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은 트리니다드 토바고를 대표하는 축구팀이다.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에 걸쳐 FIFA 월드컵 진출을 시도했으나,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사상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2006년 FIFA 월드컵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CONCACAF 골드컵에서는 1973년 준우승이 최고 성적이며, 카리브컵에서는 8번 우승하여 최다 우승국 기록을 가지고 있다. 주요 선수로는 드와이트 요크, 스턴 존 등이 있으며, 스턴 존은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축구 - 트리니다드 토바고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트리니다드 토바고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에 창단되어 CONCACAF 소속으로 활동하며, CONCACAF 여자 골드컵 4강 진출 및 카리브 퀸스 토너먼트 참가 등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
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
국기
기본 정보
FIFA 코드TRI
별칭소카 워리어스
협회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협회
연맹CONCACAF (북아메리카)
하위 연맹캐리비안 축구 연맹 (카리브해)
감독드와이트 요크
주장오브리 데이비드
최다 출장 선수앵거스 이브 (117)
최다 득점 선수스턴 존 (70)
홈 경기장해즐리 크로퍼드 스타디움
FIFA 랭킹
최고 FIFA 랭킹25위
최고 FIFA 랭킹 날짜2001년 6월
최저 FIFA 랭킹106위
최저 FIFA 랭킹 날짜2010년 10월
Elo 랭킹
최고 Elo 랭킹36위
최고 Elo 랭킹 날짜1937년
최저 Elo 랭킹121위
최저 Elo 랭킹 날짜2020년 10월
유니폼
홈 유니폼pattern_la1: _tri23h
pattern_b1: _tri23h
pattern_ra1: _tri23h
pattern_sh1: _tri23h
pattern_so1:
leftarm1: FF0013
body1: FF0013
rightarm1: FF0013
shorts1: 000000
socks1: FF0000
원정 유니폼pattern_la2: _tri23a
pattern_b2: _tri23a
pattern_ra2: _tri23a
pattern_sh2: _tri23a
pattern_so2: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첫 경기 및 최대 승리/패배
첫 경기영국령 기아나 1–4 트리니다드 토바고(영국령 기아나, 1905년 7월 21일)
최대 승리트리니다드 토바고 15–0 앵귈라 (아리마, 트리니다드 토바고, 2019년 11월 10일)
최대 패배멕시코 7–0 트리니다드 토바고(멕시코시티, 멕시코, 2000년 10월 8일)
미국 7–0 트리니다드 토바고(올랜도, 미국, 2021년 1월 31일)
월드컵 기록
월드컵 출전 횟수1회
월드컵 첫 출전2006년
월드컵 최고 성적조별 리그 (2006년)
지역 대회 기록
지역 대회 이름CONCACAF 챔피언십 / CONCACAF 골드컵
지역 대회 출전 횟수18회
지역 대회 첫 출전1967년
지역 대회 최고 성적준우승 (1973년)
카리브컵 기록
카리브컵 우승1981년
1988년
1989년
1992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9년
2001년
카리브컵 준우승1978년
1983년
1991년
1998년
2007년
2012년
2014년
카리브컵 3위1993년
2005년

2. 역사

2. 1. 1970년대

1973년 CONCACAF 선수권 대회에서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1974년 FIFA 월드컵 진출에 필요한 승점 2점이 부족했다.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1973년 12월 4일 아이티와의 경기에서 5골이 인정되지 않은 채 2-1로 패했다.[2][3] 엘살바도르 출신의 주심 호세 로베르토 엔리케스와 캐나다 출신의 부심 제임스 히게는 이 경기의 의혹스러운 상황으로 인해 FIFA로부터 무기한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4]

2. 2. 1980년대 ~ 1990년대: 스트라이크 스쿼드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1990년 월드컵 이탈리아 예선에서 "스트라이크 스쿼드(Strike Squad)"라는 별명을 얻으며 본선 진출을 노렸으나, 마지막 경기에서 미국에 패하며 좌절되었다.[5][6] 1989년 11월 19일,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미국과의 경기에서 3만 명이 넘는 관중이 "붉은 날(Red Day)"을 맞아 경기장을 가득 채웠지만, 미국의 폴 칼리주리가 38분에 결승골을 넣어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월드컵 진출은 무산되었다.[5][6] 이 경기는 마지막 경기로 기록되었다. 하지만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압도적인 패배와 과밀한 관중석에도 불구하고 경기장 관중들의 훌륭한 질서 유지를 보여주어 1989년 FIFA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했다.[7]

