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브리스 산토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브리스 산토로는 프랑스의 은퇴한 테니스 선수이다. 1989년 프로로 데뷔하여 2010년 은퇴했으며, 남자 단식에서 6번, 복식에서 24번의 ATP 투어 우승을 기록했다. 2003년과 2004년 호주 오픈 남자 복식에서 우승했으며, 2005년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에서도 우승했다. 1992년, 2000년, 2004년 올림픽에 프랑스 대표로 출전했다. 2004년 프랑스 오픈 1회전에서 6시간 33분간의 테니스 역사상 최장 경기 기록을 세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아르노 디 파스쿠알
아르노 디 파스쿠알은 프랑스의 전 프로 테니스 선수로, 1997년 US 오픈 주니어 남자 단식 우승,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남자 단식 동메달(로저 페더러 꺾음)을 획득했으며, ATP 투어 단식 1승 1패, 그랜드 슬램 프랑스 오픈 4회전, ATP 마스터스 1000 시리즈 함부르크 유러피언 오픈 8강이 최고 성적이다. - 프랑스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리샤르 가스케
프랑스 프로 테니스 선수인 리샤르 가스케는 뛰어난 원핸드 백핸드를 주무기로 하며 "테니스의 모차르트"라는 찬사를 받았고, 윔블던과 US 오픈 4강 진출, 런던 올림픽 복식 동메달, ATP 투어 단식 16회 우승, 데이비스 컵 우승 등의 업적을 달성했다. - 1992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스테판 에드베리
스테판 에드베리는 1980~90년대 스웨덴 테니스 선수로, 6개의 그랜드 슬램 단식, 3개의 복식 타이틀을 획득하고 세계 랭킹 1위를 72주 기록했으며, 올림픽 금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한 후 로저 페더러의 코치를 맡았다. - 1992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제니퍼 캐프리아티
제니퍼 캐프리아티는 미국의 전 프로 테니스 선수로, 3개의 그랜드 슬램 단식 타이틀과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01년 호주 오픈과 프랑스 오픈 우승으로 세계 랭킹 1위에 오르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공과 부활을 거쳐 2012년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파브리스 산토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선수 이름 (영어) | Fabrice Santoro |
전체 이름 (영어) | Fabrice Vetea Santoro |
애칭 | 마술사 (The Magician) |
국적 | 프랑스 |
거주지 | 제네바, 스위스 |
출생일 | 1972년 12월 9일 |
출생지 | 타히티,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프랑스 |
신장 | 177cm |
체중 | 74kg |
오른손잡이 여부 | 오른손 |
백핸드 | 양손 |
프로 데뷔 | 1989년 (1988년부터 아마추어 투어) |
은퇴 | 2010년 |
플레이 스타일 | 오른손 (양손 포핸드 및 백핸드) |
경력 정보 | |
통산 상금 | $10,021,132 |
단식 통산 전적 | 470승 444패 |
단식 타이틀 | 6 |
단식 최고 랭킹 | 17위 (2001년 8월 6일) |
복식 통산 전적 | 377승 257패 |
복식 타이틀 | 24 |
복식 최고 랭킹 | 6위 (1999년 7월 5일) |
그랜드 슬램 단식 성적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8강 (2006) |
프랑스 오픈 | 4회전 (1991, 2001) |
윔블던 | 3회전 (2001) |
US 오픈 | 3회전 (1990, 1998, 1999, 2004) |
올림픽 | 8강 (1992) |
그랜드 슬램 복식 성적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우승 (2003, 2004) |
프랑스 오픈 | 준우승 (2004) |
윔블던 | 준우승 (2006) |
US 오픈 | 준결승 (2003) |
테니스 마스터스 컵 | 우승 (2005) |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성적 | |
프랑스 오픈 | 우승 (2005) |
기타 정보 | |
데이비스 컵 | 우승 (1991, 2001) |
2. 선수 경력
산토로는 타히티에서 태어나 프랑스 남부의 라 센쉬르메르에서 자랐다. 그의 아버지는 툴롱의 군항에서 일했으며, 전 축구 선수이자 이후 테니스 코치가 되었다.[3] 산토로는 아버지에게 테니스를 배우며 어릴 적부터 테니스를 시작했다.[3]
1988년 주니어 프랑스 오픈과 1988년 주니어 US 오픈에서 초반에 탈락한 후, 1989년 주니어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했고, 1989년 주니어 US 오픈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며 주니어 랭킹 최고 3위에 올랐다.[1]
프로 선수로서 산토로는 2008년 뉴포트 토너먼트에서 35세의 나이로 우승하면서 ATP 단식 대회에서 2연패를 달성한 최고령 테니스 선수가 되었다. 2004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아르노 클레망을 상대로 6시간 33분 만에 승리하며 오픈 시대 최장 시간 단식 경기 기록을 세웠다(6–4, 6–3, 6–7(5), 3–6, 16–14).[2] 이 기록은 2010년 윔블던에서 존 이스너가 니콜라스 마위를 이기기 전까지 유지되었지만, 여전히 프랑스 오픈 기록으로 남아있다. 2006년 호주 오픈은 산토로가 그랜드 슬램에서 유일하게 8강에 진출한 경기였다.
