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프로탁구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프로탁구리그는 2022년 공식 출범한 대한민국의 프로 탁구 리그이다. 유승민 대한탁구협회장의 공약에 따라 2021년부터 출범이 추진되었으며, 두나무와 타이틀 스폰서십 계약을 체결했다. 리그는 코리아리그(1부)와 내셔널리그(2부)로 나뉘며, 각 리그는 남녀부로 구성된다. 2022년에는 삼성생명, 포스코에너지 등이 정규리그에서 우승했으며, 삼성생명, 산청군청, 수원시청이 챔피언결정전에서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프로탁구에 관한 - 2022 한국프로탁구리그
    2022 한국프로탁구리그는 코리아리그와 내셔널리그로 나뉘어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코리아리그 남자부는 삼성생명, 여자부는 포스코에너지가 정규시즌 1위를, 포스트시즌에서는 코리아리그 남자부 미래에셋증권, 여자부 대한항공, 내셔널리그 남자부 산청군청, 여자부 수원시청이 최종 우승했다.
  • 202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U리그1
    U리그1은 대한민국의 대학 축구 리그로, 대학 축구 발전과 선수 육성을 목표로 다양한 팀들이 경쟁하며 한국 사회와 국제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 202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U리그2
한국프로탁구리그
한국프로탁구리그
종목탁구
설립 연도2022년
팀 수코리아리그: 남자부 7팀, 여자부 5팀
내셔널리그: 남자부 7팀, 여자부 8팀
나라대한민국
웹사이트KTTL
현재 시즌한국프로탁구리그 2022

2. 연혁

2. 1. 2020년 이전

한국실업탁구연맹 내에 프로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수차례 회의를 개최하였다.

2. 2. 2021년

유승민 대한탁구협회장의 선거공약에 따라, 2021년은 프로 리그 출범을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이 시작된 해였다. 대한탁구협회와 한국실업탁구연맹은 여러 차례 연석회의를 개최하고 공동으로 프로리그 추진에 합의, 프로추진위원회를 가동했다. 7차례의 프로추진위 회의와 2차례의 감독자 대상 브리핑을 거쳐 프로리그 출범 계획을 완성, 27개 실업팀에 관련 공문을 발송했다. 또한 두나무와 한국프로탁구리그 타이틀스폰서십 계약을 체결했다.

2. 3. 2022년

2022년 한국프로탁구리그가 공식 출범하였다.

3. 역대 타이틀 스폰서 및 리그명

wikitable

시즌타이틀 스폰서리그명
2022두나무두나무 한국프로탁구리그


4. 경기 규정

경기 규정은 KTTL 규정 제8장 경기 제42조(용어)에서 제49조(포스트시즌)까지를 따른다.[3]

=== 용어 ===

리그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는 다음과 같다.


  • 경기(팀매치)는 한 팀이 상대 팀과 4번의 단식, 1번의 복식 경기를 치르는 것을 의미한다.

  • 매치는 경기(팀매치) 때 진행되는 5번의 세부 경기를 의미한다. 1, 2, 4, 5매치는 단식이며, 3매치는 복식이다.

  • 게임은 매치의 하부 단위로, 10-10이 아닌 상황에서 먼저 11점을 획득하거나, 10-10 이후 먼저 2점이 앞서는 쪽(선수 혹은 복식조)이 승리한다.

  • 라운드는 특정 팀이 같은 리그 소속의 다른 팀과 각각 한 번씩 경기를 치르는 것을 의미한다.

  • 포인트는 매 게임 중 한 번의 랠리(공이 경기 중에 있는 상태)에서 결정되는 점수를 의미한다.