2. 3. 2000년대

2. 3. 1. 2006 FIFA 월드컵

레오 베인하커 감독과 베테랑 선수 드와이트 요크, 러셀 라타피의 복귀로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2006년 FIFA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 극적으로 4위를 차지, 플레이오프를 통해 바레인을 꺾고 본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홈에서 1대1 무승부를 거둔 후, 바레인 마나마 원정에서 1대0으로 승리하며 본선행 티켓을 따냈다. 이는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FIFA 월드컵에 진출한 첫 사례였으며, 아이슬란드2018년 월드컵에 진출하기 전까지 FIFA 월드컵에 진출한 가장 작은 국가라는 기록을 보유하게 했다.

독일에서 열린 본선에서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잉글랜드, 스웨덴, 파라과이와 함께 B조에 편성되었다. 첫 경기에서 스웨덴을 상대로 후반 초반에 10명으로 줄어드는 불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0대0 무승부를 기록하며 선전했다. 그러나 잉글랜드와 파라과이와의 경기에서는 각각 2대0으로 패하며 1무 2패, 조 최하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잉글랜드321052+37
스웨덴312032+15
파라과이31022203
트리니다드 토바고301204−41




2. 4. 2010년대 ~ 현재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2차 예선에서 베르뮤다를 상대로 합계 3-2로 승리하며 3차 예선에 진출했다. 3차 예선에서는 미국, 과테말라, 쿠바와 같은 조에 속해 2위를 기록,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에서는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멕시코, 미국을 상대했으나, 초반 부진과 연패로 최하위를 기록하며 월드컵 진출에 실패했다.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2차 예선에서 가이아나에 밀려 조 2위로 탈락했다.[10] 버뮤다바베이도스를 상대로 승리했지만, 버뮤다 원정에서 패배[8]와 가이아나 원정에서 패배[10]가 결정적이었다. 결국 오토 피스터 감독이 경질되었다.[11]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4차 예선에서 과테말라,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미국을 상대로 조 2위를 기록하며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그러나 최종 예선에서는 6개 팀 중 최하위에 그쳤다. 미국과의 최종전에서 2-1로 승리하며 미국의 월드컵 진출을 좌절시켰지만,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1차 예선에서 세인트키츠 네비스, 푸에르토리코, 바하마, 가이아나와 함께 F조에 편성되었으나, 조 2위에 그치며 월드컵 진출에 실패했다.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은 2차 예선부터 시작하며, 코스타리카, 세인트키츠 네비스, 그레나다, 바하마와 함께 B조에 편성되었다.

3. 경기장

3. 1. 홈 경기장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은 창단 후 80년 동안 전국 각지에서 홈 경기를 치렀으며, 서인도 제도에서 가장 아름답고 큰 구식 크리켓 경기장으로 여겨지는 퀸스 파크 오벌을 가장 자주 사용했다.[12] 퀸스 파크 오벌은 포트오브스페인의 무쿠라포에 해즐리 크로포드 스타디움이 건설되기 전까지 국가 최대 규모의 경기장 역할을 했다.

1980년부터 해즐리 크로포드 스타디움이 국가대표팀의 홈구장이 되었다


해즐리 크로포드 스타디움은 육상 경기와 국제 축구 경기를 개최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이후 트리니다드 토바고 출신으로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인물인 해즐리 크로포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는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2001년 FIFA U-17 월드컵을 개최하기 전이었다. 경기장은 현재 2만 3천 석의 수용력을 갖추고 있으며, 트리니다드 토바고 정부가 소유하고 스포츠부 산하 특수 목적 국영 기관인 스포트(SporTT)를 통해 관리하고 있다.[13]

최근 몇 년 동안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협회(TTFA)는 해즐리 크로포드 스타디움의 조명 시스템 문제, 아토 볼던 스타디움에서의 경기 비용 절감, 팬들이 경기장에 더 가까이 앉을 수 있다는 이유로 1만 석 규모의 더 작은 아토 볼던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개최했다.[14]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온두라스에 1대 2로 패하고, 미국을 2대 1로 이겨 미국이 1986년 이후 처음으로 월드컵 진출에 실패하게 만들었다.[14] 그 이후 아토 볼던 스타디움에서는 그레나다, 가이아나, 파나마와의 친선 경기가 개최되었다.