산토로는 노박 조코비치, 로저 페더러, 앤디 로딕 등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했던 18명의 선수를 이겼다.[2] 특히 마라트 사핀을 상대로 7–2의 상대 전적을 기록했는데, 사핀은 "산토로와 경기를 하게 되었다는 말을 들으면 죽으라는 소리를 듣는 것과 같았다"라고 말할 정도였다.
복식에서도 뛰어난 실력을 보여준 산토로는 미카엘 로드라와 함께 2003년 호주 오픈과 2004년 호주 오픈 남자 복식에서 우승했고, 다니엘라 한투호바와 함께 2005년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에서 우승했다.
피트 샘프라스는 산토로의 다양하고 혁신적인 플레이 스타일에 "마술사"라는 별명을 붙였다.[2] 그는 포핸드와 백핸드를 양손으로 사용하며, 오른손잡이임에도 왼손으로 포핸드에 슬라이스를 넣는 독특한 스타일을 구사했다.
산토로는 프랑스 대표로 1992년 바르셀로나, 2000년 시드니,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출전했다.[1]
2010년 호주 오픈에서 1라운드에서 마린 칠리치에게 패배하며 프로 테니스 경력을 마감했다.[2]
2. 1. 주니어 시절
산토로는 1988년 주니어 프랑스 오픈과 1988년 주니어 US 오픈에서 초반에 탈락한 후, 1989년 주니어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했다. 또한 1989년 주니어 US 오픈에서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주니어 랭킹 최고 3위에 올랐다.[1]
2. 2. 프로 시절
산토로는 2008년 뉴포트 토너먼트에서 35세의 나이로 우승하면서 ATP 단식 대회에서 2연패를 달성한 최고령 테니스 선수가 되었다.
산토로는 오픈 시대에서 당시 가장 긴 단식 경기를 펼쳤다. 2004년 프랑스 오픈에서 그는 같은 프랑스 선수인 아르노 클레망을 상대로 6시간 33분 만에 1라운드 경기를 승리했다(6–4, 6–3, 6–7(5), 3–6, 16–14). 이 기록은 존 이스너가 니콜라스 마위를 2010년 윔블던에서 이기기 전까지 유지되었지만, 여전히 프랑스 오픈 기록으로 남아있다.
단식 테니스 선수로서 2006년 호주 오픈은 산토로가 그랜드 슬램에서 유일하게 8강에 진출한 경기였다.
단식 경기에서 산토로는 커리어 동안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했던 18명의 선수를 이겼다: 노박 조코비치, 지미 코너스, 마츠 빌란데르, 보리스 베커, 스테판 에드베리, 짐 쿠리어, 안드레 애거시, 피트 샘프라스, 토마스 무스터, 마르셀로 리오스, 구스타보 쿠에르텐, 카를로스 모야, 패트릭 라프터,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 마라트 사핀, 레이튼 휴이트, 앤디 로딕, 로저 페더러 (그에게 2–9로 뒤짐). 다른 전 세계 랭킹 1위 선수들을 상대로 산토로는 예브게니 카펠니코프에게 0–6, 이반 렌들에게 0–1, 라파엘 나달에게 0–1, 앤디 머레이에게 0–2로 뒤지고 있다. 산토로는 마라트 사핀을 상대로 7–2의 승리를 거둔 것으로 유명하며, 사핀 본인은 "산토로와 경기를 하게 되었다는 말을 들으면 죽으라는 소리를 듣는 것과 같았다"라고 말했다.
