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우스 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우스 룰은 게임의 공식 규칙에서 벗어나 플레이어들이 임의로 적용하는 규칙을 의미한다. 보드게임인 모노폴리에서는 제조사의 규칙과 다르게 플레이되는 경우가 많으며, 롤플레잉 게임에서도 공식 규칙 외의 하우스 룰이 흔히 사용된다. 하우스 룰은 게임의 작은 변경부터 전체적인 변화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특정 플레이어 그룹에 의해 만들어지고 비공식적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법적으로는, 광고에 명시되지 않은 조건을 판매자가 임의로 추가하여 소비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은 부당하다는 판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임 디자인 - 게임플레이
    게임플레이는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플레이어와 게임 간의 상호 작용을 포괄하며 도전 과제 수행과 관련된 감정을 포함하고, 조작 규칙, 목표 규칙, 메타 규칙으로 구성되며, 플레이어빌리티는 만족도, 학습, 효율성 등 여러 측면으로 분석된다.
  • 게임 디자인 - 게임 밸런스
    게임 밸런스는 비디오 게임에서 플레이어에게 공정하고 매력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게임 요소, 메커니즘, 난이도, 경제 시스템 등을 조정하여 게임의 균형을 맞추는 지속적인 과정이다.
하우스 룰
개요
정의규칙, 습관, 관습 또는 법률에 의해 명시적으로 승인되지 않았지만 가정, 비공식 사회적 제재 또는 개인적인 취향에 의해 허용되는 규칙
유형협력적인 하우스 룰: 게임을 더욱 즐겁게 만들거나 더 많은 플레이어를 참여시키기 위해 사용됨
착취적인 하우스 룰: 게임을 부당하게 유리하게 만들거나 이미 우세한 플레이어를 더욱 우세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됨
하우스 룰 (게임)
정의공식 규칙에 대한 수정
특징게임의 공식 규칙을 변경하는 것
참가자 간의 합의에 의해 이루어짐
게임의 재미나 전략적 요소를 변경할 수 있음
예시모노폴리: 자유 주차 공간에 돈을 모으는 규칙
포커: 조커를 와일드 카드로 사용하는 규칙
목적게임의 재미를 증가
게임의 난이도를 조절
특정 플레이어에게 유리하거나 불리하게 작용
고려 사항
공정성모든 플레이어에게 공정한 규칙인지 고려해야 함
게임의 균형게임의 균형을 무너뜨리지 않는지 고려해야 함
합의모든 참가자의 동의를 얻어야 함
장점
창의성게임을 더욱 창의적으로 즐길 수 있음
유연성플레이어의 취향에 맞게 게임을 변경할 수 있음
재미게임을 더욱 재미있게 만들 수 있음
단점
혼란규칙이 명확하지 않으면 혼란이 발생할 수 있음
불공정특정 플레이어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
논쟁규칙에 대한 의견 차이로 논쟁이 발생할 수 있음

2. 보드게임

모노폴리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규칙과 다르게 플레이되는 경우가 많다.[2] 컴퓨터 게이밍 월드(Computer Gaming World)의 한 리뷰어는 "사실상 아무도 기록된 규칙으로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3] 모노폴리의 일부 비디오 게임 버전에는 인기 있는 하우스 룰을 적용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 2014년, 모노폴리의 발행사인 해즈브로페이스북 투표를 통해 가장 인기 있는 하우스 룰 5가지를 결정하여 "하우스 룰스 에디션"(House Rules Edition)을 출시했다.[4] 이는 한국에서도 인기를 끌었다.

3. 롤플레잉 게임

롤플레잉 게임에서 하우스 룰은 공식 규칙에서 벗어난 게임 플레이를 의미한다.[5] 게임 시스템은 하우스 룰의 가능성을 장려하거나, 억제하거나, 무시할 수 있다. 하우스 룰은 토너먼트나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명시적으로 금지되지만, 캐주얼한 상황에서는 흔히 사용된다.

하우스 룰은 작은 변경부터 게임 플레이 전체를 바꾸는 큰 변화까지 다양하며, 대부분의 그룹은 어느 정도 하우스 룰을 가지고 있다. 미니어처 워게임에서 하우스 룰은 비공식적인 미니어처 컨버전이나 시나리오 특정 규칙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우스 룰은 롤플레잉 초창기부터 존재했다. 던전 & 드래곤 초판에서는 측정 및 전투 규칙을 위해 ''체인메일'' 사본을, 아발론 힐의 게임 ''야외 생존'' 소유를 가정했다. 많은 플레이어들이 ''체인메일''이나 ''야외 생존'' 사본을 소유하지 않았기 때문에, D&D의 빈틈을 채우기 위해 규칙을 만들었고, 이러한 규칙들이 나중에 어드밴스드 던전 & 드래곤의 기초가 되었다.

대부분의 하우스 룰은 특정 플레이어 그룹에 의해 만들어지며 출판되지 않는다. 워게임을 제작하는 회사들은 비상업적인 한 공식 규칙과 함께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기도 한다.[5] 코어 룰 북의 일부가 아닌 규칙서는 게임의 원래 발행인에게서 나왔더라도 하우스 룰로 간주될 수 있다.

4. 법적 측면

''레프코위츠 대 그레이트 미니애폴리스 잉여 상점''(1957) 미국 법률 사건에서, 그레이트 미니애폴리스 잉여 상점은 모피 코트 일부를 "선착순"으로 각 1USD에 판매한다고 광고한 후, 특가 상품은 여성에게만 해당된다는 "하우스 룰"이 있다고 주장했다.[6] 미네소타 주 대법원은 상점의 주장을 기각했다. 미네소타 주 대법원은 "광고에는 그러한 제한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광고주가 승낙 전에 언제든지 제안을 수정할 권리가 있지만, 승낙 후에는 게시된 제안에 포함되지 않은 새롭거나 임의적인 조건을 부과할 권리가 없다"고 판시했다.[7] 이 판례는 대한민국에서도 소비자 보호와 관련하여 유사한 법적 판단의 근거가 될 수 있다. 즉, 판매자가 광고에 명시하지 않은 조건을 임의로 추가하여 소비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ll the Monopoly rules you've probably been playing wrong your whole life https://www.business[...] 2019-07-14
[2] 웹사이트 5 Monopoly House Rules You Should Ditch https://entertainmen[...] 2012-02-07
[3] 간행물 These Just In http://www.cgwmuseum[...] 1994-08
[4] 웹사이트 Hasbro Unveils World's Favorite "House Rules" to Be Included in Future Monopoly Games http://www.marketwat[...]
[5] 문서 Games Workshop Intellectual Property http://www.games-wor[...]
[6] 문서 LEFKOWITZ v. GREAT MINNEAPOLIS SURPLUS STORE, INC. 86 N.W.2d 689 (Minn. 1957) https://law.unlv.edu[...] 2022-10-11
[7] 문서 Lefkowitz v. Great Minneapolis Surplus Store, Inc. https://law.justia.c[...] Supreme Court of Minnesota 2022-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