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레네조리앙탈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레네조리앙탈주는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데파르트망으로, 1659년 피레네 조약 이전에는 아라곤 왕국과 스페인 왕국의 일부였으며, 역사적으로 카탈루냐어를 사용하고 북 카탈루냐로 불린다. 1790년 프랑스 혁명 초기에 루시용으로 명명되었으며, 이후 피레네조리앙탈주로 변경되었다. 이 지역은 스페인과의 전쟁을 겪었으며, 19세기에는 공화주의적인 성향을 보였다.
피레네조리앙탈주는 피레네 산맥의 세 강 계곡과 루시용 평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중해성 기후를 띤다. 행정 구역은 페르피냥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페르피냥은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이다.
정치적으로는 도의회와 프랑스 국민 의회 의원을 선출하며, 2022년 총선에서 국민연합이 다수의 의석을 확보했다. 경제적으로는 농업이 주를 이루며, 와인 생산으로 유명하다.
주민들은 프랑스어를 주로 사용하며, 카탈루냐어와 옥시탄어도 소수 언어로 사용된다. 문화적으로는 카탈루냐의 영향을 받았으며, 다양한 축제와 전통 무용이 존재한다. 관광 명소로는 바뉘르쉬르메르, 세레, 콜리우르 등이 있으며, 럭비 유니온과 럭비 리그 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레네조리앙탈주 - 피레네 조약
피레네 조약은 1659년 프랑스와 스페인 간에 체결되어 영토 분할과 혼인 동맹을 통해 프랑스의 지위를 강화하고 스페인의 영향력을 감소시켰으며, 프랑스 왕 루이 14세와 스페인 공주 마리아 테레사의 결혼을 성사시켰다. - 피레네조리앙탈주 - 북카탈루냐
북카탈루냐는 프랑스 피레네-오리엔탈 데파르트망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카탈루냐 공국의 일부였던 지역으로, 피레네 산맥, 코르비에르 산괴, 지중해로 둘러싸인 삼각형 형태를 이루고 페르피냥을 중심으로 역사적, 문화적 특징을 지니며 프랑스 내에서 카탈루냐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옥시타니의 주 - 오드주
프랑스 남부의 피레네 산맥 북쪽, 지중해 서쪽에 위치한 오드주는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인구가 증가 추세에 있는 행정 구역이다. - 옥시타니의 주 - 타른주
타른주는 1790년 프랑스 혁명기에 랑그도크 지방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옥시타니 레지옹의 주로, 알비와 카스트르를 중심으로 경사진 지형에 산맥들이 위치하며, 의약품, 화장품 산업, 가야크 와인 생산이 주요 산업이고, 역사적 명소와 아름다운 마을들로 인해 관광지로도 알려져 있으며, 2019년 기준 약 39만 명의 인구가 알비 구와 카스트르 구에 나뉘어 거주한다. - 번역 확장 필요 문서 - 류큐 민족
류큐 민족은 류큐 열도에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가진 민족으로, 조몬인과 유전적으로 유사하고 중국과 일본의 영향을 받았으나 독특한 문화를 유지하며 2차 세계대전 이후 역사적 경험과 현재의 과제를 안고 있다. - 번역 확장 필요 문서 - 앤 (영국)
앤은 1665년에 태어나 1702년부터 1714년까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여왕으로 재위했으며,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통합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관여했고, 양당 정치 발전과 예술, 문화 번영을 이끌었다.
