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는 시리아 안티오키아 출신의 로마 원로원 의원이자 군인으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시기에 활약했다. 그는 파르티아 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고, 마르코만니 전쟁에서 군사 총독으로 활약하며 황제의 신임을 얻어 사위가 되었다. 콤모두스 황제 시기에는 암살 음모에 연루된 아내 루킬라와 달리 처벌을 면하고 은퇴했다. 콤모두스 사후 로마로 돌아와 황제 자리를 제안받았으나 거절했고, 193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5년 출생 - 아울루스 겔리우스
아울루스 겔리우스는 2세기 로마의 작가이자 법률가이며, 그의 저서 《아테네의 밤》은 문법, 기하학, 철학, 역사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일화와 논평을 모아 당시 사회의 모습과 고대 작가들의 글을 보여주는 책으로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3년 사망 - 위유
위유는 후한 말 유우의 동조연으로, 유우가 공손찬을 공격하려 할 때 만류했으며 이민족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정책을 건의했으나 193년에 병사한 인물이다. - 193년 사망 - 페르티낙스
페르티낙스는 콤모두스 암살 후 로마 황제가 되었으나, 재정 개혁과 군 기강 확립 시도 중 프라이토리아니의 반발로 87일 만에 암살당한 인물이다. - 로마 제국의 장군 - 트라야누스
트라야누스는 로마 황제로서 다키아 정복과 파르티아 원정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원로원과 협력하여 '최고의 황제'로 칭송받았으며, 대규모 건축 사업과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로마 제국의 발전과 사회 시스템 개선에 기여했다. - 로마 제국의 장군 - 아리아노스
아리아노스는 로마 제국의 역사가이자 철학자, 군인으로, 스토아 철학자 에픽테토스의 제자였으며, 《알렉산드로스 원정기》를 저술했고, 로마 제국의 총독을 역임하며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
로마자 표기 | Tiberius Claudius Pompeianus |
출생 | 125년경 |
출생지 | 로마 제국 시리아 속주 안티오키아 (현재의 튀르키예 하타이주 안타키아) |
사망 | 193년 (68세) |
사망지 | 로마 제국 로마 (현재의 이탈리아 로마) |
가족 관계 | |
배우자 | 루킬라 (169년 결혼, 182년 사망) |
자녀 |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폼페이아누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퀸티아누스 |
경력 | |
보좌 집정관 | 162년 |
공동 보좌 집정관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파울리누스 |
판노니아 인페리오르 군사 총독 | 164년 ~ 168년 |
집정관 | 173년 |
공동 집정관 |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
2. 어린 시절
시리아 안티오키아 출신인 폼페이아누스는 비교적 낮은 계층 출신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기사 계급이었다.[21] 그의 가문은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기에 로마 시민권을 얻었다. 폼페이아누스는 가문에서 처음으로 원로원 의원이 된 '노부스 호모'였다.
파르티아 전쟁 이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는 폼페이아누스를 다뉴브강을 따라 형성된 로마 제국의 북쪽 국경에 판노니아 인페리오르의 군사 총독으로 임명하였다.[23][24] 그는 164년부터 168년까지 복무했던 것으로 보인다. 166년 말 혹은 167년 초, 랑고바르드족 6,000명이 판노니아를 침입했으나, 폼페이아누스는 이들을 비교적 쉽게 격퇴하였다.[25] 하지만 이는 더 큰 규모의 야만족 침입의 시작이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180년에 사망하자, 그의 18세 아들이자 폼페이아누스의 처남인 콤모두스가 황제로 선포되었다. 폼페이아누스는 콤모두스에게 마르코만니족 정복을 완수하기 위해 다뉴브 국경에 남아있어야 한다고 설득했으나, 콤모두스는 180년 가을에 로마로 복귀하였다.[30][31]
192년 콤모두스가 친위대에게 암살당하자, 폼페이아누스는 로마로 돌아와 원로원 의원으로 복귀했다.[34]
러셀 크로우가 2000년 영화 《글래디에이터》에서 연기한 막시무스 데키무스 메리디우스는 폼페이아누스를 비롯하여 나르키소스 등 여러 인물을 모델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폼페이아누스의 초기 생애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그는 루키우스 베루스 황제 휘하에서 군단장으로 추정되는 직위로 로마-파르티아 전쟁 (161년-166년)에 참전하여 뛰어난 공을 세웠고, 162년 보좌 집정관으로 임명되었다.[22]
3. 마르코만니 전쟁
167년 말, 마르코만니족이 판노니아를 넘어 제국을 침입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루키우스 베루스는 이들을 다뉴브강 너머로 몰아내기 위한 원정을 계획하였으나, 안토니누스 역병으로 인해 원정은 168년 초까지 연기되었다. 폼페이아누스의 도움으로 두 황제는 마르코만니족을 몰아낼 수 있었다. 폼페이아누스의 군사적 능력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신임을 얻어, 그는 황제의 가까운 조언자가 되었다.
