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1971년~200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나은행 (1971년~2002년)은 1971년 한국투자금융으로 설립되어 1991년 하나은행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은행업을 시작했다. 1998년 충청은행을 인수, 1999년 보람은행과 합병했으며, 2002년 서울은행과 대등합병했다. 2005년 하나금융그룹의 완전 자회사가 되었으며, 2015년 한국외환은행과 합병하여 KEB하나은행으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나금융그룹의 이전 자회사 - 흥업백화점
흥업백화점은 1991년 개점하여 청주시의 주요 백화점으로 운영되었으나, 2011년 인수 후 매출 부진과 경쟁 심화로 인해 2015년 매각 시도 후 폐업하고, 2016년 한웰이 건물을 인수했다. - 한국의 없어진 은행 - 한국주택은행
- 한국의 없어진 은행 - 국민은행 (1963년~2001년)
1963년 국민은행법에 의해 설립된 국민은행은 IMF 외환 위기 당시 대동은행 인수 및 한국장기신용은행 합병 후 2001년 한국주택은행과 합병하여 KB국민은행으로 재출범하며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 하나금융그룹 - 부천 하나은행
부천 하나은행은 1997년 창단되어 부천을 연고지로 하는 대한민국의 여자 프로농구단으로, 하나금융그룹에 인수된 후 팀명을 변경하며 운영되고 있으며, WKBL 챔피언결정전에서 4회 우승을 차지하는 등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나 국적 위조 사건으로 징계를 받기도 했다. - 하나금융그룹 - 하나은행
하나은행은 1971년 한국투자금융으로 설립, 1991년 사명 변경 후 여러 금융기관과의 합병을 거쳐 성장한 대한민국의 시중은행으로, 국내외 영업망을 통해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제 외환 업무에 강점을 가지고 25개국에 걸쳐 글로벌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하나은행 (1971년~2002년)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형태 | 주식회사, 대기업 |
창립 | 1971년 6월 25일 |
해체 | 2002년 11월 30일 |
이전 상호 | 한국투자금융(주) (1971 ~ 1991) |
시장 정보 | 비상장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1가 101-1 |
사업 지역 | 대한민국 |
대표자 | 김승유 |
산업 | 금융 |
서비스 | 국내은행 |
주주 | Allianz Finance B.V: 10.83% 알리안츠 생명보험: 0.99% (2002.11.25 기준) |
종업원 | 정보 없음 |
연혁 | |
이전 회사 | 하나은행 |
이후 회사 | KEB하나은행 (2015년 합병) -> 하나은행 (2020년 사명 변경) |
관련 링크 | |
영어 | en |
2. 연혁
- 1971년 - '''한국투자금융''' 설립
- 1991년 - 상호를 하나은행으로 변경, 은행업 시작
- 1998년 - 충청은행을 인수하여 충청하나은행 출범(현 하나은행 충청영업그룹)
- 1999년 - 보람은행과 대등합병
- 2002년 - 서울은행과 대등합병
2. 1. 한국투자금융 시절 (1971년~1991년)
1971년에 '''한국투자금융'''이 설립되었다.2. 2. 하나은행 시절 (1991년~2015년)
1991년 한국투자금융은 상호를 '''하나은행'''으로 변경하고 은행업을 시작했다.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에는 1998년 충청은행을 인수하여 충청하나은행(현 하나은행 충청영업그룹)을 출범시켰고, 1999년에는 보람은행과, 2002년에는 서울은행과 대등합병을 진행했다. 이러한 연이은 합병을 통해 국내 예금액은 67조원으로 4위 규모로 성장했다.2005년 12월, 하나은행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여 하나금융그룹의 완전 자회사가 되었다. 하나금융그룹의 주식은 한국증권거래소 (증권 코드: 086790) 및 런던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었다. 하나금융그룹 산하에는 하나증권, 대한투자증권 등 증권 회사와 신용 카드, 손해 보험 등의 자회사를 두었다. 또한 독일의 보험 대기업인 알리안츠로부터 자본을 유치하여 전략적 제휴 관계를 맺기도 했다.
2012년에는 론스타로부터 한국외환은행 주식을 인수하여 하나금융그룹에 편입시켰다. 이후 2015년 9월, 한국외환은행을 존속 법인으로 하여 하나은행과 합병하였고, 행명을 "KEB 하나은행"으로 변경했다. 이 합병으로 총자산 기준 국내 1위였던 KB국민은행을 넘어서는 국내 최대 은행이 탄생했다[2]。
한편, 하나은행은 일본 금융청 분류상 "외국 은행"으로 통일 금융 기관 코드 0480을 부여받았으며, 도쿄도 지요다구에 도쿄 지점을 운영했다. 한국외환은행과의 합병 후 이 지점은 한국외환은행 도쿄 지점으로 통합되어 폐쇄되었고, 통일 금융 기관 코드 및 지점 코드는 한국외환은행(KOEX)의 것을 승계했다. 구 하나은행 계좌는 합병 후에도 사용 가능했으나, 현금 카드 발행 등 일부 서비스는 제한되어 합병 후 구 한국외환은행 시스템 기반의 신규 계좌 개설이 필요했다.