피레네조리앙탈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 | |
프랑스어 | Pyrénées-Orientales (피레네조리앙탈) |
카탈루냐어 | Pirineus Orientals (피리네우스 오리엔탈스) |
오크어 | Pirenèus Orientals (피레네우스 오리엔탈스) |
별칭 | 없음 |
모토 | 없음 |
행정 | |
국가 | 프랑스 |
레지옹 | 옥시타니 |
설치 | 1790년 2월 9일 |
현청 소재지 | 페르피냥 |
하위 현청 소재지 | 세레 프라드 |
도의회 의장 | 에르멜린 말에르브-로랑 |
도의회 의장 소속 정당 | PS |
번호 | 66 |
아롱디스망 | 3개 |
캉통 | 17개 |
코뮌 | 226개 |
지리 | |
면적 | 4116 km² |
면적 주석 | 하구 및 1 km²보다 큰 호수, 연못, 빙하는 제외한 프랑스 토지 등록 데이터 |
인구 통계 | |
총 인구 | 474,369명 |
인구 순위 | 프랑스 주 중 54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하계 시간 (DST) | CEST |
UTC 오프셋 (DST) | +2 |
기타 정보 | |
공식 웹사이트 | 없음 |
2. 역사
현대 피레네조리앙탈주는 1790년 2월 9일 프랑스 혁명 초기에 '루시용'이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졌다. 이 이름은 데파르트망과 거의 일치하는 프랑스 혁명 이전 지방인 루시용에서 따온 것이지만, 이전 랑그도크 남쪽 가장자리에 있던 작은 영토인 페누예드도 포함되었다. 이후 1790년 2월 26일에 '피레네조리앙탈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6]
1793년 4월, 스페인의 침략을 받았으나 루시용 전쟁을 통해 13개월 만에 다시 영토를 되찾았다.
19세기 동안 피레네조리앙탈주는 프랑스에서 가장 공화주의적인 데파르트망 중 하나였다. 1848년 프랑스 제2 공화국 초기에 잠시 사실상 국가 원수를 지낸 공화주의 정치인 프랑수아 아라고는 이 데파르트망 동부의 에스타젤 출신이었다.
2. 1. 카탈루냐와의 관계
1659년 피레네 조약 이전에는 현재 데파르트망의 대부분이 아라곤 왕국의 일부였던 이전 카탈루냐 공국의 일부였으며, 따라서 스페인 왕국의 일부였으므로 역사적으로 대부분이 카탈루냐어를 사용했으며, 여전히 북 카탈루냐라고 불린다.[3]종종 '카탈로뉴 프랑세즈'(Catalogne française, 프랑스령 카탈루냐)라고 불렸으나, 최근에는 '카탈로뉴 노르'(Catalogne Nord, 북 카탈루냐)라고 불리고 있다. 카탈로뉴 노르라는 명칭은 카탈루냐 애국자 집단인 노스트라 테라(Nostra Terra, 우리 조국)가 카탈루냐주와의 정치적, 문화적, 언어적 결속을 되찾고자 1930년대에 고안한 명칭이다.
이에 따라, 2007년 12월 10일 피레네-오리앙탈 현 의회 정기 회기에서 카탈루냐 헌장(''Charte en Faveur du Catalan'')이 승인되었다. 헌장의 서문에는 "천 년도 더 전에 시작된 카탈루냐어는 우리 카탈루냐인의 정체성, 유산, 그리고 피레네-오리앙탈 현(북 카탈루냐)의 풍요로움을 지탱하는 것 중 하나이다"라고 언급되어 있다.[14] 서문은 카탈루냐어로 작성되었으며, 카탈로뉴 노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2. 2. 프랑스 혁명과 피레네조리앙탈주
1659년 피레네 조약 이전에는 현재 데파르트망의 대부분이 아라곤 왕국의 일부였던 이전 카탈루냐 공국의 일부였으며, 따라서 스페인 왕국의 일부였기에 역사적으로 대부분이 카탈루냐어를 사용했으며, 여전히 북 카탈루냐라고 불린다.[3]현대 데파르트망은 1790년 2월 9일 프랑스 혁명 초기에 ''루시용''이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졌는데, 이는 데파르트망과 거의 정확히 일치하는 프랑스 혁명 이전 지방인 루시용의 이름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데파르트망에는 이전에 랑그도크의 남쪽 가장자리에 있었던 작은 영토인 페누예드도 포함된다. 따라서 이름은 1790년 2월 26일에 ''피레네조리앙탈주''로 변경되었다.[6]
1793년 4월에 스페인에 침략당한 이 지역은 루시용 전쟁 중 13개월 후에 다시 탈환되었다.
