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혈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혈연은 친족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로, 촌수(친등)를 통해 친족 간의 가까운 정도를 나타낸다. 촌수는 세수등친제를 기준으로 계산하며, 배우자 사이에는 촌수가 없다. 한국어에는 다양한 친족 호칭이 존재하며, 법률적으로는 8촌 이내의 혈족 간 혼인을 금지한다. 혈족 관계는 상속, 근친혼 금지, 친족 비리 방지 등 다양한 법적 문제와 관련이 있다. 종교에서는 혈족 관계에 대한 규정이 다르며, 유전학적으로 근친혼은 유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사회문화적으로 혈연은 한국, 일본, 이슬람 사회 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인식되며, 근친혼에 대한 문화적 요인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학 유전학 - 유전자 검사
    유전자 검사는 유전 질환 관련 유전자형, 돌연변이, 표현형 등을 임상적으로 감지하는 검사로, 진단 외 목적으로도 활용되지만 윤리적, 사회적 논란이 있다.
  • 의학 유전학 - 선천성 대사 이상
    선천성 대사 이상은 유전적 원인으로 탄수화물, 아미노산, 유기산, 지방산 등의 대사 과정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으로, 신생아 선별 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이 가능하며 식이요법, 약물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인류유전학 - 피부색
    피부색은 멜라닌의 양과 유형에 의해 결정되며, 자외선 노출, 비타민 D 합성,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와 관련되어 진화해 왔다.
  • 인류유전학 - 근친혼
    근친혼은 혈족 또는 인척 간의 결혼을 의미하며, 유전적 결함과 질병 발생의 위험으로 인해 각국에서 민법 등을 통해 규제하고 금혼 범위는 국가별로 차이를 보인다.
  • 근친상간 - 근친교배
    근친교배는 유전적으로 가까운 개체 간의 교배를 의미하며, 유전 질환 발현 가능성을 높이는 등 생물학적 영향과 품종 개량 및 연구에 활용된다.
  • 근친상간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프로이트가 제시한 심리학 개념으로,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갈등을 설명하며, 남자아이는 어머니에 대한 욕망과 아버지에 대한 질투를, 여자아이는 아버지에 대한 애착과 음경 선망을 느낀다고 본다.
혈연
혈연
정의혈연은 두 사람 사이의 친족 관계로서, 한 사람의 조상으로부터 다른 사람이 내려온 관계를 의미한다.
다른 용어혈족, 혈통
관련 용어상속, 가계, 가족, 혈통, 계보, 친족
범위
직계 혈족부모, 자녀 등과 같이 직접적으로 이어지는 혈연관계.
방계 혈족형제자매, 삼촌, 고모, 조카 등과 같이 직계가 아닌 혈연관계.
친척혈연관계가 있는 모든 사람을 통칭.
법적 의미
상속혈연관계는 상속권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결혼근친혼은 법적으로 금지되는 경우가 많다.
친족관계가족법에서 혈연관계는 중요한 친족 관계의 기준이 된다.
유전학적 의미
유전혈연관계는 유전적 특징을 공유할 가능성이 높다.
유전 질환근친혼은 유전 질환 발병률을 높일 수 있다.
사회적 의미
사회적 관계혈연관계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의 기초가 된다.
문화적 의미문화권마다 혈연관계에 대한 인식과 중요도가 다르다.
기타
친족도표
친족도표
계통The Knot System: A Numeric Notation of Relationship

2. 혈족과 촌수

'''촌수'''(寸數)는 친족 간의 멀고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친등'''(親等)이라고도 한다. 촌수가 작을수록 가까운 친족이며, 촌수가 클수록 먼 친족이다.[7] 숙부를 '3촌', 종형제를 '4촌'이라고 하는 경우처럼, '촌'이라는 말 자체가 친족을 나타내는 용어로 쓰이기도 한다.[7]

촌수를 계산하는 방법에는 계급등친제와 세수등친제가 있는데, 대한민국 민법은 세수등친제를 따른다.[7]

프랑스 국왕들의 혈족 관계 (베르나르 기, 14세기 초반의 ''Arbor genealogiae regum Francorum''에 나타난)