3. 2. 서포터스

2006년 독일 월드컵 스웨덴과의 개막전을 앞둔 트리니다드 토바고 팬들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팬 그룹은 소카 워리어스 서포터스 클럽 또는 "워리어 네이션"이다. 이 단체는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협회와는 독립적인 비영리 단체이다. 트리니다드 토바고200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한 직후 결성된 이 서포터스 클럽은 소카 워리어스 온라인 설립자인 인샨 모하메드와 나이절 마이어스에 의해 조직되었다.

이 그룹의 활동에는 국내외에서 팀을 홍보하고, 축구 팬들을 대표하여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협회에 로비를 벌이며, 공정한 가격과 경기 티켓 배분을 옹호하고, 국내외 경기를 위한 팬들의 여행을 조직하고, 가족 중심의 팬 조직을 제공하고,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축구를 홍보하는 활동 등이 포함된다.

4. 역대 성적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은 2006년 FIFA 월드컵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본선에 진출했다.[20]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2004년 AFC 아시안컵 4위팀인 바레인을 꺾고 본선에 진출했으나, B조에서 잉글랜드, 스웨덴, 파라과이를 상대로 1무 2패,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20]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첫 경기에서 스웨덴과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월드컵 첫 승점을 획득했다.[20] 1966년부터 2002년까지, 그리고 2010년부터 2022년까지는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30년독립 이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예선 탈락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조별리그27위3012041
2010년예선 탈락
2014년
2018년
합계1회 진출(1/14[20])조별리그(1회)3012041
순위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68위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30년독립 이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41035123
1970년41124104
1974년961227819
1978년62221098
1982년4121125
1986년4013271
1990년1255213620
1994년4211747
1998년821515107
2002년221048332834
2006년201127302535
2010년18558223020
2014년640212412
2018년16529202817
합계137552755201183192
순위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41위 (북중미 6위)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CONCACAF 골드컵 본선에 16번 출전하여 1973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1973년 대회는 1974년 FIFA 월드컵의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을 겸했다. 2000년 대회에서는 4강에 진출했다. 2000년대 이후 7번의 대회 중 3번의 대회에서 8강 이상의 성적을 거두었다.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CONCACAF 골드컵 최고 성적은 준우승이다.

북중미 골드컵 본선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63년비회원국
1965년기권
1967년결선리그4위52036106
1969년결선리그5위51134124
1971년결선리그5위51226125
1973년결선리그준우승53021149
1977년예선 탈락
1981년
1985년조별리그7위4013271
1989년결선리그3위83327512
1991년조별리그5위3102343
1993년예선 탈락
1996년조별리그7위2002460
1998년조별리그6위2101553
2000년4강3위4202686
2002년조별리그10위2011121
2003년예선 탈락
2005년조별리그10위3021352
2007년조별리그11위3012251
2009년예선 탈락
2011년
2013년8강6위4112454
2015년8강5위42201068
2017년예선 탈락
2019년조별리그14위3012191
합계16회 진출(16/25)준우승(1회)621715307510566
순위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8위



첫 시즌 리그 A에 편입된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C조에서 온두라스, 마르티니크와 격돌했다. 그러나 마르티니크와의 2연전에서 모두 무승부(1차전 1-1 무, 2차전 2-2 무)에 그쳤고 온두라스와의 나머지 2연전에서는 모두 패배(3차전 0-2 패, 4차전 0-4 패)를 당하면서 2무 2패·조 최하위로 차기 시즌 리그 B로 강등되었다.

CONCACAF 네이션스리그 기록
리그rowspan="7" |결승전
시즌디비전경기 수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시즌 종료 후 승격/강등년도순위경기 수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스쿼드
2019-20AC402239 2020진출 실패
2022-23BC6411124 2023자격 없음
2023-24AA4301109 2024진출 실패
2024-25AB412157 2025
총계188553029총계0회 우승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역사
첫 경기마르티니크/Martinique프랑스어 1–1 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영어
(2019년 9월 6일; 프랑스 포르드프랑스)
최다 승리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영어 4–1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Saint Vincent and the Grenadines영어
(2022년 6월 13일; 트리니다드 토바고 포트오브스페인)
바하마/The Bahamas영어 0–3 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영어
(2023년 3월 24일; 바하마 나소)
최다 패배온두라스/Hondurases 4–0 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영어
(2019년 11월 17일; 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
온두라스/Hondurases 4–0 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영어
(2024년 9월 6일; 온두라스 테구시갈파)
최고 성적2023-24 7위
최악 성적2022-23 16위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카리브컵 본선에 18번 출전하여 8번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17년 대회를 끝으로 카리브컵이 폐지되면서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이 대회의 최다 우승국 타이틀을 영구 보유하게 되었다. 4번의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총 14번의 대회에서 4강 이상의 성적을 기록했다.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1989년, 1992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9년, 2001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 class="wikitable"