19세기 동안 피레네조리앙탈주는 프랑스에서 가장 일관되게 공화주의적인 데파르트망 중 하나였다. 1848년 프랑스 제2 공화국 초기에 잠시 사실상 국가 원수였던 지적이고 공화주의적인 정치인 프랑수아 아라고는 데파르트망 동부의 에스타젤 출신이었다.
2. 3. 19세기와 공화주의
19세기 동안 피레네조리앙탈주는 프랑스에서 가장 일관되게 공화주의적인 데파르트망 중 하나였다. 1848년 프랑스 제2 공화국 초기에 잠시 사실상 국가 원수였던 지적이고 공화주의적인 정치인 프랑수아 아라고는 이 데파르트망 동부의 에스타젤 출신이었다.3. 지리
피레네조리앙탈주의 면적은 4115km2이다. 이 지역은 피레네 산맥의 세 개의 강 계곡, 즉 북쪽에서 남쪽으로 아글리강, 테트강 및 테크강과 이들이 합류하는 루시용 평원으로 구성된다. 인구와 농업 생산량의 대부분은 평원에 집중되어 있으며, 면적의 30%만을 차지한다. 마테말 호수에는 하나의 저수지가 있고, 카스텔리아 호수도 있다.
이 지역은 프랑스에서 알프마리팀주, 피레네자틀랑티크주, 오드주, 코르시카와 함께 주민과 관광객이 산과 바다를 모두 즐길 수 있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
상부 테트 계곡은 전체 인구의 1/10을 조금 넘는 지역으로, 지역의 서쪽 3분의 1을 차지한다. 남동쪽의 테크 계곡과 베르메유 해안에는 약 10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북동쪽의 아글리 분지는 인접한 오드 지역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리비아는 스페인 카탈루냐 지로나 지방에 속하는 도시로, 프랑스 영토에 둘러싸인 스페인의 월경지이다.
4. 행정 구역
2019년 기준으로 피레네조리앙탈주에는 인구 10,000명 이상인 코뮌이 7곳 있으며, 피아, 엘네, 리브잘트, 튀이르, 세레, 르솔레르, 봄파, 툴루주, 카노에스, 프라드를 포함하여 6,000~10,000명 사이인 코뮌이 여러 곳 있다.[5]
4. 1. 주요 도시
피레네조리앙탈주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코뮌은 현청 소재지인 페르피냥으로, 주 전체 인구의 약 4분의 1이 거주한다. 2019년 기준으로 인구 10,000명 이상인 코뮌은 다음 7곳이다.[5]코뮌 | 인구 (2019) |
---|---|
페르피냥 | 119,344 |
카네앙루시용 | 12,284 |
생테스테브 | 11,719 |
생시프리앙 | 11,040 |
카베스타니 | 10,301 |
아르젤레스쉬르메르 | 10,260 |
생로랑드라살랑크 | 10,071 |
그 다음으로는 피아, 엘네, 리브잘트, 튀이르, 세레, 르솔레르, 봄파, 툴루주, 카노에스, 프라드 순으로 인구가 많으며, 각 코뮌의 인구는 6,000~10,000명이다.[5]
5. 정치
피레네조리앙탈주는 프랑스의 데파르트망으로, 옥시타니 지역에 속해 있다. 지방 정부는 페르피냥에 있는 피레네조리앙탈주 의회가 담당하며, 유럽 연합과의 협력을 통해 카탈루냐 자치 정부, 안도라와 함께 유로구를 형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5. 1. 피레네조리앙탈주 의회
피레네조리앙탈주는 페르피냥에 있는 피레네조리앙탈주 의회에 의해 관리된다. 피레네조리앙탈주는 옥시타니 지역의 일부이다. 피레네조리앙탈주 의회는 카탈루냐 자치 정부 및 안도라와 함께 유로구를 만들기 위해 유럽 연합과 점점 더 많이 관여하고 있다.피레네조리앙탈주 도의회는 34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5년 도의회 선거에서 사회당(PS)은 17석, 공화국(LR)은 12석, 프랑스 공산당(PCF)은 5석을 얻었다. 에르멜린 말레르브-로랑은 2010년부터 도의회 의장을 맡고 있다.