2. 1. 촌수 계산

한국 민법은 세수등친제를 채택하여 촌수를 계산한다.[7] 부모와 자녀는 1촌, 조부모손자는 2촌으로 계산한다.[7] 방계친족은 가장 가까운 공동 시조에서 각자에 이르는 세대수를 계산하여 더한다.[7] 예를 들어 형제자매는 공동 시조인 부모에서 형제까지 1촌, 부모에서 동생까지 1촌을 더해 2촌이다.[7] 이 방법은 자연혈족, 법정혈족, 인척에 모두 적용되지만, 배우자는 촌수가 없다.[7]

2. 2. 한국의 친족 호칭

한국어에는 다양한 친족 호칭이 발달해 있다. 특히 동기 간 호칭, 배우자의 가족에 대한 호칭(처가/시가 호칭) 등이 상세하게 구분되어 있다.

관계촌수명칭정식 호칭
동기 호칭형의 아내형수(兄嫂)형수, 형수님, 아주머니, 아주머님
오빠의 아내올케새언니, 언니, 올케언니 / 올케님(지칭)
누나의 남편매형(妹兄)매형, 자형, 매부
언니의 남편형부(兄夫)형부
남동생의 아내(남자)제수(弟嫂), 계수(季嫂)제수, 제수씨, 계수씨 / 제수님(지칭)
남동생의 아내(여자)올케올케 / 올케님 (지칭)
여동생의 남편(남자)매부(妹夫)○ 서방, 매부, 매제
여동생의 남편(여자)제부(弟夫)○ 서방, 제부
처가 호칭아내의 아버지촌수 없음 (아내의 1촌)장인(丈人)장인어른, 아버님
아내의 어머니촌수 없음 (아내의 1촌)장모(丈母)장모님, 어머님
아내의 오빠촌수 없음 (아내의 2촌)처남(妻男)형님, 처남[어릴때]
아내의 오빠의 아내처남댁(妻男宅)아주머니 / 아주머님 (지칭)
아내의 언니촌수 없음 (아내의 2촌)처형(妻兄)처형
아내의 언니의 남편동서(同壻)형님, 동서
아내의 남동생촌수 없음 (아내의 2촌)처남(妻男)처남
아내의 남동생의 아내처남댁(妻男宅)처남의 댁, 처남댁
아내의 여동생촌수 없음 (아내의 2촌)처제(妻弟)처제 / 처제님 (지칭)
여동생의 남편동서(同壻)동서,○서방 / ○서방님 (지칭)
시가 호칭남편의 아버지촌수 없음 (남편의 1촌)시(媤)아버지아버님
남편의 어머니촌수 없음 (남편의 1촌)시(媤)어머니어머님, 어머니
남편의 형촌수 없음 (남편의 2촌)시숙(媤叔)아주버님
남편의 형의 아내동서(同壻)형님, 큰동서
남편의 누나촌수 없음 (남편의 2촌)시(媤)누이형님 / 누님 (지칭)
남편의 누나의 남편시매부(媤妹夫)아주버님 / 아주버니 (지칭)
남편의 남동생촌수 없음 (남편의 2촌)시숙(媤叔)도련님[미혼], 서방님[기혼] / 동생님(지칭)
남편의 남동생의 아내동서(同壻)동서 / 동서님(지칭)
남편의 여동생촌수 없음 (남편의 2촌)시(媤)누이아가씨, 아기씨 / 동생님 (지칭)
남편의 여동생의 남편시매부(媤妹夫)서방님 / [자녀]고모부 (지칭)


3. 법률과 혈족



혈족 관계는 법률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두 사람 사이의 친족 관계 정도는 여러 법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일부 법률에서는 근친 간의 성관계(근친상간)를 금지하고 있다.

