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리스 (항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리스는 궁수자리에 있는 항성계로, 밝은 순서대로 A부터 E까지 식별 기호가 붙어 있다. 이 중 가장 밝은 A는 분광쌍성으로, 181일 주기로 서로를 가리며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이다. 폴리스 A는 B형 거성으로, 태양의 18만 배 광도와 115배 반지름을 가지며, 질량은 태양의 23배이고 표면 온도는 11,100K이다. 국제천문연맹은 궁수자리 뮤 Aa에 '폴리스'라는 이름을 공식 부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중성계 - 궁수자리 감마1
    궁수자리 감마1은 주성 Aa(궁수자리 W별), 반성 Ab(분광쌍성), 반성 B로 이루어진 삼중성계이며, 주성 Aa는 7.59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이다.
  • 다중성계 - 황소자리 세타
    황소자리 세타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명명된 황소자리의 이중성계로, 밝은 주성분은 델타 방패자리형 변광성인 백색 A형 거성 Aa와 동반성 Ab로, 어두운 구성 요소는 주황색 K형 거성 Ba와 동반성 Bb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야 신화에서 "Chamukuy"로, 중국 천문학에서 필수육(畢宿六)으로 불린다.
  • 알골형 변광성 - 민타카
    민타카는 오리온자리의 삼태성 중 하나로, 다중성계이며, 분광쌍성임이 밝혀졌고, 성간매질 존재 증거를 제공한 중요한 천체이다.
  • 알골형 변광성 - 황소자리 람다
    황소자리 람다는 3개의 별로 이루어진 항성계로, 식쌍성인 황소자리 람다 AB와 내부 쌍을 공전하는 황소자리 람다 C로 구성되며, 식쌍성 현상과 탄소 결핍 등의 특징을 보인다.
  • 백조자리 알파형 변광성 - 나오스
    나오스는 돛자리에 있는 청색 초거성이며, 태양 질량의 22.5배에서 55배에 달하는 질량과 약 14배의 반지름을 지니고 초고온이며, 강력한 항성풍을 방출하고, 약 1092광년 떨어져 있으며, 과거 트럼플러 10 OB 성협과 관련이 있고, 특이한 헬륨 스펙트럼으로도 알려져 있다.
  • 백조자리 알파형 변광성 - 데네브
    데네브는 백조자리의 알파별로, 아랍어로 꼬리를 뜻하며,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별의 고유 명칭이며, 여름철 대삼각형을 이루는 청색 초거성으로 약 2,600광년 거리에 있고, 밝기가 변하며 수백만 년 안에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폴리스 (항성)
명칭
로마자 표기Myu Sagitariuseu
기호μ Sgr
기타 명칭폴리스
뮤 궁수자리별
뮤 궁수자리
13 궁수자리
관측 정보
기원J2000.0
별자리궁수자리
겉보기 등급+3.85
특징
분광형A: + B1.5V
B9III
D: B2IV
E: B2.5V
B-V 색 지수A: +0.22
B: −0.04
C: +0.23
D: +0.11
E: +0.04
U-B 색 지수A: −0.52
B: −0.11
C: −0.30
D: −0.57
E: −0.67
변광성 분류A: EA + α Cyg
위치 정보
연주시차0.6437
연주시차 오차0.038
절대 등급A: −7.1
B: −1.2
D: −3.3
E: −2.1
물리적 특징 (A)
질량14.1-30 M☉
온도12,000 K
반지름115 R☉
광도180,000 L☉
표면 중력2.0
금속 함량해당 정보 없음
회전 속도해당 정보 없음
물리적 특징 (Ab)
질량9.8 - 15 M☉
온도23,000 K
반지름12.2 R☉
광도해당 정보 없음
표면 중력4.0
금속 함량해당 정보 없음
회전 속도해당 정보 없음
나이1000만 년
물리적 특징 (B)
질량해당 정보 없음
온도18,200 K
반지름해당 정보 없음
광도603 L☉
표면 중력해당 정보 없음
금속 함량해당 정보 없음
회전 속도해당 정보 없음
물리적 특징 (D)
질량해당 정보 없음
온도20,400 K
반지름해당 정보 없음
광도1,660 L☉
표면 중력해당 정보 없음
금속 함량해당 정보 없음
회전 속도해당 정보 없음
물리적 특징 (E)
질량6.47±0.21 M☉
온도16,700 K
반지름6.36 R☉
광도2,668 L☉
표면 중력3.55
금속 함량해당 정보 없음
회전 속도해당 정보 없음
식별 정보
SIMBADhttp://simbad.u-strasbg.fr/simbad/sim-id?Ident=%CE%BC+Sgr+AB
HD (A)166937
HD (D)314059
HD (E)314057
HIP (A)89341
HR (A)6812
SAO186497
기타 명칭CCDM J18210-2950
IDS 18078-2105
WDS J18138-2104
PPM 268080
FK5 682
GC 24856
2MASS J18134906-2103528

