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로데 에스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데 에스틸은 노르웨이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이다. 그는 월드컵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고, 세계 선수권 대회와 동계 올림픽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했다. 200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2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도 은메달을 추가했다. 에스틸은 또한 2007년 홀멘콜렌 메달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트뢰넬라그주 출신 - 페테르 노르투그
    페테르 노르투그는 노르웨이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3개의 금메달을 포함한 16개의 메달을 획득하고 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 4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 활약했지만, 개인적인 문제로 선수 생활에 어려움을 겪었다.
  • 2006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참가 선수 - 유스티나 코발치크
    유스티나 코발치크는 폴란드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로,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으며, 크로스컨트리 스키 월드컵에서 4번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 2006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참가 선수 - 마리트 비에르겐
    마리트 비에르겐은 노르웨이의 은퇴한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로, 동계 올림픽 최다 메달 기록 보유자이자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18개 획득, 크로스컨트리 월드컵 114회 우승 등 역사상 가장 뛰어난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노르웨이의 남자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 - 김마그너스
    김마그너스는 한국인 어머니와 노르웨이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 후 2016 동계 청소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 크로스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냈으나, 이후 노르웨이로 국적을 변경하고 현재는 미국 콜로라도 대학교에서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고 있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이다.
  • 노르웨이의 남자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 - 올라프 호프스바켄
    올라프 호프스바켄은 노르웨이 크로스컨트리 스키 및 노르딕 복합 선수로, 1936년 동계 올림픽 노르딕 복합 및 4x10km 릴레이 은메달, 1938년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노르딕 복합 금메달, 홀멘콜렌 대회 노르딕 복합 2회 우승 및 홀멘콜렌 메달 수상 경력이 있다.
프로데 에스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7년 프로데 에스틸
2007년 오테패 월드컵 당시의 에스틸
본명프로데 에스틸
출생일1972년 5월 31일
출생지노르웨이 리에르네
국적노르웨이
신장188cm
클럽리에르네 IL
개인 최고 기록알 수 없음
시즌13 시즌 (1995–2007)
개인전 우승4회
단체전 우승9회
개인전 포디움20회
단체전 포디움16회
개인전 시작 횟수119회
단체전 시작 횟수29회
월드컵 종합 순위5위 (2002)
월드컵 타이틀0회
올림픽 메달
2002 솔트레이크시티금메달, 크로스컨트리 스키 남자 20km 복합
금메달, 크로스컨트리 스키 남자 4×10km 계주
은메달, 크로스컨트리 스키 남자 15km 클래식
2006 토리노은메달, 크로스컨트리 스키 남자 30km 추적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2001 라흐티금메달, 4×10km 계주
은메달, 30km 클래식
2003 발디피엠메금메달, 4×10km 계주
동메달, 15km 클래식
동메달, 30km 클래식
2005 오버슈트도르프금메달, 50km 클래식
금메달, 4×10km 계주
동메달, 15km+15km 추적
2007 삿포로은메달, 크로스컨트리 스키 50km 클래식

2. 월드컵

에스틸은 1999년 다보스에서 열린 30km 경기에서 첫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1] 1995/96 시즌부터 월드컵에 출전했으며, 시즌 최고 성적은 2001/02 시즌으로 최종 5위를 기록했다.

에스틸은 월드컵에서 총 18번 포디움에 올랐다. 그 중 1위는 4번, 2위는 6번, 3위는 8번이다. 그의 우승은 1999/00, 2002/03, 그리고 2003/04 시즌에 2번 나왔다. 한 시즌에 가장 많은 포디움 진입은 2002/03 시즌으로, 4번(1위 1번, 2위 2번, 3위 1번)을 기록했다. 그의 모든 우승은 클래식 스타일에서 나왔으며, 한 번의 더블 추격을 제외하고는 모두 그러했다.

15km는 포디움 진입 횟수 측면에서 그의 가장 성공적인 종목이다. 그는 이 종목에서 한 번의 우승, 세 번의 2위, 세 번의 3위를 기록했다. 우승 횟수 측면에서 그의 가장 성공적인 종목은 30km로, 3번의 우승을 차지했다(2위 1번, 3위 1번).

다음은 프로데 에스틸의 월드컵 개인전 및 단체전 성적을 정리한 표이다.