5. 2. 프랑스 국민 의회 의원
선거구 | 의원 [10] | 정당 | |
---|---|---|---|
피레네조리앙탈 제1선거구 | 소피 블랑 | 국민연합 | |
피레네조리앙탈 제2선거구 | 아나이스 사바티니 | 국민연합 | |
피레네조리앙탈 제3선거구 | 상드린 도고르-쉬크 | 국민연합 | |
피레네조리앙탈 제4선거구 | 미셸 마르티네즈 | 국민연합 |
6. 경제
피레네조리앙탈주는 와인 생산 지역이자 관광지이다.[1] 피레네조리앙탈주의 경제는 전통적으로 농업이 주를 이루며, 복숭아, 살구, 벚나무 등 과수원을 포함한 수목 재배, 채소 재배(샐러드용 채소와 아티초크가 유명), 포도 재배가 활발하다.[1] 와인 분야에서는 바뉘르스, 모리(Maury), 리브자르트, 뮈스카 드 리브자르트의 4개 지역에서 VDN 와인(vins doux naturels, 감미로운 와인)을 주로 생산한다.[1] 카니구 산과 포도밭이 어우러진 풍경은 카탈루냐의 상징으로 여겨진다.[1]
7. 인구
페르피냥시(122,000명)는 피레네조리앙탈주 인구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며, 교외 지역까지 포함하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유일하게 중요한 도시이다. 카네-앙-루시용, 생테테브, 생시프리앙, 아르젤레스쉬르메르, 카베스탕, 생로랑드라살랑크 등의 도시만이 10,000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그 외 중요한 도시로는 리브잘트, 봉파, 피아, 튀이르, 세레, 엘느, 르솔레, 프라드, 툴루주가 있으며, 각 도시는 6,500명에서 10,000명 사이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2020년 인구 289,110명의 페르피냥구는 이 지역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구이며, 세레구와 프라드구는 각각 133,405명과 60,250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60세 이상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은데(프랑스 전체 인구의 21.3%에 비해 29%), 이는 출생률보다 사망률을 높이는 결과를 낳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쾌적한 기후로 인해 은퇴자들을 끌어들이고 있으며, 이는 인구 증가와 고령화에 기여하는 뚜렷한 인구 이동의 균형으로 인해 수십 년 동안 꾸준히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1801년 | 1831년 | 1841년 | 1851년 | 1856년 | 1861년 | 1866년 |
---|---|---|---|---|---|---|
110,732 | 157,372 | 173,592 | 181,955 | 183,056 | 181,763 | 189,490 |
1872년 | 1876년 | 1881년 | 1886년 | 1891년 | 1896년 | 1901년 |
191,856 | 197,940 | 208,855 | 211,187 | 210,125 | 208,348 | 212,121 |
1906년 | 1911년 | 1921년 | 1926년 | 1931년 | 1936년 | 1946년 |
213,171 | 212,986 | 217,503 | 229,979 | 238,647 | 233,347 | 228,776 |
1954년 | 1962년 | 1968년 | 1975년 | 1982년 | 1990년 | 1999년 |
230,285 | 251,231 | 281,976 | 299,506 | 334,557 | 363,796 | 392,803 |
2006년 | 2007년 | 2011년 | ||||
432,116 | 437,159 | 457,000 |
참고: SPLAF[15], 2006년 이후 INSEE[16], 2007년 이후 INSEE[17]
7. 1. 언어
프랑스어는 이 지역 주민 거의 대다수가 사용하는 언어이다. 이 지역의 소수 언어로는 카탈루냐어와 옥시탄어가 있으며, 이 두 언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약 34%로 추산되고, 21%는 이 언어들을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2007년 12월 10일, 피레네조리앙탈주 일반 의회는 카탈루냐어를 이 지역의 지역 언어로 인정했지만, 프랑스 헌법에 따르면 프랑스의 유일한 공식 언어는 여전히 프랑스어이다.[9]
이 지역은 전통적으로 코마르카로 나뉘는데, 프랑스 세르다뉴, 카프시르, 콩플랑, 루시용, 발레스피르 5곳은 역사적으로 카탈루냐어를 사용하고, 페누이에드 1곳은 역사적으로 옥시탄어를 사용한다.