|-

! 개최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89 || '''우승''' || 3 || 2 || 0 || 1 || 5 || 3

|-

| 1991 || 준우승 || 5 || 3 || 0 || 2 || 12 || 5

|-

| 1992 || '''우승''' || 5 || 5 || 0 || 0 || 14 || 2

|-

| 1993 || 3위 || 5 || 2 || 1 || 2 || 10 || 10

|-

| 1994 || '''우승''' || 5 || 4 || 1 || 0 || 17 || 4

|-

| 1995 || '''우승''' || 5 || 4 || 0 || 1 || 21 || 3

|-

| 1996 || '''우승''' || 5 || 5 || 0 || 0 || 13 || 2

|-

| 1997 || '''우승''' || 4 || 2 || 1 || 1 || 9 || 3

|-

| 1998 || 준우승 || 5 || 4 || 0 || 1 || 18 || 6

|-

| 1999 || '''우승''' || 5 || 5 || 0 || 0 || 19 || 4

|-

| 2001 || '''우승''' || 5 || 4 || 0 || 1 || 13 || 3

|-

| 2005 || 3위 ||

4. 1. FIFA 월드컵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은 2006년 FIFA 월드컵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본선에 진출했다.[20]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2004년 AFC 아시안컵 4위팀인 바레인을 꺾고 본선에 진출했으나, B조에서 잉글랜드, 스웨덴, 파라과이를 상대로 1무 2패,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20]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첫 경기에서 스웨덴과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월드컵 첫 승점을 획득했다.[20] 1966년부터 2002년까지, 그리고 2010년부터 2022년까지는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30년독립 이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예선 탈락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조별리그27위3012041
2010년예선 탈락
2014년
2018년
합계1회 진출(1/14[20])조별리그(1회)3012041
순위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68위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30년독립 이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41035123
1970년41124104
1974년961227819
1978년62221098
1982년4121125
1986년4013271
1990년1255213620
1994년4211747
1998년821515107
2002년221048332834
2006년201127302535
2010년18558223020
2014년640212412
2018년16529202817
합계137552755201183192
순위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41위 (북중미 6위)


4. 2. CONCACAF 골드컵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CONCACAF 골드컵 본선에 16번 출전하여 1973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1973년 대회는 1974년 FIFA 월드컵의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을 겸했다. 2000년 대회에서는 4강에 진출했다. 2000년대 이후 7번의 대회 중 3번의 대회에서 8강 이상의 성적을 거두었다.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CONCACAF 골드컵 최고 성적은 준우승이다.

북중미 골드컵 본선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63년비회원국
1965년기권
1967년결선리그4위52036106
1969년결선리그5위51134124
1971년결선리그5위51226125
1973년결선리그준우승53021149
1977년예선 탈락
1981년
1985년조별리그7위4013271
1989년결선리그3위83327512
1991년조별리그5위3102343
1993년예선 탈락
1996년조별리그7위2002460
1998년조별리그6위2101553
2000년4강3위4202686
2002년조별리그10위2011121
2003년예선 탈락
2005년조별리그10위3021352
2007년조별리그11위3012251
2009년예선 탈락
2011년
2013년8강6위4112454
2015년8강5위42201068
2017년예선 탈락
2019년조별리그14위3012191
합계16회 진출(16/25)준우승(1회)621715307510566
순위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8위


4. 3.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첫 시즌 리그 A에 편입된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C조에서 온두라스, 마르티니크와 격돌했다. 그러나 마르티니크와의 2연전에서 모두 무승부(1차전 1-1 무, 2차전 2-2 무)에 그쳤고 온두라스와의 나머지 2연전에서는 모두 패배(3차전 0-2 패, 4차전 0-4 패)를 당하면서 2무 2패·조 최하위로 차기 시즌 리그 B로 강등되었다.

