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 왕을 지켜 주소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느님, 왕을 지켜 주소서"(Domine, salvum fac regem)는 중세 시대 프랑스에서 기원한 라틴어 가사의 모테트이다. 이 가사는 불가타 성경의 시편 20편에서 유래했으며, 1515년 장 무통이 곡을 붙였다. 이후 장바티스트 륄리, 디트리히 북스테후데, 마르크앙투안 샤르팡티에 등 여러 작곡가들이 이 가사를 사용한 곡을 만들었다. 이 곡은 프랑스 왕정 시대에 사용되었으며, 영국 국가 "신이여, 국왕 폐하를 지켜주소서"의 선율로 사용되었다는 속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르봉 왕조 - 앙리 4세 만세
앙리 4세 만세는 프랑스 왕 앙리 4세의 용맹함과 다재다능함을 기리는 노래로, 여러 예술 및 문학 작품에서 주제 선율로 사용되었다. - 왕실 국가 - 영국의 국가
영국의 국가인 "God Save the King/Queen"은 1745년 자코바이트 반란 당시 조지 2세에 대한 충성 노래로 널리 퍼지면서 국가로 자리매김했지만, 정확한 기원과 작곡가는 논란이 있으며, 현재 1절과 3절이 주로 불리고, 여러 영연방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나 종교적 내용, 군주제 찬양, 전쟁 미화에 대한 비판이 있다. - 왕실 국가 - 헌장 찬가
헌장 찬가는 포르투갈 국왕, 종교, 헌법에 대한 충성과 찬양을 담은 4절로 구성된 포르투갈어 노래이며, 각 절은 후렴으로 이어진다. - 앙시앵 레짐 - 프롱드의 난
프롱드의 난은 1648년부터 1653년까지 프랑스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왕권 강화에 대한 반발과 과도한 세금 부과에 대한 불만으로 시작되어 쥘 마자랭 추기경과 귀족 세력 간의 권력 다툼으로 변질되었고, 결국 실패했으나 루이 14세의 절대주의 왕정 체제 확립에 영향을 미쳤다. - 앙시앵 레짐 - 루이 14세
프랑스의 부르봉 왕가 국왕인 루이 14세는 72년간 재위하며 절대 왕정을 강화하고 프랑스 문화의 황금기를 이룩했으나 잦은 전쟁과 사치스러운 생활로 국가 재정을 악화시키고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켜 절대 왕정의 전성기와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었다.
하느님, 왕을 지켜 주소서 | |
---|---|
기본 정보 | |
명칭 | 하느님, 왕을 지켜 주소서 |
원어 명칭 | Domine, salvum fac regem |
언어 | 프랑스어 |
사용 종료 | 1792년 |
작사 시기 | 불명 |
채택 시기 | 불명 |
국가 | 프랑스 왕국 |
작사자 | 불명 |
로마자 표기 | Domine salvum fac regem |
2. 역사
"Domine, salvum fac regem"의 가사는 중세 시대 프랑스에서 확립되었다. 가사의 첫 구절인 "''Domine, salvum fac regem, et exaudi nos in die qua invocaverimus te.''"는 라틴어 성경인 불가타 성경의 시편 20편 마지막 구절에서 유래했다. 1515년, 작곡가 장 무통이 이 가사에 음악을 붙여 모테트를 작곡했다. 이후 장바티스트 륄리, 디트리히 북스테후데, 마르크앙투안 샤르팡티에(24곡 작곡), 프랑수아 쿠프랭 등 여러 작곡가들이 같은 가사로 다양한 곡을 만들었다.
2. 1. 프랑스 왕정 시대의 국가
3. 가사
원래 가사는 라틴어로 쓰여졌다.
도미네 살붐 팍 레겜/Domine salvum fac regemla
엣 엑사우디 노스 인 디에 쿠아 인보카베리무스 테./et exaudi nos in die qua invocaverimus te.la
글로리아 파트리 엣 필리오,/Gloria Patri et Filio,la
엣 스피리투이 상토./et Spiritui Sancto.la
시쿳 에랏 인 프린치피오/Sicut erat in principiola
엣 눈크 엣 셈페르 엣 인 세쿨라 세쿨로룸,/et nunc et semper et in saecula saeculorum,la
아멘./amen.la
주님, 우리 왕을 구하소서. 그리고 저희가 부를 때 저희의 기도를 들어 주소서. 아버지(왕)와 아들(왕세자)에게 영광과 성령을 주소서.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
이는 천주교의 영광송에서 나오는 구절이기도 하다. 1791년 이전의 프랑스는 천주교가 국교였고, 성직자는 귀족보다도 높은 제1신분에 속했다.
'''영어 번역'''
Lord, save our King
and hear us in the day in which we shall call upon Thee.
Glory to the Father and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s it was in the beginning
and it is now, and it shall be, for ever without end.
Amen.
