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르만 도예베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만 도예베르트는 대륙 철학의 전통에 따라 서구 철학을 내재적, 초월적 비평의 관점에서 고찰한 철학자이다. 그는 철학적 사고가 종교적 기저 동기에 기반한다고 보았으며, 그리스 철학의 형상-질료 분할, 성경적 창조-타락-구속, 중세 스콜라 철학의 자연-은총 분할, 인본주의적 계몽주의의 자연-자유 분할 등 네 가지 주요 기저 동기를 제시했다. 도예베르트는 모든 학문이 서로 다른 관점에서 현실을 연구한다고 보고, 현실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 15가지 '양상' 개념을 제시했다. 그의 사상은 개혁주의 기독교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저작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 교수 - 해리 M. 쿠테르트
    해리 M. 쿠테르트는 20세기 미국의 외교 정책, 동아시아, 한국 전쟁 연구에 기여한 미국의 역사가로, 《The End of the American Century》 등의 저서를 통해 미국의 외교 정책과 냉전 시대 동아시아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시했다.
  • 네덜란드의 법학자 - 드리스 판 아흐트
    드리스 판 아흐트는 네덜란드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1977년부터 1982년까지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했으며, 법학 박사 학위 취득 후 변호사, 정부 관료, 하원 의원, 법무장관, 부총리, 기독교민주당 대표, 노르트브라반트 주지사, 유럽 연합 대사를 역임했고, 정계 은퇴 후에는 중동 문제 비판적 활동을 하다 2024년 사망했다.
  • 네덜란드의 법학자 - 피터르 슈르츠 헤르브란디
    피터르 슈르츠 헤르브란디는 네덜란드의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 정부의 총리를 지냈으며, 법조인 출신으로 반혁명당 소속 지방 의회 의원과 법무부 장관을 거쳐 망명 정부에서 총리, 법무부 장관, 식민부 장관을 겸임하며 연합국의 일원으로 대독일전에 참여했고, 전후 네덜란드 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다 은퇴 후 국무장관이 되었다.
  • 네덜란드의 저술가 - 아브라함 카이퍼
    아브라함 카이퍼는 신칼뱅주의를 주창하고 영역 주권 사상을 발전시킨 네덜란드의 신학자이자 정치인, 언론인으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를 설립하고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했으며, 기독교적 가치관에 기초한 사회 보수주의를 주창하며 네덜란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네덜란드의 저술가 - 빌럼 드레이스
    빌럼 드레이스는 네덜란드의 정치인으로, 사회민주노동당에서 활동하며 하원 의원, 총리를 역임했고 탈식민지화, 경제 재건, 복지 국가 설립에 기여했다.
헤르만 도예베르트
기본 정보
도예베르트, 1930년경
이름헤르만 도예베르트
출생일1894년 11월 7일
출생지암스테르담, 네덜란드
사망일1977년 2월 12일
사망지암스테르담, 네덜란드
분야서양 철학
시대20세기 철학
학파개혁 철학, 대륙 철학, 신 칼뱅주의
사상
주요 아이디어양상, 의미 중심 철학, 종교적 근본 동기
영향아브라함 카이퍼, 에드문트 후설, 신칸트 학파 (마르부르크 학파, 에른스트 카시러), 프란츠 크사버 폰 바더 (논쟁 중)
영향을 받은 인물디르크 폴렌호벤, 얀 페터 발케넨데, 로이 클라우저, H. 에번 러너, 아브 클링크

2. 도예베르트의 철학 비판

도예베르트는 대륙 철학의 전통에 따라 서양 철학에 대해 내재적 비판과 초월적 비판을 모두 수행했다. 그는 서구 철학이 종교적 신념에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철학자들의 작품을 내면에서부터 이해하고, 그들의 용어와 기본 전제를 바탕으로 깊은 문제를 파악해야 한다고 보았다. 도예베르트는 서양 사상의 주요 기저 동기를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보았다.[6] 이러한 기저 동기는 현실을 해석하게 하는 영적인 추진력이라고 정의한다.


