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릉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릉군은 439년 남조 송나라에 의해 설치된 중국의 옛 행정 구역이다. 장사군, 강하군에서 분할된 4개 현으로 시작하여 상주에 속했다가 영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남조 제, 양나라를 거치며 파주에 속했고, 589년 수나라에 의해 폐지되어 악주로 편입되었다. 607년 다시 파릉군으로 개칭되었으나, 당나라에 의해 파주, 악주로 개칭되면서 758년 사라졌다. 파릉군은 시대에 따라 파릉, 화용, 원강, 상음, 라현, 창강 등의 현을 관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난성의 군 - 창오군
    창오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시기에 처음 등장하여 한나라, 삼국 시대, 남북조 시대, 수나라,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설치 및 폐지되었으며, 기원전 111년 한나라가 남월을 멸망시킨 후 설치되어 광신현에 치소를 두었다.
  • 후난성의 군 - 장사군
    진나라가 초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장사군은 전한 시대에 장사국으로 존속하며 이성 제후국 중 가장 오래 유지되었으나, 손오 시대에 규모가 축소되었고 수나라 때 폐지, 당나라 때 잠시 부활했다.
  • 후베이성의 군 - 한중군
    한중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왕조에서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으로, 한수 유역의 한중 분지에 위치하며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후베이성의 군 - 남양군 (중국)
    남양군은 기원전 272년 진나라 소양왕 때 설치되어 한수 북쪽의 옛 초나라 땅을 관할했던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영역이 변하다 수나라 때 잠시 등주로 바뀌었다가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 당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당나라의 군 - 예장군
    예장군은 기원전 201년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당나라 시대까지 존속한 중국의 옛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관할 구역에 변화가 있었으며 수나라 때 잠시 폐지되었다가 당나라 때 재설치되기도 했다.
파릉군

2. 역사

439년(유송 문제 원가 16년) 장사군의 일부 현들이 분리되어 파릉군이 신설되었으며, 시대에 따라 소속과 영역이 변동되었다. 양나라 때 파주(巴州)가 설치되었으나 수나라진나라를 정복한 이후 파주가 악주(岳州)로 개명되었다. 수 양제 초기 나주(羅州)로 개명되었다가 군현제가 복구됨에 따라 파릉군으로 개명되었다.

수나라 때 파릉군은 5현 6,934호를 거느렸다.[7][8]

파릉군(수)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파릉현巴陵縣웨양시
화용현華容縣웨양시 화룽현 약간 서남 장화태(章華台)양나라 때 남안상군(南安湘郡) 안남현(安南縣)이 설치되었으나 얼마 못가 폐지되었다. 598년(수 문제 개황 18년) 안남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원강현沅江縣이양시 위안장시본래 약산군(藥山郡) 약산현(藥山縣)이었으나 통일 이후 약산군이 통폐합되었고 안락현(安樂縣)으로 개명되었다. 598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상음현湘陰縣웨양시 샹인현 문성진(文星鎭) 서남진나라 때 양나라 나주, 악양군이 폐지되었으나 통일 이후 상음현이 악양현에 통폐합되면서 현의 치소가 문성진 북부에서 서남으로 교치되었다. 이후 옥주(玉州)로 분리되었다. 598년 악양현이 상음현으로 개명되었고 옥산현(玉山縣)이 통폐합되었다. 600년(수 문제 개황 20년), 옥주가 폐지되면서 본주로 내속되었다.
나현羅縣웨양시 미뤄시589년(수 문제 개황 9년), 오창현(吳昌縣), 상빈현(湘濱縣)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무수(氵貿水), 골수(汨水)가 흘렀다.


2. 1. 남조

439년(유송 문제 원가 16년), 장사군의 파릉현, 포기현, 하준현과 강하군의 사양현, 총 4개 현이 분리되어 파릉군이 신설되었다. 파릉군은 본래 상주 소속이었으나, 454년(유송 효무제 효건 원년) 영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6] 남조 제 시기에도 파릉군은 존속했으며, 4개 현을 관할하였다.[2] 양나라 때는 파주에 속했으며, 529년에는 도지교위가 설치되기도 했다.[4]

파릉군은 4현 5,178호 25,316명을 거느리고 있었으며, 하구까지는 수로로 500리, 건강까지는 수로로 2,500리 거리였다.[6]

파릉군(남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파릉현巴陵縣웨양시남상(男相)
하준현下雋縣셴닝시 퉁청현후상(候相)
감리현監利縣징저우시 젠리현 애화촌(愛化村) 동북후상(候相)222년(손권 황무 원년) 화용현에서 신설되었으나 얼마 못가 폐지되었다. 284년(서진 무제 태강 5년) 복구되었다.
주릉현州陵縣셴닝시 자위현 동북 패주만진(簰洲灣鎭) 하신주촌(下新洲村) 일대후상(候相)468년(유송 명제 태시 4년) 호택(湖澤)에 수몰되자 수안현(綏安縣)에 통폐합되었다.


2. 2. 수

589년(수 문제 개황 9년), 수나라진나라를 멸망시킨 후 파릉군을 폐지하고 악주에 편입하였다.[3] 606년(수 양제 대업 2년), 악주를 나주로 개칭하였다가,[3] 607년 주현제를 폐지하고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나주를 다시 파릉군으로 개칭하였다.[3] 파릉군은 파릉, 화용, 원강, 상음, 라의 5현을 관할했다.[3] 수당교체기 혼란기에 이 지역에서 교위 동경진이 소선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7][8]

2. 3. 당

621년(당 고조) 무덕 4년, 소선의 반란을 평정하면서 파릉군을 파주로 고쳤다. 623년(당 고조 무덕 6년), 파주를 악주로 고치고 일부 현을 분리하였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악주를 다시 파릉군으로 고쳤다. 파릉군은 파릉, 화용, 원강, 상음, 창강의 5현을 관할했다.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파릉군을 다시 악주로 고치면서 파릉군이라는 이름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5]

3. 속현

파릉군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현을 관할했다.

참조

[1] 서적 宋書
[2] 서적 南斉書
[3] 서적 隋書
[4] 서적 隋書
[5] 서적 旧唐書
[6] 서적 송서 27권 지 제 27 주군3 영주 파릉태수 https://zh.wikisourc[...]
[7] 서적 수서 31권 지 제26 지리下 형주 파릉군 https://zh.wikisourc[...]
[8] 서적 구당서 56권 열전 제 6 소선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