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인리히 롬바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인리히 롬바흐는 독일의 철학자로, 프라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그는 토목, 건설 분야를 공부하다 군 복무 부상으로 인해 물리학, 수학, 화학 등을 공부했으며, 마르틴 하이데거의 철학 강의를 청강하고 막스 뮐러 등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1949년 철학 학위를, 1955년 교수 자격을 취득했으며, 1964년부터 1990년까지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정교수로 재직했다. 롬바흐는 구조 존재론, 현상학, 헤르메스주의, 동서양 사상의 융합 등 다양한 철학 사상을 전개했으며, 그의 저서는 동아시아, 특히 한국과 일본에 영향을 미쳤다. 주요 저서로는 『구조 존재론』, 『현재 의식의 현상학』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뷔르츠부르크 대학교 교수 - 카를 프리드리히 빌헬름 클라우스
    카를 프리드리히 빌헬름 클라우스는 독일의 동물학자로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를 지냈으며 해양생물학, 특히 갑각류 연구에 집중했고 식세포라는 용어를 만들었으며 지그문트 프로이트에게 영향을 주었고 《동물학 개요》, 《동물학 교과서》 등의 저서를 남겼다.
  • 하이데거 학자 - 잔니 바티모
    잔니 바티모는 토리노 대학교 철학과 교수이자 유럽 의회 의원을 역임한 이탈리아 철학자 겸 정치인으로, '약한 사유' 이론을 통해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에 기여했으며, 니체와 하이데거 철학을 바탕으로 온라인 사회의 좌익 이데올로기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 하이데거 학자 - 휴버트 드라이퍼스
    휴버트 드레이퍼스는 미국의 철학자로서 인공지능, 현상학, 실존주의를 연구했으며, 《컴퓨터가 할 수 없는 것》 등의 저서를 남기고 미국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 현상학자 - 폴 비릴리오
    프랑스 철학자이자 도시 계획가인 폴 비릴리오는 '드로몰로지' 개념을 통해 기술, 전쟁, 도시 공간을 분석하고 생 베르나데트 교회 설계에 참여했으며, 그의 사상은 여러 학자에게 영향을 주었으나 과학 용어 오용에 대한 비판도 받았다.
  • 현상학자 - 잔니 바티모
    잔니 바티모는 토리노 대학교 철학과 교수이자 유럽 의회 의원을 역임한 이탈리아 철학자 겸 정치인으로, '약한 사유' 이론을 통해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에 기여했으며, 니체와 하이데거 철학을 바탕으로 온라인 사회의 좌익 이데올로기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하인리히 롬바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하인리히 롬바흐
원어 이름Heinrich Rombach
출생값찾기
출생지값찾기
사망값찾기
사망지값찾기
학문 분야
시대현대 철학
지역서양 철학
학파대륙
주요 관심사구조적 존재론
하이데거의 철학
영향을 줌값찾기

2. 생애

하인리히 롬바흐는 프라이부르크에서 태어나 과학 기술과 자연 과학에 관심을 가졌다. 토목이나 건설 분야를 전공하여 대학을 졸업한 후 군에 입대했지만, 부상으로 1943년부터 고향에서 물리학, 수학, 화학 등을 공부했다. 마르틴 하이데거의 철학 강의를 부전공으로 청강하며 그와 개인적인 교류를 가졌고, 막스 뮐러, 오이겐 핑크, 빌헬름 슈치라지에게도 배웠다.

1949년 철학 학위 논문 "질문의 기원과 본성에 대하여"("Über Ursprung und Wesen der Frage")를 제출했고, 1955년에는 "실체·체계·구조"라는 논문을 제출하여 교수 자격을 얻었다. 1964년부터 1990년까지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정교수로 강의하며 구조 존재론을 주장했다.

『구조 존재론』(''Strukturontologie'', 1971년), 『현재 의식의 현상학』(''Phänomenologie des gegenwärtigen Bewusstseins'', 1980년)을 저술했고, 구조의 심층 현상학을 발전시켜 일본이나 한국동아시아 철학 연구에 영향을 주었다. 구조 존재론, 표상 철학, 역사 현상학 및 헤르메스 지혜 등 철학적 연구의 세 가지 접근 방식을 발전시켰다.

