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장파장의 오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장파장의 오류는 상대방의 위선이나 도덕성을 지적하여 주장의 적절성을 평가절하하는 비형식적 오류이다. "너도 마찬가지"라는 표현으로 나타나며, 논증 구조는 A가 B를 비판할 때 B가 A의 유사한 행위를 지적하며 주장을 반박하는 형식을 띤다. 이 오류는 훈제 청어 전략의 일종으로, 인신 공격의 논법으로 사용되며, 개인 간의 대화, 정치, 사회 등 다양한 맥락에서 나타난다.

2. 설명

피장파장의 오류는 주장 자체의 적절성 대신 상대의 위선이나 도덕성을 지적하는 것, 즉 '위선에의 호소'(appeal to hypocrisy)와 관련된다. 주장자의 문제점을 공격하여 대중으로 하여금 주장의 내용이 옳지 않다고 느끼게 하는 전략으로 비형식적 오류로 간주된다. Tu quoque의 영어 표현인 "너도 마찬가지!(You too!)" 등으로도 불린다. 피장파장의 오류는 "훈제 청어(red herring)" 전략의 일종으로 사용될 수 있다.[9]

구어에서는 Tu quoque|투 쿠오쿠에영어 기법이 더 미묘하고 덜 명시적인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B가 A를 태우고 차를 운전하는 경우:


  • A: "정지 신호를 너무 많이 위반하지 마세요."
  • B: "당신은 항상 위반하잖아요!"

A와 B 모두 무엇이 잘못인지(X) 명시적으로 말하지 않았지만, 대화의 구어적 특성상 "정지 신호를 위반하는 것은 잘못이다"라는 내용으로 이해된다.

A 또는 B는 개인이 아닌 집단(기업, 정부, 정당 등)일 수도 있다.[3] 예를 들어 A와 B는 미국 정부와 과거 소련 정부와 같을 수 있는데, 이는 "상대적 비교"라는 용어를 "당신은 흑인을 린치하고 있다"라는 논쟁과 함께 만들어낸 상황이다.

Tu quoque|투 쿠오쿠에영어 기법은 대화 밖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잘못을 저지른 특정 정치인 B를 지지하는 사람이 다른 정치인으로 지지자를 바꾸지 않는 것을 다음과 같이 정당화할 수 있다.

:"정치인 B가 부도덕한 일을 저질렀지만, 다른 정치인들도 마찬가지예요. 그래서 뭐가 문제죠?"

이 예시에서 B는 "정치인 B"이고 A는 "다른 정치인"이다.

상대적 비교는 이 기법의 특히 잘 알려진 현대적 예시이다. 이 수법은 인신 공격 논법의 하나이며, 어떤 주장이든 그것을 주장하거나 지지하는 사람에 관한 사실에 의해 거부된다.[9]

2. 1. 논증 구조

피장파장의 오류의 논증 구조는 다음과 같다.

# A가 B에 대하여 X라고 비판하는 주장을 한다.

# B는 A도 X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 따라서 X는 틀린 주장이며 A는 위선자이다.

위와 같은 구조로 진행되는 논증은 오류이다. 왜냐하면 이 논증은 A가 위선자임을 밝히는 것이기는 하나 주장 X를 반박하는 근거는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잘못된 추론의 일종인 Tu quoque|투 쿠오쿠에영어 논증은 다음과 같은 형식을 따른다.[2]

# A는 명제 X가 참이라고 주장한다.

# B는 A의 행동 또는 과거 주장이 명제 X의 진실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 따라서 X는 거짓이다.

구체적인 예시로, A와 B가 방금 가게에서 나왔다고 가정해 보자.

# A: "너는 돈을 지불하지 않고 그 물건을 가져갔어. 네가 한 행동은 도덕적으로 잘못된 거야!"

#* 여기서, X는 "가게에서 물건을 훔치는 것은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이다"라는 명제이다. A는 명제 X가 참이라고 주장한다.

# B: "그래서 뭐? 나도 네가 전에 똑같은 짓을 했던 것을 기억해. 너는 그것이 잘못이라고 생각하지 않았고, 이것도 마찬가지야."

#* B는 A가 과거에 똑같은 행동을 했기 때문에 위선자라고 주장한다.

# B는 A가 위선자이기 때문에 스스로를 판단하기 전에 다른 사람을 판단할 권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Tu quoque|투 쿠오쿠에영어는 다음과 같은 패턴을 따른다.[7]

# 인물 A가 X를 주장한다.

# 인물 B가 A의 행동이나 과거의 주장은 주장 X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 따라서 주장 X는 오류이다.

이러한 예시로 다음과 같은 대화를 생각해볼 수 있다.

: 피터: 빌은 세금을 속이고 있어.

: 빌: 너도 미납된 주차 요금이 20건이나 되면서, 그런 말을 하다니.

상대의 도덕적 성격이나 행동은 일반적으로 논의의 논리성과 무관하며, 이는 오류이다.[8]

3. 예시

잘못된 추론의 일종인 '너도 그렇다' 논증은 다음과 같은 형식을 따른다.[2]

# A는 명제 가 참이라고 주장한다.

# B는 A의 행동 또는 과거 주장이 명제 의 진실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 따라서 는 거짓이다.

구체적인 예시로, A와 B가 가게에서 나왔다고 가정해 보자.

# A: "너는 돈을 지불하지 않고 그 물건을 가져갔어. 네가 한 행동은 도덕적으로 잘못된 거야!"

#* 여기서, 는 "가게에서 물건을 훔치는 것은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이다"라는 명제이다. A는 명제 가 참이라고 주장한다.

