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가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역가왕》은 2024년 한일 트롯 가왕전에 출전할 대한민국 대표 여성 현역 트로트 가수 TOP7을 선발하는 서바이벌 음악 예능 프로그램이다. MBN에서 2023년 11월 28일부터 매주 화요일 밤에 방송되었으며, 신동엽이 MC를 맡았다. 박현빈, 대성, 이지혜 등 10명의 심사위원과 객원 심사위원이 참여했으며, 총 31명의 현역 여성 트로트 가수가 참가했다. 경연은 자체 평가전, 1:1 현장 지목전, 미니 콘서트, 준결승 결정전, 준결승, 결승전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최종 TOP7에는 전유진, 마이진, 김다현, 린, 박혜신, 마리아, 별사랑이 이름을 올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3년 텔레비전 시즌 - 포켓몬스터 (2023년 애니메이션)
2023년 4월부터 방영된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는 팔데아 지방 소녀 리코와 관토 지방 소년 로이가 라이징 볼테커즈 팀과 함께 세계를 모험하며 테라파고스, 검은 레쿠자, 루시아스와 육영웅의 수수께끼를 풀어나가는 이야기로, 갈라르 지방과 팔데아 지방을 배경으로 다양한 에피소드를 담고 있다. - 2023년 텔레비전 시즌 - 닥터 후 시즌 1 (2024년)
닥터 후 시즌 1 (2024년)은 러셀 T 데이비스가 쇼 러너로 복귀하고 은쿠티 가트와와 밀리 깁슨이 각각 15대 닥터와 새로운 동행자 루비 선데이 역을 맡아 디즈니+와의 협력으로 리브랜딩된 《닥터 후》의 14번째 시리즈로, 루비 선데이의 기원을 중심으로 8개의 에피소드가 전개되며 2부작 피날레로 시즌 전체의 미스터리를 해결한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퀸덤 (텔레비전 프로그램)
《퀸덤》은 Mnet에서 방송된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 여성 K-POP 그룹들이 경연을 펼쳐 시즌 1에서는 마마무가, 시즌 2에서는 우주소녀가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내 남자는 큐피드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에서 제작되어 장동윤과 나나가 주연을 맡은 16부작 드라마 《내 남자는 큐피드》는 2023년 11월 예고편 공개 후 24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에서 시청 가능하며, 2024년 1월 21일에는 전 세계 7위를 기록했다. - 2024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장학퀴즈
1973년 MBC에서 시작하여 EBS로 옮겨 대한민국 최장수 퀴즈 프로그램이 된 《장학퀴즈》는 고등학생 대상 퀴즈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진행 방식과 특집 방송, 한중 청소년 교류 등을 통해 사랑받았으나 2024년 7월 종영 예정이다. - 2024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개는 훌륭하다
개는 훌륭하다는 유기견 및 반려견 문제 해결을 위한 KBS 2TV 예능 프로그램으로, 이경규가 제목을 짓고 강형욱, 이경규 등이 출연하며 KBS 연예대상에서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고 방송 시간과 편성이 변경되어 현재까지 방영 중이다.
현역가왕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방송명 | 현역가왕 |
장르 | 예능 |
시청 등급 | 15 |
방송 시간 | 매주 화요일 밤 10시 ~ 수요일 새벽 12시 20분 |
방송 분량 | 140분 |
방송 기간 | 2023년 11월 28일 ~ 2024년 2월 13일 |
방송 횟수 | 12부작 |
방송 채널 | MBN |
제작사 | MBN, 크레아스튜디오 |
작가 | 노윤 |
프로듀서 | 서혜진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진행자 | 신동엽 |
공식 홈페이지 | MBN 현역가왕 공식 홈페이지 |
2. 기획 의도
2024년 치러질 한일 트롯 가왕전에 나갈, 대한민국 대표 '최정상급 여성 현역 트롯 가수' TOP7을 뽑는 서바이벌 음악 예능 프로그램이다.
MBN에서 2023년 11월 28일에 첫 방송되었으며, 매주 화요일 밤에 방송된다. 방송 시간은 밤 9시 10분부터 11시 50분까지였으나, 2023년 12월 5일부터 12월 26일까지는 밤 9시 40분부터 다음 날 새벽 12시 20분까지 방송되었다. 2024년 1월 2일부터 2월 13일까지는 밤 10시부터 다음 날 새벽 12시 20분까지 방송되었다.
