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파이스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파이스토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불과 대장장이의 신이다. 그는 제우스와 헤라의 아들이거나 헤라가 독자적으로 낳은 아들로 묘사되며, 다리가 불편한 기형아로 태어났다. 헤파이스토스는 다양한 칭호로 불리며, 화산과 연관되어 이탈리아의 화산 신들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그는 신들에게 무기를 제작하며, 아프로디테와의 결혼과 아레스와의 불륜, 아테나와의 관계 등 다양한 신화적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헤파이스토스는 조형 예술 기술과 신체적 장애를 상징하며, 다른 문화권의 신들과 비교되기도 한다. 그의 유산으로는 소행성 2212 헤파이스토스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파이스토스 - 헤파이스토스 신전
    헤파이스토스 신전은 아테네 아고라에 있는 고대 그리스 신전으로, 금속공예와 불의 신인 헤파이스토스와 아테나 에르가네를 모셨으며, 7세기경 교회로 개조되었다가 현재는 고고학적 연구가 진행 중이고 아름다운 건축 양식으로 건축물에 영감을 주고 있다.
  • 헤파이스토스 - 불카누스
    불카누스는 로마 신화의 불과 대장장이 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헤파이스토스와 동일시되며 화산, 금속 가공, 불의 파괴적인 힘과 연관되어 숭배받았고, 로마 시내 볼카날 성소와 볼카날리아 축제, 로마 건국 신화, 예술 작품, 대중 문화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 림노스섬 - 무드로스 휴전 협정
    무드로스 휴전 협정은 1918년 10월 30일 연합국과 오스만 제국 간에 체결되어 오스만 제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항복하고 아나톨리아 반도 외 영토 할양 및 해협 통제권을 넘겨주게 되었으며, 이는 터키 독립 전쟁의 원인이 되어 오스만 제국 멸망과 터키 공화국 탄생에 영향을 주었다.
  • 림노스섬 - 필록테테스
    필록테테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클레스의 활과 화살을 소유하고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지만 렘노스 섬에 버려졌다가 전쟁 승리를 위해 다시 소환되어 공동체의 정의 실현에 기여하며, 그의 이야기는 고통, 복수, 극복, 화해를 다루는 은유로 활용된다.
  • 헤라의 자식 - 티폰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 티폰은 가이아와 타르타로스의 아들이며 제우스에게 패배하여 화산 아래 갇힌 뱀의 하반신과 짐승 머리를 가진 존재로, 에키드나와의 사이에서 괴물을 낳았고 화산 활동과 지진의 원인으로도 여겨진다.
  • 헤라의 자식 - 에리스 (신화)
    에리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불화와 분쟁을 의인화한 여신으로, 트로이 전쟁의 발단을 제공했으며, 고난, 망각, 기근 등 부정적인 개념을 의인화한 자녀를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헤파이스토스
기본 정보
헤파이스토스, 루브르 박물관 소장
기욤 쿠스투 1세의 〈대장간의 헤파이스토스〉(루브르 박물관)
유형기술, 대장장이, 장인, 불의 신
그룹남신, 올림포스 12신(도데카테온)
거주지올림포스 산
상징망치, 모루, 집게 또는 메추라기
배우자아글라에아, 아프로디테
부모헤라제우스 또는 헤라의 단성생식
형제자매아레스, 에일레이티이아, 에뉘오, 헤베
자녀탈리아, 에우클레이아, 에우페메, 필로프로시네, 카베이리, 에우테니아
로마 신화불카누스
신화적 정보
라틴어Hephaistus
영어Hephaestus
관련 장소
숭배 중심지레임노스 섬, 시케리아 섬

2. 어원

헤파이스토스라는 이름은 크노소스에서 발견된 선형 B 문자(미케네 그리스어) 비문 𐀀𐀞𐀂𐀴𐀍|A-pa-i-ti-jogmy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3][4] 이 비문은 신의 이름을 포함한 이름, 즉 '(H)āpʰaistios' 또는 'Hāphaistion'으로 읽히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당시 그의 숭배를 간접적으로 증명한다. 그리스 신명 헤파이스토스(Hēphaistos)는 '-i-'가 없는 형태(아티카식 그리스어 'Hēphastos')가 전그리스 시대의 전형적인 변형을 보여주고 원래 ''sy''를 가리키기 때문에, 아마도 그리스 이전 시대의 기층에서 유래한 것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

3. 칭호

헤파이스토스는 많은 칭호를 가지고 있다. 각 칭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5]


