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핀커스 주커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커스 주커만은 이스라엘에서 태어난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지휘자이다. 1967년 레벤트리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연주자로서 입지를 다졌으며, 줄리어드 음악 학교에서 아이작 스턴에게 바이올린을 사사했다. 1974년 잉글리쉬 챔버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데뷔한 후, 세인트 폴 챔버 오케스트라, 댈러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에서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 100장이 넘는 음반을 발매했으며, 그래미 어워드에서 2번 수상했다. 2021년에는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핀커스 주커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핀커스 주커만
출생일1948년 7월 16일
출생지텔아비브, 이스라엘
국적텔아비브
활동 시작1961년
악기바이올린, 비올라
직업지휘자, 교육자, 바이올린 연주자, 비올라 연주자
사생활
배우자유제니아 리치 (1968년 결혼, 1983년 이혼)
튜즈데이 웰드 (1985년 결혼, 2001년 이혼)
아만다 포사이스 (2004년 결혼)
음악 경력
장르클래식 음악
관련 활동캐나다 국립 예술 센터 교향악단
악기바이올린
과르네리 델 제수, 1742년
레이블해당 정보 없음
영향해당 정보 없음
주목할 만한 악기해당 정보 없음

2. 성장 과정

핀커스 주커만은 1948년 텔아비브에서 폴란드유대인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 예후다 주커만과 미리암 리베르만 주커만은 나치 강제 수용소에서 살아남아 1947년 이스라엘로 이주한 홀로코스트 생존자였다.[2]

주커만은 전문 바이올리니스트였던 아버지 예후다의 영향으로 5세 때부터 리코더, 클라리넷, 바이올린 등 다양한 악기를 접하며 음악적 재능을 키웠다.[2] 8세 때, 텔아비브 음악원(부흐만-메타 음악 학교)에서 헝가리 출신의 저명한 바이올리니스트 일로나 페헤르에게 바이올린을 배웠다.

2. 1. 미국 유학

1961년, 이스라엘을 방문했던 파블로 카잘스와 아이작 스턴은 주커만의 연주를 듣고 그의 재능을 알아봤다. 스턴은 10대 소년이었던 주커만의 음악 교육에 큰 영향을 주었다.[2] 1962년, 아이작 스턴, 헬렌 루빈스타인, 그리고 미국-이스라엘 문화 재단의 후원으로 주커만은 줄리어드 음악 학교에 입학하여[2] 20세기 최고의 바이올린 교육자 중 한 명인 이반 갈라미언에게서 바이올린비올라를 배웠다.[2] 줄리어드에서 공부하는 동안, 주커만은 피아니스트 유진 이스토민의 부모님 집에서 거주하면서 예술 고등학교와 일반 고등학교를 모두 다녔다.[2]

이반 갈라미언의 엄격한 훈육 방식은 젊은 영재에게 큰 압박감을 주었지만, 스턴의 격려와 조언 덕분에 학업에 다시 집중할 수 있었다.[2]

3. 연주와 지휘 경력

1967년, 레벤트리 국제 콩쿨에서 정경화와 공동 우승한 주커만은 아이작 스턴을 대신하여 여러 차례 협연하면서 전문 연주자로서의 입지를 다졌다.[4] 줄리어드에서 악기 연주를 중점적으로 공부했지만, 지휘법의 기본도 익힐 수 있었다.[4] 1960년대 후반, 다니엘 바렌보임이 지휘하는 잉글리쉬 챔버 오케스트라와의 연주를 통해 지휘에 대한 진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4] 1974년, 잉글리쉬 챔버 오케스트라에서 공식 지휘자로 데뷔했다.[4] 이후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국립 교향악단,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 등 세계 정상급 교향악단의 객원 지휘자로 활동했다.[4]

1980년부터 1987년까지 세인트 폴 챔버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으로 재직하며 악단의 규모를 키우고 유료 관객을 3배로 늘렸으며, 오드웨이 극장 건립에 큰 공헌을 했다. 또한 주요 음반사와 8장의 음반을 발매하고 미국과 중남미 순회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세인트 폴에서 지휘에 주력하면서도 솔리스트로서의 경력도 이어갔다. 1987년, 행정적인 책임감에 대한 부담감으로 세인트 폴을 떠났다.[4]

3. 1. 댈러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및 기타 활동 (1990년대)

