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하인리히 비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하인리히 비버는 1644년 보헤미아 왕국에서 태어난 독일계 작곡가이자 바이올린 연주자이다. 그는 크로메르지슈, 잘츠부르크 등지에서 활동하며 음악적 경력을 쌓았고, 1690년 황제로부터 귀족 작위를 받았다. 비버는 바이올린 기법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스코르다투라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로자리오 소나타》, 《바탈리아》 등이 있으며, 17세기 후반 유럽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바이올린 연주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오스트리아 사람 - 외젠 드 사부아 공자
    외젠 드 사부아 공자는 수아송 백작 외젠 모리스와 올림피아 만시니 사이에서 태어난 삼남으로,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러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17세기 오스트리아 사람 - 마리아 안토니아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1세의 딸인 마리아 안토니아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은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과의 결혼으로 정치적 동맹을 강화하고 스페인 왕위 계승 문제에 관여했으며, 요제프 페르디난트 왕자의 어머니였으나 산후 감염으로 사망했다.
  • 17세기 보헤미아 사람 -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는 교육 개혁가이자 신학자, 작가로서 범지학 사상과 감각적 실학주의에 기반하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대 교육학의 기초를 다졌으며, 유네스코는 그의 업적을 기려 코메니우스 메달을 제정했다.
  • 17세기 보헤미아 사람 - 얀 예세니우스
    얀 예세니우스는 헝가리 귀족 출신의 의사이자 해부학자, 외교관, 웅변가로서 프라하 카렐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공개 부검을 실시하고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1621년 처형당했다.
  • 체코의 클래식 작곡가 -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베드르지흐 스메타나는 체코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로, 민족 의식을 고취하는 작품 활동과 《팔려간 신부》, 《나의 조국》 등의 작품을 통해 체코 국민 음악의 기초를 확립하고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 체코의 클래식 작곡가 - 안토닌 드보르자크
    안토닌 드보르자크는 낭만주의 시대의 보헤미아 출신 작곡가로, 체코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이며, 9개의 교향곡, 슬라브 무곡, 오페라 《루살카》 등 다양한 작품을 작곡하고 체코 민속 음악과 고전 형식을 결합하여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
하인리히 비버
기본 정보
하인리히 비버
출생1644년 8월 12일 (세례)
출생지체코 발텐베르크
사망1704년 5월 3일
사망지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직업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2. 생애

비버는 보헤미아 왕국(현재 체코 스트라츠 포드 랄스켐)에서 태어났다.[1] 1670년 여름, 카를 2세는 비버를 인스브루크 근처의 압삼으로 보내 야코프 슈타이너와 카펠레를 위한 새로운 악기 구매를 협상하도록 했다.[8] 그러나 비버는 슈타이너에게 가지 않고, 잘츠부르크 대주교인 막시밀리안 간돌프 폰 쿤부르크에게 고용되었다.[3] 카를과 막시밀리안은 친구였기 때문에,[7] 비버의 이전 고용주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지만, 작곡가의 결정에 매우 상처를 받았고 1676년이 되어서야 공식적으로 해고 서류를 발급했다.

1676년에 자신의 음악을 출판하기 시작했고, 1677년에는 레오폴트 1세 황제 앞에서 공연하여 그로부터 보상을 받았다. 1679년에는 잘츠부르크의 부지휘자가 되었고 1684년에는 지휘자가 되었다.[7] 1690년 비버는 황제에 의해 귀족으로 승진되었으며, 비버 폰 비버의 칭호를 받았다. 잘츠부르크의 새로운 대주교 요한 에른스트 폰 툰 백작은 비버를 최고 사회적 지위인 영지 집사로 임명했다.[9]

1692년 11월 3일, 비버는 요한 에른스트 대주교에 의해 집사로 임명되었다.[10][11] 그 후 그는 문장을 받았다.

2. 1. 초기 생애 (1644-1670)

1644년 비버는 보헤미아 왕국의 바르텐베르크(현재 체코령 스트라츠 포드 랄스켐)에서 태어났다. 초기 교육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나, 예수회 김나지움에서 공부하고 지역 오르간 연주자에게 음악 교육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1668년 이전, 에겐베르크 가문의 그라츠 궁정에서 일했다. 이후 올로모우츠 대교구 주교 카를 2세 폰 리히텐슈타인-카스텔코른에게 고용되어 크로메르지슈에서 활동했다. 파벨 요제프 베이바노프스키와 동료 관계였다.

2. 2. 잘츠부르크 궁정 활동 (1670-1704)

1668년부터 1670년까지 체코 크로메르지시 성에서 바이올리니스트로 활동한 후, 잘츠부르크 궁정 악단의 바이올리니스트가 되었고, 1684년에는 같은 악단의 궁정 악장이 되었다. 비버는 바이올린 연주 기교가 뛰어나, 그의 바이올린 작품에는 당시로서는 상당히 높은 수준의 기술을 요구하는 곡들이 많았다. 스코르다투라라는 조현(줄감개)을 바꿔 연주하는 기교를 많이 사용했다.