 시즌  나이 세부 종목 순위스키 투어 순위
종합장거리장거리중거리스프린트투르 드
스키
199522
19962342
1997246348
19982512918
199926191618
2000271262032
2001288
200229539
200330658
2004316
2005322514
20063394
20073410511



No.시즌날짜장소경기레벨다보스, 스위스30 km 개인 C월드컵1위
41999-002000년 3월 17일 보르미오, 이탈리아10 km 개인 C월드컵3위
52000-012001년 3월 10일 홀멘콜렌, 노르웨이50 km 개인 C월드컵3위
62000-012001년 3월 17일 팔룬, 스웨덴15 km 개인 C월드컵2위
72001-022001년 11월 24일 쿠오피오, 핀란드15 km 개인 C월드컵3위
82001-022001년 12월 8일 코네, 이탈리아10 km 개인 C월드컵3위
92001-022002년 3월 13일

No.시즌날짜장소경기레벨팀원
11995–961996년 3월 17일 오슬로, 노르웨이4 × 5 km 계주 F월드컵1위비온비켄 / 안데르센 / 헤트란드
21997–981997년 11월 23일 베이토스토렌, 노르웨이4 × 10 km 계주 C월드컵3위시베르트센 / 아우클란 / 스카네스
31997–981998년 3월 6일 라티, 핀란드4 × 10 km 계주 C/F월드컵2위시베르트센 / 에이데 / 알스고르
41998–991999년 3월 21일 오슬로, 노르웨이4 × 10 km 계주 C월드컵1위비에르비그 / 아우클란 / 옐메세트
51999–001999년 12월 8일 아시아고, 이탈리아팀 스프린트 F월드컵2위비온비켄
61999–001999년 12월 19일 다보스, 스위스4 × 10 km 계주 C월드컵1위옐메세트 / 예브네 / 비에르비그
72000–012000년 12월 9일 산타 카테리나, 이탈리아4 × 5 km 계주 C/F월드컵1위스키엘달 / 헤트란드 / 알스고르
82001–022001년 12월 16일 다보스, 스위스4 × 10 km 계주 C/F월드컵3위예브네 / 알스고르 / 헤트란드
92001–022002년 3월 10일 팔룬, 스웨덴4 × 10 km 계주 C/F월드컵1위아우클란 / 스키엘달 / 알스고르
102002–032002년 12월 8일 다보스, 스위스4 × 10 km 계주 C/F월드컵3위옐메세트 / 스키엘달 / 비에르비그
112002–032003년 1월 19일 노베 메스토, 체코4 × 10 km 계주 C/F월드컵1위아우클란 / 호프스타 / 알스고르
122003–042003년 11월 23일 베이토스토렌, 노르웨이4 × 10 km 계주 C/F월드컵3위비온비켄 / 안데르센 / 비에른달렌
132003–042003년 12월 14일 다보스, 스위스4 × 10 km 계주 C/F월드컵1위아우클란 / 스키엘달 / 헤트란드
142003–042004년 2월 22일 우메오, 스웨덴4 × 10 km 계주 C/F월드컵2위옐메세트 / 스키엘달 / 호프스타
152004–052004년 12월 12일 발 디 피엠메, 이탈리아4 × 10 km 계주 C/F월드컵1위스바르테달 / 옐메세트 / 호프스타
162006–072007년 3월 25일 팔룬, 스웨덴4 × 10 km 계주 C/F월드컵1위페테르센 / 옐메세트 / 노르투


3. 세계 선수권 대회

2001년 FIS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릴레이에서 에스틸은 첫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같은 대회 30km 경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

발 디 피엠메에서 열린 2003년 FIS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에스틸은 4 × 10km 릴레이 금메달, 15km와 30km 경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오버스트도르프에서 열린 2005년 FIS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에스틸은 50km 레이스와 4 × 10km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50km 레이스에서 그는 2:30:10.1의 기록으로 안데르스 아우클란을 0.7초 차이로 꺾고 우승했으며, 오드비에른 옐메세트가 3위를 차지하여 노르웨이 선수들이 시상대를 휩쓸었다. 에스틸은 초반에는 느리게 시작하여 경기 후반으로 갈수록 선두권으로 치고 나가는 특징을 보였는데, 12.5km 지점에서는 23위, 27.5km 지점에서는 11위였지만, 42.5km 지점에서는 3위로 올라서서 결국 우승을 차지했다. 릴레이 경기에서는 노르웨이(옐메세트, 에스틸, 바이애슬론 선수 라르스 베르거, 토레 루드 호프스타드)가 우승했으며, 독일이 2위, 러시아가 3위를 차지했다. 노르웨이는 독일보다 17.7초 앞섰으며, 에스틸은 노르웨이에서 두 번째로 빠른 랩 타임을 기록했다(베르거 다음으로). 그는 또한 15km + 15km 더블 추적에서 1:19:21.3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우승자 뱅상 비토에 0.8초 뒤졌고, 포토 피니시에서 조르지오 디 첸타에게 은메달을 내줬다.

삿포로에서 열린 2007년 FIS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에스틸은 단 하나의 메달만 획득했다. 그는 50km 경기 결승선에서 동료 노르웨이 선수 오드비에른 옐메세트에게 금메달을 내줬다. 에스틸은 삿포로 선수권 대회를 기준으로 총 9개의 세계 선수권 메달(금메달 4개, 은메달 2개, 동메달 3개)을 획득했다.