산토로는 프랑스 동료 선수인 미카엘 로드라와 파트너를 이루어 2003년 호주 오픈과 2004년 호주 오픈에서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2002년 호주 오픈, 2004년 프랑스 오픈 및 2006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그는 또한 다니엘라 한투호바와 함께 2005년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산토로는 미카엘 로드라와 다시 팀을 이루어 세계 상위 8개의 복식 팀이 참가하는 2005년 테니스 마스터스 컵에서 우승했다.
복식 실력 외에도 파브리스는 코트에서의 쾌활한 태도와 다양한 기술로 유명하며, 팬들에게 사랑받고 동료들의 존경을 받았다. 피트 샘프라스는 산토로의 다양하고 혁신적인 플레이 스타일을 인정하여 그에게 "마술사"라는 별명을 붙였다.
산토로는 포핸드와 백핸드를 양손으로 사용하며, 오른손잡이임에도 종종 왼손으로 포핸드에 슬라이스를 넣는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같은 무게의 라켓을 사용했기 때문인데, 이는 6살 때 테니스를 시작하는 아이가 한 손으로 들기에는 너무 무거웠다고 한다. 산토로는 코트에서 빨랐고 숙련된 수비형 선수였다.
2008년 호주 오픈에 참가하면서 그는 커리어 통산 그랜드 슬램 출전 횟수에서 안드레 애거시의 기록을 깨고 총 62회를 기록했다. 산토로는 2009년 BNP 파리바 마스터스 파리 (베르시)에서 자신의 고향 토너먼트를 마지막으로 2009 시즌을 마감했는데, 단식 마지막 경기에서 제임스 블레이크에게 패배했고, 복식 마지막 경기에서는 동료 선수 세바스티앙 그로장과 파트너를 이루어 요한 브룬스트룀과 장-줄리앙 로제에게 패했다.
산토로는 2010년 호주 오픈에서 4개의 다른 10년간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에 출전한 기록을 얻기 위해 은퇴를 번복하여 총 70번의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에 출전했다. 37세의 그는 이 마지막 토너먼트에 참가했을 때 ATP 100위 안에 드는 최고령 선수였으며, 랭킹은 68위였다.[2] 그는 이 토너먼트 1라운드에서 마린 칠리치에게 패배하며 프로 테니스 경력을 마감했다.
그는 ATP 챔피언스 레이스의 초대 리더였으며, 레이스가 도입된 해인 도하에서 그 해 첫 번째 토너먼트(2000년)에서 우승했다.
ATP 웹사이트에 따르면, 2019년 데이비스 컵 결승전 기준으로 펠리치아노 로페스가 다른 어떤 프로 선수보다 많은 475번의 단식 경기에서 패배했는데, 이는 이전에 산토로가 보유했던 기록을 넘어선 것이다. 그러나 산토로는 전체적으로 470–444의 커리어 기록으로, 자신의 경기 중 절반 이상을 승리했다.
1989년에 프로로 데뷔했다. 1991년에는 처음으로 남자 테니스 국가 대항전 데이비스컵 프랑스 대표 선수로 기용되어, 월드 그룹 준결승의 유고슬라비아전에서 단식 2경기에 승리했다. 이 해에는 고향에서 열린 프랑스 오픈에서도 활약하여 미하엘 슈티히와의 4회전까지 진출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산토로는 남자 단식 3회전에서 보리스 베커를 꺾고, 준준결승에서 같은 해 윔블던 선수권 대회 준우승자 고란 이바니세비치에게 7-6, 7-6, 4-6, 4-6, 6-8로 역전패했다. 그러나 그 후 장기간의 부진기가 찾아와, 1993년 프랑스 오픈 1회전에서는 일본의 마쓰오카 슈조에게 패하기도 했다. 1997년 10월, 산토로는 24세에 리옹 그랑프리 결승에서 토미 하스를 꺾고, ATP 투어 단식 첫 우승을 달성했다. 그 이후 산토로는 단식에서 통산 4승을 거두었다. 1998년에는 복식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어, 연간 4승을 기록했다.