  • '''암피기예이스(Amphigyḗeis)''' : 흔히 "절름발이"로 번역되지만, 문자 그대로는 "양쪽 다 절름발이" 또는 비슷한 의미이다. (Ἀμφιγυήεις|암피기예이스grc)
  • '''킬로포디오온(Kyllopodíōn)''' : "발이 뒤틀린" 또는 "발을 질질 끄는" (Κυλλοποδίων|킬로포디오온grc)
  • '''할케우스(Khalkeús)''' : "구리장이" (Χαλκεύς|할케우스grc)
  • '''클리토테크네스(Klytotékhnēs)''' : "명성 높은 장인" (Κλυτοτέχνης|클리토테크네스grc)
  • '''폴리메티스(Polýmētis)''' : "교활한, 간사한" 또는 "많은 계략을 가진" (Πολύμητις|폴리메티스grc)
  • '''아이트나이오스(Aitnaîos)''' : "에트나의" (Αἰτναῖος|아이트나이오스grc), 그의 작업장이 에트나 산 아래에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6]
  • '''폴리프론(Polýphrōn)''' : "독창적인, 창의적인" (Πολύφρων|폴리프론grc)
  • '''아가클리토스(Agaklytós)''' : "매우 유명한, 영광스러운" (Ἀγακλυτός|아가클리토스grc)
  • '''아이탈로에이스 테오스(Aithalóeis theós)''' : "그을린 신" (Αἰθαλόεις θεός|아이탈로에이스 테오스grc)

4. 신화

헤파이스토스는 제우스헤라의 아들이라는 설과, 헤라가 혼자 낳았다는 설이 있다.[119] 추한 외모 때문에 헤라는 갓난아기 헤파이스토스를 하늘에서 바다로 떨어뜨렸으나, 바다의 여신 테티스에우리노메에게 구출되어 9년 동안 길러졌다.[117] 또 다른 설에 따르면, 헤라클레스의 항해를 방해한 헤라를 변호하다 제우스에 의해 지상으로 떨어져 다리가 불편해졌다고 한다.[118]

헤파이스토스는 올림포스 신들에게 받아들여졌지만, 헤라는 계속 그를 냉대했고, 그는 어머니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헤파이스토스는 헤라에게 아름다운 의자를 선물했고, 헤라가 의자에 앉자 몸이 구속되었다.[122] 디오니소스가 헤파이스토스를 취하게 하여 천상으로 데려가 헤라를 풀어주었다.[123]

헤파이스토스는 신들의 무기를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며, 일리아스에서는 강신 스캄안드로스와 대결하여 불꽃으로 강을 증발시켜 굴복시켰다.[124] 아테나는 두통에 시달리던 제우스의 머리를 헤파이스토스가 도끼로 쪼개 태어났다.[125]

헤파이스토스의 아내는 아프로디테[126] 또는 카리스의 아그라이아라고 하며,[117][127] 천상의 아내는 아프로디테, 지상의 아내는 카리스라는 이야기도 있다.[128] 그의 자식으로는 아테네의 왕 에리크토니오스[129], 테세우스에게 토벌된 페리페테스[130], 아르고나우타이의 일원인 팔라이몬 등이 있다.[131]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 따르면, 헤파이스토스는 아프로디테와 결혼했으나,[132] 아프로디테는 그의 추함을 싫어하여 아레스와 바람을 피웠다. 헤파이스토스는 보이지 않는 그물을 만들어 두 사람을 사로잡아 신들 앞에 공개했다.[133] 포세이돈의 중재로 헤파이스토스는 아프로디테와 이혼하고 아레스로부터 배상을 받았다. 아레스는 간통을 할 때 알렉트리온에게 감시를 시켰으나, 알렉트리온이 잠들어 헬리오스에게 들키게 되었다. 아레스는 알렉트리온을 으로 만들었고, 이후 닭은 태양이 뜨면 울게 되었다.[134]

아프로디테에게 무시당한 헤파이스토스는 아테나와 관계를 맺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아테나의 다리에 정액을 흘렸고, 아테나가 이것을 닦아 대지에 던지자 에리크토니오스가 태어났다. 아테나는 에리크토니오스를 자신의 신전에서 키웠다.[135]

4. 1. 탄생과 성장

헤파이스토스의 출생에 대해서는 제우스헤라의 아들이라는 설과 헤라가 혼자 낳은 아들이라는 설, 이렇게 두 가지 설이 전해진다.

첫 번째 설에 따르면, 성인이 된 헤파이스토스는 심한 두통으로 고통받던 아버지 제우스의 머리를 도끼로 쪼개 전쟁과 지혜의 여신 아테나가 태어나도록 도왔다.[125] 두 번째 설은 제우스가 대장장이에게 부탁하여 머리를 쪼개 자신이 삼킨 메티스에게서 태어난 딸 아테나를 나오게 하자, 이를 질투한 헤라가 제우스의 도움 없이 혼자서 아이를 낳았다는 것이다. 호메로스는 첫 번째 설보다는 두 번째 설을 따르고 있다.

