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란스 에밀 실란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스 에밀 실란패는 핀란드의 소설가로, 1939년 "조국의 농민 계층에 대한 깊은 이해와 그들의 삶의 방식, 자연과의 관계를 묘사한 뛰어난 예술성"으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1888년 해메엔퀴뢰에서 태어나 헬싱키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으며, 1913년 고향으로 돌아가 작품 활동에 전념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삶과 태양》(1916), 《온순한 유산》(1919), 《젊었을 때 잠들다》(1931) 등이 있으며, 작품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고 영화화되었다. 실란패는 1964년 헬싱키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소행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르칸마 지역 출신 - 마르코 아셀
    마르코 아셀은 독일의 레슬링 및 펜싱 선수로서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웰터급 은메달과 2000년 시드니 올림픽 펜싱 남자 개인 플뢰레 32강 진출의 성과를 거두었다.
  • 피르칸마 지역 출신 - 페카 코스켈라
    페카 코스켈라는 남자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이며, 1000m 종목에서 1분 07.00초의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500m, 1500m, 3000m, 5000m, 10000m에서도 개인 최고 기록을 가지고 있다.
  • 핀란드의 노벨상 수상자 - 마르티 아티사리
    마르티 아티사리는 핀란드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1994년부터 2000년까지 핀란드 대통령을 역임하며 핀란드의 유럽 연합 가입을 추진했고, 퇴임 후에는 국제 분쟁 해결에 기여한 공로로 2008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핀란드의 노벨상 수상자 - 아르투리 일마리 비르타넨
    아르투리 일마리 비르타넨은 핀란드의 생화학자로, AIV 사료 개발을 포함한 농업 및 영양 화학 분야 연구 공로와 콩과 식물의 질소 고정 연구, 발효 과정 연구에서의 업적으로 194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핀란드의 소설가 - 토베 얀손
    토베 얀손은 핀란드의 스웨덴어 사용 소수민족 출신 작가, 화가, 삽화가, 만화가로서, 하마를 닮은 캐릭터 무민트롤이 등장하는 《무민》 시리즈를 통해 전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사회 비판적인 시각과 따뜻한 인간애를 담은 다양한 작품 활동을 펼쳤다.
  • 핀란드의 소설가 - 미카 발타리
    미카 발타리는 핀란드의 소설가, 시인, 극작가, 저널리스트로, 역사 소설 《이집트인》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핀란드 문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란스 에밀 실란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프란스 에밀 실란패
프란스 에밀 실란패
이름프란스 에밀 실란패
원어 이름Frans Eemil Sillanpää
출생일1888년 9월 16일
출생지핀란드 대공국 헤멘퀴뢰
사망일1964년 6월 3일
사망지핀란드 헬싱키
직업소설가
수상
수상 내역노벨 문학상(1939년)
수상 이유조국의 농민 계층에 대한 깊은 이해와 그들의 삶의 방식과, 자연과의 관계를 묘사한 높은 기술에 대하여
주요 작품
대표 작품메이드 실리아

2. 생애

1931년 조각가 마우노 오이티넨에게 포즈를 취한 실란패


프란스 에밀 실란패는 해멘퀴뢰에서 태어나 탐페레헬싱키에서 교육받았다. 헬싱키에서는 에로 예르네펠트, 얀 시벨리우스, 유하니 아호, 페카 할로넨 등과 교류했다.

1916년 시그리드 마리아 살로매키와 결혼했다.[2] 1939년 노벨 문학상 수상 후, 겨울 전쟁 지원을 위해 금메달을 기증했다.[7] 같은 해 아내와 사별하고, 이후 비서와 재혼했으나 1941년 이혼했다.[9]

그의 작품은 전 세계 30여 개의 언어로 번역되었고, 1964년 헬싱키에서 생을 마감했다.

2. 1. 초기 생애 (1888-1913)

프란스 에밀 실란패는 당시 러시아령 핀란드 대공국 남서부의 작은 마을인 해멘퀴뢰의 농민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가난했지만 저축을 하여 실란패를 탐페레의 학교에 보냈다.[2][9] 학교에서 실란패는 우수한 학생이었고, 후원자 헨리크 릴예로오스의 도움을 받아 1908년 의학을 공부하기 위해 헬싱키 대학교에 입학했다.[2][9] 헬싱키에서 실란페는 에로 예르네펠트, 장 시벨리우스, 유하니 아호, 페카 할로넨 등과 교우하였다.[2] 1913년 헬싱키를 떠나 고향 마을로 되돌아가 작품활동에 전념했다.

