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판텔레이몬 포노마렌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텔레이몬 포노마렌코는 1902년 우크라이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나 러시아 내전에 참전하고 공산당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벨라루스 공산당 제1서기를 역임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점령하의 벨라루스에서 공산주의 유격대를 지휘했으며, 전후에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 정치국 후보, 카자흐 공산당 제1서기 등을 역임했다. 이후 폴란드와 네덜란드 주재 소련 대사를 지냈으나, 네덜란드 대사 재임 중 외교적 기피 인물로 지정되어 소환되었다. 1963년부터 국제 원자력 기구의 소련 대표로 활동했으며, 1984년 사망했다.

2. 어린 시절

1902년 러시아 제국 쿠반주(현 크라스노다르 지방) 벨로레첸스키 구역 셸코프스키 농장에서 하리코프현 출신의 우크라이나인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18][1] 그는 12살 때 작업장 견습생으로 들어가 대장장이로 일했다.[18][21][1][4]

1918년 붉은 군대에 징집되었고, 다른 자료에 따르면 자원했다고 한다.[18][1] 그는 러시아 내전에 참전하여 백군으로부터 예카테리노다르(현 크라스노다르)를 방어하는 전투에 참여했다.[18][1] 1919년부터 북캅카스의 유전과 철도 운송 분야에서 일했다.[18][1]

1922년부터 1926년까지 쿠반 지역에서 콤소몰(공산주의 청년 동맹) 활동을 했다.[18][1] 1925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으며,[18][1] 같은 해 아조프-흑해 지역의 지구당 위원회 아지트프롭 부서장으로 임명되었다.[18][1]

3. 경력

1918년 적군에 입대하며 활동을 시작했다. 1919년부터는 석유 산업 및 철도 분야에서 일했으며, 1922년 콤소몰에 가입하고 1925년 공산당에 입당했다. 1932년 모스크바 수송 기관 기술자 대학을 졸업한 후, 1932년부터 1936년까지 다시 적군에서 복무했다. 1936년부터는 기술자로 일했으며, 1938년 전연방 공산당(볼셰비키) 중앙위원회의 교관 및 부서 부주임으로 임명되어 본격적인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1938년부터 1947년까지 벨라루스 공산당 제1서기를 역임했으며, 이 기간 중 1944년부터 1948년까지는 벨라루스 각료회의 의장(수상)을 겸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최고 사령부 스타프카 소속 파르티잔 운동 중앙 본부장을 맡아 나치스 점령 하의 벨라루스에서 공산주의 파르티잔 부대를 지휘했다. 이 과정에서 폴란드 지하 조직을 탄압하고[14], 벨라루스 지식인 억압 및 러시아화, 서부 벨라루스에서의 민족 청소를 주도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5] 전쟁 기간 동안 여러 소련군 전선의 군사 회의 위원을 역임했으며, 1943년 중장 계급을 받았다.

전후에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 활동하며 1948년부터 1950년까지 서기를, 1948년부터 1952년까지 정치국 후보위원을 지냈다. 1950년에는 소련 조달상을 역임했다. 1952년 10월 정치국 정식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 1953년 3월 스탈린 사후 정치국 개편으로 후보위원으로 강등되었다. 이후 1953년부터 1954년까지 소련 문화상을 지냈다.

1954년에는 카자흐 공화국 공산당 제1서기로 임명되었으나, 곧 외교관으로 전향하여 1955년부터 폴란드 주재 대사, 1957년부터 인도네팔 주재 대사, 1959년부터 네덜란드 주재 대사를 역임했다.[16][17] 1961년 10월, 네덜란드 주재 대사 시절 소련 망명 시도자와 관련된 사건으로 인해 네덜란드 정부로부터 ''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선언되어 본국으로 소환되었다. 1962년부터는 국제 원자력 기구(IAEA) 소련 대표를 지냈다.

1978년부터 연금 생활을 시작했으며, 1984년 1월 18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하여 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는 제1기부터 제4기까지 소련 최고 회의 대의원을 지냈고, 1939년부터 1961년까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이었다.

