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양과학기술대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양과학기술대학교(PUST)는 2001년 김진경 교수의 주도로 설립이 시작되어 김정일의 지지를 받았으며, 평양 외곽에 위치한 대학이다. 연변과학기술대학교(YUST)의 경험을 활용하여,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고 기독교적 배경을 가진 외국인 교직원들이 자원봉사 형태로 참여한다. 2010년 개교 이후, 2017년 미국의 대북 여행 금지 조치와 제재 등으로 인해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2018년에는 대학 관계자 구금 및 교수, 학생 수 감소 등의 변화가 있었다. 학부 과정은 전기 및 컴퓨터 공학, 농업, 생명 과학, 국제 금융 및 경영, 의학 분야에서 학위를 수여하며, 북한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기술대학교 - 동원과학기술대학교
    동원과학기술대학교는 1990년 설립되어 여러 차례 교명을 변경한 후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되며, 4개의 트랙과 20개의 학과를 통해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제공한다.
  • 과학기술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는 1910년 의정부 실업보수학교로 설립되어 경성공립공업학교, 서울산업대학교 등의 명칭을 거쳐 2010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고 2012년 일반대학으로 전환되었으며, 서울 노원구에 위치한 캠퍼스는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및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옛터를 사용하여 다산관, 창학관 등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역사적인 건물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산학협력과 국제 교류를 통해 융합기술 연구개발을 선도하는 국립대학교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교 - 김정일정치군사대학
    김정일정치군사대학은 북한 평양에 위치한 간첩 양성 기관으로, 무력 적화통일을 위한 핵심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해외 침투 공작원을 양성하며, 군사 훈련과 주체사상 교육을 실시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교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김일성군사종합대학은 북한의 고급 장교 양성 및 재교육 기관으로, 1952년 개교하여 195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조선로동당과 정부의 주요 인물들을 배출하며 중요한 위상을 지닌다.
  • 2010년 개교 - 용이초등학교
    2010년에 개교한 용이초등학교는 학생 수 증가로 학급 수가 늘어 2015년에는 32개 학급으로 운영되었으며, 현재까지 412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대한민국의 초등학교이다.
  • 2010년 개교 - 글로벌사이버대학교
    글로벌사이버대학교는 2009년 천안에 설립되어 2010년 개교한 대한민국의 사립 사이버대학교로, 서울캠퍼스를 운영하며 4개의 단과대학과 4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다양한 학과를 운영하고, 국제 협력 확대, 수상 경력, 뇌교육 중심의 특화된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평양과학기술대학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평양과학기술대학
원어 이름평양과학기술대학 (평양과학기술대학)
로마자 표기Pyeongyang Gwahak Gisul Daehak
다른 로마자 표기P'yŏngyang Kwahak Kisul Taehak
영어 이름Pyongy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로고
표어없음
설립일2010년 10월
유형사립
재단동북아교육문화재단 (NAFEC)
이사장김진경 박사
총장전유택 박사
위치평양직할시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별칭PUST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규모
학생 수638명
학부생543명
대학원생95명
교직원 수45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직원 제외)
기타
관련 항목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학

2. 역사

평양과학기술대학(PUST) 프로젝트는 2001년 김진경 교수의 주도로 시작되었으며,[3][4][5] 전 북한 지도자 김정일의 지지를 받았다. 김 교수는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있는 연변과학기술대학교(YUST)의 설립자이자 초대 총장이었다. PUST는 YUST와 협력하여 그들의 경험을 활용했다.[3][4][5]

2001년 1월, 김진경 총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공식 방문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로부터 연변과학기술대학교와 같은 대학 설립을 요청받았다. 2001년 3월 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교육성은 대학 설립 허가서를 발행했고, 5월에는 동북아교육문화협력재단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교육성이 계약서를 체결했다. 2001년 6월 5일, 대한민국 통일부는 평양과학기술대학교를 대북 협력 사업자로 인정하고 설립을 허가했다.

2002년 6월 12일, 평양에서 평양과기대 착공식이 열렸다. 2005년 6월 27일, 한국기자협회는 창립 후원금 2500만 원을 기부했다. 기자협회는 2003년부터 후원금을 모금하여 총 6100만 원을 기부했다.