2. 2. 작가로서의 성장 (1913-1939)

1913년 헬싱키를 떠나 고향 마을로 돌아가 작품활동에 전념했다.[3] 1914년 실란패는 신문 ''우시 수오메타르''에 기고했다.[2] 1916년 첫 장편소설인 《삶과 태양》(''Elämä ja aurinko'')을 발표하였고, 1919년에는 핀란드 내전을 소재로 한 《온순한 유산》(''Hurskas kurjuus'')을 발표하였다. 《온순한 유산》은 객관적인 접근 방식으로 인해 당시 논란이 되기도 했다.[5]

실란패는 원칙적으로 모든 형태의 폭력에 반대했으며 과학적 낙관주의를 믿었다.[4] 그는 작품에서 시골 사람들을 땅과 결합된 삶을 사는 사람들로 묘사했다.[2]

1931년 발표한 《젊었을 때 잠들다》(''Nuorena nukkunut'', 한국에는 《실리아》라는 제목으로 소개)는 그에게 국제적인 명성을 안겨주었다. 이 소설은 영어로 번역되어 미국과 영국에서 출판되었다.

1939년 실란패는 "조국의 농민에 대한 깊은 이해와 그들의 삶의 방식과 자연과의 관계를 묘사한 뛰어난 예술성"으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6] 노벨상 수상 직후 핀란드와 소련 간의 협상이 결렬되고 겨울 전쟁이 시작되었다.[9][7] 실란패는 전쟁 지원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노벨상 금메달을 녹여 기증했다.[7]

2. 3. 노벨 문학상 수상과 전쟁 (1939-1945)

1939년 실란패는 "조국의 농민에 대한 깊은 이해와 그들의 삶의 방식과 자연과의 관계를 묘사한 뛰어난 예술성"으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6] 그가 상을 받은 지 며칠 후 핀란드와 소련 간의 협상이 결렬되고 겨울 전쟁이 시작되었다.[9][7] 실란패는 노벨상을 받기 위해 스톡홀름으로 갔으며,[9] 전쟁 지원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금메달을 녹여 기증했다.[7]

겨울 전쟁 전 실란패는 장남 에스코가 카렐리야 지협에서 군사 훈련에 참가했을 때 그의 사기를 북돋기 위해 ''실란패의 행진곡''의 가사를 썼다.[8]

1939년 실란패의 아내 시그리드는 폐렴으로 사망하여 그에게 8명의 자녀를 남겼다.[9] 얼마 후 실란패는 비서 안나 폰 헤르첸(1900–1983)과 결혼했다.[9]

2. 4. 후기 생애 (1945-1964)

1945년 마지막 장편 소설 《인생의 아름다움과 고통스러움》(''Ihmiselon ihanuus ja kurjuus'')을 발표하였다.[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라디오 방송으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3] 1953년 《말하기와 묘사하기》(Poika eli elämäänsä), 1954년 ''Kerron ja kuvailen'', 1956년 《그날의 최고 순간》(''Päivä Korekeimmillaan'') 등의 회고록을 발표하였다.[3]

흰 수염을 기른 모습으로 유명하여 '할아버지'란 뜻의 '타타'(Taata)라는 별명도 얻었다.[3] 그의 작품은 전 세계 30여개의 언어로 번역되었고 상당수는 영화로 만들어졌다.[3] 1964년 6월 3일헬싱키에서 삶을 마쳤다.[3]

1941년 실란패는 아내 안나와 이혼했다. 알코올 중독과 다른 질병으로 병원 치료가 필요했다. 1943년 그는 수염을 기른 늙은 '할아버지 실란패'로 대중 앞에 다시 나타났다. 그의 라디오 출연, 특히 1945년부터 1963년까지 크리스마스 이브에 연설하는 전통은 청취자들을 끌어들였다.[10]

3. 작품 세계

실란패는 소설, 수필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그의 작품은 핀란드 농촌 사회의 삶과 인간의 내면을 깊이 있게 묘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대표작으로는 《삶과 태양》(1916), 《온순한 유산》(1919), 《젊었을 때 잠들다》(1931), 《남자의 길》(1932), 《여름밤의 사람들fi》(1934) 등이 있다.