=== 경기 시작 시간 및 장소 ===

2022 한국프로탁구리그는 광교 씨름체육관에서 열리며, 22~23시즌 이후의 경기장소는 프로리그위원회가 별도로 결정한다. 경기시작 시간은 15시, 18시, 21시를 원칙으로 한다. 리그 일정에 따라 하루 네 경기를 치러야 할 경우, 오전 11시 등 다른 시간대에 경기를 추가할 수 있다. 또 프로리그위원회가 인정한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경기 시작시간을 바꿀 수 있다. 앞 경기가 다음 경기의 시작 시작을 넘겨 종료된 경우, 최소 30분의 준비시간을 가질 수 있다. 경기 시작시간은 천재지변, 방송중계 등의 사정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다. 단, 이 경우 경기감독관은 KTTL 사무국과 사전에 협의해야 한다.

=== 각 리그의 경기 수 ===

각 리그의 경기수는 매 시즌 전 프로리그위원회가 결정한다. 첫 시즌인 2022 두나무 한국프로탁구리그의 경우, 여자 코리아리그는 4라운드, 남자 코리아리그와 남자 내셔널리그는 3라운드, 여자 내셔널리그는 2라운드로 진행된다.

=== 홈/어웨이 팀의 정의 ===

한 경기에 출전하는 두 팀은 홈팀과 어웨이팀으로 구분된다. 홈팀 벤치는 주심석 오른쪽, 어웨이팀 벤치는 반대편으로 정한다.

2022시즌의 경우, 짝수 라운드로 치러지는 여자 코리아리그(4라운드)와 여자 내셔널리그(2라운드)는 두 팀이 교대로 홈팀을 맡는다. 팀명칭의 가나다순에서 앞서는 팀이 먼저 홈팀이 된다.

2022시즌의 경우, 남자 코리아리그와 남자 내셔널리그(이상 3라운드)는 1, 2라운드는 본 조 ②항의 원칙에 따라 홈팀이 결정되며, 3라운드 중립경기의 경우 이전 경기(2라운드) 패배팀이 홈팀이 된다.

22~23시즌 이후의 리그별 라운드수는 프로리그위원회가 결정한다.

=== 경기 방식 ===

모든 매치는 2게임을 먼저 획득한 쪽이 승리한다. 매치 스코어 3-0인 상황에서도 네 번째 매치를 진행한다. 다섯 번째 매치는 매치 스코어 2-2인 상황에서만 진행한다. 매치 스코어에서 앞선 팀이 승리하게 되며, 가능한 매치 스코어는 4-0, 3-1, 3-2 3가지만 가능하다. 출전 선수가 2명 이하이거나, 경기장 지연 도착 등 해당 팀의 사정으로 경기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없는 경우, 몰수패로 처리된다. 서비스, 리턴, 경기 순서, 렛, 점수, 경기 촉진제 등은 국제탁구연맹(ITTF)이 정한 규칙을 기준으로 삼는다(ITTF 핸드북 제2장 탁구 규칙).

=== 순위 결정 ===

한국프로탁구리그 각 리그별 팀 순위는 KTTL 승점 제도를 따른다. 승점은 매치스코어에 따라 결정된다.

  • 매치스코어 4-0일 경우, 승리팀은 4점, 패배팀은 0점을 획득한다.
  • 매치스코어 3-1 또는 3-2일 경우, 승리팀은 3점, 패배팀은 1점을 획득한다.
  • 경기(팀매치) 승패와 상관 없이 승점을 많이 획득한 팀이 상위 순위를 차지한다.
  • 몰수패의 경우, 승리팀이 승점 4점을 얻고, 패배팀의 승점은 0점이 된다.


승점이 같을 경우, 승률로 순위를 결정한다. 승률도 동률일 경우에는 매치득실차를 기준으로 삼고, 매치득실차까지 같을 경우 최다매치획득수–게임득실차–최다획득게임수–포인트득실차–최다포인트 순으로 팀순위를 결정한다. 이마저 같을 경우에는 정규리그 종료 후 순위결정전(1경기)을 치른다.