3. 1. 초기 경력

1927년 크라스노다르 라브파크를 졸업하고 같은 해 모스크바 교통 공학 연구소에 입학했다. 1930년부터는 탐보프에 있는 미추린스키 증기 기관차 수리 공장에서 증기 기관차 검사관으로 일했다. 1931년부터 1932년까지 학업을 이어갔으며, 1932년에는 MIIT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모스크바 철도 기술자 전기 기계 연구소를 졸업했다. 졸업 후에는 모스크바 교통 공학 연구소 소장의 보좌관으로 근무했다.

1932년부터 1937년까지 붉은 군대에서 대대장으로 복무했으며, 복무 지역은 벨라루스 군관구, 모스크바 군관구, 제1 극동 적기군 등이었다. 1936년에는 군 복무 중 전연방 전기 기술 연구소 설계국의 기술자로 임명되었고, 동시에 해당 연구소의 당 위원회 비서로도 활동했다. 1938년부터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사무국에서 근무하기 시작했다.

3. 2. 벨라루스 지도자 시절

1938년부터 1947년까지 벨라루스 공산당의 제1서기를 지냈으며,[1] 1944년부터 1948년까지는 벨라루스 각료회의 의장(수상)을 겸임했다.[1] 1938년 7월 8일 고멜에서 열린 첫 연설에서 '적을 뿌리뽑는' 과제에 헌신했으며, 스탈린에게 암호 전문을 보내 사형 대상(첫 번째 범주) 2천 명, 수감 또는 수용소행 대상(두 번째 범주) 3천 명으로 억압 대상자 수를 늘려달라고 요청했다.

대숙청 기간 동안 그는 벨라루스의 대표적인 시인 얀카 쿠팔라와 야쿠브 콜라스를 억압으로부터 성공적으로 보호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 스탈린에게 탄원했다. 이 두 시인은 후에 레닌 훈장을 수여받았다.

1939년 폴란드 침공 이후, 포노마렌코는 벨라루스 특별 군사 지구 군사 위원회 위원으로 복무하며 서부 벨라루스 영토에 진입한 군대의 지도부에 참여했다.[1][5][6] 이 시기 민스크에서 국립 재즈 오케스트라를 지원했으며, 에디 로스너를 초청하여 지휘를 맡기기도 했다.[7]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최고 사령부 스타프카 소속 파르티잔 운동 중앙 본부장으로서 나치스 점령 하의 벨라루스에서 공산주의 파르티잔 부대를 지휘했다. 그는 폴란드 지하 조직과 대립하여 휘하 부대에 해당 조직의 무장 해제와 장교 처형을 명령했다는 기록이 있다.[14] 일부 자료에 따르면, 포노마렌코 지휘 하의 군대는 폴란드 지하 조직 멤버의 정보를 제공하는 등 나치스 점령군에 한정적으로 협력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14]

전쟁 기간(1941년-1945년) 동안 포노마렌코는 서부 전선, 중앙 전선, 브랸스크 전선, 제1 벨라루스 전선 및 제3 타격군의 군사 회의 위원을 역임했으며, 1943년 중장으로 진급했다.

한편, 포노마렌코는 벨라루스 지도자로 재임하며 벨라루스 지식인 억압, 벨라루스의 러시아화 정책, 그리고 1939년 소련에 병합된 서부 벨라루스 지역에서의 민족 청소를 촉진했다는 비판도 있다.[15]

3. 3.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폴란드 침공 이후, 포노마렌코는 벨라루스 특별 군사 지구 군사 위원회 위원으로 복무하며 서부 벨라루스 영토에 진입한 군대의 지도부에 참여했다.[1][5][6]

제2차 세계 대전 중 포노마렌코


1941년 독일-소련 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서부 전선 군사 위원회의 일원이 되었으며, 이후 중앙 전선, 브랸스크 전선, 칼리닌 전선의 제3충격군 군사 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또한 제1 벨라루스 전선 군사 회의 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그는 나치 점령하의 벨라루스에서 공산주의 유격대의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1942년 5월부터 1943년 3월까지 최고 사령부 산하 유격대 운동 중앙 본부의 참모장을 역임하며 벨라루스 내 파르티잔 활동을 총괄 지휘했다.[1][2][3] 그는 1943년 3월에 중장 계급을 받았다.[3]

