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블리우스 아킬리우스 아티아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블리우스 아킬리우스 아티아누스는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의 후견인이자 트라야누스 시대의 친위대 사령관이었다. 히스파니아 바이티카의 이탈리카에서 태어났으며, 트라야누스 사후 하드리아누스의 황제 즉위에 영향을 미쳤다. 하드리아누스 집권 초기에는 황제에게 조언을 했으나, 119년 친위대 사령관직에서 물러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킬리우스 씨족 -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 (91년 집정관)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는 1세기 로마 원로원 의원이자 91년 집정관으로, 도미티아누스 황제 시기에 처형되었으며 기독교인이었을 가능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로마 제국의 원로원 의원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로마 제국의 원로원 의원 - 마르쿠스 에그나티우스 루푸스
마르쿠스 에그나티우스 루푸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인물이며,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푸블리우스 아킬리우스 아티아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푸블리우스 아킬리우스 아티아누스 |
로마자 표기 | Publius Acilius Attianus |
군사 경력 | |
소속 | 로마 제국 |
복무 기간 | ??–119년 |
최종 계급 | 친위대 사령관 |
지휘 | 친위대 |
2. 생애
아티아누스는 히스파니아 바이티카의 이탈리카에서 태어났는데, 이곳은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아버지인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하드리아누스 아페르의 출생지이기도 하다. 86년경 아페르가 사망하자, 아티아누스와 훗날 황제가 되는 트라야누스(역시 이탈리카 출신)는 당시에 10세였던 하드리아누스의 후견인이 되었다.[4] 아티아누스의 초기 경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지만, 트라야누스 통치 말기에 그는 세르비우스 술피키우스 시밀리스와 공동으로 친위대장관을 역임했다. 시밀리스가 로마에 머무는 동안 아티아누스는 황제를 따라 동방 원정에 참여했다.
2. 1. 황제위 즉위
트라야누스가 사망하기 얼마 전, 하드리아누스를 양자이자 후계자로 지명한 문서를 작성했다고 한다. 그러나 로마에 도착한 문서 사본에 트라야누스의 아내 플로티나의 서명이 있어 의혹이 제기되었다. 아티아누스와 플로티나 황후는 연인 관계였고, 자신들의 피후견인인 하드리아누스를 매우 아꼈다는 소문이 있었다. 이 둘은 117년 8월 킬리키아의 셀리누스에서 트라야누스의 임종을 지켜보았으며, 트라야누스의 유언을 위조하여 하드리아누스의 계승을 확고히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5]아티아누스는 플로티나, 마티디아와 함께 트라야누스의 시신을 셀레우키아로 운반했고, 이후 유해를 로마로 운반하는 데 동행했다.[2]
2. 2. 하드리아누스 집권기
하드리아누스 집권 초기에, 아티아누스는 황제 계승에 반대할 수 있는 잠재적 반대 세력에 대해 황제에게 조언했다. 하드리아누스의 소실된 전기에 따르면, 아티아누스는 하드리아누스 집권 초기의 오점이었던 '네 명의 집정관' 살해 사건에 책임이 있었다고 한다.[6][3]신임 황제는 아티아누스의 권력을 불편하게 여겼고, 119년에 친위대 사령관직에서 물러나라는 명령을 내렸다.[6] 아티아누스는 퇴임하면서 원로원 계급과 ''집정관 장식''을 수여받았다.[3] 이 시점 이후 그에 대해 더 이상 알려진 것은 없다.
3. 네르바-안토니누스 가계도에서의 위치
히스파니아 바이티카의 이탈리카에서 태어난 푸블리우스 아킬리우스 아티아누스는 황제 하드리아누스의 아버지인 푸블리우스 아일리아스 하드리아누스 아페르와 같은 출신이었다. 서기 86년경 아페르가 사망하자, 아티아누스는 트라야누스와 함께 열 살 된 하드리아누스의 후견인이 되었다.[1]
트라야누스 황제가 죽기 직전 하드리아누스를 후계자로 지명하는 편지를 썼다는 기록이 있으나, 로마에 도착한 편지에는 황후 플로티나의 서명이 있어 의혹이 제기되었다. 아티아누스와 플로티나가 연인 관계였고, 하드리아누스를 아꼈으며, 117년 8월 트라야누스의 임종을 셀리누스에서 함께 지켜보았기에, 두 사람이 트라야누스의 유언장을 위조하여 하드리아누스의 황제 계승을 도왔다는 소문이 있었다.[2]
참조
[1]
서적
Historia Augusta, Hadrian
Penguin
[2]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Historia Augusta, Hadrian
[4]
서적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Hadrian
Penguin
[5]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하드리아누스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