CONCACAF 네이션스리그 기록
리그rowspan="7" |결승전
시즌디비전경기 수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시즌 종료 후 승격/강등년도순위경기 수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스쿼드
2019-20AC402239 2020진출 실패
2022-23BC6411124 2023자격 없음
2023-24AA4301109 2024진출 실패
2024-25AB412157 2025
총계188553029총계0회 우승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역사
첫 경기마르티니크/Martinique프랑스어 1–1 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영어
(2019년 9월 6일; 프랑스 포르드프랑스)
최다 승리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영어 4–1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Saint Vincent and the Grenadines영어
(2022년 6월 13일; 트리니다드 토바고 포트오브스페인)
바하마/The Bahamas영어 0–3 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영어
(2023년 3월 24일; 바하마 나소)
최다 패배온두라스/Hondurases 4–0 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영어
(2019년 11월 17일; 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
온두라스/Hondurases 4–0 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영어
(2024년 9월 6일; 온두라스 테구시갈파)
최고 성적2023-24 7위
최악 성적2022-23 16위


4. 4. 카리브컵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카리브컵 본선에 18번 출전하여 8번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17년 대회를 끝으로 카리브컵이 폐지되면서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이 대회의 최다 우승국 타이틀을 영구 보유하게 되었다. 4번의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총 14번의 대회에서 4강 이상의 성적을 기록했다.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1989년, 1992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9년, 2001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개최년도결과경기 수득점실점
1989우승320153
1991준우승5302125
1992우승5500142
19933위52121010
1994우승5410174
1995우승5401213
1996우승5500132
1997우승421193
1998준우승5401186
1999우승5500194
2001우승5401133
20053위310256
2007준우승5311136
2008조별리그311144
2010조별리그310213
2012준우승512235
2014준우승422074
2017예선 탈락


4. 5. 팬아메리칸 게임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은 팬아메리칸 게임 본선에 U-23 대표팀 전적을 포함해 8번 출전했다. 이 중 1967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71년 대회에서는 2라운드 4위, 1975년 대회에서는 2라운드 7위를 기록했다. 1987년, 1991년, 1995년, 1999년 대회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11년과 2015년 대회에서도 조별리그를 통과하지 못했다.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1967년동메달3위531112710
1971년2라운드4위832313911
1975년2라운드7위51044213
1987년조별리그12위30031100
1991년조별리그10위3003170
1999년조별리그10위4004280
2011년조별리그5위3030333
2015년조별리그8위30033130
합계8회 진출(8/17)동메달(1회)347621397827


5. 기타 국제 대회 경력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CFU 챔피언십에서 4번의 대회에 참가하여 2번의 우승과 2번의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3년 OSN컵에서는 4팀 중 3위를 기록했다. 또한 1966년 쿠프 드발리에에서도 3위에 올랐다.

6. 선수

과거와 현재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에 출전한 모든 선수는 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가대표팀 선수 목록을 참조하십시오.

스턴 존(Stern John)은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자이며 70골을 기록했다.


'''역대 최다 출장 선수'''

순위선수명출전경기수득점활동 기간
1앵거스 이브(Angus Eve)118361994–2005
2스턴 존(Stern John)115701995–2011
3마빈 앤드류스(Marvin Andrews)104101996–2009
4덴실 티볼드(Densill Theobald)9922002–2013
5카를로스 에드워즈(Carlos Edwards)9741999–2017
6칼림 하일랜드(Khaleem Hyland)9452008–2021
마빈 필립(Marvin Phillip)9402007–2023
8조빈 존스(Joevin Jones)92142010년~현재
9데니얼 사이러스(Daneil Cyrus)9102010–2019
켄와인 존스(Kenwyne Jones)91232003–2017



'''역대 최다 득점 선수'''