포노마렌코의 보고에 따르면, 그의 지휘 아래 벨라루스 유격대는 2년간의 전투에서 약 30만 명의 독일 군인(장군 30명, 장교 6,336명, 공군 조종사 1,520명 포함)을 제거했으며, 3,000대의 열차를 탈선시키고 3,263개의 철도 및 도로 교량, 1,191대의 전차 및 장갑차, 618대의 지휘 차량, 4,027대의 트럭, 476대의 항공기, 378문의 중화기, 895개의 탄약 및 기타 저장 시설을 파괴했다고 한다. 특히 그는 철도에 정통한 경험을 바탕으로 대규모 철도 파괴 작전을 구상하여 독일군의 이동을 심각하게 제한하는 데 기여했다.[3]

한편, 폴란드 국립기억연구소에 따르면, 포노마렌코는 당시 폴란드 지하 저항군과 충돌했으며, 휘하 부대에 그들을 무장 해제하고 장교들을 처형하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한다.[8][14] 1943년 2월 중앙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그는 "적대적인 폴란드 지하 저항군과의 싸움은 불가피하다"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8] 연구소는 또한 포노마렌코 지휘 하의 부대가 폴란드 지하 저항군 구성원에 대한 정보를 나치 점령군에게 제공하는 등 제한적인 협력을 했다고 주장한다.[14] 1943년 6월 22일, 벨라루스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포노마렌코의 이름으로 채택한 결의안에서 벨라루스 서부 지역의 "폴란드 반동 서클이 형성한 민족주의 분열과 그룹"을 인구로부터 고립시키고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싸워야 한다"고 명시했다. 일부에서는 포노마렌코가 1939년 소련에 병합된 벨라루스 서부 지역에서 민족 청소를 조장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15]

3. 4. 전후 활동

1944년부터 1948년까지 그는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인민위원회의 위원으로 활동하며 위원회를 이끌었다.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는 1948년부터 1950년까지 서기로 활동했으며, 동시에 1948년부터 1952년까지 소련 공산당 정치국 후보위원이었다. 1950년에는 소련 조달상을 역임했다.

1946년, 소련 당국은 벨라루스 공산당의 경제 및 재정 활동에 대한 중앙 통제를 명령했다. 감사를 통해 당 재정 관리의 여러 남용과 부실한 관리가 드러났는데, 특히 소련 공산당 당 통제 위원회는 포노마렌코가 당 자금을 유용하여 자신을 위한 별장을 짓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또한 자아 숭배를 조장하는 등 여러 다른 비리를 저지른 혐의도 받았다. 당시 기록에 따르면 "포노마렌코는 비판을 견디지 못하는 아첨꾼들로 둘러싸인 환경을 만들었다. 그의 초상화는 종종 신문과 잡지에 게재되었고, 다양한 환영 편지가 그의 주소로 보내졌으며, 그는 여러 명예 직위에 선출되었다"고 평가되었다. 이러한 고발에 직면하자 포노마렌코는 자기 비판을 표명했지만, 결국 그와 그의 팀은 모스크바로 소환되었고 벨라루스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비서직은 니콜라이 구사로프로 교체되었다.

1952년 10월 16일부터 1953년 3월 6일까지 포노마렌코는 정치국 (당시에는 간부회라고 불림)의 위원이었다. 1952년 12월 12일부터 1953년 3월 15일까지는 농산물 및 농업 원자재 조달을 담당하는 소련 각료회의 부의장을 역임했다. 그러나 요시프 스탈린의 사망 이후 그는 일시적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잃고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9] 1953년부터 1954년까지는 소련 문화상을 지냈다.

1954년, 그는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공산당 제1서기로 임명되었다. 이후 외교관으로 활동하여 1955년부터 1957년까지 폴란드 주재 소련 대사를 지냈으며, 이 시기 폴란드 당국으로부터 바르샤바 문화과학궁전의 열쇠를 받았다.[10][11]

포노마렌코(오른쪽)와 유스타스 팔레키스,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에서 (1961)