  • 그리스 철학의 형상과 물질의 분리
  • 성경 사상의 창조-타락-구속 모티브 (히브리어, 셈족)
  • 중세 스콜라 사상의 자연-은총의 분리
  • 인문주의적 계몽주의 사상의 자연-자유성의 분리


도예베르트는 이마누엘 칸트의 이론적 사상에서 초월적 비평을 하였다. 칸트 및 후설과 달리 도예베르트는 이론적 태도를 전제하지 않고, 모든 이론적 사고가 초이성적으로 고수하는 "의미의 근원"이라는 기저 동기에 대한 언급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며, 이는 이론적 사고가 사상가로부터 결코 중립적이거나 자율적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그는 모든 "좋은" 철학은 세계, 합리성의 일관성, 기원의 의미라는 세 가지 요소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각 철학자가 자신의 기저 동기를 인정하면 서로 다른 철학적 방법들이 대화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아브라함 카이퍼에게서 영향받은 창조-타락-구속의 개념을 자신의 근거로 제시했다.[7]

2. 1. 내재적 비판

도예베르트는 각 철학자의 작업이나 전통을 내부에서 이해하고, 자체적인 용어로 기본 전제를 밝혀내 근본적인 문제를 드러내는 '내재적 비판'을 수행했다.[5] 그는 소크라테스 이전의 그리스 철학자부터 20세기 중반(중세 시대, 근대 포함)까지의 철학자들에 대한 내재적 비판을 통해, 이론적 사고가 항상 종교적 성격의 전제, 즉 그가 "기저 동기"라고 부르는 것에 기반해 왔음을 입증했다고 주장했다.[5] 기저 동기는 각 사상가가 그 영향 아래 현실을 해석하도록 이끄는 정신적 추진력이다.[6] 도예베르트는 서양 사상의 주요 기저 동기를 네 가지로 식별했는데, 그 중 세 가지는 이원론적 성격을 띤다.

  • 그리스 사상의 형상-질료 분할
  • 성경적(히브리, 셈족) 사상의 창조-타락-구속 동기
  • 중세 스콜라 철학의 자연-은총 분할
  • 인본주의적, 계몽주의 사상의 자연-자유 분할

2. 2. 초월적 비판

도예베르트는 이마누엘 칸트의 초월 철학을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이론적 사고의 전제 조건과 가능성을 탐구하는 '초월적 비판'을 수행했다.[8] 그는 칸트와 후설이 이론적 사고의 조건을 추구하면서도 이론적 태도 자체는 전제한 것과 달리, 모든 이론적 사고가 '의미의 근원'이라는 기저 동기에 대한 언급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

도예베르트에 따르면 모든 "좋은" 철학은 다음 세 가지 기본 요소를 가져야 한다.[7]

  • 세계
  • 합리성의 일관성
  • 의미의 근원


그는 각 사상가가 자신의 기저 동기를 공개적으로 인정하면 서로 다른 이론적 및 철학적 접근 방식이 대화할 수 있다고 보았다. 도예베르트는 신 칼뱅주의와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향을 받아 자신의 창조-타락-구속 개념을 명확히 제시했다.

3. 도예베르트의 우주법 철학 (Philosophy of the Cosmonomic Idea)

도예베르트의 철학은 '법이념 철학' 또는 '우주법 철학'으로 불리며, 다음 세 가지 주요 요소를 갖는다.

첫째, 이론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요소, 즉 사고의 전(前)이론적 태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대부분의 철학이 이론적 태도를 전제하고 일상 경험을 무시하거나 이론적으로 설명하려 하는 반면, 도예베르트는 이론적 사고의 가능성 자체를 철학적 문제로 삼아 칸트, 후설, 하이데거 등보다 더 깊이 탐구했다.