4. 올림픽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남자 20km 복합에서 에스틸은 토마스 알스고르와 함께 2위로 동시에 골인했다. 사진 판독으로도 승부를 가릴 수 없어, 올림픽에서는 이례적으로 공동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1위였던 요한 뮬레그의 도핑이 발각되면서 두 선수는 금메달로 승격되었다.[5]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남자 30km 추적 경기에서는 출발 직후 넘어지고 스키판을 다시 신어야 했기 때문에 최하위(77위)까지 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맹렬하게 추격하여 전반 클래식에서 14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후반 프리에서는 스키판이 파손되는 사고를 겪었지만, 에스틸은 계속해서 추격하여 선두와 0.6초 차이로 2위를 기록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에스틸은 이 은메달을 "플래티넘 메달"이라고 불렀다.[8]

4. 1. 올림픽 성적

에스틸은 두 번의 동계 올림픽에 출전했다. 2002년 대회에서 에스틸은 10km + 10km 복합 추적, 4 × 10k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5k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15km + 15km 더블 추적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5][6][8]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 10km + 10km 복합 추적에서 에스틸은 동료 노르웨이 선수 토마스 알스고르와 2위로 동점을 기록했고, 요한 뮬레그가 레이스에서 우승했다. 그러나 뮬레그는 도핑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2004년 2월 IOC에 의해 실격 처리되었고, 이로 인해 에스틸과 알스고르는 공동 금메달리스트로 승격되었다. 알스고르와 에스틸은 49:48.9의 기록을 세웠고, 페르 엘로프손보다 4초 앞섰다.[5]

같은 올림픽에서 그는 또한 15km 클래식 레이스에서 은메달을, 알스고르, 크리스텐 스셸달, 안데르스 오클란드와 함께 4 × 10k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에스틸은 15km 레이스를 37:43.4로 마쳤고, 에스토니아안드루스 베르팔루보다 36초 뒤졌으며, 역시 에스토니아의 야크 매보다 7.4초 앞섰다.[6] 에스틸은 또한 50km 클래식에도 참가했지만, 2:10:44.8의 기록으로 9위를 기록했고, 러시아의 우승자 미하일 이바노프보다 4:22.0 뒤졌다.[7]

2006년 토리노 올림픽에서 에스틸은 레이스 시작 시 넘어지고 스키가 부러져 최하위로 처졌음에도 불구하고 남자 15km + 15km 더블 추적 경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러시아의 예브게니 데멘티예프가 레이스에서 우승했고, 에스틸보다 1.6초 앞섰으며, 에스틸은 1:17:01.8로 레이스를 마쳤고, 3위를 차지한 피에트로 필러 코트레르보다 0.3초 앞섰다.[8] 같은 대회에서 에스틸은 15km 클래식과 50km 프리스타일 매스 스타트에도 참가했지만 각각 17위와 28위를 기록했다.

에스틸의 올림픽 메달은 금메달 2개와 은메달 2개를 포함한다.

연도나이15 km추격30 km50 km스프린트4 × 10 km 계주팀 스프린트
200229은메달금메달9금메달
20063316은메달285


4. 2. 세계 선수권 대회 성적

프로데 에스틸은 국제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차례 메달을 획득했다.

  • 2001년 FIS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릴레이에서 금메달, 30km 경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
  • 2003년 FIS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4 × 10km 릴레이에서 금메달, 15km와 30km 경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5년 FIS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50km 레이스와 4 × 10km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50km 레이스에서는 안데르스 아우클란을 0.7초 차이로 꺾고 우승했다.
  • 2007년 FIS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50km 경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에스틸은 삿포로 선수권 대회를 기준으로 총 9개의 세계 선수권 메달(금메달 4개, 은메달 2개, 동메달 3개)을 획득했다.

연도나이10 km15 km추적30 km50 km스프린트4 × 10 km 계주팀 스프린트
1999268
2001286은메달금메달
200330동메달12동메달29금메달
200532동메달금메달금메달
2007341417은메달


5. 의학적 특징

에스틸은 헤모글로빈 수치가 높아 FIS에서 혈액 증명서를 받았다. 혈액 검사 시 경기에 출전할 수 있는 최대 헤모글로빈 수치는 혈액 100ml당 17.5g이다. 증명서가 없는 선수는 남자가 17g, 여자가 16g으로 제한된다.

6. 유산

에스틸은 3개의 메달을 획득한 후 2002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 및 바이애슬론 경기가 열린 미국 유타주 솔저 할로우에 있는 언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2001년 노르웨이 올해의 스포츠 선수로 선정되었으며,[2] 2007년에는 시몬 암만, 오드비에른 옐메세트, 하랄 5세, 소냐 왕비와 함께 홀멘콜렌 메달을 공동 수상했다.[3]

참조

[1] 웹사이트 FIS World Cup results http://www.fis-ski.c[...]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oberstdor[...] 2006-07-20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oberstdor[...] 2006-07-20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oberstdor[...] 2006-07-20
[5] 웹사이트 2002 Olympic Gold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2002 Olympic Silver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2002 Olympic 9th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2006 Olympic Silver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ESTIL Frode https://www.fis-ski.[...] International Ski Federation 2020-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