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잎마다 이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풀잎마다 이슬은 1986년 방영된 MBC 드라마이다. 10세 소녀 이슬이 친모를 찾아가는 과정을 중심으로, 양부모와 친부모 사이의 갈등, 이슬의 선천성 심장병, 그리고 이로 인한 가족 간의 복잡한 관계를 그린다. 드라마는 이슬 역의 윤재미를 오디션을 통해 발탁하고 사전 제작 방식을 도입하여 완성도를 높이려 했으나, 친부모가 딸을 유괴하는 장면 등 과도한 갈등 묘사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 긍정적인 평가도 있었지만, 경쟁 드라마의 강세와 시청률 저조로 인해 조기 종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상열 시나리오 작품 - 수사반장
수사반장은 1971년부터 1989년까지 방영된 대한민국의 수사 드라마로, 1980년대 사회를 뒤흔든 주요 범죄 사건들을 다루며 경찰 이미지 향상에 기여했다. - 김상열 시나리오 작품 - MBC 금요극장
MBC 금요극장은 1987년 4월부터 10월까지 MBC TV에서 방영된 단막 드라마 시리즈로, 다양한 극본가와 연출가가 참여하여 여러 주제의 드라마를 매주 금요일 밤에 선보였다. - 1986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이별 그리고 사랑
김민자, 박근형, 장용, 윤소정, 박길라 등이 출연한 드라마 이별 그리고 사랑은 박근형과 장용이 극의 흐름을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고 윤소정이 안방극장에 복귀한 작품이다. - 1986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남한산성 (드라마)
1986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남한산성은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벌어진 조선과 청나라의 갈등과 인조, 소현세자, 최명길, 김상헌 등 역사적 인물들의 이야기를 양지운의 내레이션으로 다룬 문화방송 창사 25주년 특집 드라마이다. - 1986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추적 60분
《추적 60분》은 KBS에서 다양한 사회 문제와 의혹을 심층적으로 취재, 보도하는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1983년 첫 방송 이후 여러 차례 방송 시간대가 변경되었으며 공정성 및 객관성 논란이 있었다. - 1986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남자의 계절
1985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남자의 계절은 준태네, 미란네, 진숙의 시댁 식구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김수미가 MBC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을 수상했다.
풀잎마다 이슬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방송명 | 풀잎마다 이슬 |
장르 | 드라마 |
방송 시간 | 토, 일 밤 8시 ~ 9시 |
방송 분량 | 1시간 |
방송 기간 | 1986년 7월 5일 ~ 12월 14일 |
방송 횟수 | 42부작 |
방송 채널 | MBC |
각본 | 김상열 |
연출 | 고석만 |
출연자 | 한인수, 김윤경, 윤재미, 김자옥 외 |
음성 |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
여는 곡 | 박미경 - 풀잎마다 이슬 |
2. 줄거리
화가였던 친어머니의 영향으로 미술에 천부적인 소질을 지닌 10살 소녀 이슬이는 양부모의 사랑 속에서 행복하게 살고 있었다. 그러던 중 친이모가 나타나 이슬이의 출생 비밀을 밝히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슬이는 그림 속 여인인 생모를 찾아 낡은 사진을 들고 전국 곳곳을 헤맨다.
등장인물로는 한인수(한승덕), 김윤경(박주혜), 현석(유인철), 김자옥(백수희), 이휘향(백상희), 최봉(한 노인), 김무생(양석찬), 길용우(지용태), 조경환(문경태), 권성덕(심 목사), 정혜선(인철 모)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국정환, 김은영, 김재강, 김지숙, 박준수, 박태호, 심우창, 오경애, 윤예희, 이운우, 정희선, 한애경 등이 출연하였다.[1]
미술학도 용태가 흑산도에서 이슬이의 친어머니 수희를 찾아 데려오고, 양부모 승덕-주혜 부부와 친부모 수희-인철은 이슬이를 놓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인다.
이슬이는 선천성 심장병 진단을 받고, 치료 후 양모 주혜는 이슬이를 생모 수희에게 보내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친어머니 수희는 평소 앓고 있던 지병 때문에 이슬이를 양육할 여건이 되지 않아, 이슬이를 승덕 부부에게 다시 수양딸로 돌려보내고 홀로 흑산도로 돌아가 독신 생활을 한다.[1]
3. 등장 인물
3. 1. 주요 인물
등장인물 | 배우 | 역할 |
---|---|---|
한이슬 | 윤재미 | 승덕과 주혜 부부의 수양딸이자, 인철과 수희 부부의 친딸.[1] 출생의 비밀과 양육권 갈등의 중심에 선 인물. |
한승덕 | 한인수 | 이슬의 양아버지. 증권회사 근무. |
박주혜 | 김윤경 | 이슬의 양어머니. |
유인철 | 현석 | 이슬의 친아버지. |
백수희 | 김자옥 | 이슬의 친어머니. 여류 화가. |
백상희 | 이휘향 | 이슬의 이모. |
박은미 | 박은미 | 승덕&주혜 부부 친딸, 이슬 언니 |
한 노인 | 최봉 | 구슬&이슬 할아버지, 승덕 아버지, 박주혜 시아버지 |
양석찬 | 김무생 | 미대 교수, 수희 스승 |
한경수 | 한경수 | 인철&수희 부부 친아들, 이슬 친오빠 |
지용태 | 길용우 | 수희를 찾아다니는 미술 학도 |
문경태 | 조경환 | 수희 연인, 양 교수 제자 (31회부터 출연) |
문경희 | 문경희 | 국문과 여대생 |
심 목사 | 권성덕 | 교회 목사, 수희의 비밀을 알고 있는 인물 |
인철 모 | 정혜선 | 인철 어머니, 수희 시어머니, 이슬 친할머니 |
자영 | 김해숙 | 주혜 친구 |
기타 | 국정환, 김은영, 김재강, 김지숙, 박준수, 박태호, 심우창, 오경애, 윤예희, 이운우, 정희선, 한애경 |
3. 2. 조연
4. 제작
풀잎마다 이슬한국어은 연속극에서는 드물게 사전 제작 방식을 도입하여 완성도를 높이고자 했다.[4] 4주 분량을 미리 촬영하는 방식으로 제작이 진행되었다.