2002년 호주 오픈 남자 복식에서, 산토로는 8살 연하의 같은 국적 선수인 미카엘 로드라와 페어를 이루어 처음으로 4대 메이저 대회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다니엘 네스터/마크 놀스 조에게 6-7, 3-6으로 패했지만, 이를 계기로 산토로는 로드라와 페어를 이루는 일이 많아져, 호주 오픈에서는 2004년까지 3년 연속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2003년 호주 오픈 남자 복식 결승에서, 산토로/로드라 조는 전년과 같은 네스터/놀스 조를 6-4, 3-6, 6-3으로 꺾고, 4대 메이저 대회 복식 첫 우승을 장식했다. 2004년에는 브라이언 형제를 7-6, 6-3으로 꺾고, 2연패를 달성했다. 또한, 같은 해 프랑스 오픈에서도 결승에 진출했지만, 올리비에 로쿠스/그자비에 말리스 조에게 5-7, 5-7로 패하여, 홈에서의 우승을 놓쳤다. 이듬해 2005년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에서는 다니엘라 한투호바와 페어를 이루어, 결승에서 리안더 파에스/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조를 3-6, 6-3, 6-2로 꺾고, 4대 메이저 대회 혼합 복식에서 첫 우승을 장식했다.
산토로는 올림픽 프랑스 대표 선수로서도,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2000년 시드니 올림픽과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의 3개 대회에 출전했다.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남자 단식 1회전에서 US 오픈 우승자인 마라트 사핀을 꺾었지만, 3회전에서 패퇴했다.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단식과 남자 복식 두 부문에 출전하여, 단식에서는 2회전에서 스페인의 토미 로브레도에게 패했고, 로드라와 짝을 이룬 복식에서는 준준결승에서 크로아티아의 마리오 안치치/이반 류비치치 조에게 6-4, 3-6, 7-9의 접전 끝에 패했다.
2004년 프랑스 오픈 남자 단식 1회전에서, 파브리스 산토로는 같은 프랑스의 아르노 클레망과 당시 '''테니스 역사상 최장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는 2일에 걸쳐 6시간 33분을 소요했으며, 산토로가 6-4, 6-3, 6-7, 3-6, 16-14의 스코어로 클레망을 꺾고 첫 경기를 통과했다 (이 기록은 2010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남자 단식 1회전에서 존 이스너와 니콜라 마위에 의해 대폭 갱신되었다). 이후 산토로는 3회전까지 진출했다. 2006년 호주 오픈에서, 산토로는 33세에 처음으로 4대 메이저 대회 남자 단식에서 자기 최고 성적인 준준결승에 진출했지만, 다비드 날반디안에게 5-7, 0-6, 0-6으로 완패했다.
2010년 호주 오픈 남자 단식 1회전에서 마린 칠리치에게 패한 경기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2014년 12월에 개최된 인터내셔널 프리미어 테니스 리그에서는 인디언 에이스의 코치(레전드 단식 겸임)로 취임했다.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2015년에도 계속해서 같은 팀에 소속되었다.