PUST 건설 계획은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실험으로 인해 지연되기도 했지만, 2009년 9월 16일 평양과학기술대학교 제1단계 건물 준공식이 열렸다. 전극만 교육 부총리, 김진경 설립 총장 등이 참석했다. 2010년 6월 하순 비공식적으로 강의를 시작했으며, 같은 해 10월 25일에 정식으로 개교했다.[8]

2015년 10월, 신입생 150명, 외국인 교수 130명, 현지 채용 직원 24명으로 신학기가 시작되었다. 2017년 3월, 미국 국적의 전유택(Chon Yu-taik)이 제2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매사추세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NASA, 걸프 오일, BP 등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다. 2003년 연변과학기술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고, 2010년 평양과학기술대학교 개교와 동시에 교수 겸 교무 담당 부총장으로 참여했다.

2017년 8월, 미국 정부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행 금지 조치로 인해 의학부 신학기 수업이 중단되었다. 외국 국적 교수 3분의 2 이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의학부 이외의 수업은 유럽과 중국에서 온 교수에 의해 축소 운영되었다. 같은 해 11월, 이탈리아인 Federico Tenga 씨가 비트코인블록체인에 관한 특별 강좌를 개최했다.

2018년 3월 28일, 제4회 졸업식이 열렸지만, 미국 국적의 전유택 총장은 참석하지 못했다. 같은 해 10월 10일 신학기가 시작되었으나, 제재 등으로 인해 교수 및 학생 수가 감소했다. 신입생은 114명이었고, 외국 국적 교수는 28명이었다. 10월 29일, 평양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생 12명이 몽골 울란바토르 대학교에서 열리는 학술 세미나에 참가했다. 2018년 11월 9일, 서울특별시의 삼육대학교와 상호 협력을 위한 양해 각서(MOU)를 체결했다.

2019년 10월 2일,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를 포함한 30여 명의 해외 강연자가 참석하는 가운데 국제 회의가 개최되었다. 10월 3일에는 개교 10주년 기념식이 개최되었다.

외국어 강좌를 제외한 모든 수업은 영어로 진행되며, 모든 외국인 교직원은 자원봉사자로 일하며 대부분 기독교 배경을 가지고 있다.[6] 설립 총장이자 현재 이사장은 "가르쳐질 기술은 기술적인 성격을 띠고 있지만, 이 역사적인 사업의 근본 정신은 분명하게 기독교적이다…"라고 말했다.[7]

2017년 대학 농장 관리자 김학송과[9] 김상덕[9]이 국가에 대한 "적대적인 범죄 행위" 혐의로 구금되었다가 2018년 5월 8일 마이크 폼페오 미국 국무장관의 보호 아래 풀려났다.[10] 이는 2018년 6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최고 지도자 간의 회담을 위한 제안이 있은 후였다. 2017년 7월 중순 미국 국무부의 북한 여행 금지령으로 인해, 대학은 2017년 9월 가을 학기를 수십 명의 미국인 직원 없이 시작해야 했다.[11]

2. 1. 설립 배경

평양과학기술대학(PUST)은 평양 외곽에 위치하며, 캠퍼스 출입 시 허가가 필요하다.[3][4][5] 2001년 김진경 교수의 주도로 설립이 시작되었으며,[3][4][5] 김정일의 지지를 받았다. 김진경 교수는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있는 연변과학기술대학교(YUST)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PUST는 YUST와 협력 관계를 맺고있다.[3][4][5]

2001년 1월, 김진경 총장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공식 방문했을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연변과학기술대학교와 같은 대학 설립을 요청했다. 이후, 2001년 3월 1일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교육성이 대학 설립 허가서를 발행했고, 5월에는 동북아교육문화협력재단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교육성이 계약을 체결했다. 2001년 6월 5일, 대한민국 통일부는 평양과학기술대학교를 대북 협력 사업자로 인정했다. 2002년 6월 12일 평양에서 착공식이 열렸다.

