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르트 흐로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트 흐로테는 14세기 네덜란드 출신의 종교 개혁의 선구자이다. 그는 파리 대학교에서 유학하며 스콜라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고, 1374년 종교적 회심을 경험한 후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고 금욕적인 생활을 했다. 이후 위트레흐트 교구 전역을 다니며 설교를 했으나, 성직자들의 반발로 이단 혐의를 받아 설교가 금지되었다. 흐로테는 데보티오 모데르나 운동을 창시하고 공동생활 형제단을 설립하여 내면의 경건함을 강조했으며, 그의 사상은 종교 개혁과 경건주의, 청교도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 - 헨리 나우웬
    네덜란드 출신의 가톨릭 사제이자 신학자인 헨리 나우웬은 예일대와 하버드대에서 신학 교수로 활동하며 저술 활동을 펼쳤고, 라르쉬 데이브레이크 공동체에서 장애인들과 함께하며 영적 깨달음을 얻었으며, 《상처 입은 치유자》, 《돌아온 탕아》 등의 저서를 통해 영성, 인간관계,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네덜란드의 르네상스 인문주의자 - 후고 그로티우스
    후고 그로티우스는 국제법의 아버지로 불리며, 자연법에 기초한 국제법을 주창하고 《전쟁과 평화의 법》 등의 저서를 통해 전쟁의 정당한 이유와 바다의 자유로운 이용을 주장했다.
  • 네덜란드의 르네상스 인문주의자 -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는 르네상스 시대 네덜란드 출신 인문주의자이자 신학자, 가톨릭 사제로 고전 문헌 연구와 성서 번역에 힘썼으며 가톨릭교회 비판과 종교개혁 반대, 자유 의지 옹호, 평화주의 주장으로 르네상스 인문주의와 종교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헤르트 흐로테
기본 정보
헤르트 흐로테
헤르트 흐로테
출생1340년 데벤터르
사망1384년 8월 20일 데벤터르
직업철학자
신학자
작가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생애
교육파리 대학교
쾰른 대학교
프라하 대학교
주요 관심사성경 연구
교부 철학
신플라톤주의
영향토마스 아 켐피스
공동생활 형제단
사상과 업적
주요 사상경건주의
업적공동생활 형제단 창립
성경 번역 및 필사
교회 개혁 운동
추가 정보
활동 시기14세기
출신 지역네덜란드

2. 생애

(내용 없음)

2. 1. 출생과 교육

헤르트 흐로테 박물관, 데벤터 (2016)




헤르트 흐로테는 한자 동맹 도시인 데벤터에서 태어났다. 당시 데벤터는 위트레흐트 주교령에 속해 있었으며, 그의 아버지는 도시 내에서 상당한 시민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아헨에서 공부한 후, 15세에 파리 대학교로 진학했다. 그는 소르본 대학교에서 오컴의 윌리엄의 제자에게 스콜라 철학과 신학을 배웠으며, 이 과정에서 유명론 철학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교회법,[1] 의학, 천문학, 심지어 마술까지 공부했으며, 히브리어도 익힌 것으로 보인다. 그는 1358년에 우수한 성적으로 학업을 마쳤다. 1362년에는 고향 데벤터의 교회 부설 학교에서 교사로 활동했다.

2. 2. 종교적 회심



흐로테는 학업을 마친 후 쾰른에 정착하여 철학과 신학을 가르쳤으며, 위트레흐트아헨에서 성직록을 받았다. 1366년에는 동료들의 부탁으로 교황 우르바노 5세에게 보내는 비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아비뇽을 방문하기도 했다. 젊고 유능한 학자였던 그의 삶은 점차 사치스럽고 세속적으로 변해갔다.

그러나 1374년, 흐로테는 세속적인 모든 즐거움을 포기하게 만드는 큰 정신적 변화를 경험했다.[2] 이러한 회심은 그가 겪었던 심각한 질병과 더불어, 그의 친구이자 아르헴 근처 무니크후이젠(Monnikenhuizen) 카르투시오회 수도원의 학식 있고 경건한 수도원장이었던 헨리 데 칼카르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헨리 데 칼카르는 흐로테에게 삶의 덧없음에 대해 이야기하며 그를 훈계했다.

1374년 회심 이후, 흐로테는 데벤터에 있는 자신의 집을 가난한 여성들을 위한 쉼터로 내놓았고, 자신은 카르투시오회 수도원의 손님으로 들어가 몇 년 동안 금욕적인 생활을 했다.

2. 3. 선교 활동과 박해

1374년 카르투시오회 수도원에서 몇 년을 보낸 후, 흐로테는 1379년 부제로 서품받고 위트레흐트 교구 전역에서 선교사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의 설교는 위트레흐트 시뿐만 아니라 스볼레, 데벤터, 캄펜, 오버레이설, 암스테르담, 하를럼, 고다, 사우스홀랜드, 레이던, 델프트, 주트펜 등 여러 지역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토마스 아 켐피스는 사람들이 흐로테의 설교를 듣기 위해 일과 식사를 멈출 정도였고, 그가 방문하는 곳마다 교회가 몰려든 군중을 감당하기 어려웠다고 기록했다.