2. 항성계

폴리스 항성계의 구성원들은 A부터 E까지 식별기호가 붙어 있으며 정렬 순서는 가장 밝은 A에 가까운 것부터이다. 'A' 자체는 다시 분광쌍성으로 구성원은 폴리스 Aa와 Ab로 구성된다. 눈에 보이는 이 다섯 별들 중 C는 안시 이중성으로 다른 항성들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구성원 D 역시 일부 논문 저자들은 순수한 안시 이중성으로 취급했으나[13] 다른 학자들은 D를 항성 네 개(눈에 보이지 않는 반성이 하나 더 있다.)가 중력적으로 묶여 있는 트라페지움 계의 일부분으로 간주한다.[19]

구성원겉보기등급[14]폴리스 A와의 각거리A와의 실제 거리 (최솟값)
A+3.88--
B+8.0416.9 (초각)42200AU 또는 0.67ly
C+10.9925.8 (초각)64500AU 또는 1.02ly
D+9.6348.5 (초각)121200AU 또는 1.92ly
E+9.2550.0 (초각)125000AU 또는 1.98ly



주성 Aa는 청색 초거성으로, 반지름 약 2au 궤도를 도는 청색 거성의 반성 Ab가 주기적으로 엄폐함으로써 광도가 변화하는 알골형 변광성이다.

3. 명명법

'''궁수자리 뮤'''(μ Sgr)는 이 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부른 이름이다. 계의 구성원 다섯은 궁수자리 A, B, C, D, E로 표기하며 이들 중 가장 밝은 A는 다시 궁수자리 뮤 Aa와 Ab로 표기한다. 상기 표기법은 워싱턴 다중성 목록(WMC)에서 다중성계를 표기할 목적으로 세운 규칙이며 국제천문연맹(IAU) 역시 이 규칙을 받아들였다.[20]

이 계는 콥트인들이 기록한 월수(月宿, lunar station) 목록에서 πολις (폴리스) 이름으로 나온다. 월터 유잉 크럼은 상기 목록명들의 어원이 모두 그리스어라고 결론내렸는데, 이 경우 폴리스는 '도시'를 뜻한다.[21]

2016년 IAU는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목록화 및 표준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조직했다.[22] WGSN은 다중성계의 경우 고유 명칭을 계 전체가 아니라 계의 구성원에 붙이기로 했다.[23] 2017년 9월 5일 IAU는 '''폴리스''' ''Polis''를 궁수자리 뮤 Aa에 공식 부여하였으며 이 이름은 현재 IAU 인증 항성명칭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18]

중국 천문학에서 궁수자리 뮤는 두수에 포함되어 있다. 두수는 뮤 외에도 궁수자리 피, 람다, 시그마, 타우, 제타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중 뮤 하나만을 일컫는 이름은 두수3(斗宿三)이다.

4. 특징

폴리스는 오중성계로, 그 중 4개의 항성은 실제로 연성계를 이루고 있다. 궁수자리 OB1 성협의 일원으로 추정되며, 이 경우 태양계로부터의 거리는 약 3,600광년이 된다. 주성 Aa는 청색 초거성이며, 반지름 약 2au의 궤도를 도는 청색 거성인 반성 Ab가 주기적으로 엄폐함으로써 광도가 변화한다. B성은 29,000au, C성은 44,000au, E성은 87,000au 떨어진 궤도를 돌고 있지만, 사중성계는 중력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결국에는 1개 혹은 2개가 떨어져 나갈 것으로 생각된다.

