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독립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 독립법은 1934년 미국 의회에서 통과된 법으로, 필리핀의 독립 절차를 규정했다. 이 법은 필리핀 연방 정부의 헌법 제정 절차를 명시하고, 10년의 과도 정부 기간을 거쳐 필리핀 섬의 독립을 인정하도록 했다. 또한, 미국으로의 필리핀인 이민을 제한하고, 미국이 필리핀에 군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타이딩스-맥더피 법은 필리핀 독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1946년 필리핀의 독립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4년 미국 - 제6회 아카데미상
1934년에 개최된 제6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는 영화 《캐벌케이드》가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하고, 찰스 로턴과 캐서린 헵번이 각각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영화 기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전기 연구 제품, Inc.(ERPI)와 RCA 빅터, 20세기 폭스, 프레드 잭맨, 워너 브라더스 등이 과학 기술상을 수상했다. - 1934년 미국 - 193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대공황 시대에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뉴딜 정책에 대한 지지를 확인한 193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이 압승하여 하원 의석의 과반수를 훨씬 넘는 322석을 차지했고, 농민-노동당과 진보당이 일부 의석을, 공화당은 103석을 얻었다.
필리핀 독립법 | |
---|---|
개요 | |
공식 명칭 | 필리핀 독립법 |
다른 명칭 | 타이딩스-맥더피 법 |
원 명칭 | An act to provide for the complete independence of the Philippine Islands, to provide for the adoption of a constitution and a form of government for the Philippine Islands, and for other purposes. |
약칭 | 없음 |
별칭 | 없음 |
제정 정보 | |
의회 | 제73대 미국 의회 |
발효일 | 1934년 5월 1일 |
제정 | 1934년 3월 24일 |
입법 과정 | |
발의자 | 밀러드 타이딩스 (상원) 존 맥더피 (하원) |
관련 위원회 | 정보 없음 |
통과 (상원) | 정보 없음 |
통과 (하원) | 정보 없음 |
서명 (대통령) | 정보 없음 |
거부 (대통령) | 정보 없음 |
법률 내용 | |
주요 내용 | 필리핀에 독립 절차를 제공하는 미국 연방법 |
목적 | 필리핀 제도의 완전한 독립 규정 필리핀 제도의 헌법 및 정부 형태 채택 규정 |
관련 인물 | |
공동 저자 | 밀러드 타이딩스 (상원 의원) 존 맥더피 (하원 의원) |
2. 제정 배경
필리핀 독립법 제정 배경에는 복잡한 역사가 있다. 1933년 미국 의회는 필리핀의 독립을 위한 헤어-호스-커팅 법을 통과시켰으나, 필리핀 상원 의장 마누엘 L. 케손은 미국 군사 기지의 영구 주둔 허용 조항 등을 이유로 이 법안을 거부했다.[3]
1934년, 마누엘 L. 케손은 "필리핀 독립 사절단"을 이끌고 워싱턴 D.C.를 방문, 타이딩스-맥더피 법 통과를 위해 의회에 로비를 벌였다.[4] 이 법은 헤어-호스-커팅 법의 일부 조항을 수정하여 필리핀의 독립 절차를 구체화했다.
2. 1. 헤어-호스-커팅 법
1933년, 필리핀 독립을 위한 헤어-호스-커팅 법이 미국 의회를 통과했다. 의회는 대통령 후버의 거부권을 무효화하고 이 법을 통과시켰지만, 필리핀 상원의 동의를 얻어야 했다.[3] 그러나 당시 필리핀 상원 의장 마누엘 L. 케손은 미국 군사 기지의 영구 주둔 허용 조항 등을 이유로 법안을 거부했다.[3]2. 2. 타이딩스-맥더피 법 제정
1934년, 필리핀 상원 의장 마누엘 L. 케손은 "필리핀 독립 사절단"을 이끌고 워싱턴 D.C.를 방문하여 타이딩스-맥더피 법 통과를 위해 의회에 로비를 벌였다.[4] 이 법은 헤어-호스-커팅 법의 일부 조항을 수정하여 필리핀의 독립 절차를 구체화했다.3. 주요 내용
필리핀 독립법(타이딩스-맥더피법)은 필리핀의 독립 절차와 조건을 규정한 법률이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필리핀 연방 수립 및 헌법 제정: 1935년, 마누엘 L. 케손은 "필리핀 독립 사절단"을 이끌고 미국 의회에 로비를 벌여 필리핀 독립법 통과를 이끌어냈다.[4] 이 법에 따라 1935년 필리핀 헌법이 제정되었고, 필리핀 대통령을 행정 수반으로 하는 필리핀 연방이 수립되었다.[5][6] 필리핀 연방은 10년 간의 과도 정부를 거쳐 1946년 7월 4일에 독립할 예정이었다.[7]