헤파이스토스는 못생긴 얼굴과 신체장애를 가진 신으로 묘사되는데, 선천적으로 신체장애를 가졌다는 설과 사고로 인해 신체장애를 갖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 호메로스는 (일리아스, I 571–577)와 (오디세이아, VIII 306)에서 헤라를 헤파이스토스의 어머니로 언급했지만, 제우스가 그의 아버지라는 충분한 증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헤파이스토스가 제우스를 아버지로 언급하기는 한다.) 오디세이아에서는 헤라가 그의 어머니로 언급되지 않는다.
  • 헤시오도스는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Hes.+Th.+927&fromdoc=Perseus%3Atext%3A1999.01.0130 신통기], 927-928)에서 헤라가 제우스가 자신 없이 아테나를 낳은 것에 대한 복수로 헤파이스토스를 혼자 낳았다고 기록했다.
  • 슈도-아폴로도로스는 ([https://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Apollod.+1.3.6&fromdoc=Perseus%3Atext%3A1999.01.0022 비블리오테케], 1.3.6)에서 헤라가 혼자서 헤파이스토스를 낳았다고 전한다. 또한 슈도-아폴로도로스는 호메로스에 따르면 헤파이스토스는 제우스와 헤라의 자녀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 히기누스와 ''파불라에'' 서문을 포함한 여러 후대의 저술들은 헤시오도스의 기록을 따르고 있다.


아티카 양식의 도자기 화가들은 헤파이스토스가 아테나의 탄생에 참석하여 제우스의 머리를 쪼개 아테나를 해방시킨 도끼를 휘둘렀다고 묘사한다. 그러나 헤파이스토스는 아테나보다 나이가 많은 것으로 묘사되기도 하므로, 이 부분에서 헤파이스토스 신화는 일관성이 부족하다.

제우스헤라의 첫째 아들로 태어난 헤파이스토스는 다리가 불구인 추한 기형아였다. 이에 분노한 헤라는 갓난아기를 하늘에서 바다로 떨어뜨렸다. 헤파이스토스는 바다의 여신 테티스에우리노메에게 구출되어 9년 동안 길러진 후 하늘로 돌아왔다.[117] 그는 테티스와 에우리노메에게 자신이 만든 보석을 선물하여 보답했다.

다른 설에 따르면, 헤라클레스의 항해를 방해하기 위해 폭풍으로 배를 표류하게 한 헤라가 제우스에게 벌을 받게 되자, 헤파이스토스가 이를 감싸려다 제우스에 의해 지상으로 떨어졌다. 그는 하루 동안 레스보스 섬에 떨어져 신티에스인들에게 구조되었고, 이때 다리가 불편해졌다고 한다.[118]

일반적으로 헤파이스토스는 제우스와 헤라의 아들이라고 여겨지지만, 헤라가 혼자 낳았다는 전승도 있다.[119] 이 전승에 따르면 헤라는 제우스와 대립하여 관계를 맺지 않고 혼자 헤파이스토스를 낳았다.[120] 제우스가 남성이면서도 미모와 재능을 겸비한 여신 아테나를 낳은 반면, 헤라가 낳은 헤파이스토스는 추한 아이였기 때문에, 정실로서의 체면을 잃은 헤라는 티탄의 힘을 빌려 혼자서 튀폰을 낳았다고 한다.[121]

헤파이스토스는 올림포스 신들에게 받아들여졌지만, 헤라는 그를 계속 냉대했고, 그는 어머니에 대한 불신을 키워갔다. 어느 날, 헤파이스토스는 헤라에게 보석을 박고 금으로 만든 매우 아름다운 의자를 보냈다. 솜씨에 감탄한 헤라가 의자에 앉자마자 몸이 구속되어 꼼짝 못하게 되었다.[122] 이후 디오니소스가 헤파이스토스를 취하게 하여 천상으로 데려가 헤라를 풀어주었다고 한다.[123]

4. 2. 추방과 귀환

헤라는 자신이 낳은 아이가 장애와 흉측한 외모를 가진 것을 보고 올림포스 산에서 던져버렸다.[141] 헤파이스토스는 밤낮이 지나도록 떨어지다가 바다에 떨어졌고, 오케아노스의 딸들인 테티스에우리노메에게 구출되어[142] 9년 동안 키워졌다. 헤파이스토스는 헤라에게 복수하기 위해 황금 옥좌를 만들어 선물했는데, 헤라가 이 옥좌에 앉자 움직일 수 없게 되었다. 여러 신들이 헤파이스토스에게 올림포스 산으로 돌아와 헤라를 풀어주기를 원했지만, 그가 완강히 거절하자 제우스디오니소스를 시켜 그를 취하게 만들어 올림포스로 데려왔다.

