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고법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소리고법은 판소리의 발생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판소리에 사용되는 북 반주 기법이다. 순조 시대의 명창들과 고수들의 활동을 통해 발전해 왔으며, 고종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박판석, 신찬문, 한성준 등 명고수들에 의해 체계가 세워졌다. 2001년 10월 23일 정화영이 판소리고법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무형문화재 - 한량무
한량무는 조선 후기 남사당패에서 유래하여 진주 교방에서 전승되는 7인의 춤으로, 한량, 별감, 승려, 색시 등의 등장인물을 통해 당시 사회상을 풍자하며, 북, 장구 등 악기 반주에 맞춰 춤사위를 펼친다. - 서울특별시의 무형문화재 - 옹기장
옹기장은 옹기를 제작하는 장인을 의미하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충청북도 등에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전통 옹기 제작 기술을 전승하며 옹기의 가치를 알리는 활동을 한다. - 서울특별시 공개자료를 인용한 문서 - 옻칠
옻칠은 우루시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 수지로 만든 도료로, 동아시아에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마감재이며, 단단하고 견고하며 아름다운 광택을 내는 특징이 있으며, 가구, 그릇, 악기 등 다양한 생활용품과 예술품 제작에 사용되고, 옻칠은 우수한 내구성과 방수성을 지니지만, 자외선에 약하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 서울특별시 공개자료를 인용한 문서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는 1906년 명진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며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하고 특성화된 학과와 부속 기관을 갖춘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판소리고법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판소리고법 | |
국가 | 서울특별시 |
유형 | 무형문화재 |
번호 | 25 |
지정일 | 2001년 10월 23일 |
전승지 | 서울특별시 |
문화재청 | 22,00250000,11 |
2. 역사
판소리고법은 판소리 발생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판소리와 비슷한 음악적 특징을 갖는 창우의 고사소리가 북 반주로 불리는 데서 알 수 있다. 순조(純祖) 때 송광록(宋光祿)은 송흥록(宋興祿)의 고수로 있다가 판소리로 돌려서 명창이 되었고, 역시 순조 때 주덕기(朱悳基)도 송흥록·모흥갑(牟興甲)의 고수로 있다가 명창이 되었다.
순조 때 활약한 판소리 명창 가운데 이른바 8명창이 있었는데, 이 시절에는 진양을 6박으로 쳤다고 한다. 그 당시에는 소리에 따라서 맺고 푸는 고법을 본격적으로 활용하지 않은 것 같으며, 또 중몰이·중중몰이·자진몰이의 경우에도 맺고 푸는 고법이 충분히 이론화되지 않았던 것 같다. 또 휘몰이 장단은 순조 말기에 활약한 고수 문석준(文錫俊)이 <흥보가>의 박타는 대목에서 비롯된 것으로 짐작된다.
고종 때와 일제 때 활약한 명고수는 박판석(朴判錫)ㆍ신찬문(申贊文), 주봉현(朱鳳鉉)ㆍ정원섭(丁元燮)ㆍ신고주(申高柱) 등이었다. 한성준 등 이들 명고수들은 판소리 고법의 체계를 세우는 데 공헌했으며, 오성삼(吳聖三)은 진양을 24박으로 치고 기(起)ㆍ경(景)ㆍ결(結)ㆍ해(解)라 하여 매 각(刻)마다 맺고 푸는 고법을 쳤다. 신찬문은 북의 맺고 푸는 고법을 완성했을 뿐만 아니라 북채 들고 너름새하는 법, 추임새하는 법 등 북채의 이론에 체계를 세웠다. 장판개(張判介)는 소리의 등배에 따라 북을 맺고 푸는 고법을 발전시켰으며, 광복 후에는 김재선(金在先)ㆍ이정업(李正業)ㆍ김명환(金命煥)ㆍ김득수(金得洙)ㆍ김동준(金東俊) 등이 활동하였다.
3. 구성 요소
3. 1. 소리북
3. 2. 장단
3. 3. 주법
3. 4. 추임새
4. 정화영의 고법
5. 보유자
정화영(鄭和泳)은 2001년 10월 23일에 판소리고법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