중국 관련 사업에도 관심을 기울여, 조선족이 많이 거주하는 지린성의 길림은행 주식을 2008년에 취득했다[3]。
하나은행은 대한축구협회(KFA)의 공식 스폰서였으며, 이자의 일부가 협회 강화비 및 서포터 지원에 사용되는 예금 상품을 제공하기도 했다. 또한 국내 최고 클럽팀을 가리는 FA컵의 메인 스폰서 역할도 수행했다. 은행명 '하나'는 한국어로 숫자 '1' 또는 '유일함'을 의미한다.
2. 3. KEB하나은행 시절 (2015년~현재)
2015년 9월, 한국외환은행을 존속 법인으로 하여 합병하고, 행명을 '''KEB하나은행'''으로 변경했다. 이 합병을 통해 총자산 기준으로 KB국민은행을 넘어서며 국내 최대 규모의 은행이 되었다.[2]일본에서는 금융청으로부터 "외국 은행"으로 분류되었으며(통일 금융 기관 코드 0480), 도쿄도 지요다구에 도쿄 지점을 운영했다. 하지만 한국외환은행과의 합병 이후, 해당 지점은 구 한국외환은행 도쿄 지점으로 통합되면서 폐쇄되었다. 통합 후 통일 금융 기관 코드 및 지점 코드는 구 한국외환은행(KOEX)의 것을 승계했으며, 금융기관명의 일본어 표기(가나)는 '하나(ハナ)'로 변경되었다. 기존 하나은행 계좌는 계속 사용 가능하지만, 합병 이후 신규 계좌 개설이나 현금카드 발급 등은 구 한국외환은행 시스템을 따르게 되었다. 따라서 구 하나은행 계좌 이용자는 일부 서비스 이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필요시 구 한국외환은행 계좌로 이관하거나 신규 개설해야 한다. 일본 내 은행 간 전산망(전은 시스템) 접속 역시 합병 후에는 구 한국외환은행 계좌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대한축구협회(KFA)의 공식 후원사로서 활동하고 있으며, 예금 이자의 일부를 축구협회 발전 기금 및 서포터 지원에 사용하는 금융 상품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축구 클럽 최강자를 가리는 FA컵의 메인 스폰서를 맡고 있다. 은행명 '하나'는 하나|하나한국어라는 의미의 고유어이다.
3. 해외 사업
하나은행은 해외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일본에서는 도쿄에 지점을 운영하였으나, 이후 한국외환은행과의 통합 과정에서 해당 지점 운영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중국 시장에도 진출하여 조선족이 많이 거주하는 지린성의 길림은행 지분을 2008년에 취득하는 등 중국 관련 사업을 중시했다[3]. 또한 독일의 주요 보험 그룹인 알리안츠로부터 자본을 유치하고 전략적 제휴 관계를 맺기도 했다. 한편, 하나은행의 지주회사인 하나금융그룹은 런던 증권 거래소에도 상장되어 국제적인 금융 활동을 이어갔다.
3. 1. 일본
일본 금융청에서는 하나은행을 '외국 은행'으로 분류했으며, 통일 금융 기관 코드는 0480을 부여받았다. 도쿄도 지요다구에 도쿄 지점을 운영했으나, 한국외환은행과의 합병 이후 해당 지점은 한국외환은행 도쿄 지점으로 통합되면서 폐쇄되었다. 통합 후 금융 기관 코드 및 지점 코드는 구 한국외환은행(KOEX)의 것을 사용하게 되었고, 금융 기관명의 일본어 표기(가나)는 '하나'로 변경되었다.합병 이전에 구 하나은행 도쿄 지점에서 개설한 계좌는 합병 후에도 계속 사용 가능하지만, 현금 카드 발급 등 일부 서비스 이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이는 합병으로 구 하나은행 계좌가 일본의 은행 공동 시스템(전은 시스템)에 직접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합병 이후 신규 계좌 개설이나 완전한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구 한국외환은행 시스템 기반의 계좌를 이용해야 한다. 일본의 은행 공동 시스템(전은 시스템) 역시 합병 이후에는 구 한국외환은행(KOEX) 계좌만 접속 가능하다. 기존 한국외환은행 이용자 입장에서는 금융 기관명의 일본어 표기만 '간코쿠가이칸'에서 '하나'로 바뀐 셈이다.
3. 2. 중국
중국 관련 사업도 중시하여, 조선족이 많이 거주하는 지린성의 길림은행 주식을 2008년에 취득했다[3].4. 사회공헌
하나은행은 대한축구협회(KFA)의 스폰서로서 활동했다. 이와 관련하여 예금 이자의 일부를 축구협회 강화 비용 및 서포터 지원에 사용하는 예금 상품을 제공하기도 했다. 또한, 연말에 열리는 국내 최고 클럽팀 토너먼트 대회인 FA컵의 메인 스폰서를 맡기도 했다.
참조
[1]
문서
銀行統合に関するご挨拶およびご案内
http://www.koex.jp/d[...]
KEBハナ銀行日本支店
2015-09-01
[2]
뉴스
韓国・ハナ銀と外換銀の合併認可 総資産1位に=来月発足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5-08-19
[3]
문서
韓亜銀行(ハナ銀行)、吉林銀行の株式を取得
http://www.jlbank.co[...]
2008-00-00 # 년도만 제공됨. 월일 정보 없음.
[4]
보고서
반기보고서 (제 65 기 반기)
http://dart.fss.or.k[...]
금융감독원
2015-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