다른 이야기에서는 제우스의 바람기에 화가 난 헤라가 제우스와 말싸움을 하던 중 헤파이스토스가 어머니 편을 들자, 화가 난 제우스가 그를 걷어차 렘노스섬으로 추락시켰다고 한다. 이 사고로 헤파이스토스는 다리에 장애를 가지게 되었고, 얼굴은 다쳐서 추해졌다. 하지만 뛰어난 손재주로 다리를 만들어 붙였지만, 신체장애 신으로 지낼 수밖에 없었다. 헤파이스토스는 자신의 다리를 치료해준 렘노스섬의 트라키아인들에게 보답으로 금속 세공 기술을 가르쳐 주었는데, 오늘날에도 이 섬의 금속 세공 기술은 유명하다고 한다.

히기누스에 따르면, 제우스는 헤라를 해방시키기 위해 헤파이스토스에게 무엇이든 약속했다. 헤파이스토스는 아테나와의 결혼을 요구했고, 이는 그의 아테나 강간 미수 사건으로 이어졌다.[27] 다른 버전에서는 헤라를 풀어주는 대가로 아프로디테와의 결혼을 요구했고, 그의 어머니는 그 요구를 들어주었다.[28]

파우사니아스아테네의 디오니소스 신전에서 헤파이스토스의 그림을 보았다고 말했다. 그 신전은 5세기에 세워졌지만, 2세기 이전의 언제든지 장식되었을 수 있다.

4. 3. 아프로디테와의 결혼

헤파이스토스는 외모와 불구 때문에 아내가 없었지만, 올림포스 신들 중 최고의 손재주를 지녔다. 제우스는 티탄족과의 싸움에서 이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에게 아름다운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를 아내로 주겠다고 약속했다. 헤파이스토스는 번개를 만들어 제우스에게 바쳤고, 제우스는 약속대로 아프로디테를 아내로 맺어주었다.

하지만 헤파이스토스가 대장간 일 때문에 아프로디테와 함께 하지 않고, 못생겼기까지 하자 아프로디테는 전쟁의 신 아레스와 바람을 피우기 시작했다.[144] 이 사실을 알게 된 헤파이스토스는 청동 그물을 만들어 아프로디테의 침대에 쳤다. 아레스와 밀회를 즐기던 아프로디테는 그물에 걸려 움직일 수 없게 되었고, 여러 신들 앞에서 망신을 당했다. 포세이돈의 설득으로 헤파이스토스는 아레스에게 보상을 받는 조건으로 두 사람을 풀어준다.

알렉상드르 샤를 기요모의 ''마르스와 비너스를 발견한 불카누스'' (1827)


결국 헤파이스토스는 태양신 헬리오스를 통해 아프로디테의 불륜을 알게 되었고, 밀회 중인 그들을 함정에 빠뜨렸다. 아프로디테와 아레스가 침대에 함께 있을 때, 헤파이스토스는 보이지 않는 사슬로 그들을 묶어 올림포스 산으로 끌고 가 다른 신들 앞에서 망신을 주었다.

신들은 나체의 연인들을 보고 웃었고, 포세이돈은 아레스가 벌금을 내는 조건으로 헤파이스토스를 설득해 그들을 풀어주었다. 헤파이스토스는 ''오디세이아''에서 아프로디테를 아버지에게 돌려주고 신부 값을 돌려달라고 요구한다. 에밀리 윌슨은 포세이돈이 제안하기 전에 헤파이스토스가 제우스에게 "값"을 돌려달라고 요구/간청하여, 제우스가 값을 돌려주지 않은 것이 포세이돈이 개입한 이유라고 독자들이 추측하게 만든다고 번역했다.[32] 어떤 신화에서는 제우스가 지참금을 돌려주지 않았고, 아프로디테는 "단순히 남편의 호감을 다시 얻었다"고 한다.[33]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제우스는 헤파이스토스에게 아프로디테를 아내로 주었다.[132] 그러나 아프로디테는 헤파이스토스의 추함을 싫어했고, 미남인 아레스와 연애를 했다. 헤파이스토스는 헬리오스를 통해 이 사실을 알고 복수를 위해 특제 그물을 만들었다.