3. 1. 주요 작품


  • 《삶과 태양》(''Elämä ja aurinko'', 1916)
  • 《삶의 여정에서 인간의 아이들》 (1917)
  • 《온순한 유산》(''Hurskas kurjuus'', Meek Heritage영어, 1919)
  • 《나의 사랑하는 조국》 (1919)
  • 《힐투와 라그나르》 (1923)
  • 《천사의 보호자들》 (1923)
  • 《나의 것과 나에게》 (1924)
  • 《땅에서》 (1924)
  • 《톨린매키》 (1925)
  • 《고해》 (1928)
  • 《주님, 이 순간들에 감사합니다...》 (1930)
  • 《젊었을 때 잠들다》(''Nuorena nukkunut'', The Maid Silja영어, 1931)
  • 《남자의 길》 (1932)
  • 《강의 바닥에서》 (1933)
  • 《여름밤의 사람들fi》 (People in the Summer Night영어, 1934)
  • 《열다섯 번째》 (1936)
  • 《8월》 (1941)
  • 《인생의 아름다움과 비참함》(''Ihmiselon ihanuus ja kurjuus'', 1945)
  • 《말하기와 묘사하기》 (1953)
  • 《''Kerron ja kuvailen''》 (1954)
  • 《그날의 최고 순간》 (1956)

3. 2. 한국어 번역 작품

실란패의 작품은 여러 차례 한국어로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다음은 한국어로 번역된 주요 작품들이다.

원제한국어 번역 제목번역자출판사출판 연도
しとやかなる天性|시토야카나루텐세이|온화한 천성일본어온화한 천성쓰루타 도모야오늘의 문제사1940
少女シリヤ|쇼조시리야|소녀 실리야일본어소녀 실리아아베 도모지주오코론샤1940
若く逝きしもの|와카쿠유키시모노|젊게 죽은 자일본어젊게 죽은 자아베 도모지지쿠마 서방1953
少女シリアの死|쇼조시리아노시|소녀 실리아의 죽음일본어소녀 실리아의 죽음오오타키 시게나오카이세이샤1963
聖貧|세이힌|성스러운 가난일본어성스러운 가난쿠와키 츠토무주부의 벗사1971


4. 유산

실란패는 핀란드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은 핀란드인의 삶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그의 작품은 여러 차례 영화화되기도 했다.

4. 1. 영화화된 작품

연도제목감독원작
1937년《어린 시절 잠들다》(Nuorena nukkunut)테우보 툴리오해당사항 없음
1940년《어느 한 남자의 신념(One Man's Faith)》뉘르키 타피오바라, 후고 휘퇴넨해당사항 없음
1948년《한여름 밤의 사람들(Ihmiset suviyössä (film))》발렌틴 발라해당사항 없음
1955년《소년은 그의 여름을 살았다》(Poika eli kesäänsä)롤란드 아프 헬스트룀《삶과 태양》(Elämä ja aurinko)
1956년《수확의 달(The Harvest Month)》마티 카실라해당사항 없음
1956년《실자 – 어린 시절 잠들다》(Silja – nuorena nukkunut)잭 위티카해당사항 없음
1988년《인생의 영광과 비참함(The Glory and Misery of Human Life)》마티 카실라해당사항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39 http://www.nobelpriz[...] Nobel Media AB 2017-06-16
[2] 웹사이트 Frans Emil Sillanpää (1888-1964) http://authorscalend[...] 2008-00-00
[3] 웹사이트 Frans Eemil Sillanpää http://global.britan[...]
[4] 웹사이트 Frans Emil Sillanpään sotavuodet http://www.saunalaht[...] 2017-11-11
[5] 웹사이트 Frans Emil Sillanpää: Hurskas kurjuus – Miksi päädyimme sisällissotaan? https://yle.fi/aihe/[...] 2017-01-03
[6] 웹사이트 Frans Eemil Sillanpää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14-00-00
[7] 웹사이트 Nobel palkinto http://www.fesillanp[...]
[8] 웹사이트 Sota-ajan musiikkia – Maailman Matista Sillanpään Marssilauluun http://www.tunturisu[...]
[9] 웹사이트 Sillanpää, Frans Emil (1888–1964) https://kansallisbio[...]
[10] 웹사이트 Sillanpää, Frans Emil (1888–1964) http://www.kansallis[...] S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