
자전 속도 (A) | 25.4 km/s |
나이 (A) | 2억 8천만 년 |
질량 (B) | 2.431 태양 질량 |
반지름 (B) | 2.326 태양 반지름 |
표면 중력 (B) | 4.090 log g |
표면 온도 (B) | 9930 K |
광도 (B) | 47.5 태양 광도 |
자전 속도 (B) | 168 km/s |
나이 (B) | 3억 4천 5백만 년 |
2. 명칭
'''용자리 알파'''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표기이다. 전통적인 이름 '''투반'''은 아랍어 단어 ثعبان|투 반ar(뱀)에서 유래했다.[6] '용의 꼬리' 또는 '아디브'로 불리기도 한다.[6]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 산하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는 '''투반'''을 공식 명칭으로 승인했다.[27][28][29][8][9][10] 동아시아 별자리에서는 자미우원(紫微右垣)에 속하며, '''자미우원일'''(紫微右垣一, 자미우원에서 첫 번째 별) 또는 '''우추'''(右樞, '오른쪽 돌쩌귀')로 불렸다.[30][31][32][33][11][12][13]
큰곰자리의 북두칠성 근처에 있어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다. 광공해가 심한 도심에서는 관측이 어렵다. 북두칠성의 페크다와 메그레즈를 연결하여 15도 연장하면 투반을 찾을 수 있는데, 이 방법은 현재 북극성인 폴라리스를 찾는 방법(메라크-두베 이용)만큼 유명하지는 않다.
3. 관측
3. 1. 극성
지구 자전축의 세차 운동으로 인해 투반은 기원전 3942년부터 기원전 1793년까지 밤하늘을 맨눈으로 볼 때 천구 북극에 가장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별이었다. 투반이 천구 북극에 가장 가까이 접근한 때는 기원전 2830년이었고 이 때 극점과의 거리는 10 분각이 되지 않았다.[35] 이후 200년 가까운 기간 동안 투반은 천구북극으로부터 1도 이내 거리를 유지했으며 최근접 시기로부터 900년 동안 5도 이내 거리에 있었다. 투반은 기원전 1800년경까지 극성으로 인식되었으며 이후 훨씬 밝은 코카브(작은곰자리 베타)가 북극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지난 4800년 동안 극에서 점차 멀어져, 현재 투반은 밤하늘에서 관측된다. 20,346 AD에는 다시 북극성이 될 것이다.
4. 쌍성
투반은 단선분광쌍성으로 스펙트럼상으로는 주인별만 관측된다. 짝별은 주인별과의 질량중심을 51.4일을 1주기로 찌그러진 궤도를 그리면서 돌고 있다.[22] 짝별은 주인별보다 좀 더 차가운 주계열성으로 보이며 분광형은 A2일 것이다.[23]
미국 해군 정밀광학간섭계(NPOI)를 이용한 높은 공간분해능 관측으로 짝별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짝별은 주인별보다 1.8 등급 어둡고(700 nm에서) 주인별에서 6.2 ~ 2.6 밀리초각 떨어져 있다.[36] TESS 관측 결과, 식 현상이 확인되어 투반은 식쌍성으로 분류된다.[5]
2019년,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외계 행성 탐사 위성 TESS가 얻은 광도 곡선 분석 결과, 투반은 식 연성(식변광성)이며, 두 별은 매우 가까이 있지만 접촉 연성은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5. 물리적 특성
투반의 분광형은 A0 III로 유효온도와 스펙트럼이 베가와 비슷하지만, 더 밝고 질량도 크다. 투반은 모건-키넌 체제에서 A0 III형 항성의 표준별로 사용되어 왔다.[37][18]
투반은 중심핵의 수소 융합을 끝내고 주계열 단계를 벗어나 백색 거성으로 진화했으며, 광도는 태양의 120배 이상이다.[21][4] 지구로부터 약 300 광년 떨어져 있으며, 성간 가스 및 먼지로 인해 빛의 세기가 줄어들지만 그 크기는 미약하여 0.003 등급에 불과하다.[21][4]
6. 문화
미국 해군 함선 USS 투반 (AKA-19)은 1943년에 건조되어 1967년에 퇴역했으며, 함선 이름은 투반에서 따왔다.[38]
음모론자 데이비드 아이크는 투반이 피를 빨아먹고 모습을 바꾸는 파충류 종족의 고향이며, 이들이 지하 기지를 기어다니며 인간에 맞설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주장한다. 아이크는 엘리자베스 2세와 같은 정계 거물들이 이 파충류들을 지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39]
참조
[1]
논문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2]
논문
The puzzling Maia candidate star α Draconis
[3]
논문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4]
논문
Gaia's view of the λ Boo star puzzle
[5]
논문
Dynamical parallax, physical parameters, and evolutionary status of the components of the bright eclipsing binary α Draconis
[6]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Sky Pub
2006
[7]
서적
Uranometria: Omnivm Asterismorvm Continens Schemata, Nova Methodo Delineata, Aereis Laminis Expressa
https://books.google[...]
