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타는 슬픔에 잠긴 성모 마리아가 예수 그리스도의 시신을 안고 있는 모습을 묘사한 기독교 미술의 주제이다. 1300년경 독일에서 발전하여 이탈리아로 전파되었으며, 십자가의 길 13번째 장면이자 성모 마리아의 일곱 가지 슬픔 중 하나를 구성한다. 미켈란젤로의 바티칸 산 피에트로 대성당에 있는 작품이 가장 유명하며, 다양한 예술가들이 이 주제로 작품을 제작했다. 피에타는 대중문화에서도 상징적인 이미지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모 마리아를 소재로 한 미술 작품 - 성모자상
성모자상은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를 묘사한 미술 작품을 지칭하며,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고 시대와 지역에 따라 독특한 양식적 특징을 보인다. - 성모 마리아를 소재로 한 미술 작품 - 성모 칠락
성모 칠락은 개신교 내에서 마리아에 대한 다양한 견해와 논쟁을 다루는 주제로, 종교 개혁가들의 존경 정도 논쟁, 주요 신학자들의 마리아론, 신약성서 용례 분석, 현대 개신교의 관점 및 숭배 논란, "하느님의 어머니" 칭호 이해를 포괄적으로 다룬다. - 예수를 소재로 한 미술 작품 - 에케 호모
에케 호모는 "이 사람을 보라"라는 라틴어 구절로, 본시오 빌라도가 예수를 군중에게 보이며 한 말에서 유래되었으며, 예술 작품에서 예수의 수난을 묘사하는 중요한 주제이자 인간의 고통과 타락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 예수를 소재로 한 미술 작품 - 예수의 묘사
기독교 미술에서 예수의 묘사는 상징적 표현에서 시작하여 구체적인 인물 묘사로 발전했으며, 시대와 문화에 따라 그리스도 왕, 수염과 긴 머리를 한 모습, 이상적인 인간의 아름다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현대 대중 매체에서도 재현되고 있다. - 기독교 미술 - 제단화
제단화는 기독교 교회 제단 뒤에 놓이는 장식물로, 그림, 조각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며, 13세기 이탈리아에서 처음 등장하여 르네상스 시대까지 중요한 판화 형태였고,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양식으로 발전했다. - 기독교 미술 - 별이 빛나는 밤
빈센트 반 고흐가 생 폴 드 모솔 정신병원 입원 중 그린 《별이 빛나는 밤》은 밤하늘 아래 마을 풍경을 강렬한 색채와 붓 터치로 표현하여 그의 내면세계와 종교적 갈망을 담아낸 대표작으로, 미술사적, 천문학적 해석과 상징적 요소 분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피에타 | |
---|---|
개요 | |
![]() | |
종류 | 조각 |
양식 | 르네상스 미술 |
크기 | 높이 174cm, 폭 195cm, 깊이 69cm |
위치 | 바티칸 시국 성 베드로 대성당 |
설명 | |
주제 | 예수의 시신을 안고 있는 성모 마리아 |
의미 | '경건', '자비', '애련'을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단어 |
다른 명칭 | '피에타상' |
구도 | 성모 마리아가 죽은 예수 그리스도를 무릎에 안고 있는 구도 |