3. 1. 근친혼 금지

대부분의 국가에서 근친혼은 법률로 금지되어 있다. 거의 전 세계적으로 2촌까지의 혈족 간 결혼은 금지되어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사촌 간의 결혼을 금지하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 고모, 삼촌과의 결혼(숙부숙모와의 결혼)은 여러 국가에서 합법이다.[7][8] 한국 민법은 8촌 이내 혈족 간의 혼인을 금지한다. (민법 제809조) 근친혼 금지는 유전적 질환 예방 및 사회 윤리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3. 2. 상속

혈족 관계는 상속, 특히 무유언 상속과 관련하여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법률은 사망자와 가까운 혈족에게 상속을 우선적으로 인정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 민법은 배우자, 직계비속, 직계존속, 형제자매, 4촌 이내의 방계혈족 순으로 상속 순위를 규정한다. (민법 제1000조)

3. 3. 기타 법률 문제

혈족 관계는 상속에 있어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법률은 사망자와 가까운 혈족에게 상속을 우선적으로 인정하는 경향이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사건 관련자와의 혈족 또는 인척 관계를 이유로 시민의 배심원 복무를 금지하기도 한다.[9] 많은 국가에서 친족 비리를 금지하는 법률에 따라 공무원이나 직원의 가까운 친족 고용, 특정 유형의 계약을 금지하고 있다.

4. 종교와 혈족

꾸란의 80번째 장인 「눈살을 찌푸리며」 33절부터 42절에서는 천지 종말의 날에는 부모, 형제, 부부 등의 혈연 관계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묘사한다. 이슬람교 성립 당시 아랍 사회는 혈연이 사회 구성의 근본 원리였지만, 이슬람 공동체에서는 유일신에 대한 신앙이 혈연을 대체하는 새로운 사회 원리가 되었다.

4. 1. 기독교

초기 가톨릭 교회 교회법은 로마 민법을 따라 4촌 이내의 혈족 간 결혼을 금지했다.[10] 9세기경 교회는 금지 범위를 7촌으로 확대하고 계산 방법을 변경했다. 이전에는 공통 조상으로부터 각 배우자까지의 세대 연결 고리를 모두 계산했지만, 새로운 방법은 공통 조상까지의 세대 수만 계산했다.[10] 이로 인해 7촌 이상의 친족 관계가 아닌 사람만 결혼이 허용되어 귀족들이 배우자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10]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근친 혈족과의 결혼은 혼인 무효 선언의 사유가 되었지만, 11세기와 12세기에는 7촌 규정으로 인해 배우자를 찾기 어려운 상황 때문에 면죄가 자주 허용되었다.[11]

1215년 라테란 공의회 제4차 회의는 금지된 혈족 관계를 7촌에서 4촌으로 줄였지만, 촌수 계산 방법은 유지했다.[12][13] 1215년 이후에는 4촌간은 면죄 없이 결혼할 수 있게 되어 면죄의 필요성이 감소했다.[11] 14세기 잉글랜드에서는 혈족(및 친족)으로 인한 파혼에 대한 교황의 면죄가 드물었다.[14]

로마 가톨릭교회의 혈족 관계 금지령은 11세기 크로아티아 사회에서 비판을 받았고, 이는 크로아티아 교회의 분열을 초래했다.[15]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의 기독교 하베샤 고지대 주민(주로 정교회 기독교인인 암하라티그라이-티그리냐)은 최소 7대조까지 부계 조상을 밝히는 전통이 있다. 7대조 이내에 공통 부계 조상을 가진 사람은 '형제자매'로 간주되어 결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모계 쪽 규칙은 덜 엄격하여 4대조 정도이지만, 여전히 부계를 기준으로 한다. 이 규칙은 무슬림이나 다른 민족 집단에는 적용되지 않는다.[16]

4. 2. 이슬람교

꾸란 4:22-24절에는 혼인이 금지된 대상이 명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어머니, 딸, 자매, 아버지의 자매, 어머니의 자매, 형제의 딸, 자매의 딸 등이 포함된다.[17] 그러나 사촌은 이 목록에 포함되지 않아 혼인이 허용된다.[18] 무함마드도 자신의 사촌 누이인 자이납 빈트 자흐슈와 결혼했다.[19]

일부 이슬람 국가에서는 근친혼으로 인한 유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결혼 전 검사를 의무화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결혼 지원금을 제한하는 등의 재정적 조치를 취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에서는 2004년부터, 카타르에서는 2009년부터 이러한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29]

꾸란의 80번째 장인 「눈살을 찌푸리며」 33절부터 42절에서는 세상 종말의 날에는 혈연 관계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묘사한다. 이슬람교 성립 당시 아랍 사회에서는 혈연이 사회 구성의 근본 원리였지만, 이슬람 공동체에서는 유일신에 대한 신앙이 혈연을 대체하는 새로운 사회 원리가 되었다.

