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샤오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펑샤오강은 중국의 영화 감독, 배우, 각본가이다. 대학교수와 공장 간호사의 아들로 태어나 베이징 텔레비전 예술 센터에서 미술 디자이너로 영화 경력을 시작했다. 1990년대 후반 중국의 설날 축하 영화 장르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영화 《더 드림 팩토리》의 감독으로 유명해졌다. 베이징 방언을 활용한 코미디 영화를 주로 제작하며, 배우 거유와 협업이 많다. 2015년에는 영화 《노포아》로 금마장 남우주연상을 수상했고, 2016년에는 《나는 반금련이 아니다》로 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 골든 쉘상과 금마장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영화 각본가 - 자장커
 자장커는 중국 사회 변화 속 소외된 사람들의 삶을 현실적으로 묘사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스틸 라이프》로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중국의 영화 감독이자 배우, 제작자이다.
- 중국의 영화 각본가 - 클로이 자오
 중국계 미국인 영화 감독 클로이 자오는 독립 영화와 《노매드랜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 《이터널스》를 감독했다.
- 중국의 영화 감독 - 원장
 원장은 2007년 드라마 데뷔 후 여러 작품을 통해 인지도를 쌓고 영화와 드라마 주연, 연출 데뷔 및 수상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며 중국 연예계에서 입지를 다진 배우이자 감독이다.
- 중국의 영화 감독 - 에드워드 양
 에드워드 양은 1947년 상하이에서 태어나 대만 뉴웨이브를 대표하는 영화감독으로, 도시 타이완의 현실과 인간관계를 탐구하는 작품들을 주로 연출했으며, 칸 영화제 감독상 등을 수상하고 2007년 사망했다.
- 베이징시 출신 - 시진핑
 시진핑은 2012년부터 중국 최고지도자로, 반부패 운동 추진, '중국몽' 제시, 국가주석 임기 제한 철폐 및 '시진핑 사상' 당헌 명기 등을 통해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베이징시 출신 -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와 주한 미국 대사를 지내며 한국 현대사의 격변기와 한미 관계의 주요 현안들을 다루었고 동아시아 문제 전문가로서 외교관계협의회 연구소장으로 활동했다.
| 펑샤오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직업 | 영화 감독, 배우, 영화 각본가 | 
| 활동 기간 | 1984년 - 현재 | 
| 소속사 | 화이브라더스 | 
| 개인 정보 | |
| 본명 | 펑샤오강 (冯小刚) | 
| 로마자 표기 | Feng Xiaogang | 
| 출생일 | 1958년 3월 18일 | 
| 출생지 | 베이징시, 중국 | 
| 배우자 | 장디 (1984년 결혼, 1999년 이혼) 쉬판 (1999년 결혼) | 
| 수상 | |
| 홍콩 영화 금상장 | 최우수 아시아 영화상 (2009, 집결호) | 
| 금마장 | 최우수 각색상 (2005, 천하무적) 최우수 남우주연상 (2015, 로파오얼) | 
| 백화장 | 최우수 감독상 (2008, 집결호) 최우수 감독상 (2010, 비성물요) | 
2. 생애
펑샤오강은 2015년 주연을 맡은 영화 『노포아』로 제52회 금마장 최우수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2016년에는 제64회 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에서 감독 작품 『나는 반금련이 아니다』(영제: ''I am not Madame Bovary'')로 골든 쉘상(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고[8], 같은 작품으로 제53회 금마장에서도 최우수 감독상을 받았다.[9] 2016년 12월 8일부터 12월 13일까지 개최된 제1회 마카오 국제 영화제에서는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다.[10]
2. 1. 초기 생애 및 경력
펑샤오강은 대학교수와 공장 간호사의 아들로 태어나 고등학교 졸업 후 베이징 군구 예술단에 무대 디자이너로 입단했다. 1985년 베이징 텔레비전 예술 센터에서 미술 디자이너로 영화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했으며, 이 시기에 감독 정샤오롱과 작가 왕숴와 긴밀하게 협력했다.1990년대 후반, 펑샤오강은 "허수이피엔|(贺岁片)중국어" 또는 "설날 축하 영화"라는 중국 장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영화 ''더 드림 팩토리(1997)''의 감독으로 유명해졌다. 중국 영화 전문가인 잉주 교수는 펑샤오강의 영화가 중국 사회의 맥박을 짚어내는 능력이 있다며 '국민적 화제'라고 칭했다.[2] 미네소타 대학교 교수인 제이슨 맥그래스는 할리우드와의 경쟁에서 중국 본토 내에서 성공을 거둔 펑샤오강의 영화에 대해 "펑샤오강의 오락 영화는 할리우드에 대한 관계를 설정하는 새로운 모델의 중국 영화를 대표한다"고 믿었다.[3]
펑샤오강은 베이징 방언으로 코미디 영화를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의 영화는 거의 모두 거유를 주연으로 캐스팅한다. 최근 몇 년 동안 그는 코미디 영화만 만들던 것에서 벗어나 드라마 및 시대극 영화를 연출하고 있다.
1999년 배우 쉬판과 결혼했다. 중국 베이징시 출생으로, 본적은 후난성 샹탄시이다. 중학교를 졸업한 후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베이징 군구의 문예공작단에 들어갔다. 1977년에 제38집단군의 선전대에 들어가 1978년에 정식으로 제38집단군에 입대했다. 1985년에 베이징 텔레비전 예술 중심에 편입되어 아트 디렉터를 맡았다. 이후 절친한 친구인 거유의 소개로 상하이 국제 영화제에 참가하면서, 이를 계기로 영화의 세계에 발을 들였다.