3. 방송 시간
4. 진행자
4. 1. MC
신동엽이 2023년 11월 28일부터 2024년 2월 13일까지 12회 동안 현역가왕의 MC를 맡았다.
5. 심사위원
김용임은 본선 1차전에 등장했다.[2] 김종민과 신봉선은 본선 2차전에 등장했다.[2] 설운도는 본선 3차전에 등장했다.[2] 마츠자키 시게루는 준결승전에 등장했다.[2]
5. 1. 객원 심사위원
김용임은 본선 1차전에 등장했다.[2] 김종민과 신봉선은 본선 2차전에 등장했다.[2] 설운도는 본선 3차전에 등장했다.[2] 마츠자키 시게루는 준결승전에 등장했다.[2]6. 참가자
총 31명의 현역 여성 트로트 가수가 《현역가왕》에 참가했다. 이들은 신인부터 베테랑까지 다양한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특히, 미스트롯 1, 2 출신 참가자가 과반수를 차지한다.
참가자 중에는 김다현, 전유진과 같은 미성년자와 마리아와 같은 외국인 참가자도 포함되어 있다.
다음은 참가자 목록이다.
이름 | 트롯경력 | 비고 |
---|---|---|
강소리 | 현역 12년차 | 트롯신이 떴다2 - 라스트 찬스 참가자, 헬로트로트 참가자 |
강혜연 | 현역 6년차 |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 참가자, 내일은 미스트롯2 8위 |
김다현 | 현역 4년차 | 보이스트롯 준우승자, 내일은 미스트롯2 美 |
김나희 | 현역 5년차 | 내일은 미스트롯1 5위 |
김산하 | 현역 4년차 | 트롯 전국체전 참가자 |
김소유 | 현역 9년차 | 내일은 미스트롯1 9위, 내일은 미스트롯2 참가자 |
김양 | 현역 16년차 | 내일은 미스트롯1 참가자 |
김지현 | 현역 4년차 | 트롯신이 떴다2 - 라스트 찬스 참가자, 트로트의 민족 참가자 |
두리 | 현역 5년차 | 내일은 미스트롯1 7위, 헬로트로트 16위 |
류원정 | 현역 10년차 | 내일은 미스트롯2 14위 |
린 | 현역 0년차 | [3] |
마리아 | 현역 1년차 | 내일은 미스트롯2 12위 |
마스크걸 | 현역 1일차 | [4][5] |
마이진 | 현역 11년차 | 트롯 전국체전 참가자, 헬로트로트 참가자 |
박성연 | 현역 6년차 | 내일은 미스트롯1 12위 |
박혜신 | 현역 15년차 | 나는 트로트 가수다 왕중왕전 진출, 트로트의 민족 참가자 |
별사랑 | 현역 7년차 | 내일은 미스트롯2 6위 |
반가희 | 현역 10년차 | 트롯 전국체전 9위 |
세컨드[6] | 현역 8년차 | 내일은 미스트롯1 참가자 |
송민경 | 현역 4년차 | 트로트의 민족 참가자 |
신미래 | 현역 10년차 | 트롯 전국체전 10위 |
요요미 | 현역 6년차 | 내일은 미스트롯1 참가자 |
유민지 | 현역 14년차 | 트로트 엑스 참가자, 내일은 미스트롯1 참가자 |
윤수현 | 현역 10년차 | 나는 트로트 가수다 출연 |
윤태화 | 현역 15년차 | 내일은 미스트롯2 13위 |
장혜리 | 현역 4년차 | 걸스데이 前 멤버[7], 트롯 전국체전 참가자, 헬로트로트 4위 |
전유진 | 현역 4년차 | 내일은 미스트롯2 Top25 |
조정민 | 현역 15년차 | 트로트 엑스 참가자, 나는 트로트 가수다 출연 |
주미 | 현역 12년차 | 내일은 미스트롯2 Top25 |
하이량 | 현역 3년차 | 내일은 미스트롯2 참가자, 헬로트로트 참가자 |
한봄 | 현역 14년차 | 트롯신이 떴다2 - 라스트 찬스 3위 |
7. 경연 방식
7. 1. 자체 평가전
31팀 전체 무대가 공개되었고, 심사위원 평가를 통해 생존, 방출 후보, 방출이 결정되었다.
