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얌 우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얌 우룩은 1334년에 태어난 마자파힛 제국의 왕으로, 1350년 왕위에 올라 스리 라자사나가라 자야위슈누와르다나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가자 마다의 섭정 하에 마자파힛 제국을 확장하고, 1365년에는 하얌 우룩을 찬양하는 나가라크레타가마가 저술되었다. 그는 중국에 사절단을 파견하고, 순다 왕국과의 결혼이 부밧 전투로 비극적으로 끝나는 등 개인적인 사건들을 겪었다. 그의 사후에는 왕위 계승을 둘러싼 내전인 레그레그 전쟁이 발발하며 마자파힛 제국은 쇠퇴했다. 하얌 우룩은 힌두교와 산스크리트화를 통해 자바 문화의 인도화를 촉진하는 등 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자파힛 제국의 마하라자 - 라덴 위자야
    라덴 위자야는 싱하사리 왕국의 왕자 설이 있으며, 원나라의 침략을 물리치고 마자파힛 왕국을 건국하여 크리타라자사 자야바르다나 칭호를 사용하고, 유능한 군주로서 정치를 펼치다가 1309년에 사망했다.
  • 마자파힛 제국의 마하라자 - 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
    14세기 마자파힛 제국의 여왕인 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는 케르타라자사 자야와르다나 왕과 가야트리 라자파트니 왕비의 딸로, 가자 마다의 지원을 받아 제국을 확장하고 1350년 퇴위 후에도 국정에 참여했다.
  • 1334년 출생 - 변안렬
    변안렬은 고려 말 무신으로,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하고 이성계와 함께 황산대첩에서 왜적을 격파했으나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와 대립하다가 우왕 복위 사건에 연루되어 순절했다.
  • 1334년 출생 - 루도비코 2세 곤차가
    루도비코 2세 곤차가는 곤차가 가문 출신으로 1369년부터 1382년까지 만토바를 통치하며 비스콘티 가문과의 우호 관계 유지, 베네치아와의 무역, 요새 건설을 통해 만토바의 번영과 방어력 강화, 내부 권력 공고화에 힘썼다.
  • 1389년 사망 - 드미트리 돈스코이
    드미트리 돈스코이는 킵차크 칸국 군대를 쿨리코보 전투에서 격파하여 '돈스코이' 칭호를 얻고 모스크바 크렘린을 건설했으며 몽골의 침입에 맞서 싸운 모스크바 대공이자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사후 정교회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389년 사망 - 무라트 1세
    무라트 1세는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서 발칸 반도 정복, 영토 확장, 예니체리 군단 창설 등 제국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나, 코소보 전투 직후 암살당했다.
하얌 우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하얌 우룩의 현대 예술가 인상
하얌 우룩의 현대 예술가 인상
칭호파두카 스리 티크타윌와나gareswara 스리 라자사나가라 namarajabhiseka Garbhotpattinama Dyah Sri Hayamwuruk
Çri Nata Rajasanagara
Çri Nata Wilwatikta
즉위명Çri Rajasanagara Jayawishnuwardhana
사후 이름Bhatāra Hyang Wekas ing Sukha
신상 정보
출생명Dyah Hayam Wuruk
출생1334년
출생지마자파힛 왕국
사망1389년 (54–55세)
사망지마자파힛 왕국
매장지알 수 없음
매장일알 수 없음
가족 관계
부친Kertawardhana Dyah Cakradhara, 1st Prince of Tumapel
모친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 여왕
배우자Paduka Sori (1388년 사망)
자녀Kusumawardhani, Lasem의 3번째 공주
Wirabhumi의 2번째 왕자
종교
종교알 수 없음
통치 정보
왕조라자사 왕조
직위제4대 마하라자
통치 기간1350년 – 1389년
이전 통치자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
후임 통치자위크라마와르다나
직위제2대 카후리판 왕자
통치 기간ca. 1334년 – 1350년
이전 통치자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
후임 통치자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