순위선수명출전경기당골활동 기간
1스턴 존(Stern John)701150.611995–2011
2앵거스 이브(Angus Eve)361180.311994–2005
3러셀 라타피(Russell Latapy)29870.331987–2009
4아놀드 드와리카(Arnold Dwarika)28740.381993–2008
5코넬 글렌(Cornell Glen)24710.342002–2017
6케빈 몰리노(Kevin Molino)23610.382010–현재
켄와이네 존스(Kenwyne Jones)23910.252003–2017
8나이젤 피에르(Nigel Pierre)22570.391999–2005
9리온슨 루이스(Leonson Lewis)21310.681988–1996
10드와이트 요크(Dwight Yorke)19720.261989–2009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선수로는 드와이트 요크, 스턴 존, 켄와인 존스 등이 있다. 스턴 존은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자로 70골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대닐 사이러스, 마빈 필립, 캘림 하일랜드, 조빈 존스, 오브리 데이비드, 아타울라 게라, 셸던 바토, 칼라일 미첼, 메킬 윌리엄스, 앨빈 존스, 커티스 곤살레스, 키번 조지, 레스턴 폴, 케빈 몰리노, 코델 케이토, 샤카 히슬롭(Shaka Hislop), 토니 워너(Tony Warner), 데니스 로렌스(Dennis Lawrence), 제이로이드 새뮤얼(Jlloyd Samuel), 조빈 존스(Jovin Jones), 러셀 라타피(Russell Latapy), 크리스토퍼 버처(Christopher Birchall) 등이 트리니다드 토바고 대표팀에서 활약했다.

6.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0월 10일과 14일에 쿠바와의 2024-25 CONCACAF 네이션스리그 A 경기를 위해 다음 23명의 선수가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다.[15] 2024년 9월 10일 프랑스령 기아나와의 경기 후 캡과 득점이 업데이트되었다.[15]

포지션선수생년월일출장 수득점소속팀
GK어드리안 폰세트(Adrian Foncette)1988년 10월 10일/Adrian Foncette영어240폴리스 FC
GK덴질 스미스(Denzil Smith)1999년 10월 12일/Denzil Smith영어150포트오브스페인
GK크리스토퍼 빅겟(Christopher Biggette)1996년 2월 17일/Christopher Biggette영어40디펜스 포스
DF조빈 존스(Joevin Jones)1991년 8월 3일/Joevin Jones영어9013폴리스 FC
DF오브리 데이비드(Aubrey David)1990년 10월 11일/Aubrey David영어861C.S.D. 무니시팔
DF앨빈 존스(Alvin Jones)1994년 7월 9일/Alvin Jones영어576폴리스 FC
DF셸던 바토(Sheldon Bateau)1991년 1월 29일/Sheldon Bateau영어554베베런
DF트리스턴 호지(Triston Hodge)1994년 10월 9일/Triston Hodge영어320하트퍼드 애슬레틱
DF저스틴 가르시아(Justin Garcia)1995년 10월 26일/Justin Garcia영어231디펜스 포스
DF로스 러셀 주니어(Ross Russell Jr.)1992년 1월 9일/Ross Russell Jr.영어180라 호르케타 레인저스
DF섀넌 고메즈(Shannon Gomez)1996년 10월 5일/Shannon Gomez영어160샌 안토니오 FC
MF케빈 몰리노(Kevin Molino)1990년 6월 17일/Kevin Molino영어6023소속 없음
MF노아 파우더(Noah Powder)1998년 10월 27일/Noah Powder영어232노던 콜로라도 헤일스톰 FC
MF미셸 푼-앙제롱(Michel Poon-Angeron)2001년 4월 19일/Michel Poon-Angeron영어161포틀랜드 하츠 오브 파인
MF안드레 램퍼새드(Andre Rampersad)1995년 2월 2일/Andre Rampersad영어161HFX 원더러스
MF존-폴 로치포드(John-Paul Rochford)2000년 1월 5일/John-Paul Rochford영어142포트오브스페인
MF이사이야 리(Isaiah Lee)1999년 9월 21일/Isaiah Lee영어60라 호르케타 레인저스
MF단타예 길버트(Dantaye Gilbert)2004년 12월 3일30용 PSV
FW라이언 텔퍼(Ryan Telfer)1994년 5월 4일/Ryan Telfer영어3110HFX 원더러스
FW리얼 길(Real Gill)2003년 1월 23일101노던 콜로라도 헤일스톰 FC
FW내덜니얼 제임스(Nathaniel James)2004년 6월 17일/Nathaniel James영어93마운트 플레전트
FW케본 우들리(Kevon Woodley)1986년 7월 6일/Kevon Woodley영어51폴리스 FC
FW타이리스 스파이서(Tyrese Spicer)2000년 12월 4일/Tyrese Spicer영어00토론토 FC


6. 2. 주요 선수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선수로는 드와이트 요크, 스턴 존(Stern John), 켄와인 존스(Kenwyne Jones) 등이 있다. 스턴 존은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자로 70골을 기록했다.