- 마이진은 '돌팔매'로 27표를 받아 생존했다.
- 강혜연은 '미스 고'로 24표를 받아 생존했다.
- 장혜리는 '아카시아'로 13표를 받아 방출 후보가 되었다.
- 요요미는 '밤차'로 23표를 받아 생존했다.
- 한봄은 '울엄마'로 26표를 받아 생존했다.
- 조정민은 '레디큐'로 13표를 받아 방출 후보가 되었으나, 최종 생존했다.
- 박혜신은 '연정'으로 28표를 받아 생존했다.
- 마스크걸은 '사의 찬미'로 20표를 받아 생존했다.
- 김다현은 '삼백초'로 26표를 받아 생존했다.
- 두리는 '돌리도'로 21표를 받아 생존했다.
- 별사랑은 '립스틱 짙게 바르고'로 25표를 받아 생존했다.
- 주미는 '그런거라네'로 25표를 받아 생존했다.
- 박성연은 '상사화'로 21표를 받아 생존했다.
- 김나희는 '꿈 속의 사랑'으로 19표를 받아 생존했다.
- 강소리는 '사랑도둑'으로 18표를 받아 방출 후보가 되었으나, 최종 생존했다.
- 송민경은 '옆집 누나'로 18표를 받아 방출 후보가 되었으나, 최종 생존했다.
- 마리아는 '물레방아 도는데'로 21표를 받아 생존했다.
- 윤수현은 '천태만상'으로 25표를 받아 생존했다.
- 김소유는 '첫정'으로 19표를 받아 생존했다.
- 신미래는 '목포의 눈물'로 19표를 받아 생존했다.
- 린은 '날 버린 남자'로 25표를 받아 생존했다.
- 김지현은 '거문고야'로 20표를 받아 생존했다.
- 윤태화는 '옥수수밭 옆에 당신을 묻고'로 25표를 받아 생존했다.
- 하이량은 '바람 바람 바람'으로 19표를 받아 생존했다.
- 김양은 '그대라는 꽃'으로 28표를 받아 생존했다.
- 유민지는 '신사동 그 사람'으로 26표를 받아 생존했다.
- 김산하는 '약손'으로 26표를 받아 생존했다.
- 전유진은 '꼬마 인형'으로 21표를 받아 생존했다.
- 류원정은 '울어라 열풍아'로 27표를 받아 생존했다.
- 반가희는 '실비 오는 소리에'로 27표를 받아 생존했다.
- 세컨드는 '불티+이제는+대박 날 테다'로 23표를 받아 생존했다.
최종 결과, 27명이 생존, 3명이 방출 후보에서 생존, 1명이 방출되었다.
7. 2. 본선 1차전: 1:1 현장 지목전
{회차 | 대결 | 승자 | 점수 | 패자 | 점수 |
---|---|---|---|---|---|
1 | 강혜연 vs 요요미 | 강혜연 | 183점 | 요요미 | 108점 |
2 | 윤수현 vs 마리아 | 윤수현 | 146점 | 마리아 | 143점 |
3 | 박혜신 vs 반가희 | 반가희 | 197점 | 박혜신 | 102점 |
4 | 별사랑 vs 신미래 | 신미래 | 152점 | 별사랑 | 144점 |
5 | 전유진 vs 마스크걸 | 전유진 | 198점 | 마스크걸 | 91점 |
6 | 김다현 vs 린 | 린 | 182점 | 김다현 | 106점 |
7 | 한봄 vs 두리 | 두리 | 189점 | 한봄 | 106점 |
8 | 주미 vs 김나희 | 김나희 | 157점 | 주미 | 140점 |
9 | 김양 vs 송민경 | 김양 | 176점 | 송민경 | 121점 |
10 | 김지현 vs 조정민 | 조정민 | 172점 | 김지현 | 120점 |
11 | 김소유 vs 유민지 | 김소유 | 148점 | 유민지 | 147점 |
12 | 강소리 vs 박성연 | 박성연 | 181점 | 강소리 | 117점 |
13 | 김산하 vs 류원정 | 류원정 | 215점 | 김산하 | 80점 |
14 | 세컨드 vs 하이량 | 하이량 | 187점 | 세컨드 | 102점 |
15 | 마이진 vs 윤태화 | 마이진 | 224점 | 윤태화 | 69점 |