=== 오더 및 팀 위치 ===

팀은 경기 시작 1시간 전에 경기장의 경기감독관에게 오더 리스트(해당 경기의 출전 선수 명단)를 제출해야 한다. 오더 리스트가 규정에 위반될 경우, 감독관은 즉시 시정을 명령하고 팀은 이를 따라야 한다. 또 잘못된 오더 리스트 제출에 따른 책임과 불이익은 해당 팀에게 부과된다.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는 3~5명이 가능하다. 단식에 두 번 출전하는 선수는 1명이어야 하며, 이 선수는 복식에 출전할 수 없다. 단식에 출전하지 않는 선수도 복식에 출전할 수 있다. 오더 리스트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홈팀: A,B,C,D,E / 어웨이팀: a,b,c,d,e).

:# A vs b

:# B vs a

:# 복식 [B~E 중 2명 vs b~e 중 2명]

:# A vs a

:# C vs c [C~E vs c~e]

=== 포스트시즌 ===

한국프로탁구리그의 포스트시즌은 리그별 플레이오프와 챔피언결정전으로 진행된다. 플레이오프는 정규리그 2위 팀과 3위 팀이 맞붙고, 챔피언결정전은 플레이오프 승리 팀과 정규리그 1위 팀이 대결하는 방식이다. 플레이오프와 챔피언결정전 모두 정규리그 상위 팀에게 어드밴티지가 주어지는데, 1승을 먼저 확보한 상태에서 경기를 시작하며, 이후 2승을 먼저 획득하는 팀이 최종 승리한다.

4. 1. 용어

리그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는 다음과 같다.

  • 경기(팀매치)는 한 팀이 상대 팀과 4번의 단식, 1번의 복식 경기를 치르는 것을 의미한다.

  • 매치는 경기(팀매치) 때 진행되는 5번의 세부 경기를 의미한다. 1, 2, 4, 5매치는 단식이며, 3매치는 복식이다.

  • 게임은 매치의 하부 단위로, 10-10이 아닌 상황에서 먼저 11점을 획득하거나, 10-10 이후 먼저 2점이 앞서는 쪽(선수 혹은 복식조)이 승리한다.

  • 라운드는 특정 팀이 같은 리그 소속의 다른 팀과 각각 한 번씩 경기를 치르는 것을 의미한다.

  • 포인트는 매 게임 중 한 번의 랠리(공이 경기 중에 있는 상태)에서 결정되는 점수를 의미한다.

4. 2. 경기 시작 시간 및 장소

2022 한국프로탁구리그는 광교 씨름체육관에서 열리며, 22~23시즌 이후의 경기장소는 프로리그위원회가 별도로 결정한다. 경기시작 시간은 15시, 18시, 21시를 원칙으로 한다. 리그 일정에 따라 하루 네 경기를 치러야 할 경우, 오전 11시 등 다른 시간대에 경기를 추가할 수 있다. 또 프로리그위원회가 인정한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경기 시작시간을 바꿀 수 있다. 앞 경기가 다음 경기의 시작 시작을 넘겨 종료된 경우, 최소 30분의 준비시간을 가질 수 있다. 경기 시작시간은 천재지변, 방송중계 등의 사정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다. 단, 이 경우 경기감독관은 KTTL 사무국과 사전에 협의해야 한다.

4. 3. 각 리그의 경기 수

각 리그의 경기수는 매 시즌 전 프로리그위원회가 결정한다. 첫 시즌인 2022 두나무 한국프로탁구리그의 경우, 여자 코리아리그는 4라운드, 남자 코리아리그와 남자 내셔널리그는 3라운드, 여자 내셔널리그는 2라운드로 진행된다.

4. 4. 홈/어웨이 팀의 정의

한 경기에 출전하는 두 팀은 홈팀과 어웨이팀으로 구분된다. 홈팀 벤치는 주심석 오른쪽, 어웨이팀 벤치는 반대편으로 정한다.

2022시즌의 경우, 짝수 라운드로 치러지는 여자 코리아리그(4라운드)와 여자 내셔널리그(2라운드)는 두 팀이 교대로 홈팀을 맡는다. 팀명칭의 가나다순에서 앞서는 팀이 먼저 홈팀이 된다.