'''역대 최다 출장 선수'''

순위선수명출전경기수득점활동 기간
1앵거스 이브(Angus Eve)118361994–2005
2스턴 존(Stern John)115701995–2011
3마빈 앤드류스(Marvin Andrews)104101996–2009
4덴실 티볼드(Densill Theobald)9922002–2013
5카를로스 에드워즈(Carlos Edwards)9741999–2017
6칼림 하일랜드(Khaleem Hyland)9452008–2021
마빈 필립(Marvin Phillip)9402007–2023
8조빈 존스(Joevin Jones)92142010년~현재
9데니얼 사이러스(Daneil Cyrus)9102010–2019
켄와인 존스(Kenwyne Jones)91232003–2017



'''역대 최다 득점 선수'''

순위선수명출전경기당골활동 기간
1스턴 존(Stern John)701150.611995–2011
2앵거스 이브(Angus Eve)361180.311994–2005
3러셀 라타피(Russell Latapy)29870.331987–2009
4아놀드 드와리카(Arnold Dwarika)28740.381993–2008
5코넬 글렌(Cornell Glen)24710.342002–2017
6케빈 몰리노(Kevin Molino)23610.382010–현재
켄와이네 존스(Kenwyne Jones)23910.252003–2017
8나이젤 피에르(Nigel Pierre)22570.391999–2005
9리온슨 루이스(Leonson Lewis)21310.681988–1996
10드와이트 요크(Dwight Yorke)19720.261989–2009



이외에도 대닐 사이러스, 마빈 필립, 캘림 하일랜드, 조빈 존스, 오브리 데이비드, 아타울라 게라, 셸던 바토, 칼라일 미첼, 메킬 윌리엄스, 앨빈 존스, 커티스 곤살레스, 키번 조지, 레스턴 폴, 케빈 몰리노, 코델 케이토, 샤카 히슬롭(Shaka Hislop), 토니 워너(Tony Warner), 데니스 로렌스(Dennis Lawrence), 제이로이드 새뮤얼(Jlloyd Samuel), 조빈 존스(Jovin Jones), 러셀 라타피(Russell Latapy), 크리스토퍼 버처(Christopher Birchall) 등이 트리니다드 토바고 대표팀에서 활약했다.

최근 12개월 동안 대표팀에 차출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 골키퍼: 애런 에닐(Aaron Enill)
  • 수비수: 안드레 레이몬드(Andre Raymond), 레랜드 아처(Leland Archer), 요시아 트리밍엄(Josiah Trimmingham), 이사야 가르시아(Isaiah Garcia), 로버트 프리머스(Robert Primus), 제시 윌리엄스(Jesse Williams (footballer, born 2001))
  • 미드필더: 듀에인 머켓(Duane Muckette), 다니엘 필립스(Daniel Phillips (footballer)), 스테펜 예이츠(Steffen Yeates), 아자니 포춘(Ajani Fortune), 케본 고다드(Kevon Goddard), 크리스티안 리-힘(Kristian Lee-Him)
  • 공격수: 리온 무어(Reon Moore), 카일 오브레이(Kaïlé Auvray), 말콤 쇼(Malcolm Shaw (footballer)), 에제키엘 케사르(Ezekiel Kesar), 레비 가르시아(Levi García)

6. 3. 역대 감독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대 감독은 다음과 같다.