어느 날, 헤파이스토스는 "일터에 간다"라고 말하고 집을 나섰고, 아레스와 아프로디테는 잠자리에 들자마자 그물에 잡혀 꼼짝 못하게 된다.[133]

아내와 아레스의 간통 현장을 덮친 헤파이스토스는 아내가 자신에게는 보여주지 않던 아름다움을 아레스에게 보여준 것에 격분하여, 전령의 신 헤르메스와 열두 신을 불러 간통 현장을 공개했다.

아폴론이 헤르메스에게 아레스와 자리를 바꾸라고 하자, 헤르메스는 긍정적인 답변을 했고, 신들은 웃음을 터뜨렸다. 아레스는 도망쳤지만, 아프로디테는 미소지었다.

결혼을 주선한 헤라는 웃지 못했고, 헤파이스토스는 헤라에게 아프로디테를 "음탕한 여자"라며 돌려보냈다.

이후, 포세이돈의 중재로 헤파이스토스는 아프로디테와 이혼하고, 아레스로부터 배상을 받았다. 아레스는 트라키아에서, 아프로디테는 크레타에서 징계를 받았다.

4. 4. 아테나와의 관계

아테나와 헤파이스토스는 각각 지혜와 전쟁의 여신, 그리고 전쟁에 필요한 무기를 만드는 신으로서, 이들의 관계는 탄생 신화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헤파이스토스는 아테나가 자신의 대장간에 무기를 만들러 오자 그녀에게 반한다. 그러나 아테나는 헤파이스토스를 뿌리치고, 허벅지에 묻은 정액을 닦아 땅에 버린다. 이로 인해 대지의 신 가이아가 에리크토니오스를 수태하게 되고, 아테나는 이 아이를 거두어 기른다.

파리스 보르도네(Paris Bordone)의 ''아테나가 헤파이스토스의 구애를 거절하는 모습''(1555년경~1560년경)


헤파이스토스와 아테나는 각각 남성과 여성 신들 중에서 필멸의 예술가들에게 기술을 부여하고, 인간에게 예술을 가르쳤다고 믿어지는 신이다.[40] 아테네에서는 이 둘을 위한 공통된 사원과 축제가 있었다.[41] 또한, 이들은 뛰어난 치유 능력을 지녔다고 여겨졌으며, 헤파이스토스가 떨어진 곳으로 알려진 렘노스 섬의 흙(terra Lemnia)은 광기, 뱀에 물린 상처, 출혈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었다. 헤파이스토스의 사제들은 뱀에 물린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42]

아테나는 종종 헤파이스토스의 "소울메이트"로 여겨지기도 한다.[49]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파이스토스는 아테나에게 열렬한 구애를 펼쳤으나, 아테나는 그를 밀쳐냈고, 그의 정액은 땅에 떨어져 가이아를 임신시켰다.[50]

아테네의 아고라 근처에는 헤파이스토스 신전(헤파이스테움)이 있는데, 이는 잘못하여 "테세움"으로 불리기도 한다. 아테네의 건국 신화에 따르면, 도시의 수호 여신인 아테나는 헤파이스토스와의 결합을 거부했다. 헤파이스토스가 아테나를 강간하려 했지만, 아테나는 그를 밀쳐냈고, 그의 정액이 그녀의 허벅지에 떨어졌다. 아테나는 양모 뭉치로 정액을 닦아 먼지 속에 던졌는데, 이것이 가이아를 임신시켜 에리크토니오스를 낳게 했다.[51] 아테나는 에리크토니오스를 자신의 아이로 입양했다. 로마 신화학자 히기누스는 헤파이스토스가 제우스의 머리를 깨뜨려 아테나를 탄생시켰기 때문에 제우스에게 아테나와의 결혼을 요구했다는 비슷한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다. 제우스는 이를 허락했고, 헤파이스토스와 아테나는 결혼했지만, 헤파이스토스가 관계를 시도하려 할 때 아테나는 혼례 침대에서 사라졌으며, 그의 정액은 바닥에 떨어져 가이아가 에리크토니오스를 임신하게 되었다.[52] 아프로디테에게 무시당한 헤파이스토스는 아테나가 작업장에 왔을 때 욕정을 느껴 그녀를 뒤쫓아 관계를 맺으려 했다. 처녀신이었던 아테나는 헤파이스토스를 단호히 거절했지만, 헤파이스토스는 그녀의 다리에 정액을 흘렸다. 아테나가 이것을 양털로 닦아 대지에 던지자, 상반신은 인간이고 하반신은 뱀인 에리크토니오스가 태어났다. 아테나는 에리크토니오스를 발견하고 버리지 않은 채 자신의 신전에서 키웠다.[135]

4. 5. 헤파이스토스의 작품

헤파이스토스는 뛰어난 손재주를 가진 신으로, 여러 신들의 장비를 만들었다. 그가 만든 대표적인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헤파이스토스는 키클롭스와 금속 로봇의 도움을 받아 작업했으며, 그의 작업장은 여러 곳에 있었다고 전해진다. 로마 신화에서는 불카누스와 동일시되어 시칠리아섬의 에트나 화산이 그의 대장간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페테르 파울 루벤스의 ''헤파이스토스가 테티스에게 아킬레우스의 무기를 선물하는 모습''.