둘째, 실재의 본질에 대한 종교적 전제, 즉 '기저 동기'에 뿌리를 둔다. 그리스 철학이 형식/물질, 중세 기독교의 스콜라 철학이 자연/은총, 인문주의 철학이 자연/자유의 분할에 뿌리를 둔 반면, 도예베르트는 창조-타락-구원의 성경적 관념에서 출발했다. 그는 자신의 철학을 '기독교 철학'이라 불렀지만, 이는 스콜라 철학과 매우 다르다.

셋째, '의미'가 존재나 과정보다 근본적이라고 본다. 도예베르트는 "의미는 창조된 모든 것의 존재이며, 심지어 우리 자아의 본질이기도 하다. 그것은 종교적 뿌리와 신성한 기원을 가지고 있다."라고 표현했다.[9] 즉, 의미는 인간이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주로부터 비롯되며, 모든 것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의미이다'.

3. 1. 학문의 다양성

모든 학자는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자신의 분야를 연구한다.[10] 도예베르트는 수학, 자연 과학, 인문 과학, 사회 과학 등 어떤 학문이든 특정 측면을 추출하여 연구한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변호사와 생물학자가 지문이라는 같은 대상을 연구하더라도 서로 다른 측면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그들은 현실과 관련된 동일한 관심사를 가지면서도, 서로 다른 초점을 가지고 사물의 의미를 탐구한다. 이처럼 과학적 태도를 통해 현실을 인식하고, 연구를 위해 다른 측면과 구별되는 하나의 측면을 선택하는 것은, 모든 경험의 총체 내에서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의미가 어떻게 서로 관련되어 일관된 전체를 이루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가정을 필연적으로 따르게 된다.[10]

3. 2. 양상 (Aspects)

도예베르트는 현실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 15가지 '양상' 개념을 제시했다.[11] 이러한 양상은 단순한 범주가 아니라 존재 방식, 기능 등을 의미한다.[11] 도예베르트는 이러한 양상들이 우리의 이론적 기능을 통해 다루어지기 때문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어떠한 양상의 집합도 "물질적 완성을 주장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양상설명
양적 측면
공간적 측면연속적인 확장
운동적 측면흐르는 움직임
물리적 측면에너지, 물질
생명적/유기적 측면생명 기능, 자기 유지
감성적/심리적 측면감정 및 반응
분석적 측면구별, 개념화
형성적 측면형성력, 성취, 기술, 기법
언어적 측면상징적 의사 소통
사회적 측면사회적 상호 작용
경제적 측면자원 절약적 사용
미적 측면조화, 놀라움, 재미
법적 측면정당함 (권리, 책임)
윤리적 측면자기 헌신적인 사랑
신앙적 측면믿음, 비전, 헌신, 신념


3. 3. 양상의 적용

도예베르트는 학문, 일상생활, 사물의 존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양상이라는 개념을 사용했다. 그는 각 양상이 고유한 법칙과 가능성을 규정한다고 보았다. 인간은 모든 양상에서 기능하며, 동물은 감성적 측면까지, 식물은 생물적 측면까지, 무생물은 물리적 측면까지만 기능한다.[12]

도예베르트가 제시한 15가지 양상은 다음과 같다.[11]

양상설명
양적 측면
공간적 측면연속적인 확장
운동적 측면흐르는 움직임
물리적 측면에너지, 물질
생명적/유기적 측면생명 기능, 자기 유지
감성적/심리적 측면감정 및 반응
분석적 측면구별, 개념화
형성적 측면형성력, 성취, 기술, 기법
언어적 측면상징적 의사 소통
사회적 측면사회적 상호 작용
경제적 측면자원 절약적 사용
미적 측면조화, 놀라움, 재미
법적 측면정당함 (권리, 책임)
윤리적 측면자기 헌신적인 사랑
신앙적 측면믿음, 비전, 헌신, 신념



예를 들어, 자동차는 물리적으로는 강철, 플라스틱 등의 덩어리이지만, 운동학적으로는 교통 수단, 사회적으로는 지위의 상징, 경제적으로는 재정적 손실, 미적으로는 아름다운 물건, 생물적으로는 오염원, 신앙적으로는 우상 등 다양한 측면으로 존재한다.[13] 즉, 사물은 여러 양상을 띤다.