- 미국 대통령의 권한: 이 법은 미국이 필리핀에 군대를 유지하고 필리핀 정부 군대를 미군에 소집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1] 또한, 독립 후 2년 안에 미국 대통령이 필리핀 내 미국 해군 기지 및 연료 보급소 관련 문제를 협상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1]
- 이민 제한: 이 법은 미국으로의 이민 목적상 필리핀인을 외국인으로 재분류하고, 연간 50명의 이민 쿼터를 설정했다.[1] 이전에는 필리핀인들이 미국 국민으로 분류되어 비교적 자유롭게 이주할 수 있었지만, 이 법으로 인해 이민이 제한되었다.[2] 그러나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주 등의 로비로 인해 실제 이민은 법적 쿼터보다 높게 유지되었다.[9] 이 법은 1935년 필리핀 송환법으로 이어졌고,[10] 1924년 이민법의 아시아인 배제 정책을 필리핀에도 적용하여, 많은 필리핀인들이 미국으로 돌아오지 못하게 되었다.[9] 1946년 1946년 루스-셀러 법으로 이민 쿼터가 연간 100명으로 늘어나고 필리핀인에게 미국 시민권 귀화 권리가 부여되면서 제한이 완화되었다.[11]
3. 1. 필리핀 연방 수립 및 헌법 제정
마누엘 L. 케손은 1934년 워싱턴 D.C.로 "필리핀 독립 사절단"을 이끌고 가 의회에 로비를 벌여 필리핀 독립법 통과를 이끌어냈다.[4]1935년, 필리핀 독립법 조항에 따라 1935년 필리핀 헌법이 초안되어 법으로 제정되었고, 선출된 행정부 수반인 필리핀 대통령을 둔 필리핀 연방이 수립되었다.[5][6] 필리핀 연방은 10년 동안 지속되는 과도 정부였으며, 1946년 7월 4일에 독립이 부여될 예정이었다.[7]
3. 2. 미국 대통령의 권한
타이딩스-맥더피법은 미국이 필리핀에 군대를 유지하고 필리핀 정부의 모든 군대를 미군의 군사 복무에 소집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1] 이 법은 독립 후 2년 이내에 미국 대통령이 필리핀 섬 내의 미국 해군 기지 및 연료 보급소와 관련된 문제를 협상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했다.[1]3. 3. 이민 제한
이 법은 미국으로의 이민 목적상 미국에 거주하는 필리핀인을 포함한 모든 필리핀인을 외국인으로 재분류했다. 연간 50명의 이민자 할당량이 정해졌다.[1] 이 법 시행 전에는 필리핀인들은 미국 국민으로 분류되었지만 미국 시민은 아니었고, 비교적 자유롭게 이주할 수 있었지만, 미국 본토에서 태어난 시민이 아닌 한 미국 내에서 귀화 권한은 없었다.[2]이 법에 따른 이민 쿼터는 낮았고, 이민은 법적 쿼터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계속되었다.[9] 이는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주와 같은 농업 로비의 강세 때문이었는데, 이들은 필요성을 입증하는 한 더 많은 필리핀 남성 농업 노동자를 허용하도록 연방 정부에 성공적으로 로비할 수 있었다. 이는 한때 섬 농업 노동자의 25%를 차지했던 하와이의 필리핀 인구를 더욱 증가시켰다.[9]
이 법은 1935년 필리핀 송환법으로 이어졌다.[10]
이 법은 1924년 이민법의 아시아인 배제 정책을 곧 전 영토로 확장했다. 이 정책은 미국 내 많은 필리핀인의 국내 생활을 방해했는데, 필리핀으로 가서 미국으로 돌아오려는 필리핀인은 아시아인의 미국 이민 제한을 받게 되어 다시는 돌아올 수 없었을 것이다.[9]
1946년, 미국은 1946년 루스-셀러 법으로 타이딩스-맥더피 법의 엄격한 제한을 완화하여 필리핀 이민자 쿼터를 연간 100명으로 늘리고 필리핀인에게 미국 시민으로 귀화할 권리를 부여했다.[11] 필리핀인은 이 법이 없었다면 아시아 배제 구역 법에 따라 미국 이민이 금지되었을 것이다. 이틀 후인 1946년 7월 4일, 필리핀은 마닐라 조약 서명으로 독립했다.
4. 영향 및 결과
필리핀 독립법은 필리핀의 독립과 이민에 큰 영향을 미쳤다.
헤어-호스-커팅 법은 필리핀 독립을 위한 초기 시도였으나, 마누엘 L. 케손의 반대로 실패했다. 이후 케손은 "필리핀 독립 사절단"을 이끌고 미국 의회를 설득하여 1934년 필리핀 독립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에 따라 1935년 필리핀 헌법이 제정되고 필리핀 연방이 수립되었다. 10년의 과도 정부 기간 후 1946년 7월 4일,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필리핀의 독립을 공식 인정했다.[8]
필리핀 독립법은 미국 내 필리핀인을 외국인으로 재분류하고 연간 50명의 이민 할당량을 설정했다.[1] 그러나 하와이 농장주들의 로비로 이민은 계속되었다.[9] 이 법은 1935년 필리핀 송환법과 1924년 이민법의 아시아인 배제 정책으로 이어져 많은 필리핀인들이 어려움을 겪었다.[9]
1946년 1946년 루스-셀러 법으로 이민 할당량이 100명으로 늘고 미국 시민권 취득 권리가 부여되었다.[11] 같은 해 7월 4일, 마닐라 조약으로 필리핀은 독립했다.