2022시즌의 경우, 남자 코리아리그와 남자 내셔널리그(이상 3라운드)는 1, 2라운드는 본 조 ②항의 원칙에 따라 홈팀이 결정되며, 3라운드 중립경기의 경우 이전 경기(2라운드) 패배팀이 홈팀이 된다.

22~23시즌 이후의 리그별 라운드수는 프로리그위원회가 결정한다.

4. 5. 경기 방식

모든 매치는 2게임을 먼저 획득한 쪽이 승리한다. 매치 스코어 3-0인 상황에서도 네 번째 매치를 진행한다. 다섯 번째 매치는 매치 스코어 2-2인 상황에서만 진행한다. 매치 스코어에서 앞선 팀이 승리하게 되며, 가능한 매치 스코어는 4-0, 3-1, 3-2 3가지만 가능하다. 출전 선수가 2명 이하이거나, 경기장 지연 도착 등 해당 팀의 사정으로 경기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없는 경우, 몰수패로 처리된다. 서비스, 리턴, 경기 순서, 렛, 점수, 경기 촉진제 등은 국제탁구연맹(ITTF)이 정한 규칙을 기준으로 삼는다(ITTF 핸드북 제2장 탁구 규칙).

4. 6. 순위 결정

한국프로탁구리그 각 리그별 팀 순위는 KTTL 승점 제도를 따른다. 승점은 매치스코어에 따라 결정된다.

  • 매치스코어 4-0일 경우, 승리팀은 4점, 패배팀은 0점을 획득한다.
  • 매치스코어 3-1 또는 3-2일 경우, 승리팀은 3점, 패배팀은 1점을 획득한다.
  • 경기(팀매치) 승패와 상관 없이 승점을 많이 획득한 팀이 상위 순위를 차지한다.
  • 몰수패의 경우, 승리팀이 승점 4점을 얻고, 패배팀의 승점은 0점이 된다.


승점이 같을 경우, 승률로 순위를 결정한다. 승률도 동률일 경우에는 매치득실차를 기준으로 삼고, 매치득실차까지 같을 경우 최다매치획득수–게임득실차–최다획득게임수–포인트득실차–최다포인트 순으로 팀순위를 결정한다. 이마저 같을 경우에는 정규리그 종료 후 순위결정전(1경기)을 치른다.

4. 7. 오더 및 팀 위치

팀은 경기 시작 1시간 전에 경기장의 경기감독관에게 오더 리스트(해당 경기의 출전 선수 명단)를 제출해야 한다. 오더 리스트가 규정에 위반될 경우, 감독관은 즉시 시정을 명령하고 팀은 이를 따라야 한다. 또 잘못된 오더 리스트 제출에 따른 책임과 불이익은 해당 팀에게 부과된다.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는 3~5명이 가능하다. 단식에 두 번 출전하는 선수는 1명이어야 하며, 이 선수는 복식에 출전할 수 없다. 단식에 출전하지 않는 선수도 복식에 출전할 수 있다. 오더 리스트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홈팀: A,B,C,D,E / 어웨이팀: a,b,c,d,e).

:# A vs b

:# B vs a

:# 복식 [B~E 중 2명 vs b~e 중 2명]

:# A vs a

:# C vs c [C~E vs c~e]

4. 8. 포스트시즌

한국프로탁구리그의 포스트시즌은 리그별 플레이오프와 챔피언결정전으로 진행된다. 플레이오프는 정규리그 2위 팀과 3위 팀이 맞붙고, 챔피언결정전은 플레이오프 승리 팀과 정규리그 1위 팀이 대결하는 방식이다. 플레이오프와 챔피언결정전 모두 정규리그 상위 팀에게 어드밴티지가 주어지는데, 1승을 먼저 확보한 상태에서 경기를 시작하며, 이후 2승을 먼저 획득하는 팀이 최종 승리한다.

