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핀란드의 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의 주는 1634년 스웨덴 통치 시기부터 시작되어 2009년 폐지될 때까지 핀란드의 행정 구역을 담당했다. 스웨덴 통치 시기에는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으며, 러시아 통치 시기에도 변화를 겪었다. 핀란드가 독립한 이후 1997년 대규모 개편을 통해 6개의 주로 재편되었고, 2009년 완전히 폐지되었다. 이후 핀란드의 지역 행정은 경제 개발, 교통 및 환경 센터와 지역 주 정부 행정 기관으로 이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동우시마 지역
    동우시마 지역은 우시마와 관련이 깊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포르보 소지역(아스코라, 뮈르스퀼래, 푸킬라, 포르보, 시포)과 로비사 소지역(로비사, 라핀얘르비)을 포함하며, 2011년 시포는 헬싱키 소지역으로 이전되었다.
  • 핀란드의 주 - 올란드 제도
    올란드 제도는 발트해 보트니아만 입구에 있는 핀란드의 스웨덴어 사용 자치령이자 비무장 지대로, 국제 연맹 결정에 따라 핀란드에 속하게 되었으며 독자적인 의회와 정부를 구성하고 해운, 관광, 무역, 면세 판매 등의 산업을 통해 자치권을 누리고 있다.
  • 핀란드의 주 - 바사주
    바사 주는 1634년에 설립되어 1997년에 폐지된 핀란드의 역사적 행정 구역으로, 오스트로보트니아 주에서 분리되었고 중앙수오미 주가 분리되는 등 변화를 거쳐 서핀란드 주 등으로 통합되었다.
핀란드의 주
개요
핀란드 시골 풍경
핀란드 시골 풍경
행정 구역
유형행정 구역
국가핀란드
상위 행정 구역지역
하위 행정 구역하위 지역
지방 자치지방 자치체
세부 사항
시행일1997년 9월 1일
폐지일2009년 12월 31일
대체지역
역사
설립1634년
해체2009년
핀란드의 주 (1996년 ~ 2009년)
남핀란드 주헬싱키
동핀란드 주미켈리
서핀란드 주투르쿠
울루 주울루
올란드 주마리에함

2. 역사

핀란드의 주는 1634년 스웨덴 통치 시기에 처음 형성되었으며, 1809년 핀란드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된 이후에도 상당 기간 유지되었다. 핀란드의 주(province)는 시대에 따라 구획이 변동되었다.

1812년, 러시아령이었던 비보르크 현이 핀란드 대공국으로 이관되어 비이푸리 주가 되었다.[1] 1831년, 뉘랜드와 타바스테후스 주는 우시마 주와 해메 주로, 키멘가르드 주는 미켈리 주로, 사보락스와 카렐리아 주는 쿠오피오 주로 개편되었다.[1]

1917년 핀란드 독립 이후에도 주의 구획은 여러 차례 바뀌었다. 과거 주의 경계는 전화 지역 번호와 선거구에서 일부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헬싱키의 경우, 대헬싱키(코드 09)를 포괄하는 전화 번호 구역이 있지만, 헬싱키 시 자체만 헬싱키 선거구를 구성하고, 나머지 대헬싱키 지역은 우시마 선거구에 속한다.

2. 1. 스웨덴 통치 시기 (1634년-1809년)

1634년 스웨덴은 핀란드에 행정 구역을 형성했으며, 핀란드는 1809년까지 스웨덴의 일부였다. 당시 5개의 주가 현재의 핀란드 지역을 포괄했으며, 일부는 현재의 러시아 지역까지 포함했다. 핀란드의 주(province)는 시대에 따라 정확한 구획이 변동되었다.

과거 주의 경계는 전화 지역 번호와 선거구에서 일부 남아있다. 헬싱키의 경우는 예외로, 대헬싱키(코드 09)를 포괄하는 전화 번호 구역이 있는 반면, 헬싱키 시(市) 자체만이 헬싱키 선거구를 구성하며, 나머지 대헬싱키 지역은 우시마 선거구에 속한다.