1970년부터 1995년까지 철학 연감의 편집자를 역임했으며, 뷔르츠부르크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프라이부르크에서 태어나, 과학 기술과 자연 과학에 관심을 가졌다. 토목이나 건설 분야를 전공하여 대학을 졸업한 후 군에 입대했지만, 부상으로 인해 1943년부터 고향 프라이부르크에서 물리학, 수학, 화학 등을 공부했다. 마르틴 하이데거철학 강의를 부전공으로 청강하며 하이데거와 개인적인 교류를 가졌고, 막스 뮐러, 오이겐 핑크, 빌헬름 슈치라지에게도 배웠다.

1949년 철학 학위 논문 "질문의 기원과 본성에 대하여"("Über Ursprung und Wesen der Frage")를 제출했고, 1955년에는 "실체·체계·구조"라는 논문을 제출하여 교수 자격을 얻었다.

2. 2. 뷔르츠부르크 대학교 교수 시절

1964년부터 1990년까지 뷔르츠부르크 대학교 제1철학부에서 철학 정교수로 강의했다. 롬바흐는 구조 존재론에서 모든 존재는 구조라고 전제했다.

그는 『구조 존재론』(''Strukturontologie'', 1971년), 『현재 의식의 현상학』(''Phänomenologie des gegenwärtigen Bewusstseins'', 1980년)을 저술했다. 그는 구조의 심층 현상학을 발전시켰으며, 이는 일본이나 한국과 같은 동아시아에서 수용되어 현대 철학적 연구의 문화적·사상사적인 문제에 생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롬바흐는 또한 구조 존재론, 표상 철학, 그리고 역사 현상학 및 헤르메스 지혜, 이해할 수 없는 것에 대한 이해로서의 세계 이론 등 철학적 연구의 세 가지 접근 방식을 발전시켰다.

1970년부터 1995년까지 철학 연감의 편집자를 역임했다.

2. 3. 사망

Heinrich Rombach|하인리히 롬바흐de뷔르츠부르크에서 사망했다.

3. 철학 사상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 및 출력을 진행하겠습니다.)

4. 롬바흐 철학과 한국

하인리히 롬바흐의 철학은 이정숙, 김경연, 김정수 등 여러 학자들에 의해 한국에 소개되었다. 이들은 롬바흐의 주요 저작들을 번역하여 한국 철학계에 그의 철학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1]

4. 1. 한국어 번역 및 소개

Strukturontologie|구조 존재론de, 이정숙 옮김, 서광사, 2001.

Strukturanthropologie|구조 인간학de, "구조와 힘", 김경연 옮김, 서광사, 2002.

Der kommende Gott|다가오는 신de, "헤르메스학 서설", 김경연 옮김, 서광사, 2003.

Phänomenologie des Bildes|그림의 현상학de, 김정수 옮김, 그린비, 2013.

Leben und Wissenschaft|삶과 학문de, 김정수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8.

Substanz, System, Struktur: Die Ontologie des Funktionalismus und der philosophische Hintergrund der modernen Wissenschaft|실체, 체계, 구조: 기능주의 존재론과 근대 과학의 철학적 배경de, 이정숙 옮김, 서광사, 2021.

이정숙은 롬바흐의 《구조 존재론》, 《실체, 체계, 구조》 등을 번역하여 롬바흐 철학의 핵심 개념을 한국에 소개했다.[1] 김경연은 《구조 인간학》, 《다가오는 신》을 번역하여 롬바흐의 인간학과 종교 철학을 소개했다. 김정수는 《그림의 현상학》, 《삶과 학문》을 번역하여 롬바흐의 현상학과 예술 철학을 소개했다.