5. 경기 운영 체제

2022년 시즌은 1~5월에 걸쳐 치러진다. 하지만 각 팀의 연고지가 없어 리그가 홈 앤드 어웨이가 아닌 중립구장에서 진행된다. 정규시즌은 총 n라운드로 진행되고 포스트 시즌은 2선승제이다.[4]
정규시즌2022 시즌에서 상무(국군체육부대)를 포함한 총 27개 팀은 1월 28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5월 17일까지 정규 시즌 순위를 가린다.[5] 정규 시즌은 총 222경기로, 코리아 리그 103경기, 내셔널 리그 119경기로 구성된다.[5] 여자 코리아 리그는 4라운드, 여자 내셔널 리그는 2라운드, 나머지 2개 리그는 3라운드로 진행된다.[5]

1경기는 5개 매치(4단식 1복식)로 구성된다.[5] 팀 순위는 KTTL 승점제를 따르며, 승점, 승률, 매치득실차 순으로 결정된다.[5]

KTTL 승점제는 다음과 같다.[5]


  • 매치스코어 4-0: 승리팀 4점, 패배팀 0점
  • 매치스코어 3-1, 3-2: 승리팀 3점, 패배팀 1점

포스트시즌정규시즌이 종료된 후 리그별로 남녀 상위 3개 팀이 포스트시즌과 챔피언결정전을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린다.[6][7]

포스트시즌은 각 리그 상위 3개 팀이 플레이오프(2위팀과 3위팀 간 경기)와 챔피언결정전(플레이오프 승리팀과 1위팀 간 경기)을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플레이오프와 챔피언결정전 모두 상위 팀에게 1승의 어드밴티지가 주어진 상태에서 먼저 2승을 올리는 팀이 시리즈에서 승리한다.

내셔널리그에서 우승한 팀은 코리아리그로 승격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 그러나 코리아리그에서 내셔널리그로의 강등은 당분간 시행되지 않는다.[8]
플레이오프리그 2위팀과 리그 3위팀 간의 경기. 상위 팀에게 1승을 먼저 부여하는 어드벤티지를 적용한다.
챔피언 결정전리그 1위 팀과 플레이오프 승자가 챔피언 결정전에서 맞붙는다.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상위 팀에게 1승을 먼저 부여하는 어드벤티지를 적용한다.

5. 1. 정규시즌

2022 시즌에서 상무(국군체육부대)를 포함한 총 27개 팀은 1월 28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5월 17일까지 정규 시즌 순위를 가린다.[5] 정규 시즌은 총 222경기로, 코리아 리그 103경기, 내셔널 리그 119경기로 구성된다.[5] 여자 코리아 리그는 4라운드, 여자 내셔널 리그는 2라운드, 나머지 2개 리그는 3라운드로 진행된다.[5]

1경기는 5개 매치(4단식 1복식)로 구성된다.[5] 팀 순위는 KTTL 승점제를 따르며, 승점, 승률, 매치득실차 순으로 결정된다.[5]

KTTL 승점제는 다음과 같다.[5]

  • 매치스코어 4-0: 승리팀 4점, 패배팀 0점
  • 매치스코어 3-1, 3-2: 승리팀 3점, 패배팀 1점

5. 2. 포스트시즌

정규시즌이 종료된 후 리그별로 남녀 상위 3개 팀이 포스트시즌과 챔피언결정전을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린다.[6][7]

포스트시즌은 각 리그 상위 3개 팀이 플레이오프(2위팀과 3위팀 간 경기)와 챔피언결정전(플레이오프 승리팀과 1위팀 간 경기)을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플레이오프와 챔피언결정전 모두 상위 팀에게 1승의 어드밴티지가 주어진 상태에서 먼저 2승을 올리는 팀이 시리즈에서 승리한다.

내셔널리그에서 우승한 팀은 코리아리그로 승격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 그러나 코리아리그에서 내셔널리그로의 강등은 당분간 시행되지 않는다.[8]

5. 2. 1. 플레이오프

리그 2위팀과 리그 3위팀 간의 경기. 상위 팀에게 1승을 먼저 부여하는 어드벤티지를 적용한다.