앤터니 반 다이크의 ''테티스가 헤파이스토스로부터 아킬레우스의 무기를 받는 모습'' (1630-1632)

5. 상징

헤파이스토스는 주로 수염이 난 건장한 남자로 묘사되며, 망치나 다른 제작 도구, 타원형 모자, 키톤을 착용한 모습이 특징이다.

신화에서 헤파이스토스는 "절름발이"( chōlosgrc), "절뚝거리는"( ēpedanosgrc) 존재로 묘사된다.[92] 그는 구부러진 발을 가졌는데, 이 장애가 선천적인지 올림포스에서 추락한 결과인지는 불분명하다. 토기 그림에서 헤파이스토스는 종종 모루에 구부정하게 앉아 금속 제작에 몰두하는 모습으로 그려지며, 때로는 발이 앞뒤로 구부러진 "헤파이스토스 암피기예이스"(''Hephaistos amphigyēeis'')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는 지팡이를 사용해 걸었다. 아르고나우타이에 등장하는 팔라이모니우스는 "헤파이스토스의 아들"(즉, 청동세공인)이었는데, 그 역시 이동 장애를 겪었다.[93]

사모트라케 섬의 카베이로이는 "헤파이스토스의 아들들"로 여겨졌는데, 사전 편찬자 헤시키우스에 따르면 게 (''karkinos'')와 동일시되었다. Detienne과 Vernant는 ''karkinopous''("게발의")라는 형용사가 "절름발이"를 의미한다고 설명한다.[94] 카베이로이 또한 신체적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일부 신화에서 헤파이스토스는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바퀴 달린 의자"나 전차를 만들었다. 이는 그의 이동을 돕고 다른 신들에게 그의 기술을 과시하는 수단이었다.[95] 일리아드 18.371에는 헤파이스토스가 이동을 돕기 위해 20개의 청동 바퀴가 달린 삼발이를 만들었다는 내용이 나온다.[96]

일부 학자들은 헤파이스토스의 외모와 신체적 장애가 금속 세공으로 인한 비소증에 따른 말초신경병증피부암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해석한다.[97] 청동기 시대 대장장이들은 더 단단한 비소 청동을 만들기 위해 구리에 비소를 첨가했는데, 특히 주석이 부족했던 시기에는 더욱 그러했다. 많은 청동기 시대 대장장이들은 생계를 위해 만성 비소 중독을 겪었을 것이다. 따라서 장애를 가진 대장장이의 신화적 이미지는 널리 퍼져 있었다. 헤파이스토스는 청동기 시대가 아닌 철기 시대 대장장이였으므로, 이러한 연결은 고대 민간의 기억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98]

6. 다른 신화와의 비교

다른 신화 체계에서 헤파이스토스와 유사한 상징성을 가진 존재들은 다음과 같다.


  • 코타르-와-카시스: 우가릿 신화의 장인 신으로, 독특한 걸음걸이로 멀리서도 알아볼 수 있었는데, 이는 그가 절름발이였음을 암시하는 것일 수 있다.[99]
  • 프타: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고대 이집트의 장인 신 프타는 난쟁이 신이었고, 종종 나체로 묘사된다.[100]
  • 바이랜드 스미스: 북유럽 신화의 신체적으로 장애가 있는 청동세공사이다.
  • 트바스트르: 힌두교의 장인 신으로, 헤파이스토스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훨씬 긍정적으로 묘사된다.[101]
  • 쿠르달라곤: 오세티아 신화의 신으로, 헤파이스토스와 비슷한 기원을 공유할 수 있다.[101]

7. 숭배

솔리누스는 리키아인들이 헤파이스토스에게 도시를 봉헌하고 헤파이스티아라고 불렀다고 기록했다.[102]

레임노스섬의 헤파이스티아는 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게다가 레임노스 섬 전체가 헤파이스토스에게 신성한 곳이었다.[103]

파우사니아스는 리키아 파타라의 리키아인들이 아폴론 신전에 청동 그릇을 가지고 있었는데, 텔레푸스가 봉헌했고 헤파이스토스가 만들었다고 한다.[104]