황제들이 아퀼레이아의 동계 진지로 돌아온 후, 루키우스 베루스는 병으로 169년 1월에 사망하였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자신의 딸이자 베루스의 미망인인 루킬라를 폼페이아누스와 혼인하도록 주선하였다.[21][26] 폼페이아누스는 황제의 사위로서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의 일원이 되었다. 아우렐리우스 황제는 그에게 '카이사르' 칭호를 제안했으나, 폼페이아누스는 이를 거절하였다. 대신 폼페이아누스는 마르코만니 전쟁 기간 동안 황제의 최고 사령관으로 승진하여 복무했고, 그의 지휘 아래 페르티낙스가 합류했다.
폼페이아누스는 마르코만니 전쟁에서 큰 공을 세워 173년에 두 번째 집정관 직무를 수행하였다.[26][27][28] 그는 다뉴브 유역에서 일어난 다수의 군사 작전에 참전했고,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죽은 뒤에도 이 지역에 머물렀다.[29]
4. 콤모두스 시기
어린 황제와 노장 간의 관계는 빠르게 악화되었다. 182년, 폼페이아누스의 아내이자 콤모두스의 누이인 루킬라는 콤모두스 암살 계획을 꾸몄으나 실패했다. 콤모두스는 루킬라를 비롯해 연루된 가족들을 처형하였으나, 폼페이아누스는 이 계획에 참여하지 않아 처벌받지 않았다.[32][33] 암살 사건 이후, 폼페이아누스는 노령을 이유로 공직에서 물러나 이탈리아 영지에서 여생을 보냈다. 그는 나이와 눈병을 핑계로 로마에서 떨어진 교외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34]
5. 생애 말년
당시 로마 시장이었던 페르티낙스는 폼페이아누스에게 황제 자리를 제안했으나, 그는 고령과 시력 문제를 이유로 거절했다.[35] 이후 디디우스 율리아누스가 황제가 되었으나, 폼페이아누스에게 공동 황제가 되어 달라는 요청을 거절당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에게 처형당했다.[36]
폼페이아누스는 193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폼페이아누스의 아들 아우렐리우스는 209년에 집정관을 역임했지만, 카라칼라의 선동으로 암살당했다.[37] 폼페이아누스의 후손들은 231년과 241년에 집정관을 역임했다.[38]
6. 대중 문화
7. 비문 자료
참조
[1]
서적
Prosopographia Imperii Romani
[2]
서적
Historia Augusta, Life of Marcus Aurelius
[3]
논문
Eine neue Bürgerrechtskonstitution für die Truppen von Pannonia inferior aus dem Jahr 162 mit einem neuen Konsulnpaar
[4]
간행물
CIL 16 00123
[5]
서적
[6]
서적
Roman History
[7]
서적
The Emperor Commodus: Gladiator, Hercules Or a Tyrant?
[8]
서적
Historia Augusta Life of Avidius Cassius
[9]
간행물
CIL 09 04970 and CIL 11 7555
[10]
간행물
CIL 03 6176
[11]
서적
Roman History
[12]
서적
The Antonines: The Roman Empire in Transition
[13]
서적
Roman History
[14]
서적
The Antonines: The Roman Empire in Transition
[15]
서적
Roman History
[16]
서적
Historia Augusta, Life of Pertinax
[17]
서적
Historia Augusta, Life of Didius Julianus
[18]
서적
Power and Status in the Roman Empire, AD 193–284
[19]
논문
Les gendres de Marc Aurèle
[20]
서적
Prosopographia Imperii Romani
[21]
서적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전'
[22]
논문
Eine neue Bürgerrechtskonstitution für die Truppen von Pannonia inferior aus dem Jahr 162 mit einem neuen Konsulnpaar
[23]
간행물
CIL 16 00123
[24]
서적
[25]
서적
Roman History
[26]
서적
The Emperor Commodus: Gladiator, Hercules Or a Tyrant?
[27]
서적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전기
[28]
간행물
CIL 09 04970 and CIL 11 7555
[29]
간행물
CIL 03 6176
[30]
서적
Roman History
[31]
서적
The Antonines: The Roman Empire in Transition
[32]
서적
Roman History
[33]
서적
The Antonines: The Roman Empire in Transition
[34]
서적
Roman History
[35]
서적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페르티낙스 전기'
[36]
서적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전기', 9, 3
[37]
서적
Power and Status in the Roman Empire, AD 193–284
[38]
간행물
Les gendres de Marc Aurè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