2. 3. 가족 관계

비버는 1672년에 마리아 바이스(Maria Weiss)와 결혼하여 11명의 자녀를 두었다.[14] 이 중 4명이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았으며, 이들은 모두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14] 아들 카를 하인리히 비버는 잘츠부르크 궁정에서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가로 활동했고, 딸 안나 막달레나(Anna Magdalena)는 논베르크 수도원의 음악 감독이 되었다.[14]

2. 4. 사망

1704년잘츠부르크에서 사망하였고, 페터스프리드호프에 안장되었다.[1]

3. 작품 세계

비버는 마르코 우첼리니, 카를로 파리나의 이탈리아 바이올린 음악과 요한 하인리히 슈멜처의 독일 다성 음악 전통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6, 7번째 포지션을 사용하고, 왼손 및 활 기술을 발전시키는 등 바이올린 기법을 더욱 발전시켰으며, 다중 음정과 스코르다투라를 활용한 음악을 작곡했다.

비버의 음악은 ''아페테'', 프로그램적 장치 등 수적 상징주의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신비 소나타''의 부활 소나타에서 바이올린의 상징적인 재조현을 예로 들 수 있다.

요한 야콥 발터, 요한 파울 폰 베스토프와 함께 유럽에서 가장 훌륭한 바이올린 연주자로 여겨졌으나, 사후 독일 바이올린 연주자들은 아르칸젤로 코렐리 스타일을 따랐다.

비버의 작품 목록 번호에는 음악학자 에릭 토머스 체이프(Eric Thomas Chafe)의 "C 번호"가 사용된다.


  • 7성부를 위한 소나타 C 111 (1668년)
  • 6성부를 위한 소나타 '농민의 행렬 기도식' C 110 (1673년)
  • 야경꾼의 목소리를 포함한 5성부의 세레나데 C 75 (1673년)
  • 53성부의 잘츠부르크 대성당 축전 미사곡 (1682년)
  • 오라치오 베네볼리의 작품으로 전해졌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비버의 작품으로 추정.[2]
  • 레퀴엠 F단조 C 8 (1692년경)

3. 1. 바이올린 음악

비버는 당대 최고의 바이올린 연주자 중 한 명으로, 그의 바이올린 작품은 고도의 기교와 독창성을 자랑한다. 마르코 우첼리니, 카를로 파리나 등 이탈리아 바이올린 음악의 영향을 받았으며, 요한 하인리히 슈멜처로 대표되는 독일 다성 음악 전통의 영향도 받았다. 그는 6, 7 포지션, 왼손 및 활 기술, 다중 음정 사용 등 바이올린 기법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스코르다투라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대표적인 스코르다투라 작품으로는 로자리오 소나타(1676년경)와 ''아르모니아 아르티피치오소-아리오사''(1696)가 있다.[1] 로자리오 소나타는 묵주 기도의 신비를 묘사한 15개의 소나타와 파사칼리아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버의 대표작으로 꼽힌다.[1] ''소나타에 바이올리노 솔로''(1681)는 화려한 기교와 정교한 구조를 보여주는 8개의 소나타로 구성되어 있다.[1]

17세기 후반, 비버는 드레스덴 악파의 작곡가들(요한 야콥 발터, 요한 파울 폰 베스토프)과 함께 유럽에서 가장 훌륭하고 영향력 있는 바이올린 연주자로 여겨졌다. 그러나 그가 죽은 직후, 독일 바이올린 연주자들은 아르칸젤로 코렐리와 그의 모방자들의 스타일을 따르기 시작했다.

비버의 주요 바이올린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제목작곡 연도비고
묘사적인 소나타 A장조 C 1461669년
전투(바탈리아) D장조 C 611673년제2곡 "사수들의 흥분한 소동"은 다조성으로 쓰여짐
로자리오 소나타 C 90–1051674년?스코르다투라 사용
소나타집 제단 또는 궁정용 C 114–1371676년
8개의 바이올린 소나타 C 138–1451681년소나타에 바이올리노 솔로
기교적이고 즐거운 합주 음악1696년


3. 2. 종교 음악

비버는 바이올린 음악뿐만 아니라 미사곡, 진혼 미사곡, 모테트 등 다양한 형식의 종교 성악 작품도 작곡했다. 잘츠부르크 대성당의 공간적 특성을 활용, 대규모 다중 합창 양식을 사용한 작품을 많이 남겼다.[1] 대표적인 다중 합창 작품으로는 53성부 미사 살리부르겐시스(1682), ''Missa Bruxellensis''(1696), ''Missa Sancti Henrici''(1697) 등이 있다.[1] 53성부 미사 살리부르겐시스는 한때 오라치오 베네볼리의 작품으로 알려졌으나, 현재는 비버의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1] 소규모 편성의 종교 음악도 작곡했는데, 예를 들어 ''Missa quadragesimalis'', ''Stabat Mater'' 등이 있다.[1]

다음은 비버의 종교 음악 작품 중 일부이다.