표현 | 성모의 젊고 아름다운 모습 예수는 고통 없이 편안한 모습 성모의 옷 주름을 통해 풍부한 양감 표현 |
역사 | |
제작 시기 | 1498년 ~ 1499년 |
제작 의뢰 | 프랑스인 장 드 빌리에 추기경 |
제작 목적 | 자신의 무덤 장식 |
조각가 | 미켈란젤로 |
재료 | 대리석 |
해석 | |
성모의 나이 | 미켈란젤로는 성모를 젊게 표현하여 영원한 순결과 아름다움을 상징 |
예수의 모습 | 고통 없이 편안한 모습으로 표현하여 죽음을 초월한 평화를 상징 이는 부활에 대한 믿음을 나타냄 |
의미 | 신에 대한 헌신과 믿음을 강조 인간의 고통과 구원에 대한 깊은 묵상을 제시 |
참고 | |
유사 작품 | 아비뇽의 피에타 론다니니의 피에타 |
관련 용어 | |
로마자 표기 | Pietà |
발음 (IPA) | pjeˈta |
2. 역사적 배경 및 발전
피에타는 슬픔에 잠긴 성모 마리아를 묘사한 세 가지 일반적인 예술적 표현 중 하나이며, 나머지 두 가지는 ''성모 마리아의 슬픔''("고통받는 어머니")와 ''슬픔에 잠긴 성모''("서 있는 어머니")이다.[3][4] 나머지 두 가지 표현은 조각보다는 회화에서 더 흔히 볼 수 있지만, 결합된 형태도 존재한다.[5]
피에타는 1300년경 독일(거기서는 페스퍼빌트/Vesperbildde라고 불린다)에서 발전하여 1400년경 이탈리아에 전파되었으며, 특히 중앙 유럽의 신앙 그림에서 인기가 많았다.[6] 15세기 독일과 폴란드의 많은 목재 예시에서 그리스도의 상처를 크게 강조하고 있다. 이 주제는 이탈리아에서 알려져 있었지만, 이름은 더 늦게 채택되었을 수 있으며, 피렌체 일기 작가 루카 란두치는 1482년 6월의 기록에서 그림을 묘사한 후 "일부 사람들이 피에타라고 부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7]
그리스도의 수난과 애가 또는 피에타는 십자가의 길 13번째 장면이자 성모 마리아의 일곱 가지 슬픔 중 하나를 구성한다.
피에타는 대부분 성모 마리아가 예수를 안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하느님이 예수 그리스도를 안는 데 참여하는 등 다른 구성도 있다. 스페인에서는 성모 마리아가 종종 한 손이나 두 손을 들고 있으며, 때로는 그리스도의 시신이 바닥에 쓰러져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2. 1. '천사의 피에타'
독일어로 "엔겔피에타"(de: Engelpietà, 직역하면 "천사 피에타")로 불리는 주제는 슬픔에 잠긴 그리스도(''Imago Pietatis'') 유형의 안닥츠빌더(andachtsbilder)의 변형이지만, 분명히 죽은 그리스도를 보여준다는 차이점이 있다.[11] ''슬픔에 잠긴 그리스도'' 이미지에서는 그리스도가 눈을 뜨고 있는 경향이 있다.[11] 일반적으로 죽은 그리스도의 반신상은 선반 위에 앉아 있으며, 양쪽에 작은 천사들이 받치고 있고, 그리스도는 속옷만 입고 있으며 상처가 보인다.[11] 그러나 특히 1500년경 이후로 이 구성에는 많은 변형이 나타났다.[11] "천사의 피에타"는 14세기부터 종교 개혁까지 조각과 회화 모두에서 흔했지만, 바로크 시대에도 발견된다.[11]3. 주요 작품
많은 예술가들이 피에타를 소재로 작품을 제작했으며, 그중에서도 미켈란젤로가 1499년에 완성한 현재 바티칸의 산 피에트로 대성당에 있는 작품이 유명하다. 이 작품은 미켈란젤로가 서명을 남긴 유일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로, 미켈란젤로는 피에타를 4점 제작했다.
