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퐁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퐁항은 베트남 하노이에서 약 1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항구로, 1874년에 개항했다. 베트남 전쟁 등 여러 전쟁을 거치며 인프라 공격을 받았으나, 현재는 베트남 남부의 사이공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물동량을 처리하는 항구로 성장했다. 하이퐁 항구 주식회사에 의해 관리, 운영되며, 홍강 하구를 따라 다양한 터미널이 설치되어 있다. 일본의 정부개발원조를 통해 부두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락후옌 부두 건설을 통해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교통 - 떤선녓 국제공항
떤선녓 국제공항은 호치민시에 위치한 베트남 최대 규모의 공항으로, 프랑스 식민 정부 시절 건설되어 베트남 전쟁 기간 군사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국내선 및 국제선 터미널을 갖추고 확장 중으로 향후 롱탄 국제공항이 건설되기 전까지 국제선 수요를 담당할 예정이다. - 베트남의 교통 - 깜라인 국제공항
깜라인 국제공항은 베트남 카인호아성 깜라인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과거 미군 기지로 사용되다 민간 공항으로 전환 및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어 현재 국내외 노선을 운영하며 베트남에서 네 번째로 큰 국제선 여객 규모를 가진다. - 베트남의 항구 - 사이공항
사이공항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부터 호치민시의 주요 수출입 기지 역할을 해왔으며, 사이공강에 위치하여 30,000DWT급 선박의 입항이 가능하고, 남베트남의 주요 수출입 거점 역할을 수행해왔다. - 베트남의 항구 - 꾸이년항
꾸이년항은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전체 화물 톤량이 증가했으며, 특히 수출량이 크게 증가했다.
하이퐁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한국어) | 하이퐁 항 |
이름 (베트남어) | Cảng Hải Phòng |
이름 (한자) | 港海防 |
위치 | 하이퐁 |
국가 | 베트남 |
LOCODE | VNHPH |
역사 | |
개항 | 1874년 |
운영 | |
소유주 | 베트남 정부 |
시설 정보 | |
종류 | 항구 |
선석 수 | 정보 없음 |
부두 수 | 정보 없음 |
방파제 수 | 정보 없음 |
고용 | |
직원 수 | 정보 없음 |
리더십 | |
직책 | 정보 없음 |
이름 | 정보 없음 |
통계 | |
선박 입항 횟수 | 정보 없음 |
화물 처리량 | 정보 없음 |
컨테이너 처리량 | 정보 없음 |
화물 가치 | 정보 없음 |
여객 교통량 | 정보 없음 |
재정 | |
수익 | 정보 없음 |
이익 |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기타 지점 | Bến Kiền / 𤅶乾 Bạch Đằng / 白藤 |
2. 역사
하이퐁 항은 1874년 하노이에서 약 100km 떨어진 곳에 개항한 후, 하노이와 하이퐁을 잇는 롱비엔 다리를 포함한 도로 교통망이 정비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도차이나 전쟁에서는 밀수 선박 단속 과정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했고, 마스터돔 작전에서 프랑스군에 점령당했다. 베트남 전쟁 중에는 1만 발 이상의 기뢰가 부설되어 봉쇄되었으나, 1973년 미국 해군 더뷰크 함에 의해 제거되었다.
1975년 이후 하이퐁 항은 남부 사이공항에 이어 베트남에서 두 번째로 큰 물동량을 처리하는 항구가 되었다. 현재 컨테이너와 재래 선박이 입항하며, 〈하이퐁 항구 주식회사〉가 관리 및 운영을 맡고 있다. 홍강(홍하) 하구와 지류를 따라 일반 잡화, 석유, LPG, 컨테이너 화물 터미널이 설치되어 있다. 수로 제약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정부개발원조로 10000ton~30000ton급 선박이 입항 가능하며, 베트남 북부 최대 무역 거점이 되었다.