5. 저작 목록 (일부)

Welt und Gegenwelt: Umdenken Über die Wirklichkeit. Die philosophische Hermetik|아폴론적 세계와 헤르메스적 세계 - 현실에 관한 사유의 전환: 철학적 헤르메틱de, 전동진 역, 서광사, 2001

Die Gegenwart der Philosophie: Die Grundprobleme der abendländischen Philosophie und der gegenwärtige Stand des philosophischen Fragens|철학의 현재 - 서양 철학의 근본문제들과 철학적 물음의 현 위치de, 전동진 역, 서광사, 2001

Die Welt als lebendige Struktur: Probleme und Lösungen der Strukturontologie|살아있는 구조 - 구조존재론의 문제들과 해답들de, 전동진 역, 서광사, 2004

5. 1. 독일어 원전

제목출판년도출판사비고
Über Ursprung und Wesen der Frage (질문의 기원과 본질에 관하여)1952알버1988년 재판.
Substanz System Struktur: Die Ontologie des Funktionalismus und der philosophische Hintergrund der modernen Wissenschaft (실체, 시스템, 구조: 기능주의의 존재론과 현대 과학의 철학적 배경)1965/66알버2권, 1981년 재판. 2010년 연구판 출간, 부제 Die Hauptepochen der europäischen Geistesgeschichte(유럽 정신사의 주요 시대)
Strukturontologie: Eine Phänomenologie der Freiheit (구조 존재론: 자유의 현상학)1971알버1988년 재판
Mutmaßungen über das Ende der Hochkulturen (고대 문명의 종말에 대한 추측)1975철학 연보Philosophisches Jahrbuch 82권, 241–258쪽
Phänomenologie heute (오늘날의 현상학)1975알버Phänomenologie heute: Grundlagen- und Methodenprobleme (= Phänomenologische Forschungen Bd. 1) (오늘날의 현상학: 기초 및 방법론적 문제 (= 현상학적 연구 제1권)), 11–30쪽
Leben des Geistes: Ein Buch der Bilder zur Fundamentalgeschichte der Menschheit (정신의 삶: 인류의 근본 역사를 위한 이미지의 책)1977헤르더
Die Grundstruktur der menschlichen Kommunikation: Zur kritischen Phänomenologie des Verstehens und Missverstehens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구조: 이해와 오해의 비판적 현상학에 대하여)1978알버Mensch, Welt, Verständigung: Perspektiven einer Phänomenologie der Kommunikation (= Phänomenologische Forschungen Bd. 4) (인간, 세계, 이해: 커뮤니케이션 현상학의 관점 (= 현상학적 연구 제4권)), 19–51쪽
Phänomenologische Erziehungswissenschaft und Strukturpädagogik (현상학적 교육학 및 구조 교육학)1979Klaus Schaller (Hrsg.), Erziehungswissenschaft der Gegenwart: Prinzipien und Perspektiven moderner Pädagogik (클라우스 샬러(편집), 현재의 교육학: 현대 교육학의 원리와 관점), 136–154쪽
Phänomenologie des gegenwärtigen Bewusstseins (현대 의식의 현상학)1980알버
Das Phänomen Phänomen (현상 현상)1980알버Neuere Entwicklungen des Phänomenbegriffs (= Phänomenologische Forschungen Bd. 9) (현상 개념의 새로운 발전 (= 현상학적 연구 제9권)), 7–32쪽
Welt und Gegenwelt: Umdenken Über die Wirklichkeit. Die philosophische Hermetik (세계와 반세계: 현실에 대한 재고. 철학적 헤르메스주의)1983헤르더
Zur Hermetik des Daseins: Ein philosophischer Versuch (존재의 헤르메스주의에 관하여: 철학적 시도)1985Karl-Ernst Bühler/Heinz Weiß (Hrsg.), Kommunikation und Perspektivität: Beiträge zur Anthropologie aus Medizin und Geisteswissenschaften. Festschrift für Dieter Wyss (칼-에른스트 뷜러/하인츠 바이스(편집), 커뮤니케이션과 관점: 의학과 인문학의 인류학적 기여. 디터 비스 60회 생일 기념 논문집), 13–19쪽
Philosophische Zeitkritik heute: Der gegenwärtige Umbruch im Licht der Fundamentalgeschichte (오늘날의 철학적 시대 비판: 근본 역사의 관점에서 본 현재의 변혁)1985철학 연보Philosophisches Jahrbuch 92권, 1–16쪽, 또한 Die Welt als lebendige Struktur (살아있는 구조로서의 세계), 123–142쪽에 수록
Strukturanthropologie: „Der menschliche Mensch“ (구조 인류학: "인간적인 인간")1987알버1993년 재판, 2012년 연구판
Die sechs Schritte vom Einen zum Nicht-anderen (하나에서 다른-아닌 것으로 가는 여섯 단계)1987철학 연보Philosophisches Jahrbuch 94권, 225–245쪽, 또한 Die Welt als lebendige Struktur (살아있는 구조로서의 세계), 97–122쪽에 수록
Die Gegenwart der Philosophie: Die Grundprobleme der abendländischen Philosophie und der gegenwärtige Stand des philosophischen Fragens (철학의 현재: 서양 철학의 기본 문제와 철학적 질문의 현재 상태)1988알버3차, 근본적으로 새롭게 수정판.
Der kommende Gott: Hermetik – eine neue Weltsicht (다가오는 신: 헤르메스주의 – 새로운 세계관)1991
Das Tao der Phänomenologie (현상학의 도)1991철학 연보Philosophisches Jahrbuch 98권, 1–15쪽, 또한 Die Welt als lebendige Struktur (살아있는 구조로서의 세계), 51–70쪽에 수록
Der Ursprung: Philosophie der Konkreativität von Mensch und Natur (기원: 인간과 자연의 공동 창조의 철학)1994
Phänomenologie des sozialen Lebens: Grundzüge einer Phänomenologischen Soziologie (사회적 삶의 현상학: 현상학적 사회학의 기본 특징)1994알버
Drachenkampf: Der philosophische Hintergrund der blutigen Bürgerkriege (드래곤 파이트: 피비린내 나는 내전의 철학적 배경)1996
Die Welt als lebendige Struktur: Probleme und Lösungen der Strukturontologie (살아있는 구조로서의 세계: 구조 존재론의 문제와 해결)2003
Kōichi Tsujimura, Ryosuke Ohashi 와 함께: Sein und Nichts. Grundbilder westlichen und östlichen Denkens. (존재와 무: 서양과 동양 사상의 기본 이미지)1981헤르더
편집: Die Frage nach dem Menschen. Aufriß einer Philosophischen Anthropologie. (인간에 대한 질문. 철학적 인류학의 개요)1966알버막스 뮐러 60회 생일 기념 논문집


