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오스트레일리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계 오스트레일리아인은 대한민국 출생자 또는 한국계 혈통을 가진 오스트레일리아인을 의미한다. 1920년대부터 소수의 한국인이 호주에 거주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으로 징집된 한국인이 억류되기도 했다. 1960년대 후반 호주의 이민 제한 정책 완화 이후 한국인 이민이 증가하여,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02,789명이 한국계 혈통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102,096명이 대한민국 출생자이다. 이들은 주로 뉴사우스웨일스주에 거주하며, 49.6%가 호주 시민권을 소유하고 있다. 한국계 호주인으로는 스포츠 선수, 연예인, 정치인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민족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은 수천 년 동안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 거주하며 다양한 문화와 언어를 가진 부족들로 구성되어 있고, 식민지배와 아동 강제 분리 등의 역사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현재 인구의 약 3%를 차지하며 토지 권리,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 문화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민족 - 먀오족
먀오족은 중국 남부 및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다양한 하위 집단과 독특한 문화를 가진 소수 민족으로, 언어, 의복, 음식 등 다채로운 문화를 유지하며 은 장신구와 같은 전통 공예를 통해 정체성을 나타낸다. - 한국계 오스트레일리아인 - 장한별
1990년 호주에서 태어난 장한별은 학업, 스포츠, 수학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인 다재다능한 인물로, 치의학과를 휴학하고 2011년 K팝 밴드 레드애플의 리더로 데뷔하여 국내외 활동 후 솔로 가수로 전향, 말레이시아에서 우승하며 배우 및 모델로도 활동하고 있다. - 한국계 오스트레일리아인 - 케빈 (1988년)
케빈 (1988년)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으로 2010년 이후 제국의 아이들 멤버로 활동하며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음반에 참여한 보컬리스트이다.
한국계 오스트레일리아인 | |
---|---|
기본 정보 | |
![]() | |
그룹 | 한국계 오스트레일리아인 |
한국어 표기 | 한국계 호주인 |
한자 표기 | 韓國系濠洲人 |
인구 통계 | |
출생 기준 (2021년) | 102,092명 |
혈통 기준 | 102,745명 |
주요 거주 지역 |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퍼스, 애들레이드 |
언어 | |
사용 언어 |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한국어 |
종교 | |
종교 분포 | 40.4% 무종교 |
관련 민족 | |
관련 집단 | 한국 디아스포라 |
추가 정보 | |
각주 | 장로교 (18.7%) 및 연합 교회 (6.4%) 포함 |
2. 역사
1920년대 무렵 호주에 소수의 한국인이 존재했다는 증거가 있다. 이들은 호주에서 선교 활동을 하던 호주 개신교 선교사들의 자녀였거나, 교육 목적으로 호주에 왔을 가능성이 있다.[3]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서호주의 브룸과 같은 지역에 한국인들이 살았다는 기록도 있다.[4] 2021년 오스트레일리아 인구 조사에서 1945년을 호주 도착 연도로 기록한 한국어 사용자 3명이 있었다는 사실은 초기 한국 이민의 증거가 될 수 있다.[5]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연합국에서 체포된 한국인들이 호주로 이송되어 일본인, 대만인과 함께 억류되기도 했다. 한국 전쟁 이후 1951년부터 1960년 사이에 20명의 한국인이 호주로 왔다.[6] 1960년대 후반 이민 제한이 완화되면서 더 많은 한국인들이 호주로 이주할 기회를 얻었다.
1970년대 초에는 매년 약 1,000명의 한국인이 유학 등의 목적으로 호주에 단기 체류했고, 이 중 약 100명이 영주권을 취득했다. 1976년부터 1985년 사이에는 매년 약 500명의 한국 출생 이민자가 호주에 도착했다. 1986년부터 1991년까지는 숙련 및 사업 이민 범주를 통해 매년 평균 약 1,400명의 한국인이 호주에 정착했다.
2021년 오스트레일리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호주에 거주하는 한국계 혈통은 102,789명, 대한민국 출생은 102,096명이다.[6] 이들 중 절반 정도가 호주 시민권을 가지고 있으며, 해외 출신 거주자의 1.4%, 전체 인구의 0.4%를 차지한다.[7] 이민 시기와 종교는 다음과 같다.[6]
이민 시기 | 비율 |
---|---|
1990년대 | 14.2% |
2000년대 | 36.4% |
2011년-2015년 | 17.6% |
2016년-2021년 | 16.7% |
시드니에는 한국 기독교 교회에 불만을 가진 전 신자들이 모이는 소수의 한국 불교 사찰도 있다.[9]
2. 1. 초기 이민 (1920년대 ~ 1960년대)
1920년 무렵 호주에 소수의 한국인이 존재했다는 증거가 있다. 이들이 호주에 오게 된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1885년경 한국에서 선교 활동을 시작한 호주 개신교 선교사들의 자녀였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1921년에서 1941년 사이에 교육을 위해 호주로 온 사람들도 소수 있었다.[3] 그 외에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몇 년 동안 서호주의 브룸과 같은 호주 지역에 한국인 개인이 살았다는 희미한 증거도 기록되어 있다.[4] 2021년 오스트레일리아 인구 조사에서 한국어 사용을 하는 3명이 1945년을 호주 도착 연도로 기록했는데, 이는 호주로의 초기 한국 이민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가 될 수 있다.[5]제2차 세계 대전 (1941–1945) 중,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연합국에서 체포된 불특정 수의 한국인들이 호주로 이송되어 전쟁 기간 동안 일본인 및 대만인과 함께 억류되었다. 대부분의 한국인 억류자들은 일본식 이름을 가지고 있어서 신원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한국 전쟁이 끝난 후인 1951년부터 1960년 사이에 20명의 한국인이 호주로 왔다.[6] 1960년대 후반에 이민 제한이 완화되면서 더 많은 수의 한국인들이 호주에 들어올 수 있는 첫 번째 기회가 열렸다.