딩부 공업단지 인근에는 조선 산업이 발달하여 국영 베트남 조선공사 산하 벤끼엔 조선소, 박당 조선소 등 주요 조선소가 위치해 있다. 흘수 제약이 적은 지역에 터미널 정비가 진행 중이며, 하이퐁 동부에는 수심 14m 규모의 락후옌 국제 컨테이너 부두가 2018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되었다.[7]
2. 1. 개항과 초기 발전 (1874년 ~ 1945년)
1874년에 하노이에서 약 100km 떨어진 곳에 하이퐁 항이 개항하였다. 하노이와 하이퐁을 잇는 롱비엔 다리를 포함하여 도로 교통망이 정비되었다.[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하이퐁 항은 밀수 선박 단속을 비롯하여 총격 사건의 무대가 되었고, 마스터돔 작전에서는 프랑스군의 공격을 받아 점령당했다. 베트남 전쟁 때에는 1만 발 이상의 기뢰가 항공으로 부설되어 봉쇄되었으며,[6] 이 기뢰는 1973년 미국 해군 소속의 더뷰크 함에 의해 제거되었다.[6]2. 2. 인도차이나 전쟁과 베트남 전쟁 (1945년 ~ 1975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도차이나 전쟁에서는 밀수 선박 단속 과정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했고, 마스터돔 작전 때 프랑스군의 공격으로 점령당했다. 베트남 전쟁 당시에는 1만 발 이상의 기뢰가 항공으로 부설되어 봉쇄되었으며, 이 기뢰들은 1973년 미국 해군의 더뷰크 함에 의해 제거되었다.[6]2. 3. 전후 복구와 현대화 (1975년 ~ 현재)
현재는 컨테이너와 재래 선박이 입항하고 있으며, 남부의 사이공항에 이어 베트남 두 번째 규모의 물동량을 처리한다.[6] 〈하이퐁 항구 주식회사〉(Hai Phong Port Joint Stock Company)에 의해 관리, 운영되고 있다. 홍강(홍하) 하구를 거슬러 홍하와 본 지류를 따라, 일반 잡화, 석유, LPG, 컨테이너 화물 등의 터미널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많은 하천을 20-40km 정도 거슬러 올라간 위치에 있어서 연결 수로의 수심 등의 제약을 받지만, 일본의 정부개발원조에 의한 부두 개발 등의 투자로 10000ton~30000ton 정도의 선박이 입항할 수 있으며, 베트남 북부에서 최대의 무역 거점 항구 도시가 되고 있다.딩부 공업 단지가 인접해 있고, 조선 산업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이며, 국영 베트남 조선공사(비나신) 산하 벤끼엔 조선소(Bến Kiền)와 박당 조선소(Bạch Đằng) 등 베트남의 주요 조선소가 들어서 있다.
흘수가 얕은 지형 조건에서 접근 수로의 제약이 적은 지역에 터미널의 정비가 진행되고 있다. 같은 하이퐁 동부에 수심 14m 규모의 깊은 국제 컨테이너 부두인 락후옌 부두를 건설 중이며, 2018년에 완성하여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7]
3. 시설 및 운영
하이퐁항은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하이퐁 항구 주식회사'가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한다.[6] 홍강(홍하) 하구와 지류에는 일반 잡화, 석유, LPG, 컨테이너 화물 등을 처리하는 여러 터미널이 있다. 수심 등 제약이 있었으나, 일본의 정부개발원조를 통해 10,000~30,000DWT급 선박이 입항할 수 있도록 시설을 확충하여 베트남 북부 최대 무역항이 되었다.
3. 1. 주요 시설
현재는 컨테이너와 재래 선박이 입항하고 있으며, 남부의 사이공항에 이어 베트남 두 번째 규모의 물동량을 처리한다.[6] 홍강(홍하) 하구를 거슬러 홍하와 본 지류를 따라, 일반 잡화, 석유, LPG, 컨테이너 화물 등의 터미널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많은 하천을 20km~40km 정도 거슬러 올라간 위치에 있어서 연결 수로의 수심 등의 제약을 받지만, 일본의 정부개발원조에 의한 부두 개발 등의 투자로 10,000-30,000DWT 정도의 선박이 입항할 수 있으며, 베트남 북부에서 최대의 무역 거점 항구 도시가 되고 있다. 하이퐁 항구 주식회사가 관리, 운영하고 있다.딩부 공업 단지가 인접해 있고, 조선 산업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이며, 국영 베트남 조선공사(비나신) 산하 벤끼엔 조선소(Bến Kiền)와 박당 조선소(Bạch Đằng) 등 베트남의 주요 조선소가 들어서 있다.