2. 어린 시절

나가라크레타가마 1장 4절과 5절에 따르면, 하얌 우룩은 샤카 연도 1256년(서기 1334년)에 태어났다. 같은 해에 자바의 켈루트산이 분출하였다. 나가라크레타가마의 저자 음푸 프라판카는 이것이 '바타라 기리나타'(자바에서 말하는 힌두교의 시바 마하데와)가 자바 왕으로 환생하여 세상에 나타났다는 신성한 징조라고 주장했다.[9]

파라라톤과 나가라크레타가마는 모두 하얌 우룩이 잘생기고 밝으며 유능하고, 활쏘기와 칼싸움 등 궁정 무예에서 탁월한 능력을 보였으며, 정치, 힌두 경전, 예술, 음악에도 정통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하얌 우룩은 궁정에서 재주가 많은 의례 무용가였으며, 일부 기록에서는 전통 의례 자바 가면 무극인 토펭 댄스 공연을 언급하기도 한다. 모친 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 여왕은 하얌 우룩이 차기 군주가 될 수 있도록 교육하고 돌보았다.

2. 1. 가계와 가족 관계

하얌 우룩은 '학자 수탉'이라는 뜻이다. 그는 마자파히트의 여왕 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와 왕자 케르타와르다나(혹은 카크라다라)의 유일한 아들이었다. 모친은 마자파히트의 건국자 라덴 위자야의 딸이며, 아버지는 싱하사리 왕국의 국왕 '브레 투마펠'(투마펠 공작)이었다. 트리부와나 즉위 당시, 하얌 우룩은 '쿠마라라자 지와나'[10]라고 불렸는데, 이는 지와나 혹은 카후리판의 부왕이라는 뜻이다.[4]

그는 파장 여공작 이스와리 공주라는 여동생이 한 명 있었다. 나가라크레타가마에 따르면 파장 여공작은 케르타와르다나의 딸이므로, 하얌 우룩의 친여동생이다. 그러나 나가라크레타가마는 이스와리 이전에 하얌 우룩의 또 다른 여동생으로 라셈 여공작 인두데비 공주를 언급하는데, 그녀는 위자야라자사의 딸이었다. 따라서 나가라크레타가마의 저자는 인두데비 공주가 하얌 우룩의 사촌 여동생임을 밝힌 것이다. 반면 파라라톤은 라자데비와 위자야라자사는 결혼 후 자식이 없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3. 통치

1350년, 가야트리 라자파트니가 불교 사원에서 은퇴 생활 중에 사망하였다. 가야트리는 마자파히트 건국자 라덴 위자야의 아내이자, 트리부와나 여왕의 모친이며, 하얌 우룩의 할머니였다. 트리부와나 여왕은 가야트리의 비호 아래 여왕이 되어 마자파히트를 통치했기 때문에, 왕위를 아들에게 물려주어야 했다.

하얌 우룩은 16세에 왕위를 물려받았고, '''스리 라자사나가라 자야위쉬누와르다나'''라는 왕호를 칭하였다. 당시 재상이었던 가자 마다의 통치 아래 마자파히트는 누산타라 전역에 걸쳐 확장하였다. 하얌 우룩은 1370년과 1381년에 중국에 사절단을 보내었다.[7]

3. 1. 가자 마다의 섭정과 영토 확장

가야트리 태후는 불교 사찰에서 은퇴 후 1350년에 사망했다. 그녀는 마자파힛의 초대 국왕 케르타라자사 자야와르다나의 주요 왕비이자 하얌 우루크의 할머니였다. 트리부와나 여왕은 가야트리의 후원 아래 마자파힛을 통치했기 때문에 퇴위해야 했고,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어야 했다.