각 참가자들은 1:1 대결을 펼쳤으며, 심사위원과 현장 평가단의 점수를 합산하여 승자와 패자가 결정되었다. 패자 중 일부는 패자부활전을 통해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8][9]
7. 3. 본선 2차전: 미니 콘서트
본선 2차전은 팀별 미션으로 진행되었으며, 1라운드 팀 미션과 2라운드 대장전으로 구성되었다. 각 라운드는 연예인 판정단과 관객(국민평가단)의 점수를 합산하여 평가되었다.1라운드 팀 미션에서는 '옥구슬 아씨들'(마이진, 김다현, 린, 요요미, 유민지)이 321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007 밴드걸'(두리, 김산하, 마리아, 조정민)은 289점으로 2위, '핫칠리'(류원정, 박성연, 별사랑, 세컨드)는 284점으로 3위, '비빔걸스'(전유진, 강혜원, 김지현, 박혜신, 윤수현)는 274점으로 4위, '이기자 시스터즈'(반가희, 김소유, 마스크걸, 손미래, 하이량)는 247점으로 5위를 기록했다.
2라운드 대장전에서는 '옥구슬 아씨들'의 마이진이 304점으로 1위를, '비빔걸스'의 전유진이 300점으로 2위를 차지했다. '007 밴드걸'의 두리는 276점으로 3위, '핫칠리'의 류원정은 255점으로 4위, '이기자 시스터즈'의 반가희는 253점으로 5위를 기록했다.
1, 2라운드 합산 결과, '옥구슬 아씨들'이 총점 625점으로 최종 1위를 차지하여 팀원 전원이 생존했다. '비빔걸스'는 574점으로 2위, '007 밴드걸'은 565점으로 3위, '핫칠리'는 539점으로 4위, '이기자 시스터즈'는 500점으로 최종 5위를 기록했다. 최종 결과에 따라 총 18명이 생존하고 7명이 방출되었다.
7. 4. 본선 3차전: 준결승 결정전
본선 3차전은 준결승 결정전으로, 1라운드 '한 곡 대결'과 2라운드 '뒤집기 한 판'으로 진행되었다. 1라운드는 참가자들이 1:1로 대결을 펼치는 방식으로, 연예인 판정단과 관객 점수를 합산하여 승패를 결정했다.2라운드는 참가자 개인별 경연으로, 연예인 판정단 점수와 관객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1, 2라운드 합산 결과, 박혜신, 윤수현, 김양, 별사랑, 린, 마이진, 조정민, 마리아, 김산하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최종 순위 발표 후, 방출 후보 9명을 대상으로 패자부활전이 진행되었다. 패자부활전에서는 강혜연, 류원정이 추가로 생존했다.[8]
7. 5. 준결승전
현역가왕 준결승전은 두 번의 라운드로 진행되었다. 1라운드는 '라이벌전'으로, 참가자들이 1:1 대결을 펼쳤다. 2라운드는 '끝장전'으로, 참가자들은 개인 무대를 선보였다.1라운드 '라이벌전'에서는 강혜연, 마이진, 린, 박혜신, 류원정, 김다현, 마리아가 승리했다. 2라운드 '끝장전'에서는 전유진, 린, 김다현, 윤수현, 별사랑, 박혜신, 마이진, 김양, 두리, 마리아, 조정민, 강혜연, 류원정, 김산하 순으로 경연을 펼쳤다.
준결승전 최종 결과는 연예인&작곡가 판정단 점수, 국민 판정단 점수, 그리고 대국민 응원 투표 점수를 합산하여 결정되었다. 최종 순위 1위는 전유진, 2위는 김다현, 3위는 박혜신이 차지했다. 4위는 마이진, 5위는 린, 6위는 강혜연, 7위는 별사랑, 8위는 윤수현, 9위는 마리아였다. 10위 류원정, 11위 김양, 12위 두리, 13위 조정민, 14위 김산하는 방출 후보가 되었으며, 추가 합격자를 통해 김양이 결승에 진출했다.