세인트 폴 챔버 오케스트라를 떠난 후, 주커만은 몇몇 계절별 행사에서 간간이 지휘를 맡으며 지휘 활동을 완전히 그만두지는 않았다. 그는 볼티모어 심포니 오케스트라 여름 음악 페스티벌 음악 감독, 런던 사우스 뱅크 페스티벌 지휘자, 댈러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국제 여름 음악 페스티벌 지휘자를 3년씩 역임했으며, 댈러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수석 객원 지휘자로 2년 동안 임명되기도 했다.[4]

3. 2. 연주자의 길로 복귀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까지, 주커만은 세계 정상급 오케스트라들과 협연하며 솔로 연주자로 부상했다. 그는 아이작 스턴, 이자크 펄만, 랄프 커쉬바움, 예핌 브롱프만, 재클린 뒤 프레, 장피에르 람팔, 과르네리 현악 사중주단, 클리블랜드 현악 사중주단 등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친 음악가들과 함께 무대에서 연주하며 협업을 진행했다.

4. 실내악 활동

주커만 챔버 플레이어스와 함께, 전 세계에서 40여 회 이상의 콘서트를 치른 주커만은 2003년 앙상블 창단 이래로 두 장의 음반을 함께 발매했다.[1]

5. 교육 활동

아이작 스턴, 파블로 카잘스와 같이 훌륭한 음악가들처럼, 주커만은 전도유망한 음악가들을 지도하는 데 열정적이었다. 국립 예술 센터 음악 감독으로 재직하면서, 젊고 재능 있는 클래식 연주자들을 위한 여름 특별 연주자 과정을 개설했다. 1999년 12명의 바이올린과 비올라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작한 이 프로그램은 2년 후 33명의 학생들을 가르치는 과정으로 성장했다. 2001년 6월에는 지휘자를 꿈꾸는 학생들을 위한 2주짜리 연례 프로그램을 시작했으며, 이후 오페라 가수를 꿈꾸는 학생들에게까지 문호를 개방했다. 초기에는 캐나다 출신 음악가들만 참여할 수 있었지만, 이후 지원자의 국적 제한을 철폐했다.

주커만은 맨하탄 음대에서 '핀커스 주커만 연주자 과정' 최고 책임자를 맡고 있다. 또한 이스라엘 Ilona Feher Music Center의 설립자 겸 음악 감독을 역임하고 있으며, 밀워키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상임 연주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의 제자로는 고토 미도리, 줄리안 라클린, 가이 브라운스타인 등이 있다.

6. 악기

주커만은 1742년산 "두쉬킨" 과르네리 델 제수 바이올린을 사용하고 있다.

7. 수상 경력


  • 1966년 '''Young Concert Artists International Auditions''' 수상
  • 1967년 정경화와 공동으로 '''레벤트리 국제 콩쿨''' 수상[2]
  • 그래미 어워드 - 최고의 실내악 연주 부문 (1981):
  • * 이자크 펄만 & 핀커스 주커만 -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음악(모스코프스키: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모음곡/쇼스타코비치: 듀엣/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 '''King Solomon 어워드''' 수상
  • 1983년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국립 예술 메달''' 수여
  • '''아이작 스턴 탁월한 예술가 상''' 수상
  • '''The International Center in New York's Award of Excellence''' 수상

8. 음반

주커만은 2002년까지 100장이 넘는 음반을 발매했다. 2001년까지 그 중 21장의 음반이 그래미 어워드 후보에 올랐고, 그중 2장이 수상했다. 수상 내역은 최우수 실내악 연주 부문(1980년), 무반주 솔로 클래식 연주 부문(1981년)이다.[13]

주목할 만한 음반으로는 크리스토프 에셴바흐가 지휘한 LSO와 협연한 브람스 이중 협주곡과 베토벤 삼중 협주곡(첼로 : 랄프 커쉬바움, 피아노 : 존 브라우닝) 음반(1998년 BMG 클래식/RCA Victor Red Seal 발매)이 있다. BMG에서 피아니스트 Marc Neikrug와 함께 녹음한 베토벤, 브람스, 모차르트, 슈만의 '바이올린/피아노'와 '비올라/피아노' 작품집을 발표했다. Decca에서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첼리스트 린 하렐과 함께 프란츠 슈베르트피아노 삼중주를 녹음했다. 초기 음반들은 Angel, CBS, 도이치 그라모폰, 런던, 필립스 등에서 출시되었다.

주커만 챔버 플레이어스와 함께 다음 3장의 CD 음반을 발매했다.