1957년 10월 26일부터 1959년 4월 22일까지는 인도 주재 소련 대사 겸 네팔 대사를 역임했고, 1959년 6월 30일부터 1962년 6월 21일까지는 네덜란드 주재 소련 대사로 활동했다.[16][17] 네덜란드 대사 재임 중이던 1961년 10월, 그는 네덜란드 정부로부터 ''페르소나 논 그라타''(외교적 기피 인물)로 선언되어 소련으로 소환되는 사건이 있었다. 이는 소련 과학자 알렉세이 골루브 부부의 망명 시도와 관련이 있었다. 골루브 부부는 네덜란드 방문 중 망명을 결심했고, 골루브의 아내가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 경찰서에서 망명 의사를 확인받는 과정에서 포노마렌코를 포함한 소련 대사관 직원 10여 명이 경찰서에 난입하여 그녀를 강제로 아에로플로트 사무실로 끌고 가려 했다. 이 과정에서 네덜란드 경찰과 물리적 충돌이 발생했고 포노마렌코는 코에 부상을 입기도 했다. 결국 골루브의 아내는 소련 귀국 의사를 밝혔고, 6개월 후 남편 알렉세이 골루브도 소련으로 돌아갔다.[12]

1963년부터 1967년까지 포노마렌코는 에서 국제 원자력 기구(IAEA) 소련 대표로 활동했다. 말년에는 1964년부터 1974년까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산하 사회과학 연구소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1978년부터는 연방 정부로부터 개인 연금을 받으며 생활했다.[13]

포노마렌코는 1984년 1월 18일에 사망했으며, 모스크바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되었다.

4. 사망

1984년 1월 18일 사망했다. 모스크바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되었다.

5. 수상

wikitext

4개의 레닌 훈장
10월 혁명 훈장
수보로프 훈장, 1급
조국전쟁 훈장, 1급
명예 훈장
조국전쟁의 유격대원 훈장, 1급
모스크바 방어 훈장
1941-1945년 대조국 전쟁에서 독일에게 승리한 훈장
1941-1945년 대조국 전쟁에서의 용감한 노동 훈장
그룬발트 십자 훈장, 1급 (폴란드)


6. 기타


  • 벨기에 출신의 예술가 앙리 반 헤르베게는 자신의 예명 파나마렌코에 포노마렌코라는 이름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라디오를 통해 이 이름을 처음 접했으며, 고유 언어인 네덜란드어에 더 가깝게 발음되는 철자를 사용했다.

7. 비판 및 논란

판텔레이몬 포노마렌코는 그의 정치 경력 동안 여러 비판과 논란에 직면했다. 특히 벨라루스 공산당 제1서기 및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지도자로 활동하던 시기에 그의 정책과 행동은 많은 비판을 받았다.

1938년 벨라루스 공산당 제1서기로 부임한 직후, 그는 고멜에서의 첫 연설에서 '적을 뿌리뽑는' 과제에 헌신하겠다고 밝혔으며, 이는 대숙청 시기의 강압적인 통치를 예고하는 것이었다. 그는 스탈린에게 사형 대상자와 수용소 수감 대상자의 수를 늘려달라고 요청했다는 기록도 있다.

또한, 포노마렌코는 벨라루스 지식인을 억압하고 벨라루스 문화에 대한 러시아화 정책을 추진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5] 특히 1939년 폴란드 침공 이후 소련에 병합된 서부 벨라루스 지역에서 민족 청소에 관여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15]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 점령 하의 벨라루스에서 파르티잔 운동을 이끌었지만, 동시에 폴란드 지하 저항군과는 적대적인 관계를 형성했다. 그는 자신의 부대에 폴란드 저항군을 무장 해제하고 그들의 장교들을 처형하라는 명령을 내렸으며,[8][14] "적대적인 폴란드 지하 저항군과의 싸움은 불가피하다"고 발언하기도 했다.[8] 일부 연구에 따르면, 포노마렌코 휘하의 부대는 폴란드 지하 저항군에 대한 정보를 나치 점령군에게 제공하는 등 제한적인 협력을 하기도 했다고 주장된다.[8][14]

전후인 1946년, 소련 공산당 중앙 통제 위원회의 감사 결과, 포노마렌코가 이끌던 벨라루스 공산당의 재정 관리에서 여러 남용과 부실이 드러났다. 그는 당 자금을 유용하여 개인 별장을 건설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 외에도 자아 숭배를 조장하는 등 여러 비리가 적발되었다. 당시 보고서에 따르면, 그는 "비판을 견디지 못하는 아첨꾼들로 둘러싸인 환경을 만들었"으며, "그의 초상화는 종종 신문과 잡지에 게재되었고, 다양한 환영 편지가 그의 주소로 보내졌으며, 그는 여러 명예 직위에 선출되었다." 이러한 비판에 직면하여 그는 자기 비판을 했으나 결국 벨라루스 공산당 제1서기직에서 해임되었다.[9]