  • 조프레 챔버스 (1964)
  • 아메리고 브루너 (1965–1966)
  • 콘래드 브레이스웨이트 (1965–1967)
  • 마이클 레잉 (1968)
  • 트레버 스미스 (1969)
  • 케빈 베리티 (1972–1973)
  • 루디 구텐도르프 (1976)
  • 에드가 비달 (1976)
  • 앨빈 코니얼 (1980)
  • 케네스 부처 (1980)
  • 로데릭 워너 (1984–1985)
  • 에버럴드 커밍스 (1988–1989)
  • 켄윈 쿠퍼 (1989)
  • 앨빈 코니얼 (1990)
  • 에드가 비달 (1990–1991)
  • 무함마드 이사 (1992)
  • 클로비스 드 올리베이라 (1992)
  • 에버럴드 커밍스 (1993)
  • 케니 조셉 (1994)
  • 조란 브라네시 (1994–1996)
  • 요헨 피게 (1996)
  • 케니 조셉 (1996)
  • 세바스티앙 드 아라우주 (1996)
  • 에드가 비달 (1997)
  • 버틸 세인트 클레어 (1997–2000)
  • 이안 포터필드 (2000–2001)
  • 르네 시무이스 (2001–2002)
  • 클레이턴 모리스 (2002)
  • 하니발 나자르 (2002–2003)
  • 조란 브라네시 (2003)
  • 스튜어트 찰스-페브리에 (2003)
  • 론 라 포레스트 (2004)
  • 버틸 세인트 클레어 (2004–2005)
  • 레오 베인하커 (2005–2006)
  • 윔 리스베르헌 (2006–2007)
  • 안톤 코니얼 (2008)
  • 프란시스코 마투라나 (2008–2009)
  • 러셀 라타피 (2009–2011)
  • 오토 피스터 (2011–2012)
  • 헛슨 찰스 (2012–2013)
  • 자말 샤바즈 (2012–2013)
  • 스티븐 하트 (2013–2016)
  • 톰 생피에르 (2016–2017)
  • 데니스 로렌스 (2017–2019)
  • 테리 펜윅 (2020–2021)
  • 앵거스 이브 (2021–2024)
  • 데릭 킹 (2024)
  • '''드와이트 요크''' (2024-현재)

7. FIFA 랭킹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2001년에 기록한 25위[18]이며, 최저 순위는 2010년에 기록한 106위[18]이다. 1995년에 순위 하락폭이 28위로 가장 컸으며[18], 2014년에는 순위 상승폭이 37위로 가장 컸다.[18]

3103
1032020103 2105 1
104201992 1104 9
92201879 793 13
87201776 1699 16
78201649 678 13
49201549 867 7
55201449 3786 13
78201369 987 12
68201268 1185 7
76201176 1195 7
89201076 28106 21
82200963 782 9
77200877 12102 20
81200763 1987 14
91200647 591 24
50200550 562 3
63200463 1477 7
70200347 171 12
47200234 347 7
32200125 1136 5
29200029 949 4
44199940 1172 17
51199844 1259 11
56199742 1374 18
41199633 1550 4
57199555 2785 28
91199483 1095 5
88199385 189 23


참조

[1] 웹사이트 Trinidad and Tobago – List of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2023-02-02
[2] 웹사이트 Trinidad and Tobago's Soca Warriors set to give them all in Germany https://web.archive.[...] 2008-06-23
[3] 뉴스 Football: Carnival time and the Trinis are up for the party http://findarticles.[...] The Independent 2008-06-23
[4] 웹사이트 Haitian robbery: Trinidad and Tobago cheated W/Cup spot https://web.archive.[...] 2008-06-23
[5] Youtube Red-Day, Nov, 19, 1989 https://web.archive.[...] 2008-06-23
[6] 웹사이트 Pulse: Thank You Trinidad and Tobago Warriors https://web.archive.[...] 2008-06-23
[7] 웹사이트 FIFA Fair Play Awards https://web.archive.[...] 2008-06-23
[8] 웹사이트 2014 FIFA World Cup Brazil™ – Matches – Bermuda-Trinidad and Tobago – FIFA.com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2014 FIFA World Cup Brazil™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2014 FIFA World Cup Brazil™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Corneal appointed TTFF Technical Director, Otto Pfister axed http://www.socawarri[...] 2012-06-03
[12] 뉴스 Queen's Park Oval http://www.cricinfo.[...] Cricinfo Staff 2007-03-13
[13] 웹사이트 Hasely Crawford Stadium https://web.archive.[...] 2016-03-31
[14] 뉴스 U.S.'s World Cup qualifier in Trinidad set for 10,000-seat stadium http://www.espn.com/[...] ESPN 2017-09-15
[15] 뉴스 Final Roster named for Nations League clashes vs Cuba https://thettfa.com/[...] Trinidad and Tobago Football Association 2024-10-05
[16] 웹사이트 Trinidad and Tobago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2017-10-15
[17] 웹사이트 Cuba 1 Trinidad & Tobago 0 https://int.soccerwa[...] 2012-12-16
[18] 웹사이트 Trinidad & Tobago in the FIFA World Ranking https://www.fifa.com[...] 2021-12-23
[19] 웹사이트 asahi.com:4枠滑り込み トリニダード・トバゴは夢の初出場 - スポーツ https://www.asahi.co[...] 2024-01-05
[20] 문서 월드컵 출전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