4. 3. 유대교



유대교는 근친상간에 대한 특정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성경의 가르침에 기반한다.

4. 4. 기타 종교

인도브라만(브라흐마나)교에는 고트라(외혼)와 자티(내혼)라는 독특한 혼인 규정이 있다. 고트라는 전설적인 시조를 같이하는 혈연 집단을 의미하며, 보통 부계 족속 중 가장 오래된 조상인 성현(리시)의 이름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45] 아트리를 조상으로 하는 브라만 가계는 아트레이야(아트리의 후손)라는 씨족 명칭을 사용한다. 자티는 동일 자티 내에서 혼인 관계를 맺는 사회 집단이다. 따라서 인도 브라만 사회에서는 "고트라 외혼, 자티 내혼"이 불문율로 여겨진다.[46]

5. 유전학과 혈족

유전적으로 가까운 혈족 간의 결혼, 즉 근친혼은 가까운 조상의 수가 적어 감수분열 과정에서 유전적 변이가 줄어들기 때문에 발생한다. 모든 인간은 게놈의 99.6%에서 99.9%를 공유하므로,[21] 근친혼은 염기서열의 매우 작은 부분에만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두 형제자매가 자녀를 낳는다면 그 자녀는 네 명이 아닌 두 명의 조부모만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자녀가 해로운 열성 유전자(대립유전자) 두 개를 상속받을 확률이 높아져 유전 질환의 위험이 커진다.

5. 1. 혈연계수

일반적인 가족 관계도. 각 원의 면적은 혈연계수에 비례. 같은 혈연 관계를 가진 친척들은 회색 타원 안에 포함됨.


n세대 후 유전적 연관성을 2−n 진행으로 단순화하여 나타낸 그림


혈연계수(''r'')는 1922년 라이트(Wright)[22]가 정의한 유전적 근친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는 논의 중인 근친혼으로 인한 동형접합체의 비율로 정의된다. 부모와 자녀 간, 형제자매 간에는 ''r''=0.5 (DNA의 50% 공유)이다. 부모의 형제자매는 ''r''=0.25 (DNA의 25% 공유), 사촌 간에는 ''r''=0.125 (DNA의 12.5% 공유)이다. 이 값들은 공유 DNA 백분율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엄밀하게는 '%의 유전자'로 언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친족 간 평균 DNA 공유율[20]
관계평균 DNA
공유율
자신100%
부모 / 자녀50%
형제자매50%
이복형제자매25%
조부모 / 손자녀25%
삼촌 / 고모 / 조카25%
이복삼촌 / 이복고모 / 이복조카12.5%
사촌 형제자매12.5%
이복사촌 형제자매6.25%
이종사촌25%
증조부모 / 증손자녀12.5%
재종조부모 / 재종조카12.5%
사촌 형제자매(1촌 당숙/고종사촌)6.25%
재종사촌 형제자매3.125%



실제로는 사촌 또는 그보다 가까운 친척(''r'' ≥ 0.03125) 사이의 결혼을 근친혼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기준은 유전적 영향이 일반 인구에서 관찰되는 것과 거의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적어도 8.5%의 어린이가 근친혼 부모를 둔 것으로 추산된다.[23]

임상 유전학에서는 근친혼을 2촌 이내의 결합으로 정의하며, 이때 근교계수(F)가 0.0156 이상이다. 근교계수(F)는 근친혼 부부의 자녀가 양쪽 부모로부터 동일한 유전자 사본을 상속받을 수 있는 유전자좌의 비율을 나타낸다.[24]

일반적으로 1촌, 2촌 사촌, 때로는 3촌 사촌까지 확인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4대 이상의 가계도를 완전히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4촌 사촌을 확인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4촌 사촌은 같은 지역의 다른 사람들과 유전적으로 거의 차이가 없어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다.)[25]