핀란드어 이름스웨덴어 이름소재 도시존속 기간비고
투룬 야 포린 래니오보 오크 비에르네보르그스 래앤투르쿠1634–1997
우덴마안 야 해메엔 래니닐란즈 오크 타바스테후스 래앤헬싱키/해멘린나1634–1831
포얀마안 래니외스테르보텐스 래앤오울루/바사1634–1775
비이푸린 야 사본린난 래니비보르그스 오크 뉘슬로츠 래앤비보르크1634–1721
캐키살멘 래니케크홀름스 래앤케크홀름1634–1721
사본린난 야 키멘카르타논 래니키멘가르즈 오크 뉘슬로츠 래앤라펜란타1721–1747
키멘카르타논 야 사본 래니사보락스 오크 키멘가르즈 래앤로비사1747–1775
바아산 래니바사 래앤바사1775–1997
오울룬 래니울레오보르그스 래앤오울루1775–2009
키멘카르타논 래니키멘가르즈 래앤헤이놀라1775–1831
사본 야 카르얄란 래니사보락스 오크 카렐렌스 래앤쿠오피오1775–1831


  • -]
  • -]
  • -]
  • -]
  • -]
  • -]
  • -]
  • -]
  • -]
  • -]
  • -]

2. 2. 러시아 통치 시기 (1809년-1917년)

1809년 핀란드는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면서 핀란드 대공국이 되었다. 이 시기 핀란드의 주는 러시아 통치 하에서도 이전 스웨덴 시기의 행정 구역 체계를 대체로 유지했다.

1812년에는 러시아령이었던 비보르크 현이 핀란드 대공국으로 이관되어 비이푸리 주가 되었다.[1] 1831년에는 대대적인 주 개편이 이루어져 뉘랜드와 타바스테후스 주가 우시마 주와 해메 주로 분리되었고, 키멘가르드 주는 미켈리 주로, 사보락스와 카렐리아 주는 쿠오피오 주로 개편되었다.[1]

1809년 - 1917년 핀란드의 주 변화
1809년-1812년1812년-1831년1831년-1917년



2. 3. 핀란드 독립 이후 (1917년-2009년)

핀란드는 1917년 독립 이후, 주의 구획이 여러 차례 변동되었다. 1634년 스웨덴 통치 하에 형성된 최초의 주들은 1809년 핀란드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된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과거 주의 경계는 전화 지역 번호와 선거구에서 일부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헬싱키는 예외적으로, 대헬싱키(코드 09)를 포괄하는 전화 번호 구역이 있지만, 헬싱키 시 자체만이 헬싱키 선거구를 구성하고, 나머지 대헬싱키 지역은 우시마 선거구에 속한다.

핀란드 독립 이후 핀란드의 주는 다음과 같이 변천했다.

1917년-2009년 핀란드의 주 변천사
존속 기간주 (핀란드어/스웨덴어)소재 도시비고
1918년–2009년올란드 주 (아흐베난마안 래니 / 올란즈 래앤)마리에함특별한 지위 보유: 2009년 말 다른 주와 함께 폐지되었지만, 반자치적이며 국제 조약에 의해 비무장화된 "마쿤타"(일반적인 의미와는 약간 다른 의미의 "주" 번역)가 존재하며 현재도 유지됨.
1921년–1921년페차모 주 (페차몬 래니 / 페차모 래앤)페첸가소련으로부터 획득, 오울루 주에 병합,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소련에 할양됨.
1938년–2009년라피 주 (라핀 래니 / 라프란즈 래앤)로바니에미오울루 주에서 분할
1945년–1997년퀴미 주 (키멘 래니 / 키메네 래앤)코우볼라러시아와의 국경에서 핀란드 측에 남은 비이푸리 주 지역에서 형성, 남부 핀란드 주에 병합
1960년–1997년중앙 핀란드 주 (케스키-수오멘 래니 / 멜레르스타 핀란드스 래앤)유바스킬라바사 주, 해메 주, 미켈리 주, 쿠오피오 주에서 분할, 서부 핀란드 주에 병합
1960년–1997년북카렐리아 주 (포흐요이스-카르얄란 래니 / 노라 카렐렌스 래앤)요엔수쿠오피오 주에서 분할, 동부 핀란드 주에 병합
1997년–2009년남부 핀란드 주 (에텔라-수오멘 래니 / 쇠드라 핀란드스 래앤)해멘린나우시마 주, 퀴미 주, 해메 주(일부), 미켈리 주(일부) 주에서 병합
1997년–2009년서부 핀란드 주 (란시-수오멘 래니 / 베스트라 핀란드스 래앤)투르쿠투르쿠와 포리 주, 바사 주, 중앙 핀란드 주, 해메 주(일부) 주에서 병합
1997년–2009년동부 핀란드 주 (이타-수오멘 래니 / 외스트라 핀란드스 래앤)미켈리쿠오피오 주, 북카렐리아 주, 미켈리 주에서 병합



3. 2009년 폐지 당시의 주 목록

핀란드의 주는 2009년까지 핀란드의 주요 행정 구역 단위였다. 1997년 대규모 행정 구역 개편으로 기존 12개 주가 6개 주로 통합되었고, 2009년 12월 31일을 마지막으로 주 제도는 완전히 폐지되었다. 다음은 2009년 폐지 당시 핀란드에 존재했던 6개 주 목록이다.