제목작곡 연도비고
53성부 미사 살리부르겐시스1682년오라치오 베네볼리의 작품으로 전해져 왔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비버의 작품으로 추정[2]
레퀴엠 F단조 C 81692년경


3. 3. 기타 작품

비버는 ''소나타 탐 아리스 꽌 아울리스 서비엔테스''(1676), ''멘사 소노라''(1680), ''피디치니움 사크로 프로파눔''(1682/3) 등의 기악곡을 작곡했다.[1] 바탈리아(전투 묘사), ''소나타 레프레젠타티바''(새와 동물 소리 묘사)와 같은 프로그램 음악도 작곡했는데, 이는 그의 다재다능함을 보여준다.[1] 8개의 트럼펫과 팀파니를 위한 ''소나타 S 폴리카르피''도 작곡했다.[1] 바탈리아 제2곡 "사수들의 흥분한 소동"은 다조성 음악의 초기 예시로 알려져 있다.[1]

4. 작품 목록

비버의 작품 목록 번호에는 음악학자 에릭 토머스 체이프(Eric Thomas Chafe)에 의한 "C 번호"가 사용된다.[1]

작품 번호작품명연도
C 1117성부를 위한 소나타1668년[1]
C 146묘사적인 소나타 A장조1669년[1]
C 61전투(바탈리아) D장조1673년[1]
C 90–105로자리오 소나타1674년?[1]
C 114–137소나타집 제단 또는 궁정용1676년[1]
C 138–1458개의 바이올린 소나타1681년[1]
기교적이고 즐거운 합주 음악1696년[1]
C 1106성부를 위한 소나타 '농민의 행렬 기도식'1673년[1]
C 75야경꾼의 목소리를 포함한 5성부의 세레나데1673년[1]
53성부의 잘츠부르크 대성당 축전 미사곡1682년[1]
C 8레퀴엠 F단조1692년경[1]


  • 전투(바탈리아) D장조 C 61의 제2곡 "사수들의 흥분한 소동"은 다조성으로 쓰여졌으며, 모차르트의 《음악 농담》(1787년) 등과 함께 다조성 음악의 초기 예시로 알려져 있다.[1]
  • 53성부의 잘츠부르크 대성당 축전 미사곡은 오라치오 베네볼리의 작품으로 전해져 왔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비버의 작품이 아닌가 여겨지고 있다.[1]

참조

[1] 간행물 Heinrich Biber Britannica
[2] 논문 A Survey of the Unaccompanied Violin Repertoire, Centering on Works by J.S. Bach and Eugene Ysaÿe http://drum.lib.umd.[...] drum.lib.umd.edu
[3] 간행물 Heinrich Ignaz Franz von Biber Cite Grove
[4] 웹사이트 Biber, Heinrich Ignaz Franz von https://web.archive.[...]
[5] 서적 Oxford illustrated encyclopedia Oxford University Press 1985–1993
[6] 논문 A Survey of the Unaccompanied Violin Repertoire, Centering on Works by J. S. Bach and Eugene Ysaÿe http://drum.lib.umd.[...] drum.lib.umd.edu
[7] 웹사이트 Heinrich Ignaz Franz Biber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com 2015-02-21
[8] 웹사이트 StainerQuartett: Jacob Stainer http://www.stainerqu[...] stainerquartett.ch
[9] 웹사이트 Heinrich Ignaz Franz von Biber – A Chronology http://www.bluntinst[...] bluntinstrument.org.uk
[10] 웹사이트 Heinrich Ignaz Franz Biber https://www.sn.at/wi[...] Salzburg Wiki
[11] 서적 The Instrumental Music of Schmeltzer, Biber, Muffat and their Contemporarie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11-03-01
[12] 웹사이트 Heinrich Biber https://www.hyperion[...]
[13] 웹사이트 Battalia by Heinrich Ignaz Franz Biber http://www.wmea.com/[...] wmea.com 2015-02-21
[14] 웹사이트 List of works by Heinrich Ignaz Franz von Biber http://imslp.org/wik[...] imslp.org
[15] 서적 Geschichte der Musik: ein Studien- und Nachschlagebuch Vandenhoeck & Ruprecht
[16] 웹사이트 Linn Records – Virtuoso in the Making — Biber http://www.linnrecor[...] Linn Record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