4. 1. 필리핀 독립
필리핀 독립의 최종 날짜를 정하려는 시도는 1933년 헤어-호스-커팅 법에서 처음 나타났다. 의회는 후버 대통령의 거부권을 무효화하고 이 법을 통과시켰지만, 독립에 대한 구체적인 일정을 만들지는 못했다. 이 법의 시행을 위해서는 필리핀 상원의 동의가 필요했는데, 당시 상원 의장 마누엘 L. 케손이 미국의 군사 기지를 섬에 영구적으로 주둔시킬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 조항을 이유로 법안을 거부하도록 설득하여 결국 실패했다. 따라서 의회는 이러한 불만을 해결하고 식민지의 독립 일정을 최종적으로 확정하기 위해 새로운 법안을 작성해야 했다.[3]
1934년, 필리핀 상원 의장인 마누엘 L. 케손은 워싱턴 D.C.로 "필리핀 독립 사절단"을 이끌었다. 그는 의회에 로비를 벌여 이 법안의 통과를 확보했다.[4]
1935년, 이 법의 조항에 따라 1935년 필리핀 헌법이 초안되어 법으로 제정되었고, 선출된 행정부 수반인 필리핀 대통령을 둔 필리핀 연방이 수립되었다.[5][6] 연방은 10년 동안 지속되는 과도 정부가 될 예정이었으며, 1946년 7월 4일에 독립이 부여될 예정이었다.[7]
이에 따라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1946년 7월 4일 포고령 2695호를 발표하여 필리핀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8]
4. 2. 이민 문제
이 법은 미국으로의 이민을 목적으로 미국에 거주하는 필리핀인을 포함한 모든 필리핀인을 외국인으로 재분류하여, 연간 50명의 이민자 할당량을 정했다.[1] 이 법 시행 전에는 필리핀인들은 미국 국민으로 분류되었지만 미국 시민은 아니었고, 비교적 자유롭게 이주할 수 있었으나 미국 본토에서 태어난 시민이 아닌 한 미국 내에서 귀화 권한은 없었다.[2]이민 쿼터는 낮았지만,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주와 같은 농업 로비의 강세로 인해 이민은 법적 쿼터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계속되었다.[9] 이들은 필요성을 입증하면 더 많은 필리핀 남성 농업 노동자를 허용하도록 연방 정부에 로비할 수 있었고, 이는 한때 섬 농업 노동자의 25%를 차지했던 하와이의 필리핀 인구를 더욱 증가시켰다.[9]
이 법은 1935년 필리핀 송환법으로 이어졌다.[10] 또한, 1924년 이민법의 아시아인 배제 정책을 전 영토로 확장했다. 이로 인해 미국 내 많은 필리핀인은 필리핀으로 돌아가더라도 아시아인의 미국 이민 제한 때문에 다시는 미국으로 돌아올 수 없게 되어 국내 생활에 방해를 받았다.[9]
1946년, 미국은 1946년 루스-셀러 법으로 타이딩스-맥더피 법의 엄격한 제한을 완화하여 필리핀 이민자 쿼터를 연간 100명으로 늘리고 필리핀인에게 미국 시민으로 귀화할 권리를 부여했다.[11] 이 법이 없었다면 필리핀인은 아시아 배제 구역 법에 따라 미국 이민이 금지되었을 것이다. 이틀 후인 1946년 7월 4일, 필리핀은 마닐라 조약 서명으로 독립했다.
참조
[1]
법규
USStatute
1934-03-24
[2]
서적
Encyclopedia of multicultural psychology
https://books.google[...]
SAGE
2009-09-27
[3]
웹사이트
Hare–Hawes–Cutting Act
https://www.britanni[...]
2024-03-24
[4]
서적
The Philippines: A Unique Nation
https://books.google[...]
All-Nations Publishing Co.
[5]
학술지
Constitutional Law in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American Bar Association
2021-02-02
[6]
서적
Background Notes,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State, Bureau of Public Affairs, Office of Public Communication, Editorial Division
2021-02-02
[7]
웹사이트
Tydings-McDuffie Act
https://www.britanni[...]
2024-03-24
[8]
웹사이트
Proclamation 2695 of July 4, 1946 "In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https://www.archives[...]
2016-08-15
[9]
서적
The Filipino Americans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1999
[10]
서적
Encyclopedia of Minorities in American Politics: African Americans and Asian American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1]
서적
Multicultural America: An Encyclopedia of the Newest American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