7. 6. 결승전
결승전은 1라운드 '국대 필살기 1위 쟁탈전'과 2라운드 '현역의 노래'로 진행되었다.[10] 각 라운드는 개인별 경연으로 치러졌다.1라운드에서는 전유진이 '숨어 우는 바람소리'로 902점을 받아 1위를 차지했다.[10] 박혜신은 '비의 초상'으로 880점을, 마이진은 '동전 인생'으로 855점을 기록했다. 2라운드에서는 전유진이 '옛 시인의 노래'로 1030점을 받아 다시 1위를 차지했다. 박혜신은 '내 삶의 이유 있음은'으로 1018점을, 마이진은 '응이'로 1016점을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최종 순위는 1, 2라운드 점수(44%), 대국민 응원 투표 점수(10%), 신곡 음원 점수(6%), 실시간 문자 투표 점수(40%)를 합산하여 결정되었다. 최종 결과, 전유진이 총점 4832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마이진은 4492.70점으로 2위, 김다현은 3826.86점으로 3위를 기록했다. 린, 박혜신, 마리아, 별사랑이 각각 4, 5, 6, 7위로 최종 TOP 7에 이름을 올렸다.
8. 최종 순위
최종 TOP 7은 1위 전유진, 2위 마이진, 3위 김다현, 4위 린, 5위 박혜신, 6위 마리아, 7위 별사랑이다. 1위 전유진은 총점 4832점으로, 1+2라운드 점수, 대국민 응원 투표 점수, 신곡 음원 점수, 실시간 문자 투표 점수를 합산하여 결정되었다.
8위는 강혜연, 9위 윤수현, 10위 김양으로, 이들은 최종 TOP 7에 들지 못하고 방출되었다.
순위 | 이름 | 예명 | 소속사 | 소속그룹 |
---|---|---|---|---|
1위 | 전유진 | 온리유 E&M | ||
2위 | 김화진 | 마이진 | DB | FC트롯퀸즈, 영텐2기 |
3위 | 김다현 | 그레인, 前린브랜딩, 前EuReKa, 前현컴퍼니 | 청학동 국악자매 | |
Top7(4위) | 이세진 | 린 | 325E&C | |
Top7(5위) | 박혜신 | 드림기획, 前YS | ||
Top7(6위) | Maria Elizabeth Leise | 마리아 | 모리뮤직, 前플라워, 前스톤뮤직 | 前유학소녀 |
Top7(7위) | 윤정인 | 별사랑 | KMB, 에이지 | |
Top10(8위) | 강혜연 | 前혜연, 前다미 | SOO, 前J&J EMG, 前스타이엔티, 前YNB | 영텐2기, 前베스티, 前EXID |
Top10(9위) | 윤지연 | 윤수현 | iw | |
Top10(10위) | 김대진 | 김양 | 실버스톤, 우노에프엠 |
9. 대국민 응원 투표
《현역가왕》의 대국민 응원 투표는 네이버 NOW 앱을 통해 진행되었다. 매주 투표 순위가 변동되었으며, 1주차에는 전유진이 1위를 차지했고, 김다현, 마리아, 강혜연, 류원정, 조정민, 윤태화, 한봄, 린, 박혜신이 그 뒤를 이었다. 2주차에는 전유진, 김다현, 마리아, 강혜연, 류원정, 반가희, 린, 별사랑, 조정민이 순위에 올랐다. 3주차에는 전유진, 김다현, 마이진, 마리아, 강혜연, 박혜신, 한봄, 별사랑이 순위에 포함되었다.
4주차에는 전유진, 마이진, 김다현, 마리아, 강혜연, 박혜신, 류원정, 린, 유민지, 반가희가 순위에 올랐고, 5주차에는 전유진, 강혜연, 김다현, 마이진, 박혜신, 마리아, 유민지, 신미래, 류원정, 린이 순위에 올랐다. 6주차에는 전유진, 김다현, 마이진, 강혜연, 박혜신, 마리아, 류원정, 별사랑이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7주차에는 전유진, 류원정, 강혜연, 별사랑, 김다현, 마이진, 마리아, 윤수현, 박혜신이, 8주차에는 전유진, 류원정, 강혜연, 윤수현, 마리아, 박혜신, 별사랑, 마이진, 김다현, 조정민이 순위에 올랐다. 9주차에는 전유진, 김다현, 마이진의 순위가 공개되었고, 나머지 순위는 공개되지 않았다.