2. 2. 1990년대: 허수이피엔과 성공
펑샤오강은 대학교수와 공장 간호사의 아들로 태어나 고등학교 졸업 후 베이징 군구 예술단에 무대 디자이너로 입단했다. 1985년 베이징 텔레비전 예술 센터에서 미술 디자이너로 영화 경력을 시작했고, 이후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하면서 감독 정샤오롱과 작가 왕숴와 긴밀하게 협력했다.1990년대 후반, 펑샤오강은 "'허수이피엔'(贺岁片)" 또는 "설날 축하 영화"라는 중국 장르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영화 ''더 드림 팩토리(1997)''의 감독으로 유명해졌다. 중국 영화 전문가인 잉주 교수는 펑샤오강의 영화가 중국 사회의 맥박을 짚어내는 능력이 있다며 '국민적 화제'라고 칭했다.[2] 미네소타 대학교 교수인 제이슨 맥그래스는 펑샤오강의 영화가 할리우드와의 경쟁에서 중국 본토 내에서 성공을 거두었다며, "펑샤오강의 오락 영화는 할리우드에 대한 관계를 설정하는 새로운 모델의 중국 영화를 대표한다"고 평가했다.[3]
펑샤오강은 베이징 방언으로 코미디 영화를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며, 그의 영화는 거의 모두 거유를 주연으로 캐스팅한다. 최근 몇 년 동안 그는 코미디 영화에서 벗어나 드라마 및 시대극 영화를 연출하고 있다.
1999년 배우 쉬판과 결혼했으며, 1997년 이후 연말에 영화를 촬영했다. 《꿈의 청부인》으로부터 가세이피엔(정월 영화)이라는 단어가 생겨났다.
2. 3. 2000년대 이후: 다양한 장르로의 확장
펑샤오강은 베이징 방언으로 코미디 영화를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며, 그의 영화에는 거의 항상 거유가 주연으로 출연한다. 최근 몇 년 동안 펑샤오강은 코미디 영화에서 벗어나 드라마 및 시대극 영화를 연출하고 있다.[3]2. 4. 개인사
펑샤오강은 대학교수와 공장 간호사의 아들로 태어나, 고등학교 졸업 후 베이징 군구 예술단에 무대 디자이너로 입단했다. 1977년에 제38집단군의 선전대에 들어가 1978년에 정식으로 제38집단군에 입대했다. 1999년에는 배우 쉬판과 결혼했다. 冯小刚|펑샤오강중국어은 중국 베이징시 출생이며, 본적은 후난성 샹탄시이다.[8][9]3. 작품 세계
펑샤오강은 1997년 이후 연말에 영화를 촬영했으며, 《꿈의 청부인》으로부터 허수이피엔(賀歲片, 정월 영화)이라는 단어가 생겨나는 등 다양한 장르와 주제를 넘나드는 작품 세계를 보여주었다.
3. 1. 허수이피엔(賀歲片)의 거장
1997년 이후 연말에 영화를 촬영했으며, 《꿈의 청부인》으로부터 허수이피엔(賀歲片, 정월 영화)이라는 단어가 생겨났다.3. 2. 다양한 장르와 주제
1997년 이후 연말에 영화를 촬영했으며, 《꿈의 청부인》으로부터 가세이피엔(정월 영화라는 의미)이라는 단어가 생겨났다.4. 수상 내역
| 연도 | 상 이름 | 작품 | 결과 | 
|---|---|---|---|
| 2004 | 비즈니스위크 아시아 스타 25인 | 선정 | |
| 2005 | 제42회 금마장 편집상 | 수상 | |
| 2015 | 제52회 금마장 남우주연상 | 노포아 | 수상 | 
| 2016 | 제64회 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 황금조개상 | 나는 반금련이 아니다 | 수상[8] | 
| 2016 | 제53회 금마장 최우수 감독상 | 나는 반금련이 아니다 | 수상[9] | 
| 2016 | 제1회 마카오 국제 영화제 평생 공로상 | 수상[10] | 
5. 작품 목록
펑샤오강은 1997년 이후 연말에 영화를 촬영했으며, 《꿈의 청부인》을 통해 '가세이피엔(정월 영화)'이라는 단어가 생겨났다.[8] 펑샤오강의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 꿈의 하청업자 (1997)
- 머나먼 그리움 차이니스 드림 in U.S.A (1998)
- 밀레니엄 러브 (1999)
- 한숨 (2000)
- 해피 퓨네럴 (2001)
- 폰 (2003)
- 천하무적 (2004)
- 여제 (2006)
- 전장의 레퀴엠 (2007)
- 사랑을 겨냥하는 방법 (2008)
- 탕산 대지진 (2010)
- 사랑을 겨냥하는 방법 2 (2010)
- 1942 (2012)
- 나는 반금련이 아니다 (2016)
- 방화 (2017)
5. 1. 감독
제15회 베이징 대학생 영화제 —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감독상, 최우수 남우주연상 (장한위).제29회 백화상 — 최우수 작품상.
제45회 금마장 — 최우수 남우주연상 (장한위), 최우수 각색상 (류헝).
제27회 금계장 —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감독상, 최우수 촬영상 (뤼웨), 최우수 음악상 (왕리광).
홍콩 영화상 — 최우수 중국·대만 영화.
제53회 금마장 — 최우수 감독상.
제10회 아시아 태평양 스크린 어워드 — 감독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