4. 1. 변광

궁수자리 뮤 A는 밝기가 변하기 때문에 변광성으로 분류된다.[15] 뮤 A의 두 구성원은 181일을 주기로 서로를 가리는데 이로 인해 0.08의 광도 하락이 일어난다.(+3.84 ~ +3.96)[24] 여기에 더하여 뮤 A는 뜨거운 초거성들이 불규칙적으로 맥동하는, 전형적인 백조자리 알파형 변광성의 불규칙한 밝기 변화를 보여준다.

4. 2. 물리적 특성

궁수자리 뮤 A는 B형 거성으로 보이며 총 광량은 태양의 18만 배, 반지름은 태양의 115배이다. 질량은 태양의 23배이며 표면 유효 온도는 11,100,000이다. 궁수자리 뮤 Aa는 B8 분광형의 청색 초거성이며 반성 Ab는 B2형 거성이다.[19]

계의 나머지 구성원들은 폴리스 계에 매우 약하게 묶여 있으며, 맨눈에 보이는 A와는 달리 반성들의 속성은 매우 불확실하다.

궁수자리 뮤 B의 겉보기 등급은 8.04[14]에서 10.481 사이로 측정되었는데,[25] 이로 인해 B의 물리적 특성, 거리, 계와의 연결성이 불확실하다. 워싱턴 이중성 목록에는 겉보기 등급이 10.48로, 이중성 및 다중성 구성원 목록(Catalog of Components of Double and Multiple Stars)에는 11.5로 등재되어 있다.[26][27]

구성원 D는 뜨거운 B3형 항성이다.[28] MK 분광형은 B2 IV로 측정되었으며, 준거성임을 상정한 광도분류 IV로부터 D는 계 내에서 다른 구성원들보다도 주성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13] 광도계로 측정한 분광형을 B2 V로 정의한 연구도 있으며, 이 주계열 광도분류는 다른 항성들의 거리와 일치한다.[19]

참조

[1] 간행물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2] 간행물 Atmospheric parameters and rotational velocities for a sample of Galactic B-type supergiants
[3] ArXiv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2010
[4] 문서 See station 22 in footnote 12 in Stefan Weinstock, "Lunar Mansions and Early Calendars", ''Journal of Hellenic Studies'', Volume 69, November 1949, pp. 48-69.
[5]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6] 웹사이트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https://www.iau.org/[...] 2018-07-14
[7] 간행물 A study of visual double stars with early type primaries. II - Photometric results
[8] 간행물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9] 간행물 Catalogue of the Components of Double and Multiple stars (CCDM). First edition
[10] 간행물 The Henry Draper Extension Charts: A catalogue of accurate positions, proper motions, magnitudes and spectral types of 86933 stars
[11] 간행물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12] 간행물 Atmospheric parameters and rotational velocities for a sample of Galactic B-type supergiants
[13] 간행물 Confirmation among visual multiples of an increase of AP stars with age https://archive.org/[...]
[14] 간행물 Photometric Study of Trapezium-Type Systems
[15] 간행물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16] 간행물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17] 간행물 A study of visual double stars with early-type primaries. V - Post-T Tauri secondaries https://archive.org/[...]
[18] 웹인용 Naming Stars https://www.iau.org/[...] IAU.org 2017-12-16
[19] 간행물 A study of visual double stars with early type primaries. IV Astrophysical data
[20] ArXiv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2010
[21] 문서 See station 22 in footnote 12 in Stefan Weinstock, "Lunar Mansions and Early Calendars", ''Journal of Hellenic Studies'', Volume 69, November 1949, pp. 48-69.
[22] 웹인용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23] 웹인용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https://www.iau.org/[...] 2018-07-14
[24] 간행물 A hot companion to MU Sagittarii - an opportunity to sound the atmosphere of a B8 IA supergiant
[25] 간행물 A study of visual double stars with early type primaries. II - Photometric results
[26] 간행물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27] 간행물 Catalogue of the Components of Double and Multiple stars (CCDM). First edition
[28] 간행물 The Henry Draper Extension Charts: A catalogue of accurate positions, proper motions, magnitudes and spectral types of 86933 sta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