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빅은 바둑에서 승부가 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하며, 크게 두 가지 경우로 나뉜다. 첫째는 특정 형태가 무한히 반복되어 바둑을 끝낼 수 없는 무한 반복수에 의한 판빅으로, 패, 삼패, 순환패, 장생 등이 해당된다. 둘째는 계가 결과 양쪽 집 수가 완전히 같아서 무승부로 처리되는 경우이다. 맞바둑에서는 덤 때문에 판빅이 발생하기 어렵지만, 접바둑이나 정선 바둑에서는 집 수가 같아져 판빅이 발생할 수 있다. 바둑 규칙에 따라 판빅 처리가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둑 용어 - 컴퓨터 바둑
컴퓨터 바둑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바둑을 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의미하며, 딥러닝 기술 발전으로 프로 기사를 이기고 바둑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바둑 용어 - 신포석
신포석은 기타니 미노루와 우칭위안이 1933년 창안하여 중앙을 중시하는 파격적인 바둑 포석 방법으로, 바둑계에 큰 영향을 주어 현대 바둑 포석 발전에 기여했다. - 바둑에 관한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충암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는 1965년 설립된 학교법인 충암학원이 운영하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69년 개교하여 인문계열 교육과 국내 최대 규모의 바둑 도장 운영을 병행하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 김명민, 프로 바둑 기사 이창호 등 다양한 분야의 동문을 배출했다.
판빅 | |
---|---|
일반 정보 | |
정의 | 바둑에서, 대국 결과 승부가 나지 않고 양쪽 집의 수가 같아지는 경우 또는, 그런 경우를 무승부로 처리하는 규칙 |
상세 내용 | |
설명 | 지기(持碁)는 바둑에서 승부가 나지 않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는 양쪽이 모두 살아있는 돌로 둘러싸인 집의 수가 정확히 같을 때 발생하며, 이러한 상황은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하지만 바둑 규칙에 따라 무승부로 처리되기도 한다. 지기는 승패를 가리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특히 프로 바둑에서는 더욱 그렇다. |
처리 | |
일본 규칙 | 일본 규칙에서는 계가 시 덤을 공제한 후 양쪽 집의 수가 같으면 무승부로 처리한다. 과거에는 드물게 발생했지만, 1980년대 이후 덤이 5집 반으로 늘어나면서 지기가 자주 발생하게 되었다. 일본 규칙에서는 지기가 발생하면 흑백 모두 승점을 얻지 못한다. |
중국 규칙 | 중국 규칙에서는 덤을 고려하지 않고 집의 수가 같으면 흑승으로 처리한다. |
관련 용어 | |
비고 | '지기'는 승부가 결정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하며, '판빅'과는 다른 개념이다. 판빅은 돌이 잡히지 않고 영원히 반복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
일반 정보 | |
정의 | 바둑에서, 같은 형태가 반복되어 돌이 잡히지 않는 형태 '영생'이라고도 한다. |
어원 | '판빅(일본어: 盤 बिッグ, ばん びっぐ)'은 일본어에서 유래된 용어이다. |
상세 내용 | |
설명 | 판빅은 바둑에서 특정한 형태가 반복되어 돌을 잡을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러한 형태는 무한히 반복될 수 있으며, 바둑 규칙에 따라 무승부로 처리된다. |
예시 | 한쪽이 팻감을 해소하지 않고 계속해서 패를 걸어 무한히 반복되는 형태가 일반적인 판빅의 예시이다. 이 경우 양쪽 모두 이득이 없으므로 무승부로 처리된다. |
참고 | 판빅은 지기와는 다른 개념이다. 지기는 양쪽의 집의 수가 같아 승부가 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하지만 판빅은 특정한 형태가 반복되어 영원히 끝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
2. 판빅의 종류
판빅은 크게 두 가지 경우로 나뉜다. 하나는 같은 수가 무한으로 반복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계가 결과 집 수가 완전히 같아서 무승부로 처리되는 경우이다.
- 무한 반복수에 의한 판빅: 특정 형태가 무한히 반복되어 바둑을 끝낼 수 없는 상황이다. 패, 삼패, 순환패, 장생 등이 이에 해당된다.[1]
- 집 수 동점에 의한 판빅: 계가 결과 양쪽 집 수가 완전히 같아서 무승부로 처리되는 경우이다. 맞바둑에서는 덤이 6집 반으로 주어져 발생하기 어렵지만, 정선이나 접바둑에서는 덤이 없어 발생할 수 있다.
2. 1. 무한 반복수에 의한 판빅
무한 반복수에 의한 판빅은 특정 형태가 무한히 반복되어 바둑을 끝낼 수 없는 상황이다.[1] 패, 삼패, 순환패, 장생 등이 이에 해당된다.[1]원래 패가 나면 '동형반복 금지의 원칙'에 따라 패 하나만으로는 반복수가 나올 수 없으나,[1] 삼패, 순환패, 장생과 같이 중요한 곳에 패와 비슷한 모양이 만들어져 반복수가 나오는 경우에는 양쪽 모두 양보하지 않으면 판빅이 된다.[1]
2. 1. 1. 삼패
세 곳 이상에서 패가 발생하여 무한 반복이 일어나는 형태이다. 양쪽 모두 양보하지 않으면 판빅이 된다.분류:바둑 용어
2. 1. 2. 순환패
패와 유사한 형태가 반복되어 무한 반복이 일어나는 형태이다.2. 1. 3. 장생
패와 유사한 형태가 반복되어 무한 반복이 일어나는 또 다른 형태이다.2. 2. 집 수 동점에 의한 판빅
판빅은 계가 결과 양쪽 집 수가 완전히 같아서 무승부로 처리되는 경우이다. 맞바둑에서는 덤이 6집 반으로 주어져 일부러 집 수를 같게 맞추기 어렵지만, 정선이나 접바둑에서는 덤이 없어 집 수가 같아져 판빅이 날 수 있다.2. 2. 1. 접바둑, 정선에서의 판빅
덤이 없는 접바둑이나 정선에서는 집 수가 같아질 수 있어 판빅이 발생할 수 있다. 맞바둑에서는 덤이 6집 반과 같이 주어져 일부러 집 수를 같게 맞추기 어렵지만, 정선이나 접바둑에서는 덤이 없어 집 수가 같아져 판빅이 날 수 있다.예를 들어, 아래 기보에서 양쪽 모두 잡은 돌이 없다고 가정하면, 흑과 백 모두 26집으로 같다. 맞바둑이라면 덤 때문에 백이 이기지만, 정선이라면 판빅이 된다. (일본식 규칙일 경우)
{| class="wikitable"
|-
! 종국 상태
! 돌 재배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판빅은 바둑 규칙에 따라 다르게 처리된다.
[1]
서적
爛柯堂棋話
|}
3. 규칙에 따른 판빅 처리
참조
[2]
문서
半目
日本棋院
[3]
웹사이트
名人戦
http://www.nihonkiin[...]
[4]
웹사이트
杉内寿子
https://www.nihonkii[...]
2023-07-07
[5]
뉴스
"「盤上に構想ある」 張栩名人、仲邑菫さんの碁を語る: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19-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