10. 시청률
{
회차 | 방송일 | AGB 시청률 |
---|---|---|
대한민국(전국) | ||
1 | 2023년 11월 28일 | 6.8% |
2 | 12월 5일 | 8.5% |
3 | 12월 12일 | 10.4% |
4 | 12월 19일 | 11.3% |
5 | 12월 26일 | 11.6% |
6 | 2024년 1월 2일 | 12.0% |
7 | 1월 9일 | 13.9% |
8 | 1월 16일 | 14.5% |
9 | 1월 23일 | 15.2% |
10 | 1월 30일 | 14.9% |
11 | 2월 6일 | 16.1% |
12 | 2월 13일 | 17.3% |
}
AGB닐슨 미디어 리서치 코리아 기준 최고 시청률은 17.3%이다.
11. 논란 및 비판
11. 1.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비판점
11. 2. 기타 비판점
'방출' 용어 사용은 프로그램 취지와 맞지 않고 어색하다는 지적이 있다. '마스크걸'과 같은 신비주의 마케팅은 초반 흥미를 유발했지만, 장기적으로 프로그램 진정성을 떨어뜨리고 시청자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12. 기타
TV조선의 화요일은 밤이 좋아와 불타는 트롯맨 및 불타는 장미단에 이어 다시 한번 정면 대결을 펼치게 되었다.[12] '현역가왕' 방송 시작 후 불타는 장미단은 월요일 오후 9시 10분으로 시간대를 옮겼다. '화요일은 밤이 좋아' 고정·반고정 출연자들은[13] 현역가왕에 일절 참가하지 않았다. 현역가왕 참가자 중 '화요일은 밤이 좋아'에 게스트로 출연한 사람들[14]은 있었으나, 오래 전에 녹화분을 방영한 것이었고 실제 방송 시에는 출연자 소개가 편집되거나 아예 무대가 통편집되었다. 2024년 하반기에는 현역가왕 남자 버전이 방송될 예정이다.[15]
참가자 명단은 첫 방송 날짜인 11월 28일 이전까지 비밀에 부쳐졌고, 첫 방송 오프닝을 통해 공개되는 등 신비주의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참가자 중에는 복면을 쓰고 정체를 숨기고 있는 '마스크걸'이 있다. 디시인사이드에서는 여자 트로트 마이너 갤러리에서 현역가왕 이야기를 가장 많이 하고 있다.[16]
자체평가전에서는 통편집 없이 31팀 모든 참가자들의 무대가 공개되었다. 2023년 12월 6일부터 네이버 NOW 앱에서 온라인 투표를 받고 있다. 탈락 대신 '방출'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현역가왕의 방송 취지가 2024 한일 가왕전에 나갈 TOP7 팀을 만든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참가자 중 조정민은 MBN의 전작 트로트 오디션 불타는 트롯맨의 심사위원이었다. 한봄은 현역가왕을 통해 임신 9개월 차라는 소식을 알렸으나, 출산으로 인해 자진 하차했다. 참가자들의 선곡은 시청자들에게 익숙하고 널리 사랑받는 옛날 명곡들이 많으며,[17] 참가자들이 기존에 불렀던 노래를 선곡한 경우도 있었다. 방출자 중 일부는 불타는 장미단에 출연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무한도전의 해골자막에 해당되는 폭탄 자막이 뜨기도 한다. 기존 오디션 프로그램에 출전하지 않았던 가수는 린과 마스크걸 뿐이다.[18] 미스트롯 1, 2 출신이 참가자 중 절반이 넘는 17명이며, 이 중에는 TOP7에 들었던 김나희(5위), 두리(7위), 김다현(3위), 별사랑(6위)도 있다.[19] 미성년자 참가자는 김다현과 전유진 둘뿐이며, 외국인 참가자는 마리아 1명이다.
참조
[1]
정보
[2]
정보
[3]
정보
[4]
정보
[5]
정보
[6]
정보
[7]
정보
[8]
정보
[9]
정보
[10]
정보
[11]
정보
[12]
정보
[13]
정보
[14]
정보
[15]
정보
[16]
정보
[17]
정보
[18]
정보
[19]
정보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