번호문장핀란드어 및
스웨덴어 명칭
거주 도시최대 도시인구 (2003년)면적 (km²)합병된 주 (1997년)
1
서핀란드 주Länsi-Suomen lääni
Västra Finlands län
투르쿠
Åbo
탐페레1,848,26974185km2바사, 투르쿠와 포리, 중앙 핀란드, 타바스티아
2
남핀란드 주Etelä-Suomen lääni
Södra Finlands län
해멘린나
Tavastehus
헬싱키2,116,91434378km2우시마, 퀴미, 타바스티아
3
오울루 주Oulun lääni
Uleåborgs län
오울루
Uleåborg
오울루458,50457000km2변동 없음
4
동핀란드 주Itä-Suomen lääni
Östra Finlands län
미켈리
S:t Michel
쿠오피오582,78148726km2쿠오피오, 북카렐리아, 미켈리
5
올란드Ahvenanmaan lääni
Ålands län
마리에함
마리안함
마리에함26,0006784km2변동 없음
6
라피 주Lapin lääni
Lapplands län
로바니에미
로바니에미
186,91798946km2변동 없음



올란드 제도는 핀란드 본토에서 주가 처리하는 일부 업무를 자치 정부로 이관받아 처리했다. 또한, 올란드 제도는 단일 언어인 스웨덴어를 사용한다.

4. 주의 역할 및 기능 (2009년 폐지 이전)

각 주는 내각의 추천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하는 주지사(''maaherra'')가 이끌었다. 주지사는 다음과 같은 7개 부처의 공동 지역 당국 역할을 하는 주 정부 사무소(''lääninhallitus'')의 수장이었다.[1]


  • 사회 서비스 및 의료
  • 교육 및 문화
  • 경찰 행정
  • 구조 서비스
  • 교통 행정
  • 경쟁 및 소비자 문제
  • 사법 행정


주 정부 사무소 산하의 공식 행정 하위 기관은 등기소(''maistraatti'')였다. 이전에는 경찰, 검찰, 집달리 서비스를 위한 지역 구역(''kihlakunta'')으로 구분되었지만, 24개의 경찰 구역으로 재편성되었다. 이 구역은 일반적으로 여러 지방 자치 단체를 포함했다.[1]

주는 경찰과 같은 정부 사무소만 관할했다. 의료 서비스와 지역 도로 유지 관리와 같은 대부분의 서비스는 현재에도 핀란드의 지방 자치체의 책임이다. 병원 및 기타 서비스는 지방 자치 단체가 담당하기에 규모가 작은 경우가 많아, 서비스 유형에 따라 경계가 다른 의료 구역과 같은 지방 자치 단체 그룹 간 협력을 통해 운영된다.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지방 자치 단체는 경계를 공유하지 않더라도 종종 협력한다.[1]

5. 주 폐지 이후 (2010년~)

2010년 1월 1일부터 핀란드의 주는 완전히 폐지되었다. 이후 핀란드 국가의 지역 행정은 경제 개발, 교통 및 환경 센터와 지역 주 정부 행정 기관의 두 최상위 기관으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올란드 자치 정부를 제외한 6개의 지역 주 정부 행정 기관(핀란드어: 'aluehallintovirasto', 스웨덴어: 'regionförvaltningsverk', 약칭 'avi')은 주로 법 집행을 담당한다. 남서 핀란드와 서부 및 중부 핀란드는 구 서부 핀란드 주를, 구 오울루 주는 북부 핀란드로 재편되어 관할하고 있다. 다른 이전 주 경계는 새로운 배치에서도 거의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와 함께 15개의 경제 개발, 교통 및 환경 센터(핀란드어: 'elinkeino-, liikenne- ja ympäristökeskus', 약칭 'ely-keskus')가 고용, 도로 및 교통 인프라, 환경 감시 등 국가 행정을 담당한다. 각 센터는 하나 이상의 핀란드의 지역을 담당하며, 고용경제부, 교통통신부, 환경부의 사무소를 포함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