5. 2. 유전 질환



근친혼은 가까운 조상의 수가 적어 발생하는 감수분열 변이 감소로 인해 유전 질환 발병 확률에 영향을 미친다. 모든 인간은 게놈의 99.6%에서 99.9%를 공유하므로,[21] 근친혼은 염기서열의 매우 작은 부분에만 영향을 준다. 두 형제자매가 자녀를 낳으면, 그 자녀는 네 명이 아닌 두 명의 조부모만 가지게 된다. 이 경우 자녀가 해로운 열성 유전자(대립유전자) 두 개를 상속받을 확률이 높아진다.

근친 교배는 상염색체 유전 질환에 대한 동형접합자 수준을 증가시키고, 생물학적 적응도 감소로 알려진 근친 교배 쇠퇴를 초래한다.[39] 근친 결혼 관계의 자녀는 특정 유전 질환 위험이 더 높은데, 상염색체 열성 질환은 특정 열성 유전자 돌연변이에 대해 동형접합체인 개인에게서 발생하기 때문이다.[41] 즉, 동일한 유전자 두 개(대립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41]

이러한 질환을 가진 개인의 부모는 모두 그 유전자의 보인자이며, 자신이 돌연변이 유전자를 가졌는지 모를 수 있다. 친척은 유전자 일부를 공유하므로, 관련된 부모가 상염색체 열성 유전자의 보인자일 가능성이 더 높고, 자녀는 상염색체 열성 질환 위험이 더 높다.[42] 부모가 가까운 친척일수록 위험이 크지만, 사촌 형제자매 같은 먼 친척 간 관계에서는 위험이 낮다.[43]

한 집단 내 근친 결혼은 결핵간염 같은 전염성 병원체 감수성을 높이지만, 말라리아 및 기타 병원체 감수성은 낮출 수 있다.[44]

6. 사회문화적 관점

일본에서는 중세 무가 사회가 성립되면서 혈연보다 지연을 우선하는 사회가 형성되었다. 씨족의 이름은 혈연 관계를 의미하는 ‘’이 아니라, 대부분 지명에서 유래하는 ‘본관’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마을마다 토지신이 설치되고 각지에서 제례가 행해지는 등 지연이 중시되었다. ‘먼 친척보다 가까운 이웃’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일본은 세계적으로 지연적 요소가 짙은 사회라고 할 수 있다.

6. 1. 한국 사회

한국은 전통적으로 혈족 중심 사회였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지연, 학연 등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먼 친척보다 가까운 이웃"이라는 속담은 이러한 변화를 반영한다.

6. 2. 일본 사회

일본에서는 중세 무가 사회가 성립되면서 혈연보다 지연을 우선하는 사회가 형성되었다. 씨족의 이름은 혈연 관계를 의미하는 ‘’이 아니라, 대부분 지명에서 유래하는 ‘본관’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지연의 중심으로서 마을마다 토지신이 설치되고, 각지에서 제례가 행해졌다. ‘먼 친척보다 가까운 이웃’이라는 말처럼, 일본은 세계적으로 보면 지연적 요소가 짙은 사회라고 할 수 있다.

6. 3. 이슬람 사회

아랍 세계에서는 친족 결혼이 일반적이다. 아랍 유전체 연구 센터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UAE) 국민 결혼의 40%~54%가 가족 구성원 간의 결혼이며, 이는 이전 세대보다 39% 증가한 수치이다. UAE 국민 결혼의 21%~28%는 사촌 간의 결혼이었다.[29][30] 그러나 기독교 아랍인들은 중매 결혼을 하지 않기 때문에 근친 결혼은 훨씬 덜 흔하다.[31][32][33][34] 로마 가톨릭 교회와 그리스 정교회와 교류하는 아랍 기독교 교파에서는 사촌이나 그보다 가까운 친척 간의 결혼에 특면 허가가 필요하며, 콥트 정교회의 사촌 결혼에는 이와 유사한 규정이 없다.[34]