하얌 우루크 왕자는 1350년 16세의 나이로 새로운 칭호인 스리 라자사나가라 자야위슈누와르다나로 왕위를 계승했다. 당시, ''마하파티''(총리) 가자 마다는 경력의 정점에 있었다. 그의 통치하에 마자파힛은 누산타라 인도네시아 군도 전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1365년(1287 사카 시대), 엠푸 프라판카는 하얌 우루크 왕에 대한 고대 자바 찬가인 ''나가라크레타가마''를 저술했다.[5] 이 원고는 하얌 우루크의 마자파힛 영토 순방, 마을 방문, 성지, 속국, 동자바 영토 등을 묘사했다. 그는 1370년부터 1381년까지 중국에 사절을 파견했다.[1]

3. 2. 나가라크레타가마와 왕의 순행

1365년(샤카 연도 1287년), 음푸 프라판카는 하얌 우룩에 대한 찬사인 카카윈을 저술했고, 이는 나가라크레타가마로 전해진다.[11] 나가라크레타가마에는 하얌 우룩이 마자파히트 영역 내 여러 마을, 사원, 속국, 동자바 내 영토를 순시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3. 3. 대외 관계

1350년, 가야트리 태후는 불교 사찰에서 은퇴 후 사망했다. 그녀는 마자파힛의 초대 국왕 케르타라자사 자야와르다나의 주요 왕비이자 하얌 우루크의 할머니였다. 트리부와나 여왕은 가야트리의 후원 아래 마자파힛을 통치했기 때문에 퇴위해야 했고,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어야 했다.

하얌 우루크 왕자는 1350년 16세의 나이로 새로운 칭호인 스리 라자사나가라 자야위슈누와르다나로 왕위를 계승했다. 당시, ''마하파티''(총리) 가자 마다는 경력의 정점에 있었다. 그의 통치하에 마자파힛은 누산타라 인도네시아 군도 전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1365년(1287 사카 시대), 엠푸 프라판카는 하얌 우루크 왕에 대한 고대 자바 찬가인 ''나가라크레타가마''를 저술했다.[5] 이 원고는 하얌 우루크의 마자파힛 영토 순방, 마을 방문, 성지, 속국, 동자바 영토 등을 묘사했다. 그는 1370년부터 1381년까지 중국에 사절을 파견했다.[1]

4. 개인의 생애

하얌 우룩은 디아 피타로카 시트라레스미와의 비극적인 결혼 이후, 친척인 파두카 소리와 결혼하여 딸 쿠수마와르다니 공주를 낳았다. 쿠수마와르다니는 마타람 왕자 위크라마와르다나와 결혼했다. 하얌 우룩은 첩과의 사이에서 아들을 얻었으며, 이 아들은 나가라와르다니와 결혼하여 제2 위라부미 왕자가 되었다. 1389년 하얌 우룩이 사망한 후, 왕위 계승을 둘러싼 위크라마와르다나와 위라부미 간의 대립(레그레그 전쟁)으로 마자파힛은 혼란에 빠져 쇠퇴하였다.

싱가사리와 마자파힛의 왕족인 라자사 왕조의 계보도. 통치자는 통치 기간과 함께 강조 표시됩니다.

4. 1. 부밧 전투와 비극적인 결혼

파라라톤과 키둥 순다에 따르면, 1357년 하얌 우룩은 순다 왕국과 갈루 왕국의 연합 왕국인 순다-갈루 왕국의 링가부아나 왕의 딸 디아 피타로카 시트라레스미와 결혼할 예정이었다. 그녀는 매우 아름다운 공주로 알려졌지만, 이 결혼은 마자파히트와 순다-갈루 왕국 간의 동맹을 위한 정치적인 목적이었다. 그러나 부밧 전투에서 순다 왕족과 경호군은 마자파힛 군대와 전투를 벌였고, 이 과정에서 공주와 순다 왕족 전체가 사망하는 비극적인 결과로 이어졌다. 피타로카는 17세의 나이에 자살하였다. 마자파힛 왕실 관료들은 순다 왕국의 항복을 요구하다가 유혈 사태를 초래한 가자 마다에게 책임을 물었다.

결국 하얌 우룩은 친척인 파두카 소리와 결혼했다. 파두카 소리는 위자야라자사와 첩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하얌 우룩의 이모에게 입양되었다. 파두카 소리는 매우 아름다웠다고 전해지며, 수숨나와 관련이 있었다.