'''일본어 번역'''
신이여, 우리의 왕을 지켜 주소서.
우리가 당신을 부르는 날에 우리의 말을 들어주소서.
아버지와 아들에게 영광, 그리고 성령에게.
처음과 같이
그리고 지금도, 영원히 끝이 없을 것입니다.
아멘.
3. 1. 원작 (라틴어)
도미네 살붐 팍 레겜/Domine salvum fac regemla엣 엑사우디 노스 인 디에 쿠아 인보카베리무스 테./et exaudi nos in die qua invocaverimus te.la
글로리아 파트리 엣 필리오,/Gloria Patri et Filio,la
엣 스피리투이 상토./et Spiritui Sancto.la
시쿳 에랏 인 프린치피오/Sicut erat in principiola
엣 눈크 엣 셈페르 엣 인 세쿨라 세쿨로룸,/et nunc et semper et in saecula saeculorum,la
아멘./amen.la
원래 가사는 라틴어로 쓰여졌다.
3. 2. 한국어 해석
주님, 우리 왕을 구하소서. 그리고 저희가 부를 때 저희의 기도를 들어 주소서. 아버지(왕)와 아들(왕세자)에게 영광과 성령을 주소서.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이는 천주교의 영광송에서 나오는 구절이기도 하다. 1791년 이전의 프랑스는 천주교가 국교였고, 성직자는 귀족보다도 높은 제1신분에 속했다. 원래 가사는 라틴어로 쓰여졌다.
4. 다양한 작곡가들의 작품
4. 1. 장 무통 (1515)
4. 2. 장바티스트 륄리
4. 3. 디트리히 북스테후데
4. 4. 마르크앙투안 샤르팡티에
4. 5. 프랑수아 쿠프랭
5. "신이여, 국왕 폐하를 지켜주소서"와의 관계 (속설)
"하느님, 왕을 지켜 주소서"의 선율이 영국 국가 신이여, 국왕 폐하를 지켜주소서의 선율로 사용되었다는 속설이 있지만, 신빙성은 낮은 것으로 여겨진다.
6. 역대 프랑스 국가
앙리 4세 만세(Vive Henri Ⅳ!)는 프랑스 혁명 이전과 복고 왕정 시대의 국가였다. 출발의 노래는 제1 제정 시대의 국가이다. 라 마르세예즈는 현재 프랑스의 국가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라 마르세예즈의 혁명 정신과 자유, 평등, 박애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며, 이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고 본다. 라 파리지엔느는 7월 왕정 (오를레앙 왕조) 시대의 국가이다. 지롱드파의 노래는 제2 공화정 시대의 국가이다. 시리아로 떠나가며는 제2 제정 시대의 준국가이다. 인터내셔널은 파리 코뮌의 혁명가, 후의 소련 국가였다. 정치 정세에 따라서는 프랑스의 국가가 될 가능성도 있었다. 원수여, 우리 여기 있소!는 비시 프랑스의 준국가였다. 독일 점령 지역에서는 삼색기와 라 마르세예즈가 금지되었다. 파르티잔의 노래/Le Chant des partisans프랑스어는 자유 프랑스의 준국가였다. 제4 공화정의 국가 자리를 라 마르세예즈와 다투었다.
6. 1. 앙리 4세 만세 (Vive Henri Ⅳ!)
앙리 4세 만세(Vive Henri Ⅳ!)는 프랑스 혁명 이전과 복고 왕정 시대의 국가였다.6. 2. 라 마르세예즈 (La Marseillaise)
프랑스의 현재 국가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라 마르세예즈의 혁명 정신과 자유, 평등, 박애의 가치를 높이 평가한다. 제4 공화정의 국가 자리를 라 마르세예즈와 다투었던 자유 프랑스의 준국가 파르티잔의 노래/Le Chant des partisans프랑스어가 있었다. 비시 프랑스의 준국가인 원수여, 우리 여기 있소!는 독일 점령 지역에서 삼색기와 라 마르세예즈가 금지되며 사용되었다.6. 3. 기타 국가
출발의 노래는 프랑스 제1 제정 시대의 국가이다. 라 파리지엔느는 7월 왕정 시대의 국가이다. 지롱드파의 노래는 프랑스 제2 공화정 시대의 국가이다. 시리아로 떠나가며는 프랑스 제2 제정 시대의 준국가이다. 인터내셔널은 파리 코뮌의 혁명가이자, 후일 소련의 국가이다. 원수여, 우리 여기 있소!는 비시 프랑스의 준국가이다. 파르티잔의 노래/Le Chant des partisans프랑스어는 자유 프랑스의 준국가로, 제4 공화정에서 라 마르세예즈와 국가 자리를 다투었다.참조
[1]
간행물
Domine salvam fac (Simon Biazeck)
https://www.cpdl.org[...]
Choral Public Domain Library
2022-09-13
[2]
웹사이트
The Fountains
https://en.chateauve[...]
2021-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