오크어가 사용되는 주 북부의 푸이예드 지방을 제외하면, 주 전체에서 카탈루냐어가 사용된다.
프랑스는 프랑스어를 유일한 국어로 정하고, 국민들에게 카탈루냐어를 비롯한 프랑스어 이외의 언어 사용을 금지해 왔다. 20세기에는 많은 부모들이 프랑스어만 사용하는 자녀에게 카탈루냐어를 사용하도록 권장했다. 그러나 카탈루냐어 교육은 항상 널리 퍼지지는 않았다. 당시에는 프랑스 식민 제국 전역이 번성하던 시대였고, 조상의 언어를 배우는 것이 국어인 프랑스어 습득을 방해할 것이라고 우려했기 때문이다.
프랑스 전역에서 프랑스어 이외의 언어는 감소하고 소멸해 갔지만, 카탈루냐어는 다른 많은 지방 언어에 비해 끈질기게 남아 있었다. 집회가 주 내에서 많이 열리고, 카탈루냐의 전통 무용, 특히 사르다나(사르다나)가 매우 사랑받아 왔다. 매년 프라드에서는 여름 카탈루냐 대학(l'Universitat Catalana d'Estiu)이 개교한다.
당국의 큰 지원 없이도 카탈루냐어는 초등 교육에서 대학에 이르기까지 프랑스어와 마찬가지로 가르쳐져 왔다. 그러나 20세기 동안 카탈루냐어는 쇠퇴를 거듭했다(지역의 다른 언어들도 마찬가지였다).
8. 문화
피레네조리앙탈주의 요리는 이 지역의 역사적인 카탈루냐의 영향을 받아, 빠에야,[12] 카라골스 아 라 야우나, 칼솟과 같은 요리들이 특히 다양한 성인의 축일과 문화 축제와 같은 중요한 날에 식당에서 흔하게 제공된다.[13]
이 지역은 주로 적포도 품종이 주를 이루는 포도주로 유명하며, 리브잘트 무스카와 바뉠과 같은 지역 특산품이 어디에서나 판매된다. 지형에 따라 요리에 차이가 있는데, 남쪽 산악 지역은 올리브와 염소 치즈와 같은 자연 재료를 사용한 요리가 발달했다. 콜리우르는 멸치로 유명하지만, 지중해의 어류 감소로 어업은 쇠퇴했다.
주 북부의 푸이예드 지방을 제외하면, 주 전체에서 카탈루냐어가 사용된다. 프랑스는 프랑스어를 유일한 국어로 정하고, 카탈루냐어를 비롯한 다른 언어 사용을 금지해 왔다. 20세기에는 프랑스어만 사용하는 자녀에게 카탈루냐어를 사용하도록 권장했지만, 카탈루냐어 교육이 널리 퍼지지는 않았다. 프랑스 식민 제국 시대였기에, 조상의 언어를 배우는 것이 프랑스어 습득을 방해할 것이라고 우려했기 때문이다.
프랑스어 이외의 언어는 감소했지만, 카탈루냐어는 끈질기게 남아 있었다. 집회가 많이 열리고, 카탈루냐 전통 무용, 특히 사르다나(사르다나)가 매우 사랑받아 왔다. 매년 프라드에서는 여름 카탈루냐 대학(l'Universitat Catalana d'Estiu)이 개교한다. 당국의 큰 지원 없이도 카탈루냐어는 초등 교육부터 대학까지 프랑스어와 마찬가지로 가르쳐져 왔으나, 20세기 동안 쇠퇴를 거듭했다.