흘수가 얕은 지형 조건에서 접근 수로의 제약이 적은 지역에 터미널의 정비가 진행되고 있다. 같은 하이퐁 동부에 수심 14m 규모의 깊은 국제 컨테이너 부두인 락후옌 부두를 건설 중이며, 2018년에 완성하여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7]
3. 2. 운영 및 관리
하이퐁 항은 현재 컨테이너와 재래 선박이 입항하고 있으며, 남부의 사이공항에 이어 베트남에서 두 번째로 많은 물동량을 처리한다.[6] 하이퐁 항은 〈하이퐁 항구 주식회사〉(Hai Phong Port Joint Stock Company)에 의해 관리, 운영되고 있다. 홍강(홍하) 하구와 본류를 따라 일반 잡화, 석유, LPG, 컨테이너 화물 등의 터미널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하이퐁 항은 많은 하천을 20-40km 정도 거슬러 올라간 위치에 있어 연결 수로의 수심 등에 제약을 받지만, 일본의 정부개발원조를 통한 부두 개발 등의 투자로 10,000-30,000DWT 정도의 선박이 입항할 수 있으며, 베트남 북부 최대의 무역 거점 항구 도시가 되고 있다.4. 현대적 개발
1874년 개항하여 하노이와 하이퐁을 잇는 롱비엔 다리를 포함한 도로 교통망이 정비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도차이나 전쟁에서는 밀수 선박 단속과 총격 사건이 발생했고, 마스터돔 작전에서 프랑스군에게 점령당했다. 베트남 전쟁 때는 1만 발 이상의 기뢰가 부설되어 봉쇄되었고, 1973년 미국 해군에 의해 기뢰가 제거되었다.[6]
현재는 컨테이너와 재래 선박이 입항하고 있으며, 남부의 사이공항에 이어 베트남에서 두 번째로 큰 물동량을 처리한다. 〈하이퐁 항구 주식회사〉가 관리, 운영하고 있다. 홍강(홍하) 하구를 거슬러 올라가면 일반 잡화, 석유, LPG, 컨테이너 화물 등의 터미널이 있다. 많은 하천을 20-40km 정도 거슬러 올라간 위치에 있어 수심 등의 제약이 있지만, 베트남 북부 최대의 무역 거점 항구 도시로 기능한다.
딩부 공업 단지가 인접해 있고, 조선 산업이 밀집되어 있다. 국영 베트남 조선공사(비나신) 산하 벤끼엔 조선소와 박당 조선소 등 베트남의 주요 조선소가 있다.
4. 1. 락후옌 신항 개발
흘수가 얕은 지형 조건에서 접근 수로의 제약이 적은 지역에 터미널 정비가 진행되고 있다. 하이퐁 동부에 수심 14m 규모의 깊은 국제 컨테이너 부두인 락후옌 부두를 건설 중이며, 2018년에 완공되어 가동을 시작했다.[7]4. 2. 일본의 투자
일본의 정부개발원조(ODA)를 통한 부두 개발 등의 투자로 10,000~30,000DWT급 선박이 입항할 수 있게 되었으며, 베트남 북부 최대의 무역 거점 항구 도시로 성장하고 있다.[6]참조
[1]
뉴스
http://www.lesoir.be[...]
Le Soir
2014-08-21
[2]
웹사이트
https://webciss.sank[...]
[3]
뉴스
【zoomインフラ】ベトナム、港湾能力倍増 北部に大型港13日開業/TPPにらみ輸出促進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5-03
[4]
웹사이트
하이퐁 항의 역사와 전통
http://haiphongport.[...]
2017-12-22
[5]
웹사이트
PORT LAYOUT
http://haiphongport.[...]
2017-12-22
[6]
웹사이트
베트남 북부와 남부의 항만 소개
https://webciss.sank[...]
2017-12-21
[7]
뉴스
하이퐁 Deep C/딘부(DINH VU) 베트남 블루오션 투자지역 "급물살"
https://news.v.daum.[...]
이데일리
2015-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