결과 | No. | 결승일 | 대회 | 코트 | 파트너 | 상대 선수 | 스코어 |
---|---|---|---|---|---|---|---|
우승 | 1. | 1995년 9월 25일 | 팔레르모 | 클레이 | 알렉스 코레차 | 헨드리크 얀 다비츠 피트 노왈 | 6–7, 6–4, 6–3 |
준우승 | 1. | 1997년 2월 10일 | 마르세유 | 하드 (실내) | 올리비에 드레이트르 | 토마스 엔크비스트 마그누스 라르손 | 3–6, 4–6 |
준우승 | 2. | 1997년 10월 13일 | 리옹 | 카펫 (실내) | 올리비에 드레이트르 | 앨리스 페레이라 패트릭 갈브레이스 | 6–3, 2–6, 4–6 |
준우승 | 3. | 1997년 11월 3일 | 모스크바 | 카펫 (실내) | 데이비드 아담스 | 마틴 담 시릴 수크 | 4–6, 3–6 |
준우승 | 4. | 1998년 1월 12일 | 도하 | 하드 | 올리비에 드레이트르 | 마헤쉬 부파티 레안더 파에스 | 4–6, 6–3, 4–6 |
우승 | 2. | 1998년 7월 20일 | 슈투트가르트 | 클레이 | 올리비에 드레이트르 | 조슈아 이글 짐 그럽 | 6–1, 3–6, 6–3 |
준우승 | 5. | 1998년 8월 10일 | 신시내티 | 하드 | 올리비에 드레이트르 | 마크 놀스 다니엘 네스터 | 1–6, 1–2 기권 |
우승 | 3. | 1998년 9월 28일 | 툴루즈 | 하드 (실내) | 올리비에 드레이트르 | 폴 하르후스 얀 시메링크 | 6–2, 6–4 |
우승 | 4. | 1998년 10월 5일 | 바젤 | 하드 (실내) | 올리비에 드레이트르 | 피트 노왈 케빈 율리에트 | 6–3, 7–6 |
우승 | 5. | 1998년 10월 19일 | 리옹 | 카펫 (실내) | 올리비에 드레이트르 | 토마스 카르보넬 프란시스코 로이그 | 6–2, 6–2 |
우승 | 6. | 1999년 8월 23일 | 롱아일랜드 | 하드 | 올리비에 드레이트르 | 장-마이클 갬빌 스콧 험프리스 | 7–5, 6–4 |
우승 | 7. | 2000년 10월 16일 | 툴루즈 | 하드 (실내) | 줄리앙 부테 | 도널드 존슨 피트 노왈 | 7–6(10–8), 4–6, 7–6(7–5) |
우승 | 8. | 2001년 2월 12일 | 마르세유 | 하드 (실내) | 줄리앙 부테 | 마이클 힐 제프 타란고 | 7–6(9–7), 7–5 |
준우승 | 6. | 2002년 1월 27일 | 호주 오픈 | 하드 | 미카엘 로드라 | 마크 놀스 다니엘 네스터 | 6–7(4–7), 3–6 |
우승 | 9. | 2002년 10월 28일 | 파리 | 카펫 (실내) | 니콜라 에스퀴데 | 구스타보 쿠에르텐 세드릭 피올린 | 6–3, 7–6(8–6) |
우승 | 10. | 2003년 1월 26일 | 호주 오픈 | 하드 | 미카엘 로드라 | 마크 놀스 다니엘 네스터 | 6–4, 3–6, 6–3 |
우승 | 11. | 2003년 2월 10일 | 마르세유 | 하드 (실내) | 세바스티앙 그로장 | 토마스 치브레크 파벨 비즈너 | 6–1, 6–4 |
준우승 | 7. | 2003년 4월 14일 | 몬테카를로 | 클레이 | 미카엘 로드라 | 마헤쉬 부파티 맥스 미르니 | 4–6, 6–3, 6–7(6–8) |
준우승 | 8. | 2003년 5월 5일 | 로마 | 클레이 | 미카엘 로드라 | 웨인 아서스 폴 핸리 | 1–6, 3–6 |
준우승 | 9. | 2003년 9월 29일 | 메스 | 하드 (실내) | 미카엘 로드라 | 줄리앙 베네토 니콜라 마위 | 6–7(2–7), 3–6 |
준우승 | 10. | 2003년 10월 27일 | 파리 | 카펫 (실내) | 미카엘 로드라 | 웨인 아서스 폴 핸리 | 3–6, 6–1, 3–6 |
준우승 | 11. | 2003년 11월 8일 | 휴스턴 | 하드 | 미카엘 로드라 | 밥 브라이언 마이크 브라이언 | 7–6(8–6), 3–6, 6–3, 6–7(3–7), 4–6 |
우승 | 12. | 2004년 1월 12일 | 오클랜드 | 하드 | 마헤쉬 부파티 | 이르지 노바크 라데크 스테파넥 | 4–6, 7–5, 6–3 |
우승 | 13. | 2004년 2월 1일 | 호주 오픈 | 하드 | 미카엘 로드라 | 밥 브라이언 마이크 브라이언 | 7–6(7–4), 6–3 |