파우사니아스는 또한 엘리스올림피아 마을에 알페이오스 강 제단이 있었고, 그 옆에는 헤파이스토스의 제단이 있었는데, 때때로 "전쟁의 제우스"의 제단이라고도 불렸다고 기록했다.[105]

리파리와 시칠리아 사이에 있는 불카노(Thermessa) 섬은 그리스어로 "헤파이스토스의 신성한 장소"를 의미하는 헤파이스토스의 히에라(ἱερὰ Ἡφαίστου, Hiera of Hephaestus)라고도 불렸다.[106]

8. 유산

플리니우스는 코리쿠스에 헤파이스티티스(Hephaestitis) 또는 "헤파이스토스 돌"이라고 불리는 돌이 있었다고 기록했다.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그 돌은 붉은색이었고 거울처럼 이미지를 반사했으며, 끓는 물을 부으면 즉시 식었고, 태양에 놓으면 마른 물질에 즉시 불을 붙였다고 한다.[107]

1978년 소련의 천문학자 류드밀라 체르니흐가 발견한 소행성 2212 헤파이스토스는 헤파이스토스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108]

참조

[1] 서적 Greek Religion
[2] 서적 The Greek Myths: 1 Penguin Books
[3] 서적 The Mycenaean World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Anthology of Classical Myth: Primary Sources in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5] 서적 A Homeric Dictionary for Schools and Colleges Harper and Brothers
[6] 서적 Hist. An. http://quod.lib.umic[...]
[7] 문서 Il.
[8] 문서 Iliad
[9] 서적 Greek Gods and Heroes Dell Laurel-Leaf
[10] 문서 Virg. Aen.
[11] 학술지 The Prometheus Trilogy
[12] 서적 Iliad
[13] 서적 Iliad
[14] 서적 Odyssey
[15] 서적 Metamorphoses
[16] 서적 Iliad https://www.perseus.[...]
[17] 서적 Bibliotheca https://www.perseus.[...]
[18] 문서
[19] 학술지 The Return of Hephaistos, Dionysiac Processional Ritual and the Creation of a Visual Narrative
[20] 문서
[21] 서적 Progymnasmata https://books.google[...]
[22] 학술지 Hephaistos Rides Again
[23] 문서
[24] 학술지 An Unpublished Calpis
[25] 문서
[26] 학술지 Some thoughts on the pre-history of Greek drama
[27]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28] 서적 https://books.google[...]
[29] 문서
[30] 문서 Über die älteste etruskische Wandmälerei
[31] 학술지 The Paintings of the Grotta Campana
[32] 서적 The Odyssey https://books.google[...] W. W. Norton 2017-11-07
[33] 서적 Great Zeus and All His Children Prentice-Hall 1984
[34] 서적 Iliad
[35] 서적 Dionysiaca https://topostext.or[...]
[36] 서적 Avian and Serpentine https://brill.com/vi[...] Brill Rodopi 2009-01-01
[37] 문서 Gallus http://lucianofsamos[...]
[38] 문서 Aeneid
[39] 서적 Roman Monica and Luke https://books.google[...]
[40] 문서 Od. vi. 233, xxiii. 160. Hymn. in Vaulc. 2. &c.
[41] 문서 Dict of Ant. s. v. Hêphaisteia, Chalkeia.
[42] 문서 Philostr. Heroic. v. 2; Eustath. ad Hom. p. 330; Dict. Cret. ii. 14.
[43] 웹사이트 Sanctuary of Athena Chalkiokos at Sparta http://www.goddess-a[...]
[44] 문서 Paus. iii. 17. § 3
[45] 문서 v. 19. § 2
[46] 문서 Cic. de Nat. Deor. i. 30; Val. Max. viii. 11. § 3
[47] 서적 Greek Folk Relig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21-03-26
[48] 문서 Herod. iii. 37; Aristoph. Av. 436; Callim. Hymnn. in Dian. 60
[49] 서적 p. 11 https://books.google[...]
[50] 서적 Facing the Gods Spring Pubns
[51] 서적 Greek Religion Harvard University Press
[52] 문서 Erichthonius
[53] 문서 Life of Apollonius of Tyana, book v.16.
[54] 문서 Iliad https://www.perseus.[...]
[55] 문서 Od. viii. 283ff.
[56] 문서 Iliad https://www.perseus.[...]
[57] 문서 Fasti
[58] 문서 iii. 41.
[59] 문서 Hymn. in Dian. 47
[60] 문서 ad Aen, viii, 416.
[61] 문서 p. 275.
[62] 문서 Naturalis Historia
[63] 문서 ii, 96.
[64] 문서 1.6.2 https://www.perseus.[...]
[65] 문서 Gantz, p. 451
[66] 문서 Argonautica https://archive.org/[...]
[67] 문서 iii, 37