8. 1. 관광
주요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바뉘르쉬르메르: 그르나슈를 기반으로 한 바뉘르 와인으로 유명하며, 아리스티드 마이욜의 출생지이다.
- 세레: 입체주의의 발상지 중 하나로 여겨지며, 세레 현대 미술관을 비롯한 여러 박물관이 있다.
- 콜리우르: 야수파의 유명한 장소 중 하나로 여겨진다.
- 포르사 레알: 산 정상에 위치한 폐허가 된 요새.
- 프라데스: 카탈루냐 여름 대학교(Universitat Catalana d'Estiu)가 있는 곳.
- 프라 드 몰로: 피레네 산맥을 향해 남쪽을 바라보는 17세기의 중요한 방어 성.
- 살세스: 고대 스페인과의 경계에 위치한 16세기의 중요한 방어 성.
피레네조리앙탈주에는 USAP 페르피냥(럭비 유니온)과 카탈란 드래곤스(럭비 리그)의 두 스포츠 팀이 있다.
1960년대, 랑그독-루시용 지역권은 많은 관광객을 수용하기 위해 정비를 실시했다. 코트-베르메유는 관광 관련 건물로 가득 채워졌다. 카네-탕-루시용, 아르젤레-쉬르-메르, 생-시프리앙, 라 발카레스와 같은 해변 관광지가 유명하다. 많은 캠프장과 호텔이 있으며, 관광객들은 고운 모래로 된 긴 해변에 매료된다.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conseillers départementaux
https://www.data.gou[...]
2022-05-04
[2]
간행물
A Case-Study of Internal Colonization: The Francisation of Northern Catalonia
1980
[3]
Citation
Français : Panneau bilingue catalan-français "Département des Pyrénées orientales"/"Benvinguts a Catalunya Nord" sur la route (française) nationale 22 direction Andorre, entre l'Hospitalet-près-l'Andorre (département de l'Ariège, France) et le Pas-de-la-Case (Andorre).
https://commons.wiki[...]
2014-05-05
[4]
웹사이트
Le catalan en Catalogne Nord et dans les Pays Catalans, Même pas mort !
http://www.lcdpu.fr/[...]
2018-10-26
[5]
PDF
Populations légales 2019: 66 Pyrénées-Orientales
https://www.insee.fr[...]
INSEE
[6]
서적
66 petites histoires du Pays Catalan
Ultima Necat
2014
[7]
웹사이트
Historique des Pyrénées-Orientales
http://splaf.free.fr[...]
[8]
웹사이트
Évolution et structure de la population en 2016
https://www.insee.fr[...]
INSEE
[9]
웹사이트
Charter of the Catalan Language
http://www.cg66.fr/2[...]
[10]
웹사이트
Assemblée nationale ~ Les députés, le vote de la loi, le Parlement français
https://www.assemble[...]
[11]
Citation
Vilarnau en Roussillon (Pyrénées Orientales, France) / In Archaeology of medieval europe : Volume 2: twelfth to sixteenth centuries ad
Aarhus university press
[12]
Citation
La Paella Deliciously Authentic Rice Dishes from Spain's Mediterranean CoastHardcover
https://archive.org/[...]
Chronicle Books
2006-09-21
[13]
Citation
Cocina Catalana : el ultimo secreto culinario de Europa
Ediciones Martinez Roca
[14]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cg66.fr/c[...]
[15]
문서
Fiche historique du département sur le site du SPLAF.
[16]
웹사이트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au 1{{er}} janvier 2006
http://www.insee.fr/[...]
[17]
웹사이트
Évolution et structure de la population du département (de 1968 à 2007)
http://www.recenseme[...]
[18]
사이트
Site sur la Population et les Limites Administratives de la France
http://splaf.free.f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