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장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장동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동으로, 조선 시대부터 광주부 일용면 지역이었다가 1789년 수원부로 편입되었다. 1796년 화성 신도시 건설 후 북부 14개 동 중 하나인 파동(琶洞)이 현재의 파장동에 해당하며, 이후 파장동(芭長洞)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미륵동, 일림동과 통합되어 파장리가 되었고, 해방 이후 수원시로 편입되었다. 현재는 이목동을 법정동으로 가지며,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와 동남보건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경수산업도로가 지나가며 수원북부공영차고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원시의 행정동 - 원천동
    원천동은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에 속하는 행정동으로, 1896년 원천리에서 시작하여 행정동 분동 및 통합 과정을 거쳐 현재는 교육 시설과 편의 시설을 갖춘 아파트 단지로 조성되어 있다.
  • 수원시의 행정동 - 입북동
    입북동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에 위치한 동으로, 왕송저수지 남쪽에 자리하며 서수원 나들목을 통해 국도 제42호선과 연결되어 있고, 2019년 기준 인구는 17,435명이다.
  • 수원시의 법정동 - 망포동
    망포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박지성축구센터와 분당선 망포역이 있으며, 주거 지역으로 발달했다.
  • 수원시의 법정동 - 영통동
    영통동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분당선 역들을 통해 접근 가능하며, 다양한 학교와 대학교, 상업 시설, 공원 및 체육 시설, 행정 기관 등을 갖추고 있다.
  • 장안구 - 수원실내체육관
    수원실내체육관은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실내 체육 시설로, V리그 경기와 여러 실내 스포츠 경기 및 행사가 열리며,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프로배구단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된다.
  • 장안구 - 수성고등학교 (경기)
    수성고등학교(경기)는 1954년 설립 인가를 받아 1955년 개교한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로, 교육과정 개선을 통해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배출했다.
파장동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광역시도경기도
시군구수원시 장안구
면적8.62
세대10,706
세대_조사2021.11.30.
인구23,326
인구_조사2021.11.30.
법정동파장동, 이목동
42
176
동주민센터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천로 60
홈페이지파장동 행정복지센터

2. 역사

파장동은 조선시대부터 광주부 일용면 지역이었다가 1789년 수원부로 편입되었다.[1] 1789년 (조선 정조 13년) 9월 수원부의 읍치를 팔달산 동쪽 기슭으로 옮기고 1796년 화성 신도시를 건설한 후, 팔달산 주변 지역을 남부와 북부로 나누었다.[1] 이 때 북부 14개 동 가운데 하나인 ‘파동(琶洞)’이 지금의 파장동에 해당한다.[1] 1899년 발간된 《수원군읍지》에는 ‘파동(琶洞)’으로 표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1] 이후에 파동의 명칭은 ‘파장동(芭長洞)’으로 변하여 일용면(日用面)에 소속되어 있었다.[1]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 때 미륵동(彌勒洞), 일림동(逸林洞), 파장동을 통합시켜 ‘파장리’라 하여 일형면(日荊面)에 소속시켰다.[1] 1936년 10월 1일 일형면(日荊面)과 의왕면(儀旺面)이 일왕면(日旺面)으로 통합되면서 일왕면 파장리(芭長里)가 되었다.[1] 해방 후인 1949년 8월 15일 수원읍 지역이 수원부로 승격되자, 이 지역은 화성군 일왕면 파장리로 개편되었다.[1] 이후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175호로 화성군 일왕면에서 수원시로 편입되었다.[1] 이때 이목리, 율전리, 천천리, 정자리 등과 함께 행정동인 파정동 관할로 들어가게 되었다.[1] 1983년 10월 1일 수원시 조례 제1139호에 의하여, ‘파정동(芭亭洞)’이 ‘파장동’과 ‘정자동(亭子洞)’으로 분리되게 되었다.[1] 파장동은 본래‘이목동(梨木洞)’, ‘율전동(栗田洞)’, ‘천천동(泉川洞)’을 관할했으나, 1990년 1월 1일 수원시 조례 제1607호에 의해, 파장동에서 율천동이 분리되어, 율전동과 천천동 지역이 파장동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었다.[1] 1992년 8월 11일에는 수원시 조례 제1816호에 의하여, 송죽동(松竹洞) 일부가 파장동으로 편입되었다.[1]

2. 1. 조선시대 ~ 일제강점기

2. 2. 해방 이후 ~ 현재

3. 행정 구역 변천

4. 법정동

파장동은 법정동으로 이목동(梨木洞)이 있다.

5. 교육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가 파장동에 있다.

동남보건대학교가 파장동에 있다.

5. 1. 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가 파장동에 있다.

5. 2. 전문대학

동남보건대학교가 파장동에 있다.

6. 교통

경수산업도로가 지나간다. 수원북부공영차고지가 위치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