플로리스 판 베벨링코벤 위트레흐트 주교는 흐로테를 적극적으로 지지했으며, 시노드에 모인 성직자들 앞에서 축첩과 같은 문제를 비판하도록 격려했다. 그러나 흐로테가 평신도들의 죄악뿐만 아니라 성직자 사회 내에 만연했던 이단, 성직 매매, 탐욕, 부정 등 부패한 관행까지 공정하게 비판하자, 많은 성직자들이 그에게 반감을 품게 되었다. 결국 그들은 흐로테를 이단으로 몰아세웠다. 흐로테는 자신의 설교가 예수를 중심으로 하며 가톨릭 교리와 완전히 일치하고, 교회의 공정한 판단을 기꺼이 따르겠다는 내용의 ''공개 항의서''를 발표했지만, 이러한 노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위트레흐트 주교는 성직 서품을 받지 않은 모든 이의 설교를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하도록 설득되었고, 흐로테가 교황 우르바노 6세에게 직접 항소했지만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이 설교 금지 조치가 내려진 정확한 시기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흐로테가 사망하기 불과 몇 달 전의 일이었거나, 혹은 주교에 의해 금지 조치가 해제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실제로 흐로테는 생애 마지막 해에 다시 공개적으로 설교를 했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2. 4. 사망

흐로테는 1384년 흑사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데벤터의 성 레부이누스 교회에 안장되었다.

3. 사상과 신학

(내용 없음)

3. 1. 데보티오 모데르나 (Devotio Moderna)



헤르트 흐로테는 14세기 후반 네덜란드에서 플로렌스 라데윈스와 함께 데보티오 모데르나(Devotio Moderna, 새로운 경건)로 알려진 신앙 운동을 시작했다. 흐로테에게 핵심은 내면의 평화를 찾는 것이었으며, 이는 자아를 부정하고 '열정'과 '침묵' 속에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이것이 바로 '데보티오 모데르나', 즉 '새로운 경건'의 핵심이었다. 이 운동에서는 그리스도의 수난과 구원, 자신의 죽음, 최후의 심판, 천국과 지옥 등에 대해 혼자 깊이 생각하고 묵상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4]

15세기에 들어서면서 데보티오 모데르나는 네덜란드와 독일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이 운동의 가르침은 토마스 아 켐피스가 쓴 ''그리스도를 본받아''와 같은 책들을 통해 더욱 널리 알려졌으며, 글을 읽을 수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대중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개인적인 신앙생활에 초점을 맞춘 작은 크기의 종교 미술 작품들이 큰 인기를 얻었다.[4]

3. 2. 공동생활 형제단 (Brethren of the Common Life)

헤르트 흐로테의 설교와 활동에 많은 젊은이들이 큰 감명을 받고 모여들었다. 그는 이 젊은이들 중 일부를 학교에 보내 교육받도록 지원했으며, 다른 이들에게는 좋은 책을 필사하는 일을 맡겼다. 무엇보다 흐로테는 그들 모두에게 철저한 기독교적 경건함을 가르치는 데 힘썼다. 이를 바탕으로 흐로테는 자신이 가장 아끼던 제자 플로렌스 라데윈스와 함께 즈볼레에 '''공동생활형제단'''(Brethren of the Common Life)을 설립했다.[1] 이 공동체는 흐로테의 생애에서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공동생활 형제단은 이후 네덜란드, 저지 독일, 베스트팔렌 등지로 빠르게 확산되었으며, 흐로테는 이 공동체의 성장과 발전에 모든 관심을 쏟았다.[1] 그는 공동체에 속한 성직자들을 정규 수도회로 조직하는 것을 구상하기도 했다. 비록 흐로테 자신은 이 계획을 완성하지 못하고 1384년 병든 사람들을 간호하다 흑사병으로 사망했지만[1], 그의 구상은 후계자인 플로렌스 라데윈스에 의해 실현되었다.[1]

흐로테가 사망한 지 2년 후인 1387년, 라데윈스는 데벤터에서 북쪽으로 약 24km 떨어진 빈데스하임에 부지를 확보하여 수도원을 세웠다. 이 수도원은 빈데스하임 수도회의 모태가 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약 100개에 달하는 수도원을 포괄하는 큰 규모로 성장했다. 빈데스하임 수도회는 15세기 독일 지역 수도회들의 개혁 운동을 주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4. 유산



암스테르담에는 그의 이름을 딴 헤르트 흐로테 칼리지(Geert Groote College)가 있다.

5. 한국과의 관계

(작성할 내용 없음)

6. 비판



헤르트 흐로테가 설교 금지 처분을 받은 이유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부패한 성직자들의 반발 때문이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흐로테의 주장이 당시 가톨릭교회 교리에 일부 어긋나는 부분이 있었기 때문에 처분을 받았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참조

[1] 간행물 Gerard Groote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7.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10-06-15
[2] 서적 Geert Groote https://www.oxfordre[...] OUP 2010
[3] 웹사이트 Middelnederlands getijdenboek https://lib.ugent.be[...] 2020-08-27
[4] 간행물 Prayers and Portraits: Unfolding the Netherlandish Diptych http://www.nga.gov/e[...]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2006-11-12
[5] 웹인용 Middelnederlands getijdenboek https://lib.ugent.be[...] 2020-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