3. 1. 미켈란젤로

''최후의 심판'', 1547~1555년, 피렌체 두오모 박물관, 피렌체
이탈리아 조각가 미켈란젤로의 대리석으로 된 유명한 피에타는 바티칸 시국의 성 베드로 대성당에 있다. 그리스도의 시신은 대부분의 이전 피에타 조각상들과 다르다. 이전 조각상들은 일반적으로 크기가 더 작고 나무로 만들어졌다. 성모 마리아 또한 평소의 슬퍼하는 노년의 마리아가 아니라 비정상적으로 젊고 평온한 모습이다. 성모 마리아가 젊게 묘사된 이유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신이 모든 아름다움의 근원이고 그녀는 신과 가장 가까운 존재 중 하나이기 때문이며, 다른 하나는 외면이 내면의 계시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모 마리아는 도덕적으로 아름답다. 미켈란젤로의 피에타 조각상은 또한 그가 직접 서명한 유일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독특하다. 방문객들이 그것을 경쟁자인 크리스토포로 솔라리가 조각한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듣고 그는 마리아의 띠에 자신의 서명 "MICHAELA[N]GELUS BONAROTUS FLORENTIN[US] FACIEBA[T]" 즉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피렌체 사람이 이것을 만들었다"고 새겼다.[8][9]
덜 알려진 미켈란젤로의 피에타 작품인 ''최후의 심판'' ()에서는 그리스도의 시신을 성모 마리아가 잡고 있지 않고, 니고데모(혹은 아리마태아의 요셉)와 막달라 마리아 그리고 성모 마리아가 잡고 있다. 후드를 쓴 남자가 화가 자신의 자화상을 바탕으로 했다는 암시가 있다.[10] 이 조각상은 피렌체 두오모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피렌체 피에타''로도 알려져 있다.
많은 예술가들이 피에타를 소재로 작품을 제작했으며, 그중에서도 미켈란젤로가 1499년에 완성한 현재 바티칸의 산 피에트로 대성당에 있는 작품이 유명하다. 이 작품은 미켈란젤로가 서명을 남긴 유일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로, 미켈란젤로는 피에타를 4점 제작했다.
스페인 화가 루이스 데 모랄레스는 여러 개의 매우 감정적인 피에타를 그렸으며, 루브르 박물관과 프라도 미술관|italic=noes에 작품이 있다.
3. 2. 기타 작품
4. 대중문화 속 피에타
피에타는 누군가가 팔에 시신을 안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여 만화책 표지 등에서 자주 사용되는 상징적인 이미지이다.[12][13] 무한 지구의 위기 #7의 표지에서는 슈퍼걸의 죽음을 피에타의 구도로 묘사하여 그 상징성을 극대화했다.[14][15]
라나 델 레이의 2012년 뮤직비디오 본 투 다이(Born to Die)에서도 피에타와 유사한 자세로 한 남자가 가수의 시신을 안고 있는 장면이 등장한다. 존 스타인벡의 소설 ''분노의 포도''의 결말 부분은 로즈 오브 섀론이 죽어가는 노인을 안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피에타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5. 사진첩
참조
[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hristian Art and Architecture
OUP
[2]
문서
RDK, and ''Christ mort soutenu par des anges'' in French; ''Cristo morto sorretto da angeli'' in Italian.
[3]
서적
How to Distinguish the Saints in Art by Their Costumes, Symbols and Attributes
[4]
서적
Legends of the Madonna: as represented in the fine arts
[5]
문서
E.g. see Noël Quillerier's at Oratorio della Nunziatella
[6]
서적
Iconography of Christian Art, Vol. II
Lund Humphries
[7]
문서
Murrays, 391
[8]
서적
Life and Early Works (Michelangelo: Selected Scholarship in English)
[9]
웹사이트
Pieta by Michelangelo
http://www.michelang[...]
[10]
웹사이트
The Deposition by Michelangelo
http://www.michelang[...]
[11]
문서
RDK
[12]
웹사이트
I Can't Cover What I Am - The Best Pieta Covers!
https://www.cbr.com/[...]
2023-08-03
[13]
웹사이트
Top Five Actual Pieta Covers
https://www.cbr.com/[...]
2023-08-03
[14]
간행물
Crisis on Infinite Earths #7
DC Comics
[15]
웹사이트
DC Nation: #47
http://dccomics.com/[...]
2007-05-27
[16]
학술지
ミケランジェロの死生観に関する一考察 : 作品「ピエタ」を中心に
2020-04-14
[17]
서적
NHK世界美術館紀行 9 アルテ・ピナコテーク オスロ国立美術館 レンバッハハウス美術館
日本放送出版協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