2005년 6월 27일, 한국기자협회는 창립 후원금 2500만 원을 기부했다. 2009년 9월 16일에는 평양과학기술대학교 1단계 건물 준공식이 열렸다. 2010년 10월 25일, 평양과학기술대학은 정식으로 개교했다.[8] 외국어 강좌를 제외한 모든 수업은 영어로 진행되며, 외국인 교직원은 대부분 기독교 배경을 가진 자원봉사자들이다.[6]

2015년 10월, 신입생 150명, 외국인 교수 130명, 현지 채용 직원 24명으로 신학기가 시작되었다. 2017년 3월, 미국 국적의 전유택이 제2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2017년 8월, 미국 정부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행 금지 조치로 인해 의학부 신학기 수업이 중단되기도 했다. 2018년 3월 28일, 제4회 졸업식이 열렸지만, 전유택 총장은 참석하지 못했다. 2018년 10월 10일, 신학기가 시작되었으나, 제재 등으로 인해 교수 및 학생 수가 감소했다.

2018년 11월 9일, 서울의 삼육대학교와 상호 협력을 위한 양해 각서(MOU)를 체결했다. 2019년 10월 2일에는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를 포함한 30여 명의 해외 강연자가 참석하는 국제 회의가 개최되었고, 10월 3일에는 개교 10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2. 2. 설립 과정

평양과학기술대학(PUST) 프로젝트는 2001년 김진경 교수의 주도로 시작되었으며,[3][4][5] 전 북한 지도자 김정일의 지지를 받았다. 김 교수는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있는 연변과학기술대학교(YUST)의 설립자이자 초대 총장이었다. PUST는 YUST와 협력하여 그들의 경험을 활용했다.[3][4][5]

2001년 1월, 김진경 총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공식 방문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로부터 연변과학기술대학교와 같은 대학 설립을 요청받았다. 2001년 3월 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교육성은 대학 설립 허가서를 발행했고, 5월에는 동북아교육문화협력재단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교육성이 계약서를 체결했다. 2001년 6월 5일, 대한민국 통일부는 평양과학기술대학교를 대북 협력 사업자로 인정하고 설립을 허가했다.

2002년 6월 12일, 평양에서 평양과기대 착공식이 열렸다. 2005년 6월 27일, 한국기자협회는 창립 후원금 2500만 원을 기부했다. 기자협회는 2003년부터 후원금을 모금하여 총 6100만 원을 기부했다.

PUST 건설 계획은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실험으로 인해 지연되기도 했지만, 2009년 9월 16일 평양과학기술대학교 제1단계 건물 준공식이 열렸다. 전극만 교육 부총리, 김진경 설립 총장 등이 참석했다. 2010년 6월 하순 비공식적으로 강의를 시작했으며, 같은 해 10월 25일에 정식으로 개교했다.[8]

2015년 10월, 신입생 150명, 외국인 교수 130명, 현지 채용 직원 24명으로 신학기가 시작되었다. 2017년 3월, 미국 국적의 전유택(Chon Yu-taik)이 제2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매사추세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NASA, 걸프 오일, BP 등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다. 2003년 연변과학기술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고, 2010년 평양과학기술대학교 개교와 동시에 교수 겸 교무 담당 부총장으로 참여했다.

2017년 8월, 미국 정부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행 금지 조치로 인해 의학부 신학기 수업이 중단되었다. 외국 국적 교수 3분의 2 이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의학부 이외의 수업은 유럽과 중국에서 온 교수에 의해 축소 운영되었다. 같은 해 11월, 이탈리아인 Federico Tenga 씨가 비트코인블록체인에 관한 특별 강좌를 개최했다.

2018년 3월 28일, 제4회 졸업식이 열렸지만, 미국 국적의 전유택 총장은 참석하지 못했다. 같은 해 10월 10일 신학기가 시작되었으나, 제재 등으로 인해 교수 및 학생 수가 감소했다. 신입생은 114명이었고, 외국 국적 교수는 28명이었다. 10월 29일, 평양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생 12명이 몽골 울란바토르 대학교에서 열리는 학술 세미나에 참가했다. 2018년 11월 9일, 서울특별시의 삼육대학교와 상호 협력을 위한 양해 각서(MOU)를 체결했다.

2019년 10월 2일,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를 포함한 30여 명의 해외 강연자가 참석하는 가운데 국제 회의가 개최되었다. 10월 3일에는 개교 10주년 기념식이 개최되었다.