이집트에서는 인구의 약 40%가 사촌과 결혼한다. 1992년 요르단에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32%가 사촌과 결혼했고, 17.3%는 더 먼 친척과 결혼했다.[35] 사우디아라비아 결혼의 67%, 쿠웨이트 결혼의 54%가 가까운 친척 간의 결혼이며, 레바논 결혼의 18%는 혈족 간의 결혼이었다. 쿠웨이트 원주민의 근친 결혼 비율은 54.3%였으며, 베두인족에서는 더 높았다.[36]

영국에 거주하는 파키스탄계 무슬림 이민자의 결혼 중 55%는 사촌 간의 결혼으로 추정되며,[37] 특히 부계 평행 사촌 결혼, 즉 남자가 아버지의 형제의 딸과 결혼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중 사촌은 두 쌍의 형제자매로부터 태어나며, 이복형제와 같은 유전적 유사성을 갖는다. 이중 사촌 간의 결합에서 가장 높은 근교계수가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아랍인과 남인도의 삼촌-조카 결혼에서 (F)는 0.125이다.

꾸란의 80번째 장인 「눈살을 찌푸리며」 33절부터 42절에서는 천지 종말의 날의 광경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는 부모, 형제나 부부 등의 혈연 관계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슬람교가 성립된 당시 아랍 사회에서는 혈연이 사회를 구성하는 원리이자 행동과 사고방식의 근본이었지만, 이슬람 공동체에서는 유일신에 대한 공통의 신앙이 혈연을 대체하는 새로운 사회 원리가 되었다.

6. 4. 근친혼의 문화적 요인

일부 문화권에서는 배우자 간의 사회적 관계 공유를 통한 높은 호환성, 부부 관계의 안정성, 가족 결속력 강화, 재정적 협상의 용이성 등을 이유로 근친혼을 선호한다.[24] 혈족 결혼은 세계 인구의 20%에서 깊이 뿌리내린 현상이며, 특히 중동, 서아시아 및 북아프리카에서 두드러진다.[24]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혈족 결혼 형태는 사촌 간 결혼이다.[26]

아랍 세계에서는 친족 결혼이 일반적이다. 아랍 유전체 연구 센터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UAE) 국민 결혼의 40%에서 54%가 가족 구성원 간의 결혼이며, 이전 세대보다 39% 증가했다. UAE 국민 결혼의 21%에서 28%는 사촌 간의 결혼이었다.[29][30] 기독교 아랍인들은 중매 결혼을 하지 않기 때문에 근친 결혼은 훨씬 덜 흔하다.[31][32][33][34] 또한, 가톨릭교회와 그리스 정교회와 교류하는 아랍 기독교 교파에서 사촌이나 그보다 가까운 친척 간의 결혼에는 특면 허가가 필요하며, 콥트 정교회의 사촌 결혼에는 이와 유사한 규정이 없다.[34]

이집트에서는 인구의 약 40%가 사촌과 결혼한다. 1992년 요르단에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32%가 사촌과 결혼했고, 17.3%가 더 먼 친척과 결혼했다.[35] 사우디아라비아 결혼의 67%, 쿠웨이트 결혼의 54%가 가까운 친척 간의 결혼이며, 레바논 결혼의 18%가 혈족 간의 결혼이었다. 쿠웨이트 원주민의 근친 결혼 비율은 54.3%였으며, 베두인족에서는 더 높았다.[36]

영국에 거주하는 파키스탄계 무슬림 이민자의 결혼 중 55%가 사촌 간의 결혼으로 추정되며,[37] 특히 부계 평행 사촌 결혼, 즉 남자가 아버지의 형제의 딸과 결혼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중 사촌은 두 쌍의 형제자매로부터 태어나며, 이복형제와 같은 유전적 유사성을 갖는다. 이중 사촌 간의 결합에서 가장 높은 근교계수가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아랍인과 남인도의 삼촌-조카 결혼에서 (F)는 0.125이다.