[68] 문서 Av., 436.
[69] 문서 Hymn. in Dian., 60.
[70] 웹사이트 Bibliothèque de Photius : 190. Ptolémée Chennus, Nouvelle Histoire. http://remacle.org/b[...]
[71] 웹사이트 ToposText https://topostext.or[...]
[72]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73] 문서 Orphic fr. 182 Kern https://archive.org/[...]
[74] 서적 Women of Classical Mythology https://archive.org/[...]
[75] 서적 Dionysiaca https://topostext.or[...]
[76] 서적 The gods of the Greeks https://archive.org/[...] London : Thames and Hudson 2021-06-13
[77] 문서
[78] 문서 https://archive.org/[...]
[79] 문서
[80] 문서 Brill's New Pauly http://data.perseus.[...]
[81] 문서
[82] 문서
[83] 문서
[84] 문서 http://data.perseus.[...]
[85] 문서
[86] 문서
[87] 문서 https://www.perseus.[...]
[88] 문서
[89] 문서 Bibliotheca https://topostext.or[...]
[90] 문서
[91] 웹사이트 Plutarch, Amatorius, section 18 https://www.perseus.[...]
[92] 서적 Odyssey https://www.perseus.[...]
[93] 서적 Argonautica
[94] 서적 Cunning Intelligence in Greek Culture and Society Humanities Press
[95] 저널 'Breathe Upon Us an Even Flame': Hephaestus, History, and the Body of Rhetoric
[96] 웹사이트 The Iliad 18.371 https://www.perseus.[...] Tufts University 2017-03-21
[97] 저널 Possible toxic metal exposure of prehistoric bronze workers. 1987-10
[98] 서적 Civilization Before Greece and Rome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99] 서적 Aqhat Epic
[100] 서적
[101] 서적 Indo-European Poetry and Myth Oxford University Press
[102] 웹사이트 ToposText https://topostext.or[...]
[103] 웹사이트 ToposText https://topostext.or[...]
[104]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9.41.1 https://topostext.or[...]
[105] 웹사이트 ToposText https://topostext.or[...] 2021-10-27
[106]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Book 6, chapter 2, section 10 https://www.perseus.[...]
[107] 웹사이트 Natural History https://en.wikisourc[...]
[108]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Verlag
[109] 문서 Hesiod's Theogony
[110] 문서 Iliad and Odyssey http://data.perseus.[...]
[111] 문서 Theogony https://www.perseus.[...]
[112] 문서 Theogony https://www.perseus.[...]
[113] 문서 Theogony https://www.perseus.[...]
[114] 문서 Iliad and Odyssey http://data.perseus.[...]
[115] 서적 ギリシア神話
[116] 웹사이트 (2212) Hephaistos = 1978 SB https://minorplanetc[...] MPC 2021-09-25
[117] 문서 イーリアス 18巻
[118] 문서 イーリアス 1巻、アポロドーロス 1巻3・5
[119] 문서 アポロドーロス 1巻3・5
[120] 문서 ヘーシオドス『神統記』927〜928
[121] 문서 ホメーロス風讃歌 第3歌(「アポローン讃歌」)
[122] 문서 ヒュギーヌス 166、パウサニアス 1巻20・3
[123]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124] 문서 イーリアス 21巻
[125] 문서 アポロドーロス 1巻3・6、ピンダロス『オリンピア祝勝歌』第7歌35〜37、ルキアーノス『神々の対話』
[126] 문서 オデュッセイア 8巻ほか
[127] 문서 ヘーシオドス『神統記』945〜946
[128] 문서 ルキアーノス『神々の対話』
[129] 문서 アポロドーロス 3巻14・6、ヒュギーヌス 166ほか
[130] 문서 アポロドーロス 3巻16・1、パウサニアス 2巻1・4
[131] 문서 アポロドーロス 1巻9・16
[132]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133] 문서 オデュッセイア 8巻
[134] 문서 ルキアーノス『にわとり』3
[135] 문서 アポロドーロス 3巻14・6
[136] 문서 ヘーシオドス『仕事と日』
[137] 문서 ヒュギーヌス 140
[138] 문서 イーリアス 18巻ほか
[139] 문서 アポロドーロス 1巻9・26
[140] 문서 アポロドーロス 2巻5・6
[141] 문서 혹은 제우스와 헤라의 싸움을 말리다 화가 난 제우스가 헤파이토스를 밀어버렸다는 설도 있다.
[142] 서적 일리아스
[143] 서적 일리아스
[144] 문서 이를 지켜본 태양신 아폴론이 헤파이토스에게 밀고했다는 설도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