이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던 시기에도 논란이 있었다. 1959년부터 1962년까지 네덜란드 주재 소련 대사로 근무하던 중, 1961년 10월 소련 과학자 알렉세이 골루브 부부의 망명 시도 사건에 개입했다. 골루브의 아내가 망명 의사를 확인받기 위해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 경찰서에 있을 때, 포노마렌코를 포함한 소련 대사관 직원들이 경찰서에 난입하여 그녀를 강제로 데려가려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네덜란드 경찰과 물리적 충돌이 발생했으며, 포노마렌코는 코에 부상을 입기도 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그는 네덜란드 정부로부터 ''페르소나 논 그라타''(외교적 기피 인물)로 선언되었고 소련으로 소환되었다.[12]

참조

[1] 웹사이트 ПОНОМАРЕНКО ПАНТЕЛЕЙМОН КОНДРАТЬЕВИЧ — информация на портале Энциклопедия Всемирная история https://w.histrf.ru/[...] 2018-09-26
[2] 웹사이트 Герои Победы: П.К. Пономаренко https://www.portal-s[...] 2018-09-26
[3] 뉴스 Пономаренко Пантелеймон Кондратьевич http://www.warmuseum[...] Belarusian Great Patriotic War Museum 2018-09-26
[4] 백과사전 ГОМЕЛЬ.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правочник. http://xn--c1aacf4ae[...] 1991-01-01
[5] 웹사이트 Пантелеймон Кондратьевич Пономаренко {{!}}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правление в России в портретах http://deduhova.ru/s[...] 2018-09-26
[6] 서적 Тайный преемник Сталина https://books.google[...] Litres 2017-12-15
[7] 뉴스 О судьбе великого джазмена Эдди Рознера сняли документальный фильм https://www.kp.ru/da[...] 2018-09-26
[8] 간행물 Memorandum Pantelejmona Ponomarienki z 20 stycznia 1943 r. in: O zachowaniu się Polaków i niektórych naszych zadaniach Instytut Pamięci Narodowej
[9] 웹사이트 Руководство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ой партии: Президиум ЦК: 1952-1956 - Praviteli.org http://www.praviteli[...] 2018-09-26
[10] 서적 "Ponomarenko, Pantaleimon Kondrat'evich (1902–1984)" Macmillan Publishing Co.
[11] 서적 "Ponomarenko, Panteleimon Kondrat'evich (1902–1984)" K.G. Saur
[12] 웹사이트 "00202" http://www.knowbysig[...] 2018-09-26
[13] 웹사이트 ПОНОМАРЕНКО Пантелеймон Кондратьевич - Самые закрытые люди. От Ленина до Горбачева: Энциклопедия биографий https://www.e-readin[...] 2018-09-26
[14] 간행물 Memorandum Pantelejmona Ponomarienki z 20 stycznia 1943 r. in: O zachowaniu się Polaków i niektórych naszych zadaniach Instytut Pamięci Narodowej
[15] 웹사이트 Спадар Панамарэнка абражаў культуру і мову, фактычна падпісваў смяротны прысуд літаратурным дзеячам, абвінаваціўшы іх у “контррэвалюцыйнай нацыяналістычнай працы, ідэйна кіруемых заўсёды дзесяткам прафашысцкіх пісьменнікаў (у тым ліку Янкам Купалай і Якубам Коласам)...” http://www.zbsb.org/[...]
[16] 서적 "Ponomarenko, Pantaleimon Kondrat'evich (1902-1984)" Macmillan Publishing Co.
[17] 서적 "Ponomarenko, Panteleimon Kondrat'evich (1902-1984)" K.G. Saur
[18] 웹인용 ПОНОМАРЕНКО ПАНТЕЛЕЙМОН КОНДРАТЬЕВИЧ — информация на портале Энциклопедия Всемирная история https://w.histrf.ru/[...] 2018-09-26
[19] 웹인용 Герои Победы: П.К. Пономаренко https://www.portal-s[...] 2018-09-26
[20] 뉴스 Пономаренко Пантелеймон Кондратьевич http://www.warmuseum[...] Belarusian Great Patriotic War Museum 2018-09-26
[21] 백과사전 ГОМЕЛЬ.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правочник. http://xn--c1aacf4ae[...] 1991-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