외국어 강좌를 제외한 모든 수업은 영어로 진행되며, 모든 외국인 교직원은 자원봉사자로 일하며 대부분 기독교 배경을 가지고 있다.[6] 설립 총장이자 현재 이사장은 "가르쳐질 기술은 기술적인 성격을 띠고 있지만, 이 역사적인 사업의 근본 정신은 분명하게 기독교적이다…"라고 말했다.[7]

2017년 대학 농장 관리자 김학송과[9] 김상덕[9]이 국가에 대한 "적대적인 범죄 행위" 혐의로 구금되었다가 2018년 5월 8일 마이크 폼페오 미국 국무장관의 보호 아래 풀려났다.[10] 2017년 7월 중순 미국 국무부의 북한 여행 금지령으로 인해, 9월 가을 학기는 수십 명의 미국인 직원 없이 시작해야 했다.[11]

2. 3. 운영 및 제재

평양과학기술대학(PUST)은 평양 외곽의 시골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캠퍼스 출입 시 허가가 필요한 별도의 인접 행정 구역에 속해 있다.[3][4][5] 2001년 김진경 교수의 주도로 시작되었으며, 김정일 전 북한 지도자의 개인적인 만남에서 지지를 받았다.[3][4][5] 김 교수는 1992년에 설립된 옌볜 조선족 자치주 내 연변과학기술대학교(YUST)의 설립자이자 초대 총장이었다. PUST는 YUST와 협력하여 그들의 경험을 활용했다.

외국어 강좌를 제외한 모든 수업은 영어로 진행되며,[6] 모든 외국인 교직원은 자원봉사자로 일하며, 대부분 기독교 배경을 가지고 있다.[6] 설립 총장이자 현재 이사장은 "가르쳐질 기술은 기술적인 성격을 띠고 있지만, 이 역사적인 사업의 근본 정신은 분명하게 기독교적이다"라고 말했다.[7]

PUST 건설 계획은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실험과 관련하여 2005년과 2006년에 어려움을 겪고 지연되었지만, 이후 재개되어 완공되었다. 2009년 9월에 그랜드 오프닝, 2010년 10월에 공식 개교했다.[8] PUST는 합작 대학으로서 한반도 통일 과정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2001년 1월 김진경 총장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공식 방문했을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연변과학기술대학교와 같은 대학을 세워달라고 요청했다. 2001년 3월 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교육성은 대학 설립 허가서를 발행했고, 5월에는 동북아교육문화협력재단과 교육성이 계약서를 체결했다. 2001년 6월 5일, 대한민국 통일부는 평양과학기술대학교를 대북 협력 사업자로 인정하고 설립을 허가했다.

2010년 6월 하순 비공식적으로 강의를 시작했으며, 천안함 피격 사건으로 인해 정식 개교는 2010년 10월 25일로 연기되었다. 2015년 10월 신학기에는 신입생 150명, 외국인 교수 130명, 현지 채용 직원 24명이 있었다.

2017년 3월,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매사추세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전유택(Chon Yu-taik)이 제2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NASA, 걸프 오일, BP 등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으며, 2010년 평양과학기술대학교 개교와 동시에 교수 겸 교무 담당 부총장으로 참여했다.

2017년 8월, 미국 정부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행 금지 조치로 인해 의학부 신학기 수업이 중단되었다. 외국 국적 교수 3분의 2 이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의학부 이외의 수업은 유럽과 중국에서 온 교수에 의해 수를 줄여 실시되었다. 같은 해 11월에는 이탈리아인 Federico Tenga 씨가 비트코인블록체인에 관한 특별 강좌를 개최했다.

2018년 3월 28일, 제4회 졸업식이 열렸으나, 미국 국적의 전유택 총장은 참석하지 못했다. 같은 해 10월 10일 신학기가 시작되었지만, 제재 등으로 인해 교수 및 학생 수가 감소했다. 신입생은 114명이었고, 외국 국적 교수는 28명이었다. 10월 29일에는 평양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생 12명이 몽골 울란바토르 대학교에서 열리는 학술 세미나에 참가했다.

2018년 11월 9일, 서울특별시의 삼육대학교와 상호 협력을 위한 양해 각서(MOU)를 체결하여 공동 연구 및 학술 회의 개최, 교직원 및 학생 교류, 상호 학점 인정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2019년 10월,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를 포함한 30여 명의 해외 강연자가 참석하는 국제 회의가 열렸고, 10월 3일에는 개교 10주년 기념식이 개최되었다.