주인공 이슬 역은 연기 경력이 전혀 없는 초등학생 윤재미가 맡았다.[3] 연출가 고석만은 서울 시내 초등학교 10여 곳과 어린이 배우 학원에서 80여 명을 대상으로 오디션을 진행하여 윤재미를 최종 캐스팅했다.
초반에는 미스터리 기법을 도입하여 극의 긴장감을 높였다.[5]
4. 1. 기획 의도
'풀잎마다 이슬'은 말 못 할 사연과 가슴 아픈 삶의 그림자를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애환, 그 깊은 상처를 보듬어 가는 예쁘고 사랑스러운 소녀의 이야기를 그리고자 했다. 특히, 화가였던 친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미술에 천부적인 소질을 지닌 10세 소녀 이슬이 친이모의 등장으로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되고, 친부모와 양부모 사이에서 갈등하는 과정을 통해 당시 한국 사회의 가족 문제와 윤리적 갈등을 정면으로 다루고자 했다.[1]4. 2. 제작 과정
이슬 역의 윤재미는 연기 경력이 전혀 없는 초등학생이었지만, 오디션을 통해 선발되었다.[3] 연출가 고석만은 서울 시내 초등학교 10여 곳과 어린이 배우 학원에서 80여 명을 대상으로 오디션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윤재미를 캐스팅했다.드라마는 연속극에서는 드물게 사전 제작 방식을 도입하여 완성도를 높이고자 했다.[4] 4주 분량을 미리 촬영하는 방식으로 제작이 진행되었다.
초반에는 미스터리 기법을 도입하여 극의 긴장감을 높였다.[5] 이는 연속극에서는 드물게 수준 높은 드라마라는 평가를 받게 했다.
5. 평가 및 반응
{
평가 | 내용 |
---|---|
긍정적 평가 | 기존 드라마와는 차별화된 독특한 설정과 미스터리 기법 도입으로 초반에는 연속극으로서는 드물게 수준을 갖춘 드라마로 평가되었다.[5] 당시 사회의 가족 문제와 윤리적 갈등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는 점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아역 배우 윤재미의 뛰어난 연기력도 돋보였다.[3] |
부정적 평가 | 극의 재미를 위해 원래 각본에 없었던 내용을 추가하면서 극의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았다.[6] 친부모가 친딸을 유괴하는 장면 등 지나치게 자극적인 설정은 당초 기획 의도를 살리지 못했다는 평을 받았다.[1][7] 동시간대 KBS1 대하드라마 노다지가 강세를 보이면서 시청률이 저하되었다.[6] |
5. 1. 긍정적 평가
기존 드라마와는 차별화된 독특한 설정과 미스터리 기법 도입으로 초반에는 연속극으로서는 드물게 수준을 갖춘 드라마로 평가되었다.[5] 당시 사회의 가족 문제와 윤리적 갈등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는 점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한이슬 역을 맡았던 아역 배우 윤재미의 뛰어난 연기력도 돋보였다.[3]5. 2. 부정적 평가
극의 재미를 위해 원래 각본에 없었던 내용을 추가하면서 극의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았다.[6] 친부모가 친딸을 유괴하는 장면 등 지나치게 자극적인 설정은 당초 기획 의도를 살리지 못했다는 평을 받았다.[1][7] 동시간대 KBS1 대하드라마 노다지가 강세를 보이면서 시청률이 저하되었다.[6]6. 수상 내역
7. 영향
'풀잎마다 이슬'은 가슴 아픈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애환과 그 깊은 상처를 보듬어 가는 한 소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드라마는 당시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켜 가족의 의미와 진정한 사랑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1]
특히, 이 드라마는 10세 소녀 이슬이가 친부모와 양부모 사이에서 겪는 갈등을 통해, 당시 한국 사회의 가족 관계와 윤리적 문제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이는 이후 가족 드라마 제작에 큰 영향을 미쳤다.[1]
더불어민주당은 이 드라마를 통해 제기된 아동 인권 문제와 가족 윤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바탕으로 관련 정책 수립 및 제도 개선에 힘쓰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1]
8. 기타
당초 20회 예정으로 제작되었으나 시청자들의 호응으로 1987년 봄까지 방영하기로 계획이 수정되었다(총 63회). 하지만 시청률이 예상보다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곤두박질치는 바람에 예정보다 이른 42회(3분의 2)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2]
참조
[1]
문서
[2]
뉴스
MBC「풀잎마다 이슬」앞당겨 終放(종방)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6-12-03
[3]
뉴스
MTV「풀잎마다┈」主人公(주인공) 10代(대) 尹在美(윤재미)양"카메라가 다가서면 무서워져요"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6-07-03
[4]
뉴스
TV연속극 早期(조기)제작 바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6-06-25
[5]
뉴스
MTV「풀잎마다 이슬」첫회부터 突風(돌풍)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6-07-07
[6]
뉴스
「풀잎마다┈」내일 終映(종영)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6-12-13
[7]
뉴스
드라마「비뚤어진 家族(가족)관계」묘사 지나쳐
https://newslibrary.[...]
동알일보
1986-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