5. 2. 2. 챔피언 결정전

리그 1위 팀과 플레이오프 승자가 챔피언 결정전에서 맞붙는다.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상위 팀에게 1승을 먼저 부여하는 어드벤티지를 적용한다.

6. 참가 구단

리그는 1부격인 코리아 리그(기업팀)와 2부격인 내셔널 리그(지방자치단체팀)로 나뉜다. 2022 시즌의 각 리그는 코리아 리그가 남녀 각 7개·5개팀, 내셔널리그가 각 6개·9개팀이 참가한다.[9]

코리아리그는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남자부는 삼성생명, 정관장, 미래에셋증권, 보람할렐루야,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마사회, 국군체육부대가 참가한다.

남자부
팀명감독코치선수창단참가
삼성생명이철승채윤석호정문, 조대성, 이상수, 오승환, 양예찬, 안재현, 김우진19792022
정관장최현진한지민임종훈, 박정우, 정영훈, 곽유빈, 김장원, 정성원20012022
미래에셋증권김택수오상은강동수, 박규현, 우형규, 장성일, 정영식, 황민하20072022
보람할렐루야오광헌이정우김동현, 김대우, 최인혁, 김문수, 박경태20162022
한국수자원공사김영진이세돈김민혁, 김병현, 박강현, 최덕화, 한영섬20162022
한국마사회최영일김상수박찬혁, 백광일, 정상은, 이기훈20192022
국군체육부대임종만-조기정, 김예능, 조승민, 장우진, 남기홍, 백호균, 이승환, 오민서-2022



여자부는 대한항공, 삼성생명, 한국마사회, 미래에셋증권, 포스코에너지가 참가한다.

여자부
팀명감독코치선수창단참가
대한항공강희찬김경아, 당예서이은혜, 김하영, 강다연, 정은송, 강가윤, 지은채, 신유빈19732022
삼성생명유남규황성훈이시온, 최효주, 김지호, 이채연, 변서영, 이윤지, 위예지, 주천희, 최유나19782022
한국마사회현정화박상준서효원, 안소연, 최해은, 이다은19962022
미래에셋증권육선희서영균, 이현유은총, 윤효빈, 유소원, 심현주, 김서윤, 홍순수20072022
포스코에너지전혜경(감독대행)이다솜(트레이너)전지희, 양하은, 김별님, 유한나, 김나영, 유시우, 김예린20112022



한국프로탁구리그 내셔널리그는 남자부와 여자부로 구성되어 있다.

남자부에는 산청군청, 영도구청, 부천시청, 서울시청, 인천시설공단, 안산시청, 제천시청이 참가한다.

남자부
팀명감독코치선수창단참가
산청군청이광선-조재준, 천민혁, 서홍찬, 김수환20222022
영도구청강우용-김규범, 김승린, 남성빈, 배희철, 서중원, 신석현, 이민규20212022
부천시청이정우-강지훈, 김장호, 손승준, 양상현, 유창재, 이정호, 함소리20062022
서울시청하태철-김민호, 김현소, 남기홍, 박민준, 배희철, 서정화, 이승준, 최원진, 추한혁20072022
인천시설공단최정안-김경민, 이장목, 라선일, 권태민, 채병욱20202022
안산시청이재훈김건섭김지환, 김완철, 오경민, 정남주, 조지훈20062022
제천시청양희석구본함구본환, 구주찬, 김민주, 안준형, 윤주현, 최진우, 황진하-2022



여자부에는 금천구청, 수원시청, 안산시청, 포항시체육회, 대전시설관리공단, 양산시청, 장수군청, 파주시청이 참가한다.