도예베르트는 이러한 양상들이 이론적 기능에 의해 다루어지기 때문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어떠한 양상의 집합도 "물질적 완성을 주장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4. 영향 및 유산

헤르만 도예베르트는 아브라함 카이퍼의 신칼뱅주의 전통을 계승하여 개혁주의 기독교 철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현실을 하나님의 창조물로 이해하고, 하나님이 부여한 의미가 모든 측면에 나타난다고 주장했다.[9] 그의 사상은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서도 인정받았으며,[19] 1964년 10월 6일자 신문 ''Trouw''에 게재된 추모 사설에서 G.E. 랑게메이어는 도예베르트를 "... 심지어 스피노자를 제외하고도, 네덜란드가 배출한 가장 독창적인 철학자"라고 칭송했다.

도예베르트는 대륙 철학의 전통을 따라 서양 철학에 대한 내재적 비판과 초월적 비판을 모두 수행했다. 내재적 비판을 통해 그는 이론적 사고가 항상 종교적 성격의 전제, 즉 "기저 동기"에 기반해 왔음을 입증하려 했다.[5] 그는 서양 사상의 주요 기저 동기를 그리스 사상의 형상-질료 분할, 성경적 사상의 창조-타락-구속 동기, 중세 스콜라 철학의 자연-은총 분할, 인본주의적, 계몽주의 사상의 자연-자유 분할, 이렇게 네 가지로 식별했다.

도예베르트는 이마누엘 칸트가 개척한 종류의 이론적 사고에 대한 초월적 비판을 수행하며,[8] 모든 이론적 사고가 우리가 초이성적으로 고수하는 "의미의 근원"이라는 기저 동기에 대한 언급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

그의 우주론적 철학은 '의미'가 존재 또는 과정보다 더 근본적이라고 전제한다. 도예베르트는 "의미는 창조된 모든 것의 존재이며, 심지어 우리 자아의 본질이기도 하다. 그것은 종교적 뿌리와 신성한 기원을 가지고 있다."라고 표현했다.[9]

도예베르트는 비인간적 현실의 차이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사상가들 사이의 차이까지 설명하는 철학을 제시하려 시도했다. 그는 현실을 하나님의 창조물로 묘사했고, 현실은 하나님으로부터 그 의미를 갖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기독교적 관점이 자신의 이해를 이끌도록 의식적으로 허용했지만, 이는 신학적 방식이 아닌 철학적 방식이었다. 종교적 근본 동기는 각 사상가가 그 영향 아래 현실을 해석하도록 이끄는 영적인 원동력이다.[6]

도예베르트는 자신의 철학의 종교적 본질을 의식적으로 드러내면서도, 사실 모든 사상이 본질적으로 종교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모든 실존하는 것을 분석할 때 드러나는 다양한 종류의 의미에 관한 반환원주의적인 존재론인 "양상"을 발전시켰다. 그는 이러한 양상들이 서로 환원될 수 없지만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여겼다.

도예베르트의 저작물은 원래 네덜란드어로만 출판되었으나, 그의 생전에 영어 번역 노력이 시작되었고, 1994년부터 도예베르트 센터의 감독하에 번역이 계속되었다. 현재까지 그의 ''대표작''인 ''De Wijsbegeerte der Wetsidee'' (1935–1936)를 포함하여 13권의 책이 영어로 출판되었으며, 이는 영어로 개정 및 확장되어 ''A New Critique of Theoretical Thought'' (1953–1958)로 출판되었다.