  • 2015: 브람스: 이중 협주곡 – 교향곡 4번 (Analekta), AN2 8782
  • 2016: 바로크 보물 (Analekta), AN2 8783
  • 2016: 본 윌리엄스 & 엘가 –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데카)

9. 논란

2021년, 줄리어드 음악원 주최 온라인 수업에서 핀커스 주커만이 인종차별적 발언을 한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은 뉴욕 타임스 등 여러 언론에 보도되며 비판을 받았고, 주커만은 결국 사과했다.[16] 소셜 미디어에는 주커만이 중국인에 대해 차별적인 발언을 하는 영상도 확산되었다.[17]

9. 1. 인종차별적 발언

2021년, 줄리어드 음악원 주최의 온라인 클래스에서 혼혈 일본인 자매 2명에게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하여 비난을 받았다.[16]

  • 자매의 연주에 대해 "두 사람이 완벽하게 연주하는 것을 생각하지 말고, 좀 더 프레이즈를 생각해야 한다. 조금 식초를 넣고… 아니 간장인가!"라고 웃으면서 말했다.
  • 노래하듯이 연주하라고 조언하면서 "한국에서는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 자매 중 한 명이 한국인이 아니라고 하자, "일본에서도 노래는 부르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 아시아인의 억양을 흉내 내면서 한국인이 노래를 부를 수 없는 이유로 "그들의 유전자에는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뉴욕 타임스와 바이올리니스트 닷컴 등 음악 전문지도 비판 기사를 게재했다. 줄리어드 음악원은 영상에서 문제 된 부분의 발언을 삭제했다. 주커만은 "내가 사용한 단어는 문화적으로 둔감한 것이었다. 학생들에게 개인적으로 사과의 편지를 썼고, 불쾌한 기분을 느낀 사람들에게는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소셜 미디어에서 확산 중인 영상에서 주커만은 "중국인들은 결코 메트로놈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저 빠르고 시끄럽게 (연주) 할 뿐이다. 여러분은 빠르고 시끄러우면 최고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생각하지 말라"라고 말했다.[17]

10. 사생활

다니엘 바렌보임, 이자크 펄만과 막역한 사이이다.[2] 1968년 소설가 유지니아 주커만과 결혼하여[6] 두 딸 아리아나 주커만과 나탈리아 주커만을 두었다.[7][8][9] 아리아나 주커만은 오페라 가수이고, 나탈리아 주커만은 블루스 및 포크 음악가이다. 주커만과 유제니아는 1983년에 이혼했다. 1985년에는 배우 튜즈데이 웰드와 결혼했으나[10] 1998년에 이혼했다. 2004년부터 첼리스트 아만다 포사이스와 결혼하여 현재까지 함께 살고 있으며, 이들은 종종 함께 공연한다.

참조

[1] 웹사이트 Britannica biography https://www.britanni[...]
[2] Youtube Interview on Youtube https://www.youtube.[...]
[3] 서적 Baker's Biographical dictionary of musicians. Schirmer Books
[4] 뉴스 Pinchas Zukerman leaves legacy as a builder https://ottawacitize[...] Ottawa Citizen 2014-09-24
[5] 간행물 Mr. Diplomacy sticks around https://archive.macl[...] Maclean's 2006-09-04
[6] 뉴스 The Busy Life of Eugenia Zukerman, Flutist-Author 1980-10-10
[7] 뉴스 What They're Doing Together 1979-03-11
[8] 웹사이트 Natalia Zukerman https://www.westword[...] 2006-03-02
[9] 뉴스 Arianna Zukerman, Peter Sekulow https://www.nytimes.[...] 2007-11-11
[10] 뉴스 Zukerman, Weld divorce with 'amicable' settlement https://www.newspape[...] The Ottawa Citizen 2001-04-12
[11] 웹사이트 Leading The Way Music https://www.baltimor[...] 1996-07-07
[12] 웹사이트 Tuesday Weld lists estate https://archive.napl[...] 2006-12-17
[13] 웹사이트 Pinchas Zukerman https://www.grammy.c[...] 2020-05-19
[14] 문서 姓はズッカーマン、ズカーマンとも表記される。
[15] 웹사이트 バイオリニストらが音楽祭辞退 原発事故に不安 宮崎 http://www.asahi.com[...] 2011-04-22
[16] 뉴스 Violinist Apologizes for ‘Culturally Insensitive’ Remarks About Asians https://www.nytimes.[...] 2021-06-28
[17] 웹사이트 世界的バイオリニスト「韓国人は歌わない、DNAにない…日本人も同じ」(中央日報日本語版) https://news.yahoo.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