여자부
팀명감독코치선수창단참가
금천구청추교성-강희경, 류영주, 박신해, 송마음, 이정아, 정유미20172022
수원시청최상호-김연령, 김종화, 문현정, 조유진, 허미려20052022
안산시청이재운김건섭황지나, 박세리, 이영은, 유소라, 한오연20062022
포항시체육회이상한-김소연, 임효원, 정은순, 조안나-2022
대전시설관리공단서동철-곽수지, 권아현, 윤아린, 이수정, 임예나-2022
양산시청이정삼-김민정, 김하은 ,박민주, 박주현, 안영은20182022
장수군청문보성-박희진, 유민지, 유주화, 이지은, 최지인, 한미정20222022
파주시청김상학-김예닮, 김지민, 심민주, 서다인, 이유진, 전영은, 정다나, 천정아, 최예린20202022


6. 1. 코리아리그

코리아리그는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남자부는 삼성생명, 정관장, 미래에셋증권, 보람할렐루야,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마사회, 국군체육부대가 참가한다. 각 팀의 감독, 코치, 선수 명단, 창단 연도, 참가 연도는 다음과 같다.

남자부
팀명감독코치선수창단참가
삼성생명이철승채윤석호정문, 조대성, 이상수, 오승환, 양예찬, 안재현, 김우진19792022
정관장최현진한지민임종훈, 박정우, 정영훈, 곽유빈, 김장원, 정성원20012022
미래에셋증권김택수오상은강동수, 박규현, 우형규, 장성일, 정영식, 황민하20072022
보람할렐루야오광헌이정우김동현, 김대우, 최인혁, 김문수, 박경태20162022
한국수자원공사김영진이세돈김민혁, 김병현, 박강현, 최덕화, 한영섬20162022
한국마사회최영일김상수박찬혁, 백광일, 정상은, 이기훈20192022
국군체육부대임종만-조기정, 김예능, 조승민, 장우진, 남기홍, 백호균, 이승환, 오민서-2022



여자부는 대한항공, 삼성생명, 한국마사회, 미래에셋증권, 포스코에너지가 참가한다. 각 팀의 감독, 코치, 선수 명단, 창단 연도, 참가 연도는 다음과 같다.

여자부
팀명감독코치선수창단참가
대한항공강희찬김경아, 당예서이은혜, 김하영, 강다연, 정은송, 강가윤, 지은채, 신유빈19732022
삼성생명유남규황성훈이시온, 최효주, 김지호, 이채연, 변서영, 이윤지, 위예지, 주천희, 최유나19782022
한국마사회현정화박상준서효원, 안소연, 최해은, 이다은19962022
미래에셋증권육선희서영균, 이현유은총, 윤효빈, 유소원, 심현주, 김서윤, 홍순수20072022
포스코에너지전혜경(감독대행)이다솜(트레이너)전지희, 양하은, 김별님, 유한나, 김나영, 유시우, 김예린20112022


6. 2. 내셔널리그

한국프로탁구리그 내셔널리그는 남자부와 여자부로 구성되어 있다.

남자부에는 산청군청, 영도구청, 부천시청, 서울시청, 인천시설공단, 안산시청, 제천시청이 참가한다. 각 팀의 감독, 선수, 창단 연도, 참가 연도는 다음과 같다.

남자부
팀명감독코치선수창단참가
산청군청이광선-조재준, 천민혁, 서홍찬, 김수환20222022
영도구청강우용-김규범, 김승린, 남성빈, 배희철, 서중원, 신석현, 이민규20212022
부천시청이정우-강지훈, 김장호, 손승준, 양상현, 유창재, 이정호, 함소리20062022
서울시청하태철-김민호, 김현소, 남기홍, 박민준, 배희철, 서정화, 이승준, 최원진, 추한혁20072022
인천시설공단최정안-김경민, 이장목, 라선일, 권태민, 채병욱20202022
안산시청이재훈김건섭김지환, 김완철, 오경민, 정남주, 조지훈20062022
제천시청양희석구본함구본환, 구주찬, 김민주, 안준형, 윤주현, 최진우, 황진하-2022



여자부에는 금천구청, 수원시청, 안산시청, 포항시체육회, 대전시설관리공단, 양산시청, 장수군청, 파주시청이 참가한다. 각 팀의 감독, 선수, 창단 연도, 참가 연도는 다음과 같다.