# B: "그래서 뭐? 나도 네가 전에 똑같은 짓을 했던 것을 기억해. 너는 그것이 잘못이라고 생각하지 않았고, 이것도 마찬가지야."

#* B는 A가 과거에 똑같은 행동을 했기 때문에 위선자라고 주장한다.

# B는 A가 위선자이기 때문에 스스로를 판단하기 전에 다른 사람을 판단할 권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피장파장의 오류는 일상생활, 정치 및 사회 등 다양한 영역에서 발견된다.

3. 1. 일상생활

다음은 일상생활에서 피장파장의 오류가 나타나는 예시이다.

  • 철수: 영희는 국어 숙제를 빼먹었습니다. 그러므로 영희는 벌을 받아야 합니다.
  • 영희: 철수 너도 숙제 안 했잖아?


위의 예시에서 영희는 철수의 주장을 반박하는 대신 철수가 같은 행위를 했음을 지적하여 주장이 반박된 것처럼 보이려 하는 피장파장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

  • 의사: 음주와 흡연은 고혈압과 당뇨를 유발할 수 있으니 조절하십시오.
  • 환자: 에이, 의사 선생님도 술, 담배 하시잖아요.


위의 예시에서 환자는 의사가 주장하는 바에 위선이 되는 행동을 함을 지적하나, 음주와 흡연이 고혈압과 당뇨를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 자체에 대한 반박이 아니므로 피장파장의 오류이다.[12]

'너도 그렇다' 기법은 구어체에서 더 미묘하고 덜 명시적인 방식으로 자주 나타난다. 예를 들어, B가 A를 태우고 차를 운전하는 경우:

  • A: "정지 신호를 너무 많이 위반하지 마세요."
  • B: "당신은 항상 위반하잖아요!"


A와 B 모두 무엇을 명시적으로 말하지 않았지만, 대화의 구어적 특성상 "정지 신호를 위반하는 것은 잘못이다" 또는 그와 비슷한 내용으로 이해된다.

A 및/또는 B는 개인이 아닌 집단(예: 기업, 정부, 정당 등)일 수도 있다.[3] 예를 들어, A와 B는 미국 정부와 과거 소련 정부와 같을 수 있는데, 이는 "상대적 비교"라는 용어를 "당신은 흑인을 린치하고 있다"라는 논쟁과 함께 만들어낸 상황이다.

'너도 그렇다' 기법은 대화 밖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잘못을 저지른 특정 정치인 B를 지지하는 사람이 다른 정치인으로 지지자를 바꾸지 않는 것을 다음과 같이 정당화할 수 있다.

: "네, 정치인 B는 이런저런 부도덕한 일을 저질렀지만, 다른 정치인들도 마찬가지예요. 그래서 뭐가 문제죠?"

이 예시에서 B는 "정치인 B"이고 A는 "다른 정치인"이었다.

상대적 비교은 이 기법의 특히 잘 알려진 현대적 예시이다.

3. 2. 정치 및 사회

정치 및 사회 영역에서 '피장파장의 오류'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일상 대화뿐 아니라 정치적 논쟁이나 심지어 국제 관계에서도 이러한 오류를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거 미국 정부와 소련 정부 간의 논쟁에서 "상대적 비교"라는 용어가 등장했는데, 이는 "당신은 흑인을 린치하고 있다"라는 논쟁과 함께 사용되었다.[3] 즉, 상대방의 비판에 대해 직접 반박하는 대신, 상대방도 비슷한 잘못을 저질렀다고 주장하는 방식이다.

다른 예로, 논란이 많았던 변호사 자크 베르제스는 클라우스 바르비의 재판에서 "너 또한 그렇다(Tu Quoque Defence)" 논법을 사용했다.[10] 그는 알제리 전쟁에서 자크 마쉬 장군을 비롯한 프랑스군 장교들도 바르비와 같은 전쟁 범죄를 저질렀으므로, 프랑스가 바르비를 재판할 도덕적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법정은 이 변론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바르비는 유죄 판결을 받았다.[10] 나치 전범 헤르만 괴링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유사한 논법을 사용하여 검사단의 주장의 모순을 지적하며 종종 휴정을 유도했다.

이처럼 정치인은 자신의 잘못을 정당화하기 위해 다른 정치인들도 비슷한 잘못을 저질렀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잘못을 저지른 특정 정치인 B를 지지하는 사람은 "다른 정치인들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뭐가 문제인가?"라고 생각하며 지지를 철회하지 않을 수 있다.[3]

참조

[1] OED tu quoque 2016-04-24
[2] 웹사이트 Fallacy: Ad Hominem Tu Quoque http://www.nizkor.or[...] 2015-11-24
[3] 문서
[4] 웹사이트 tu quoque, n. http://www.oed.com/v[...]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5] 웹사이트 映画評論31:ニュルンベルグ軍事裁判(その5) https://www.ohtan.ne[...] 太田述正 2019-03-19
[6] Encyclopedia whataboutism https://eow.alc.co.j[...] 株式会社アルク 2019-03-20
[7] 웹사이트 Fallacy: Ad Hominem Tu Quoque http://www.nizkor.or[...] 2015-11-24
[8] 서적 The Fallacy Detective
[9] 웹사이트 Logical Fallacy: Tu Quoque http://www.fallacyfi[...] Fallacyfiles.org 2014-06-17
[10] 간행물 The Algerian War, the French State and Official Memory 2002
[11] 웹인용 Rational wiki: Tu quoque http://rationalwiki.[...]
[12] 웹인용 일상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오류 https://news.naver.c[...] 2008-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