우승 | 14. | 2004년 3월 1일 | 두바이 | 하드 | 마헤쉬 부파티 | 요나스 비요크만 레안더 파에스 | 6–2, 4–6, 6–4 |
준우승 | 12. | 2004년 6월 6일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미카엘 로드라 | 자비에 말리스 올리비에 로쿠스 | 5–7, 5–7 |
준우승 | 13. | 2005년 2월 21일 | 두바이 | 하드 | 요나스 비요크만 | 마틴 담 라데크 스테파넥 | 2–6, 4–6 |
우승 | 15. | 2005년 5월 2일 | 로마 | 클레이 | 미카엘 로드라 | 밥 브라이언 마이크 브라이언 | 6–4, 6–2 |
준우승 | 14. | 2005년 5월 9일 | 함부르크 | 클레이 | 미카엘 로드라 | 요나스 비요크만 맥스 미르니 | 6–4, 6–7(2–7), 6–7(3–7) |
우승 | 16. | 2005년 10월 3일 | 메스 | 하드 (실내) | 미카엘 로드라 | 호세 아카수소 세바스티안 프리토 | 5–2, 3–5, 5–4 |
우승 | 17. | 2005년 10월 24일 | 리옹 | 카펫 (실내) | 미카엘 로드라 | 제프 퀴체 로히어 바센 | 6–3, 6–1 |
우승 | 18. | 2005년 11월 13일 | 상하이 | 카펫 (실내) | 미카엘 로드라 | 레안더 파에스 네나드 지몬지치 | 6–7(6–8), 6–3, 7–6(7–4) |
우승 | 19. | 2006년 1월 9일 | 시드니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 프란티세크 체르마크 레오스 프리들 | 6–1, 6–4 |
준우승 | 15. | 2006년 4월 17일 | 몬테카를로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 요나스 비요크만 맥스 미르니 | 2–6, 6–7(2–7) |
우승 | 20. | 2006년 6월 18일 | 할레 | 잔디 | 네나드 지몬지치 | 미하엘 콜만 라이너 슈틀러 | 6–0, 6–4 |
준우승 | 16. | 2006년 7월 8일 | 윔블던 | 잔디 | 네나드 지몬지치 | 밥 브라이언 마이크 브라이언 | 3–6, 6–4, 4–6, 2–6 |
우승 | 21. | 2006년 10월 2일 | 메스 | 하드 (실내) | 리샤르 가스케 | 율리안 놀 위르겐 멜처 | 3–6, 6–1, [11–9] |
우승 | 22. | 2006년 10월 9일 | 모스크바 | 카펫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 프란티세크 체르마크 야로슬라프 레빈스키 | 6–1, 7–5 |
준우승 | 17. | 2006년 11월 5일 | 파리 | 카펫 (실내) | 네나드 지몬지치 | 아르노 클레망 미카엘 로드라 | 6–7(4–7), 2–6 |
우승 | 23. | 2007년 2월 26일 | 두바이 | 하드 | 네나드 지몬지치 | 마헤쉬 부파티 라데크 스테파넥 | 7–5, 6–7(3–7), [10–7] |
우승 | 24. | 2007년 5월 7일 | 로마 | 클레이 | 네나드 지몬지치 | 밥 브라이언 마이크 브라이언 | 6–4, 6–7(4–7), [10–7] |
준우승 | 18. | 2007년 6월 17일 | 할레 | 잔디 | 네나드 지몬지치 | 시몬 아스플린 율리안 놀 | 4–6, 6–7(5–7) |
2. 3. 플레이 스타일
피트 샘프라스는 파브리스 산토로의 다양하고 혁신적인 플레이 스타일을 인정하여 "마술사"라는 별명을 붙였다.[2] 산토로는 포핸드와 백핸드를 양손으로 사용하며, 오른손잡이임에도 종종 왼손으로 포핸드에 슬라이스를 넣는 독특한 스타일을 구사했다. 이는 6살 때 테니스를 시작하면서부터 같은 무게의 라켓을 사용했기 때문인데, 어린이가 한 손으로 들기에는 너무 무거웠기 때문이다. 산토로는 코트에서 빠르고 숙련된 수비형 선수였다.산토로는 2004년 프랑스 오픈에서 아르노 클레망을 상대로 6시간 33분 만에 승리하며 오픈 시대 최장 시간 단식 경기 기록을 세웠다(6–4, 6–3, 6–7(5), 3–6, 16–14).[2] 이 기록은 2010년 윔블던에서 존 이스너가 니콜라스 마위를 이기기 전까지 유지되었지만, 여전히 프랑스 오픈 기록으로 남아있다.