여자부
팀명감독코치선수창단참가
금천구청추교성-강희경, 류영주, 박신해, 송마음, 이정아, 정유미20172022
수원시청최상호-김연령, 김종화, 문현정, 조유진, 허미려20052022
안산시청이재운김건섭황지나, 박세리, 이영은, 유소라, 한오연20062022
포항시체육회이상한-김소연, 임효원, 정은순, 조안나-2022
대전시설관리공단서동철-곽수지, 권아현, 윤아린, 이수정, 임예나-2022
양산시청이정삼-김민정, 김하은 ,박민주, 박주현, 안영은20182022
장수군청문보성-박희진, 유민지, 유주화, 이지은, 최지인, 한미정20222022
파주시청김상학-김예닮, 김지민, 심민주, 서다인, 이유진, 전영은, 정다나, 천정아, 최예린20202022


7. 정규시즌

7. 1. 시즌별 우승 기록

7. 1. 1. 코리아리그

wikitable

남자부
시즌정규리그 우승정규리그 준우승
2022삼성생명국군체육부대



여자부
시즌정규리그 우승정규리그 준우승
2022포스코에너지삼성생명


7. 1. 2. 내셔널리그

wikitable

남자부
시즌정규리그 우승정규리그 준우승
2022제천시청산청군청



여자부
시즌정규리그 우승정규리그 준우승
2022수원시청금천구청


7. 2. 시즌별 개인 기록

7. 2. 1. 개인 다승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어, '개인 다승' 섹션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시면 위키텍스트로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7. 2. 2. 복식 다승

8. 포스트시즌

8. 1. 시즌별 우승 기록

8. 1. 1. 코리아리그

wikitable

남자부
시즌챔피언결정전 우승전적챔피언결정전 준우승
2022삼성생명2-0국군체육부대



여자부
시즌챔피언결정전 우승전적챔피언결정전 준우승
2022---


8. 1. 2. 내셔널리그

wikitable

남자부
시즌챔피언결정전 우승전적챔피언결정전 준우승
2022산청군청2-1제천시청



여자부
시즌챔피언결정전 우승전적챔피언결정전 준우승
2022수원시청2-0금천구청


9. 수상

9. 1. 시즌별 MVP

9. 1. 1. 코리아리그

wikitable

남자부
시즌선수
2022--



여자부
시즌선수
2022--


9. 1. 2. 내셔널리그

남자부
시즌선수
2022--



여자부
시즌선수
2022--


참조

[1] 웹인용 "신유빈이 中·日 최강과 맞짱" 韓 프로탁구, 불완전한 출발과 원대한 꿈 https://sports.news.[...] 2022-02-07
[2] 웹인용 프로탁구 출범, 인기몰이 새로운 도약대 될까? https://www.hani.co.[...] 2022-05-23
[3] 웹인용 한국프로탁구리그 About KTTL 경기규정 https://kttl.kr/abou[...] 2022-05-26
[4] 웹인용 한국프로탁구리그 리그소개, 2022 두나무 한국프로탁구리그 경기 규정 https://kttl.kr/abou[...] 2022-05-26
[5] 웹인용 2022 두나무 한국프로탁구리그, 베리미디어와 주관방송사 계약 - 더 핑퐁 http://www.thepingpo[...] 2022-02-08
[6] 웹인용 한국프로탁구리그 28일 개막...첫 경기 전지희·신유빈 여자 단식 예정 http://www.joongboo.[...] 2022-02-08
[7] 웹인용 '꽃가마' 탁구대에서 '프로 시대' 문 연다 https://sports.news.[...] 2022-02-08
[8] 웹인용 새로운 탁구의 시작, 한국 탁구 프로화 첫 발 내디뎠다 https://www.mhnse.co[...] 2022-05-12
[9] 웹인용 한국 탁구의 새로운 도전, 프로리그 내년 1월 출범한다 https://sports.news.[...] 2022-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