[8]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9]
웹사이트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www.pas.roche[...]
2016-07-28
[10]
웹사이트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11]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12]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2010-11-23
[13]
웹사이트
English-Chinese Glossary of Chinese Star Regions, Asterisms and Star Name
http://www.lcsd.gov.[...]
2010-11-23
[14]
서적
The Observer's Year
https://archive.org/[...]
[15]
웹사이트
MAST: Barbara A. Mikulski Archive for Space Telescopes
https://mast.stsci.e[...]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22-10-16
[16]
논문
Surveying the Bright Stars by Optical Interferometry. I. A Search for Multiplicity among Stars of Spectral Types F-K
2016-11-01
[17]
논문
A Dance with Dragons: TESS Reveals α Draconis is a Detached Eclipsing Binary
2019-10-31
[18]
논문
Revised MK Spectral Atlas for stars earlier than the sun
[19]
문서
マイア型変光星という分類は20世紀半ばに[[オットー・シュトルーベ]]が提唱したものだが、これ自体広く認められた分類ではない。
[20]
웹인용
"* alf Dra -- Spectroscopic binary"
http://simbad.u-stra[...]
2018-03-04
[21]
저널
Gaia's view of the λ Boo star puzzle
[22]
저널
The puzzling Maia candidate star α Draconis
[23]
저널
Stellar Astrophysics with a Dispersed Fourier Transform Spectrograph. I. Instrument Description and Orbits of Single-lined Spectroscopic Binaries
[24]
저널
Catalogue of stellar dimensions
[25]
저널
The hot γ Doradus and Maia stars
[26]
저널
Precise Rotation Rates for Five Slowly Rotating a Stars
[27]
웹인용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28]
웹인용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www.pas.roche[...]
2016-07-28
[29]
웹인용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30]
간행물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31]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2010-11-23
[32]
웹사이트
English-Chinese Glossary of Chinese Star Regions, Asterisms and Star Name
http://www.lcsd.gov.[...]
2010-11-23
[33]
웹인용
7성 우원장 자미오른담 / 8성 좌원장 자미왼쪽담
http://www.cultureco[...]
2018-03-03
[34]
웹인용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penelope.uchi[...]
2010-12-17
[35]
웹인용
The Observer's Year: 366 Nights in the Universe
[36]
논문
Surveying the Bright Stars by Optical Interferometry. I. A Search for Multiplicity among Stars of Spectral Types F-K
http://adsabs.harvar[...]
2016-11-01
[37]
서적
Revised MK Spectral Atlas for stars earlier than the sun
[38]
웹인용
USS Thuban (LKA-19)
http://www.navsource[...]
2018-03-03
[39]
서적
All The Rest is Propaganda
https://books.google[...]
Hyperreality Books
2017-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