4. 0. 1. 주요 저작


  • A New Critique of Theoretical Thought영어 (이론적 사유에 대한 새로운 비판) (에드윈 멜렌 출판사, 1997년, 루이스턴, 뉴욕주)
  • ''제1권: 철학의 필수 전제''
  • ''제2권: 양식 영역의 일반 이론''
  • ''제3권: 시간적 실재의 개별성의 구조''
  • ''제4권: 주제 및 저자 색인'' (H. 데 용스테 편찬)
  • Reformation and Scholasticism in Philosophy영어 (철학에서의 종교개혁과 스콜라 철학)
  • ''제1권: 그리스 전주곡''
  • Encyclopedia of the Science of Law영어 (법 과학 백과사전)
  • ''제1권: 서론''
  • Christian Philosophy and the Meaning of History영어 (기독교 철학과 역사 의미)
  • Essays in Legal, Social, and Political Philosophy영어 (법, 사회 및 정치 철학 에세이)
  • Roots of Western Culture영어 (서구 문화의 뿌리)
  • In the Twilight of Western Thought영어 (서구 사상의 황혼)
  • Political Philosophy영어 (정치 철학)
  • Contours of Christian Philosophy: An Introduction to Herman Dooyeweerd's Thought영어 (기독교 철학의 윤곽: 헤르만 도예베르트의 사상 소개)


저널 ''Axiomathes영어''의 특별 호는 "헤르만 도예베르트의 사상 속 철학과 과학"을 주제로 다루었다.

  • 로이 클라우저, "헤르만 도예베르트 철학의 간략한 개요" (Axiomathes영어, 2010)
  • D.F.M 스트라우스, "수학 분야에서 비환원적 존재론의 중요성: 역사적, 체계적 분석" (Axiomathes영어, 2010)
  • D.F.M 스트라우스, "물리학 분야에서 비환원적 존재론의 중요성: 역사적, 체계적 분석" (Axiomathes영어, 2010)
  • 아돌포 가르시아 데 라 시에라, "경제 영역" (Axiomathes영어, 2010)
  • 제임스 W. 스킬렌, "비환원적 정치 과학의 필요성" (Axiomathes영어, 2010)
  • 에그버트 슈어만, "글로벌 기술을 위한 책임 윤리" (Axiomathes영어, 2010)
  • 살바토레 바스타, "합리성과 문화를 위한 새로운 '본질적 긴장'. 정치가 다시 과학을 만나려 한다면 어떻게 될까?" (Axiomathes영어, 2010)

4. 0. 2. 관련 연구 및 단체

도예베르트는 디르크 볼렌호벤과 함께 개혁철학 협회를 설립하고, 학술지 ''Philosophia Reformata''를 창간하여 자신의 철학을 발전시키고 전파하는 데 힘썼다. 그의 사상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를 연구하는 학술지 ''Axiomathes''는 "헤르만 도예베르트의 사상 속 철학과 과학"을 주제로 특별호를 발간하기도 했다.[1]

''Axiomathes'' 특별호에서는 도예베르트 철학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는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저자제목내용
로이 클라우저 (Roy Clouser)헤르만 도예베르트 철학의 간략한 개요도예베르트 철학의 핵심 개념과 특징을 간략하게 소개[2]
D.F.M. 스트라우스 (D.F.M. Strauss)수학 분야에서 비환원적 존재론의 중요성: 역사적, 체계적 분석수학 분야에서 도예베르트의 비환원적 존재론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을 역사적, 체계적으로 분석[3]
D.F.M. 스트라우스 (D.F.M. Strauss)물리학 분야에서 비환원적 존재론의 중요성: 역사적, 체계적 분석물리학 분야에서 도예베르트의 비환원적 존재론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을 역사적, 체계적으로 분석[4]
아돌포 가르시아 데 라 시에라 (Adolfo Garcia de la Siera)경제 영역경제 영역에 대한 도예베르트의 관점을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검토[5]
제임스 W. 스킬렌 (James W. Skillen)비환원적 정치 과학의 필요성정치 과학 분야에서 도예베르트의 비환원적 접근 방식이 필요한 이유와 그 의의를 논의[6]
에그버트 슈어만 (Egbert Schuurman)글로벌 기술을 위한 책임 윤리도예베르트의 철학적 관점에서 글로벌 기술 발전에 따른 윤리적 문제와 책임에 대해 논의[7]
살바토레 바스타 (Salvatore বাস্তa)합리성과 문화를 위한 새로운 "본질적 긴장". 정치가 다시 과학을 만나려 한다면 어떻게 될까?도예베르트의 철학을 바탕으로 합리성과 문화, 정치와 과학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8]


