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리카프 쿠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리카프 쿠시는 독일 출신의 미국 물리학자이다. 마이크로파 기술을 활용하여 전자의 자기 모멘트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했으며, 1955년 윌리스 램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 교수를 역임했으며, 전자의 비정상적인 자기 모멘트를 발견하는 등 핵 자기 모멘트 측정 연구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동문 - 에드워드 몰리
    에드워드 몰리는 미국의 과학자로서, 마이켈슨-몰리 실험을 통해 빛의 속도가 일정함을 밝혀냈고, 산소의 원자량 측정 등 화학 연구에도 기여했으며, 여러 상을 수상하고 그의 이름을 딴 지명들이 존재한다.
  •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동문 - 로저 젤라즈니
    로저 젤라즈니는 신화, 종교, 철학 지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과학 소설과 판타지 작품을 쓴 미국의 작가로,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수상했으며, 대표작으로는 《내 이름은 콘라드》, 《빛의 왕》, 《앰버 연대기》 등이 있다.
  •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동문 - 잭 킬비
    잭 킬비는 미국의 전자 공학 기술자이자 집적 회로의 공동 발명가로, 1958년 단일 반도체 재료에 회로 부품을 집적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1959년 최초의 집적 회로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으며, 200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동문 - 닉 오퍼먼
    닉 오퍼먼은 1970년생 미국 배우이자 작가로, 시카고 연극계에서 활동하다 TV 드라마와 시트콤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연기 외에도 카누 제작과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 독일의 물리학자 -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은 브라운관과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를 개발하고 무선 전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1909년 무선 전신 개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독일의 물리학자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외교관, 법학자,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
폴리카프 쿠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쿠시 (1955년)
1955년의 쿠시
출생일1911년 1월 26일
출생지독일 제국, 브라운슈바이크 공국, 블랑켄부르크
사망일1993년 3월 20일
사망지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국적미국
학력
모교일리노이 대학교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제목세슘과 루비듐의 분자 스펙트럼 (The molecular spectra of caesium and rubidium)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박사 학위 취득 년도1936년
지도 교수프랜시스 휠러 루미스
박사 과정 학생유진 D. 커민스
고든 굴드
경력
직장텍사스 대학교 댈러스
컬럼비아 대학교
연구 업적
주요 업적전자의 자기 모멘트 측정
수상
수상노벨 물리학상 (1955년)

2. 생애

독일 Blankenburg (Harz)|블랑켄부르크영어에서 태어나 1912년에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했다. 케이스 공과대학과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마이크로파 기술을 이용하여 나트륨, 갈륨, 인듐의 자기 공명법 실험을 실시하여 전자의 자기 모멘트의 직접적이고 정밀한 측정을 수행했다. 전자와 원자핵은 스핀을 가지므로 자기 모멘트를 가지며, 전자의 스펙트럼은 미세 구조를 가지게 되고, 미세 구조가 양자역학 이론으로 계산된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는 양자역학 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44년 벨 연구소 연구원, 1949년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가 되었으며, 1955년 윌리스 램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 1972년부터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 교수를 역임했으며, 1982년부터는 동 대학 명예교수가 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쿠시는 독일 블랑켄부르크에서 루터교 선교사인 존 마티아스 쿠시와 그의 아내 헨리에타 반 데어 하스 사이에서 태어났다.[1] 1912년 쿠시와 그의 가족은 미국으로 이민을 갔고, 1922년 귀화했다.[1] 중서부에서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쿠시는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 있는 케이스 공과대학(현재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에 진학하여 물리학을 전공했다.[1] 1931년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에서 이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한 쿠시는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샴페인에 입학하여 1933년 석사 학위를 받았다.[1] 그는 같은 학교에서 F. 휠러 루미스의 지도 아래 "세슘과 루비듐의 분자 스펙트럼"이라는 논문을 썼고, 1936년 졸업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1] 1935년 미네소타 대학교로 옮기기 전에 쿠시는 여자 친구인 에디스 스타 로버츠와 결혼했고, 세 딸을 두었다.[1]

2. 2. 경력

쿠시는 이후 뉴욕으로 이주하여 1937년부터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가 새로 설립되어 그곳으로 떠날 때까지 컬럼비아 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했으며, 수년간 이 대학의 교무처장을 역임했다.[1] 그는 아이시도어 아이작 라비 아래에서 분자선 공명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후 전자의 비정상적인 자기 모멘트를 발견했다. 자기 모멘트와 초미세 구조에 대한 많은 측정 결과가 뒤따랐다. 그는 화학 물리학으로 연구 분야를 넓혔고, 분자선에 대한 연구를 계속 발표했다. 컬럼비아 대학교 재직 기간 동안 그는 레이저를 발명한 고든 굴드의 박사 학위 지도교수였다.[1]

1944년에는 벨 연구소의 연구원, 1949년부터 컬럼비아 대학교의 교수가 되었으며, 1972년부터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의 교수를 역임했으며, 1982년부터는 동 대학 명예교수가 되었다. 마이크로파 기술을 이용하여 나트륨, 갈륨, 인듐의 자기 공명법 실험을 실시하여 전자의 자기 모멘트의 직접적이고 정밀한 측정을 수행했다. 전자와 원자핵은 스핀을 가지므로 자기 모멘트를 가지며, 전자의 스펙트럼은 미세 구조를 가지게 되고, 미세 구조가 양자역학 이론으로 계산된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는 양자역학 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쿠시는 1940년부터 미국 물리학회의 회원이자[2] 1959년부터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었다.[3] 그는 1956년에 미국 국립 과학원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 1967년에는 미국 철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

2. 3. 노벨 물리학상 수상

독일의 Blankenburg (Harz)|블랑켄부르크영어에서 태어나 1912년에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했다. 케이스 공과대학과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마이크로파 기술을 이용하여 나트륨, 갈륨, 인듐의 자기 공명법 실험을 실시하여 전자의 자기 모멘트의 직접적이고 정밀한 측정을 수행했다. 전자와 원자핵은 스핀을 가지므로 자기 모멘트를 가지며, 전자의 스펙트럼은 미세 구조를 가지게 되고, 미세 구조가 양자역학 이론으로 계산된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는 양자역학 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44년에는 벨 연구소의 연구원, 1949년부터 컬럼비아 대학교의 교수가 되었으며, 1955년 윌리스 램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2. 4. 말년

1972년부터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의 교수를 역임했으며, 1982년부터는 동 대학 명예교수가 되었다.

3. 업적

폴리카프 쿠시는 이사도어 아이작 라비와 함께 핵 자기 모멘트 측정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연구했다.[1] 1938년, 라비, 제럴드 R. 자카리아스, 시드니 밀먼과 함께 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3] 이듬해인 1939년에는 이 방법을 활용하여 리튬 동위 원소(6Li, 7Li)와 플루오린(19F)의 자기 모멘트를 측정했다.[2]

1948년, 헨리 M. 폴리와 함께 전자의 자기 모멘트를 측정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전자의 자기 모멘트가 기존에 알려진 값보다 약간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4]

4. 수상

폴리카프 쿠시는 1955년 램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내용
노벨 물리학상1955년


참조

[1] 웹사이트 Polykarp Kusch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 웹사이트 APS Fellow Archive https://www.aps.org/[...]
[3] 웹사이트 Fellow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https://www.amacad.o[...]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9-12-27
[4]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