5. 2. 한국어 번역본

Welt und Gegenwelt: Umdenken Über die Wirklichkeit. Die philosophische Hermetik|아폴론적 세계와 헤르메스적 세계 - 현실에 관한 사유의 전환: 철학적 헤르메틱de, 전동진 역, 서광사, 2001

Die Gegenwart der Philosophie: Die Grundprobleme der abendländischen Philosophie und der gegenwärtige Stand des philosophischen Fragens|철학의 현재 - 서양 철학의 근본문제들과 철학적 물음의 현 위치de, 전동진 역, 서광사, 2001

Die Welt als lebendige Struktur: Probleme und Lösungen der Strukturontologie|살아있는 구조 - 구조존재론의 문제들과 해답들de, 전동진 역, 서광사, 2004

5. 3. 일본어 번역본


  • 科学論일본어 엔조지 유키 역, 소분사, 1980년.
  • 形象は語る일본어 오하시 료스케 역, 소분사, 1982년.
  • 哲学の現在일본어 시노 겐지 역, 국문사, 1984년.
  • 現象学の展望일본어 닛타 요시히로 · 무라타 준이치 역, 국문사, 1986년.
  • 世界と反世界일본어 ― 헤르메스 지혜의 철학 오하시 료스케 역, 리브로보트, 1987년.
  • 実体・体系・構造일본어 ― 기능주의의 유론과 근대 과학의 철학적 배경 사카이 키요시 역, 미네르바 서방, 1999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