대학 농장을 관리하던 김학송과 대학에서 근무했던 김상덕은 2017년 5월에 "적대적인 범죄 행위" 혐의로 구금되었다가 2018년 5월 8일 마이크 폼페오 미국 국무장관의 보호 아래 풀려났다.[9][10] 이는 2018년 6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최고 지도자 간의 회담을 위한 제안이 있은 후였다. 2017년 7월 중순 미국 국무부의 북한 여행 금지령으로 인해, 대학은 2017년 9월 가을 학기를 수십 명의 미국인 직원 없이 시작해야 했다.[11]

3. 학부

평양과학기술대학의 목표는 영어와 다른 외국어(중국어 또는 독일어 등)에 능통하고 국제적인 환경에서 일하는 데 익숙한 기술 분야의 전문가와 리더를 배출하여 북한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학사철학박사 학위는 전기 및 컴퓨터 공학, 농업 및 생명 과학, 국제 금융 및 경영, 의학 분야에서 수여된다. 2013년 초에 건설 공학을 개설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12]

대학원생과 교수진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지만, 필터링 및 감시를 받는다.[13]

4. 특징

5. 논란 및 비판

5. 1. 대북 제재 위반 논란

5. 2. 정치적 이용 논란

참조

[1] 웹사이트 Inside North Korea's Western-funded university https://www.bbc.com/[...] 2014-02-03
[2] 웹사이트 Yust Pust Foundation https://www.yustpust[...]
[3] 뉴스 South Korean, Once Held as Spy, Plans a University in Pyongyang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1-07-31
[4] 뉴스 The capitalist who loves North Korea https://money.cnn.co[...] Money CNN 2009-09-15
[5] 뉴스 The capitalist who (still) loves North Korea https://money.cnn.co[...] Money CNN 2012-03-15
[6] 간행물 Private North Korean University Seeks Texas A&M Academic Help http://www.newsweek.[...] 2017-01-30
[7] 웹사이트 "President's Welcome" http://pust.kr/
[8] 간행물 Crunch Time for North Korea's Revolutionary New University https://www.science.[...] 2011
[9] 웹사이트 Pyongy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 U.S. Employees Detained https://www.nbcnews.[...] 2017-05-08
[10] 뉴스 Who are the 3 American Detainees Freed by North Korea?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8-05-09
[11] 웹사이트 Pyongyang university to start classes without American staff due to travel ban https://www.japantim[...] 2017-09-02
[12] 뉴스 An Unlikely Pairing Bears Fruit in North Korea https://www.nytimes.[...] NY Times 2010-10-26
[13] Youtube Computer Science in the DPRK [31c3] https://www.youtube.[...] Chaos Computer Club 2014-12-29
[14] 뉴스 【北朝鮮情勢】北朝鮮が米国人を拘束 4人目、「敵対行為」した疑い https://www.sankei.c[...] 2017-05-07
[15] 뉴스 平壌に学校設立するため金正日の口座に巨額入金?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16] 뉴스 在米韓国人作家、平壌での体験記を出版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17] 뉴스 平壌科技大、初の卒業式を取材設立 http://chosonsinbo.c[...] 朝鮮新報
[18] 뉴스 「今、北朝鮮を助けなければ統一後に大きな災難」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19] 웹사이트 평양과기대 개강했지만...교수∙학생수 크게 줄어 https://www.rfa.org/[...] RFA 2019-02-09
[20] 웹사이트 "와이파이 터지는 北 유일한 학교···교수 전원 무보수"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9-02-09
[21] 뉴스 평양과기대 가을학기 의대 수업 중단...미 여행금지 영향.VOA https://www.voakorea[...] VOA 2017-08-12
[22] 뉴스 평양과기대, 이달 초 서양전문가 초빙 ‘비트코인’특강 http://www.rfa.org/k[...] RFA 2017-11-21
[23] 웹사이트 평양 과기대, 몽골에서 학술세미나 개최 https://www.rfa.org/[...] RFA 2019-02-09
[24] 웹사이트 삼육대, 北 평양과학기술대와 상호협력을 위한 MOU 체결 http://www.hani.co.k[...] Hankyoreh 2019-02-09
[25] 웹사이트 평양과기대 설립 10주년...북한 유일의 외국계 대학 https://www.ytn.co.k[...] YTN 2020-11-28
[26] 뉴스 구글 회장 찾은 평양과기대는 어떤 곳? http://biz.chosun.co[...] 조선비즈 2013-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