2. 2. 이민 증가 (1970년대 ~ 1990년대)
1960년대 후반, 호주의 이민 제한 정책이 완화되면서 한국인 이민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1969년, 숙련 이민 프로그램을 통해 첫 한국 이민자들이 시드니에 도착했다. 그러나 1971년 인구 조사에서는 호주에 거주하는 한국 출생자가 468명에 불과한 것으로 기록되었다.[3]1970년대 초, 매년 약 1,000명의 한국인이 유학 등의 목적으로 호주에 단기 체류했고, 이 중 약 100명이 영주권을 취득했다. 이들 중 일부는 이후 가족 구성원의 이민을 후원했다. 1976년부터 1985년 사이에는 매년 약 500명의 한국 출생 이민자가 호주에 도착했다. 그 결과, 1976년 인구 조사(1,460명)와 1986년 인구 조사(9,290명) 사이에 호주에 거주하는 한국 출생자의 수는 6배 이상 증가했다.[3]
1986년부터 1991년까지, 숙련 및 사업 이민 범주를 통해 매년 평균 약 1,400명의 한국인이 호주에 정착했다. 호주에 거주하는 한국 출생자의 절반 이상이 지난 10년 동안 학생을 포함하여 도착했다.[3]
2. 3. 최근 동향 (2000년대 ~ 현재)
2021년 오스트레일리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호주에 거주하는 한국계 혈통은 102,789명, 대한민국 출생은 102,096명이다.[6] 이들 중 49.6%가 호주 시민권을 소유하고 있다. 이들은 해외 출신 거주자의 1.4%, 전체 인구의 0.4%를 차지한다.[7]이민 시기는 다음과 같다.[6]
이민 시기 | 비율 |
---|---|
1990년대 | 14.2% |
2000년대 | 36.4% |
2011년-2015년 | 17.6% |
2016년-2021년 | 16.7% |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호주에 거주하는 한국계 혈통은 102,789명이며, 대한민국 출생은 102,096명이다.[6] 이들 중 49.6%가 호주 시민권을 가지고 있으며, 1990년대에 14.2%, 2000년대에 36.4%, 2011-2015년에 17.6%, 2016-2021년에 16.7%가 호주로 이주했다.[6] 이들은 해외 출신 거주자 750만 명의 1.4%, 전체 인구 2570만 명의 0.4%를 차지한다.[7]
한국 출생 호주 거주자의 종교는 "종교 없음" 41,316명(40.5%), 장로교 또는 개혁교 19,400명(18.7%), 가톨릭 17,156명(16.8%), 호주 연합 교회 6,506명(6.4%), "기독교, 상세 불명" 4,244명(4.2%) 순이다.[6] 시드니 지역에는 한국 기독교 교회에 불만을 가진 전 신자들이 모이는 소수의 한국 불교 사찰도 있다.[9]
3. 인구 분포 및 특징
대부분 뉴사우스웨일스주에 거주하며, 한국인만큼 특정 주에 집중된 민족 집단은 드물다. 호주 인구의 33%가 뉴사우스웨일스주에 거주한다.[8]
한국 출생 호주 거주자 중 41,316명(40.5%)은 "종교 없음", 19,400명(18.7%)은 장로교 또는 개혁교, 17,156명(16.8%)은 가톨릭, 6,506명(6.4%)은 호주 연합 교회, 4,244명(4.2%)은 "기독교, 상세 불명"이라고 답했다.[6] 시드니 지역의 일부 한국 불교 사찰에는 한국 기독교 교회에 불만을 가진 전 신자들이 다니기도 한다.[9] 많은 한국계 호주인들이 개신교 교회에 속하는 복음주의 기독교 신자이며, 비기독교 신자는 8%에 불과하고, 그 대부분은 불교 신자이다.
4. 주요 인물
한국계 오스트레일리아인 중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주요 인물들이 많다. 스포츠, 연예/방송, 정치/사회 등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4. 1. 스포츠
4. 2. 연예/방송
4. 3. 정치/사회
참조
[1]
웹사이트
2016 Census Community Profiles: Australia
https://www.abs.gov.[...]
[2]
웹사이트
2016 People in Australia who were born in Korea, Republic of (South), Census Country of birth QuickStats |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https://www.abs.gov.[...]
[3]
웹사이트
The Korea-born Community {{!}} Department of Social Services, Australian Government
https://www.dss.gov.[...]
Department of Social Services, Government of Australia
2014-02-01
[4]
웹사이트
Prisoner of War/Internee; (shun-Ra) aka na san, (san) Aka Shun
https://recordsearch[...]
2024-02-17
[5]
웹사이트
SBS Australian Census Explorer
https://www.sbs.com.[...]
2023-04-14
[6]
웹사이트
People in Australia who were born in Korea, Republic of (South)
https://www.abs.gov.[...]
2021-01-01
[7]
웹사이트
Australia's Population by Country of Birth
https://www.abs.gov.[...]
2021-01-01
[8]
웹사이트
3101.0 – Australian Demographic Statistics, Dec 2006 (rebased on 2006 Census results)
http://www.abs.gov.a[...]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07-06-19
[9]
웹사이트
Koreans
http://www.dictionar[...]
dictionaryofsydney.org
2010-01-01
[10]
뉴스
Man who shot at Prince Charles becomes barrister
http://www.theage.co[...]
Fairfax Press
2005-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