산토로는 노박 조코비치, 로저 페더러, 앤디 로딕 등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했던 18명의 선수를 이겼다. 특히 마라트 사핀을 상대로 7–2의 상대 전적을 기록했는데, 사핀은 "산토로와 경기를 하게 되었다는 말을 들으면 죽으라는 소리를 듣는 것과 같았다"라고 말할 정도였다.
복식에서도 뛰어난 실력을 보여준 산토로는 미카엘 로드라와 함께 2003년 호주 오픈과 2004년 호주 오픈 남자 복식에서 우승했고, 다니엘라 한투호바와 함께 2005년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에서 우승했다.
2. 4. 올림픽
산토로는 프랑스 대표로 1992년 바르셀로나, 2000년 시드니,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출전했다.[1]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남자 단식 3회전에서 보리스 베커를 꺾었으나, 준준결승에서 윔블던 선수권 대회 준우승자 고란 이바니세비치에게 7-6, 7-6, 4-6, 4-6, 6-8로 졌다.[1]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남자 단식 1회전에서 US 오픈 우승자 마라트 사핀을 이겼지만, 3회전에서 졌다.[1]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단식과 남자 복식에 출전했다. 단식 2회전에서 스페인의 토미 로브레도에게 졌고, 미카엘 로드라와 짝을 이룬 복식 준준결승에서 크로아티아의 마리오 안치치/이반 류비치치 조에게 6-4, 3-6, 7-9로 졌다.[1]
3. 그랜드 슬램 결승
대회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SR | 승-패 |
---|---|---|---|---|---|---|---|---|---|---|---|---|---|---|---|---|---|---|---|---|---|---|---|---|
호주 오픈 | A | A | A | A | A | A | A | A | 2R | A | 3R | 3R | 1R | 1R | F | W | W | QF | 3R | QF | QF | 1R | 2 / 13 | 33-11 |
프랑스 오픈 | A | A | 1R | 1R | 1R | 1R | 1R | 3R | A | 3R | A | 2R | 3R | 2R | 2R | 3R | F | 2R | 1R | SF | 1R | 1R | 0 / 18 | 21-17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A | A | A | A | A | A | A | A | A | 2R | A | SF | 3R | 2R | 1R | 3R | A | A | F | SF | 1R | 1R | 0 / 10 | 19-10 |
US 오픈 | A | A | A | A | A | A | A | A | A | 1R | 1R | 2R | 2R | 1R | 2R | SF | 2R | 1R | QF | 1R | A | 2R | 0 / 12 | 12-11 |
산토로는 복식에서 미카엘 로드라와 함께 2003년, 2004년 호주 오픈 남자 복식에서 우승했고, 2002년 호주 오픈, 2004년 프랑스 오픈에서 준우승했다. 네나드 지몬지치와 함께 2006년 윔블던 남자 복식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다니엘라 한투호바와 함께 출전한 2005년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에서는 우승을 차지했다.
3. 1. 남자 복식: 5 (우승 2, 준우승 3)
Daniel Nestor|다니엘 네스터영어Daniel Nestor|다니엘 네스터영어
Mike Bryan|마이크 브라이언영어
Olivier Rochus|올리비에 로쿠스프랑스어
Mike Bryan|마이크 브라이언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