참조

[1] 웹사이트 Afscheid van filosoof Balkenende https://www.parlemen[...] 2023-07-15
[2] 웹사이트 Dooyeweerdianen overheersen in kabinet https://www.nd.nl/ni[...] 2023-07-15
[3] 문서 Several names for Dooyeweerd's system have appeared over the last few decades. His original ''De Wijsbegeerte der Wetsidee'' (3 vols., Amsterdam: H.J. Paris, 1935-6) translates as "The Philosophy of the Law-Idea". However, Dooyeweerd wrote in his later ''New Critique of Theoretical Thought'' that the "best English term corresponding to it seems to be ‘cosmonomic Idea’, since the word ‘law’ used without further specification would evoke a special juridical sense which, of course, cannot be meant here" (NC I, 93). While this phrase has been popular among Dooyeweerd scholars, some have also used the phrase "law framework philosophy", such as [[Roy Clouser]] (cf. Clouser 2005, 2010) and Adolfo Garcia de la Sienra Guajardo (cf. Garcia de la Sienra 2010).
[4] 문서 While many Dooyeweerd scholars believe Dooyeweerd's thought to be compatible with that of Vollenhoven, others have cast doubt on such a view. For the former view, see Wolters (1985). For the latter, see Friesen (2005).
[5] 간행물 Ground motives http://www.dooy.info[...] Dooy info
[6] 간행물 Paper http://www.dooy.info[...] Dooy info
[7] 간행물 Contemporary reflections on the philosophy of Herman Dooyeweerd Edwin Mellen Press
[8] 간행물 Transcendental critique http://www.dooy.info[...] Dooy info
[9] 간행물 A New Critique of Theoretical Thought
[10] 간행물 Science http://www.dooy.info[...] Dooy info
[11] 간행물 Aspects http://www.dooy.info[...] Dooy info
[12] 간행물 Dooyeweerd's notion of functioning http://www.dooy.info[...] Dooy info
[13] 간행물 Entities http://www.dooy.info[...] Dooy info
[14] 간행물 Knowing http://www.dooy.info[...] Dooy info
[15] 간행물 Rationality http://www.dooy.info[...] Dooy info
[16] 간행물 De Wijsbegeerte der Wetsidee
[17] 논문 The Mystical Dooyeweerd: The Relation of His Thought to Franz von Baader
[18] 논문 Intellectual Influences upon the Reformational Philosophy of Dooyeweerd http://www.freewebs.[...] 2008-06-09
[19] 웹사이트 H. Dooyeweerd (1894 - 1977)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07-17
[20] 문서 Several names for Dooyeweerd's system have appeared over the last few decades. His original ''De Wijsbegeerte der Wetsidee'' (3 vols., Amsterdam: H.J. Paris, 1935-6) translates as "The Philosophy of the Law-Idea". However, Dooyeweerd wrote in his later ''New Critique of Theoretical Thought'' that the "best English term corresponding to it seems to be ‘cosmonomic Idea’, since the word ‘law’ used without further specification would evoke a special juridical sense which, of course, cannot be meant here" (NC I, 93). While this phrase has been popular among Dooyeweerd scholars, some have also used the phrase "law framework philosophy", such as Roy Clouser (cf. Clouser 2005, 2010) and Adolfo Garcia de la Sienra Guajardo (cf. Garcia de la Sienra 2010).
[21] 문서 While many Dooyeweerd scholars believe Dooyeweerd's thought to be compatible with that of Vollenhoven, others have cast doubt on such a view. For the former view, see Wolters (1985). For the latter, see Friesen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