4. 2. 파두카 소리와의 결혼과 후계자

파라라톤과 키둥 순다에 따르면, 1357년 하얌 우룩은 순다 왕국과 갈루 왕국의 연합 왕국인 순다-갈루 왕국의 링가부아나 왕의 딸 디아 피타로카 시트라레스미와 결혼할 예정이었다. 그녀는 매우 아름다운 공주로 묘사되었지만, 이 왕실 결혼은 마자파히트와 순다-갈루 왕국의 동맹을 강화하기 위한 정치적인 목적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부밧 전투에서 순다 왕족과 경호군이 마자파힛 군대와 전투를 벌였다. 이 과정에서 공주와 순다 왕족 전체가 사망하는 비극적인 결과로 결혼은 파혼되었다. 피타로카는 17세의 나이에 자살하였다. 마자파힛 왕실 관료들은 순다 왕국의 항복을 요구하다 유혈 사태를 일으킨 가자 마다에게 책임을 돌렸다.

결국 하얌 우룩은 친척인 파두카 소리와 결혼했다. 그녀는 위자야라자사와 첩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하얌 우룩의 이모의 양녀였다. 파두카 소리는 매우 아름다웠다고 전해진다.

이들 사이에는 쿠수마와르다니 공주라는 딸이 한 명 있었으며, 카발란 공주라는 칭호를 받았다. 하얌 우룩은 쿠수마와르다니를 그녀의 사촌이자 마타람 왕자인 위크라마와르다나와 결혼하도록 했다. 이때 쿠수마와르다니는 불과 7살이었고 위크라마와르다나는 12살이 채 되지 않았다.[12] 위크라마와르다나의 모친은 하얌 우룩의 여동생 이스와리 공주였다. 쿠수마와르다니는 아름다운 눈과 날씬한 몸을 가진 완벽한 공주로 묘사되었을 뿐만 아니라, 아름다움으로 인해 칭찬을 받기도 했다. 위크라마와르다나의 통치 동안, 파라라톤에는 그녀가 '라셈의 아름다운 공주'라는 뜻의 '''브레 라셈 상 아하유(Bhre Lasem Sang Ahayu)''' 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하얌 우룩은 첩과의 사이에서 아들 한 명을 얻었다. 이 아들은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뚱뚱한 라셈 공주'라는 뜻을 가진 '브레 라셈 상 알레무(Bhre Lasem Sang Alemu)'라는 별명을 가진 나가라와르다니와 결혼하였고, 이를 통해 제2 위라부미 왕자라는 칭호를 얻었다.

5. 유산

하얌 우룩의 통치는 인도권의 일부로서 힌두교 전파와 산스크리트화를 통해 자바 문화의 인도화를 진전시켰다.[1][3][2] 자바의 힌두교, 발리 힌두교, 대인도도 참고.

5. 1. 인도 문화의 수용과 발전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인도권의 일부로서 문화적으로 힌두교와 산스크리트화의 확산을 통해 자바 문화의 인도화를 촉진하였다.[7][9][8]

참조

[1]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 서적 Encyclopedia of Global Religion https://books.google[...]
[3] 웹사이트 Terjemahan Kakawin Dēśawarṇnana (Nāgarakṛtāgama) http://jejaknusantar[...] Jejak Nusantara 2015-02-05
[4] 웹사이트 Majapahit Kingdom: History, Lineage Of Kings, And Historical Traces https://voi.id/en/me[...] 2023-03-21
[5] 저널 The Study of The Artistic Antiquities of Dutch India Harvard-Yenching Institute
[6] 저널 Majapahit in the Fifteenth Century https://www.jstor.or[...] 1978
[7]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 서적 Encyclopedia of Global Religion https://books.google[...]
[9] 웹인용 Terjemahan Kakawin Dēśawarṇnana (Nāgarakṛtāgama) http://jejaknusantar[...] Jejak Nusantara 2015-02-05
[10] 웹인용 Majapahit Kingdom: History, Lineage Of Kings, And Historical Traces https://voi.id/en/me[...] 2023-03-21
[11] 저널 The Study of The Artistic Antiquities of Dutch India Harvard-Yenching Institute
[12] 저널 Majapahit in the Fifteenth Century https://www.jstor.or[...] 19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