참조

[1] 웹사이트 19 Texas Administrative Code §100.1113 https://texreg.sos.s[...] State of Texas 2022-05-05
[2] 논문 Access to marriage: consanguinity and affinity prohibitions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text 2019
[3] 논문 Science and society: genetic counselling and customary consanguineous marriage https://pubmed.ncbi.[...] 2024-08-09
[4] 논문 Methods of Intestate Succession 1940
[5] 웹사이트 Table of Consanguinity http://sleepyhollowc[...] Sleepy Hollow Cemetery
[6] 논문 The Knot System: A Numeric Notation of Relationship http://www.knotsyste[...] 1996-06
[7] 웹사이트 RCW 26.04.020: Prohibited marriages. https://app.leg.wa.g[...] 2021-10-01
[8] 논문 Genetics and Laws Prohibiting Marriage in the United States https://doi.org/10.1[...] 1969-07-28
[9] 법률 Ohio Revised Code §2313.17 & §2945.25 2012
[10] 서적 Those of My Blood: Creating Noble Families in Medieval Franc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0-11-24
[11] 서적 Law, Sex, and Christian Society in Medieval Euro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02-15
[12] 웹사이트 Fourth Lateran Council: Canon 50. Prohibition of marriage is now perpetually restricted to the fourth degree http://www.ewtn.com/[...] 1215
[13] 서적 The Language of Sex: Five Voices from Northern France Around 12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05-28
[14] 서적 Marriage Litigation in Medieval Englan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3-26
[15] 서적 Byzantine mission among the Slavs Rutgers University Press
[16] 서적 Encyclopaedia Aethiopica: D-Ha Harrassowitz Verlag
[17] 웹사이트 Surah An-Nisa [4:22–25] https://quran.com/4/[...] Quran.com 2018-06-16
[18] 웹사이트 The Qur'an http://quran.com/4/2[...]
[19] 웹사이트 Islam's Women http://www.islamswom[...] unknown n.d.
[20] 웹사이트 Average percent DNA shared between relatives https://customercare[...] 23andme 2018-05-06
[21] 논문 Genetic variation, classification and 'race'
[22] 논문 Coefficients of inbreeding and relationship https://zenodo.org/r[...]
[23] 웹사이트 Consanguineous Marriage and Inherited Disorders https://www.bradford[...] City of Bradford 2010-10-14
[24] 논문 Consanguineous marriages: Preconception consultation in primary health care settings
[25] 웹사이트 Understanding Genetics: How much genetic similarity is considered baseline relatedness? https://www.thetech.[...] thetech.org 2023-11-28
[26] 웹사이트 A Background Summary of Consanguineous Marriage http://www.consang.n[...] Centre for Human Genetics Edith Cowan University, Perth, Australia 2016-08-31
[27] 논문 Documenting suspected consanguinity guidelines
[28] 서적 Law, Sex, and Christian Society in Medieval Europ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9] 뉴스 Consanguineous marriage: Should it be discouraged? http://www.middleeas[...] MiddleEastHealthMag.com 2018-11-28
[30] 논문 Does consanguinity increase the risk of schizophrenia? Study based on primary health care centre visits
[31] 논문 Consanguinity and reproductive health among Arabs 2009-10-08
[32] 논문 Consanguinity in a population sample of Israeli Muslim Arabs, Christian Arabs and Druze 2002
[33] 논문 Consanguineous marriage among rural Arabs in Israel 1984-11
[34] 서적 Endogamy and Consanguineous Marriage in Arab Populations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0
[35] 뉴스 Consanguineous marriage: Keeping it in the family https://www.economis[...] Economist 2016-02-27
[36] 웹사이트 Inbreeding and genetic disorder among Arab population. http://www.as.wvu.ed[...] WVU
[37] 웹사이트 Marriage between cousins increases risks to children http://www.medicinec[...] 2018-11-28
[38] 웹사이트 Portrait de famille avec gènes http://www.forum.umo[...] 2021-08
[39] 논문 Evidence of inbreeding depression on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a population-based child cohort study
[40] 논문 Applied Cultural and Social Studies are Needed for a Sustainable Reduction of Genetic Disease Incidence
[41] 서적 Clinical biochemistry : metabolic and clinical aspects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42] 서적 Genetics: A Conceptual Approach W.H. Freeman
[43] 서적 ABC of Clinical Genetics BMJ Books
[44] 논문 Consanguinity and susceptibility to infectious diseases in humans
[45] 문서
[46] 서적 南アジアを知る事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